KR20130005576U -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 Google Patents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76U
KR20130005576U KR2020120002038U KR20120002038U KR20130005576U KR 20130005576 U KR20130005576 U KR 20130005576U KR 2020120002038 U KR2020120002038 U KR 2020120002038U KR 20120002038 U KR20120002038 U KR 20120002038U KR 20130005576 U KR20130005576 U KR 20130005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arc contact
fixed
movabl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39Y1 (ko
Inventor
연제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3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33/185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magnetisable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과 고정아크접점에 접촉되는 제1가동아크접점과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을 따라 제1가동아크접점보다 고정아크접점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접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차단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HYBRID-EXTINCTION TYPE GAS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차단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단기(또는 회로차단기)는, 전력 계통의 단락, 지락 등 이상(異常)시 고장 전류, 사고 전류, 또는 이상 전류(이하, "이상전류"라고 표기함)를 차단하여 전력 계통 및 부하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소호 또는 절연 매질에 따라 진공차단기(VCB:VACUUM CIRCUIT BREAKER), 오일차단기(OCB:OIL CIRCUIT BREAKER), 가스차단기(GCB:GAS CIRCUIT BREAKER)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차단기가 이상 전류를 차단한다고 하는 것은 두 접점(예를 들면,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EXTINCTION)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또한, 아크의 소호방식에 따라, 파퍼 소호방식(PUFFER TYPE), 로터리 아크 소호방식, 열팽창 소호방식, 복합소호방식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중 초고압(예를 들면 72.5㎸ 이상)용으로는 육불화황(SF6) 가스를 소호 및 절연 매질로 하는 파퍼 소호 방식 또는 복합소호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는, 고정접촉자(10)와, 상기 고정접촉자(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되어 주전원을 개폐하는 가동접촉자(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0)는, 고정접점(11)과, 상기 고정접점(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3)은, 예를 들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20)는, 상기 고정접점(11)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점(2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3)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아크접점(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아크접점(23)은 내부에 상기 고정아크접점(13)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20)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촉자(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21)의 내부에는 팽창실(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실(22)은 상기 가동접점(21)과 상기 가동아크접점(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21)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11) 측을 향해 연장된 제1노즐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부재(25)의 내부에는 가스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아크접점(23)의 외곽에는 제2노즐부재(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부재(27)는 상기 제1노즐부재(25)의 내면과 사이에 가스유로(2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고전류 또는 이상전류의 차단시 상기 가동아크접점(23)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3)이 상호 분리되면 상기 가동아크접점(23)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3) 사이에 아크(15)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온도가 급속으로 상승하면서 가스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아크(15)는 상기 가동아크접점(23)의 이동에 따라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부재(25)의 상대 이동에 의해 가스유로(26)가 개방되면 상기 팽창실(22)의 가스가 상기 가스유로(26)를 통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3)으로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3) 및 아크(15)가 냉각되어 아크(15)가 소멸 또는 소호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에 있어서는, 사고 전류 차단시 가동아크접점(23)의 용손이 발생되며, 특히 많은 사고 전류 차단시 많은 아크접점의 손상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아크접점(23)의 손상 발생시 차단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차단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 및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아크접점에 접촉되는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을 구비한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아크접점은 막대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 및 제2가동아크접점은 내부에 상기 고정아크접점이 삽입될 수 있게 고정아크접점수용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상기 고정아크접점과 접촉되고,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은 상기 고정아크접점의 외경으로부터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아크접점 사이에는 팽창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팽창실의 가스를 상기 고정아크접점으로 분사하는 제1노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노즐과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를 형성하는 제2노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은,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접점부재는 상기 제1노즐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를 형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맞물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동아크접점 및 제2가동아크접점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크 접점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차단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주 아크접점인 제1가동아크접점의 소모가 작아 장기간 유지 및/또는 보수없이 높은 차단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특히 초고압 송전선로에 적합한 가스개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제2아크접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는, 고정접점(111)과, 상기 고정접점(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113)을 구비한 고정접촉자(110); 및 상기 고정접점(111)과 접촉되는 가동접점(12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에 접촉되는 제1가동아크접점(13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141)을 구비한 가동접촉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10)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고정접점(111)과, 상기 고정접점(11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11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111)은, 예를 들면, 내부에 접촉면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은, 예를 들면, 외면에 접촉면이 구비된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은 원형단면 또는 원봉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는, 예를 들면, 외면에 접촉면이 구비된 가동접점(12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아크접점(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아크접점(130)은, 예를 들면, 상기 가동접점(12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1가동아크접점(13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14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상기 고정접촉자(110)와 접속되는 투입위치 및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상기 고정접촉자(110)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트립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5)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20)를 상기 투입위치 및 차단위치 간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21)은, 예를 들면 외경에 접촉면이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21)은 외경면이 상기 고정접점(111)의 내경면에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가동아크접점(131)은 상기 고정아크접점(113)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은 내부에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이 삽입되게 내부에 접촉면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은 대략 원통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일 측에는 지지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타 측에는 제2가동아크접점(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은 상기 가동접점(12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에 비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접촉자(120)의 차단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사이에서 아크(115)가 발생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20)의 이동에 따라 아크(115)는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으로 이동되어 소호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소모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소모량이 적으므로 차단 용량이 저하됨이 거의 없고 내용 수명이 현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은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은, 예를 들면 원형 고리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의 일 측에는 원통형의 지지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의 지지부(145)는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외곽(지지부(135)의 외곽)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은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단부에 상기 고정접점(111)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의 내경은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의 외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점(121)과 상기 가동아크접점(130) 사이에는 팽창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21)의 단부에는 내부에 가스유로(152)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접점(111)측으로 연장되게 제1노즐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내부에는 가스유로(152)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부(155)의 내경면은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의 외경에 거의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팽창실(122)측의 가스가 상기 목부(155)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더욱 증가되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신속하게 분사되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및 아크(115)를 신속하게 냉각 및 소호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노즐부재(150)와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152)를 형성하는 제2노즐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부재(160)는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부재(160)는 외면이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내면과 소정 폭(w)의 가스유로(1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고 전류 또는 이상 전류의 차단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차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21)은 상기 고정접점(111)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115)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차단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으로부터 이격되면 아크(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4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의 소모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명이 연장되고 차단 성능이 높은 상태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3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사이에 아크(115)가 발생되면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고 가스가 팽창하여 내부 압력이 급격히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상기 차단위치로 더욱 이동되면 아크(115)는 신장되고, 상기 팽창실(122)의 가스는 상기 가스유로(152)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목부(155)를 통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으로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및 아크(115)가 급속으로 냉각되고 아크(115)는 소호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 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는, 고정접점(111)과, 상기 고정접점(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113)을 구비한 고정접촉자(110); 및 상기 고정접점(111)과 접촉되는 가동접점(12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에 접촉되는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181)을 구비한 가동접촉자(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촉자(110)는, 원통형의 고정접점(111)과, 상기 고정접점(11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11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가동접점(12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가동접점(121)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측으로 돌출된 제2가동아크접점(18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은, 상기 제1노즐부재(150)와 상호 협조적으로 소정 폭(w)의 가스유로(152)를 형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종래의 제2노즐부재(27) 또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2노즐부재(16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은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의 외곽에 배치되어 그 외면이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내면과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팽창실(122)의 가스가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목부(155)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스유로(15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은, 예를 들면, 접점부재(183)와, 상기 접점부재(183)를 지지하는 지지부(18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재(183) 및 상기 지지부(185)는 상기 제1노즐부재(150)와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152)를 형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은, 접점부재(173)와, 상기 접점부재(173)를 지지하는 지지부(17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은 예를 들면,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맞물림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부(190)는,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92)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192)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19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192)는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의 지지부(185)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수용부(194)는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의 지지부(175)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돌기(미도시)가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의 지지부(175)에 형성되고 돌기수용부(미도시)가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의 지지부(18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고 전류 또는 이상 전류의 차단시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상기 고정접촉자(110)로부터 분리되어 차단위치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의 이동 시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115)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20)가 차단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으로부터 이격되면 아크(1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의 소모량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차단 성능이 높은 상태를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171)과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사이에 아크(115)가 발생되면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고 가스가 팽창하여 내부 압력이 급격히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팽창실(122)의 가스는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181), 즉 지지부(185) 및 접점부재(18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노즐부재(150)의 목부(155)를 통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으로 신속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아크접점(113) 및 아크(115)가 급속으로 냉각되고 아크(115)는 소호될 수 있다.
110 : 고정접촉자 111 : 고정접점
113 : 고정아크접점 115 : 아크
120 : 가동접촉자 121 : 가동접점
122 : 팽창실 125 : 지지대
130 : 가동아크접점 131 : 제1가동아크접점
135,145 : 지지부 141 : 제2가동아크접점
150 : 제1노즐부재 160 : 제2노즐부재

Claims (10)

  1.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아크접점을 구비한 고정접촉자; 및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아크접점에 접촉되는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보다 상기 고정아크접점측으로 돌출되는 제2가동아크접점을 구비한 가동접촉자;
    를 포함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아크접점은 막대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 및 제2가동아크접점은 내부에 상기 고정아크접점이 삽입될 수 있게 고정아크접점수용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상기 고정아크접점과 접촉되고,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은 상기 고정아크접점의 외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아크접점 사이에는 팽창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팽창실의 가스를 상기 고정아크접점으로 분사하는 제1노즐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노즐과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를 형성하는 제2노즐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은,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접점부재는 상기 제1노즐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가스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접점부재와, 상기 접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은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제1가동아크접점과 상기 제2가동아크접점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돌기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KR2020120002038U 2012-03-14 2012-03-14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KR200482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38U KR200482939Y1 (ko) 2012-03-14 2012-03-14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38U KR200482939Y1 (ko) 2012-03-14 2012-03-14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76U true KR20130005576U (ko) 2013-09-25
KR200482939Y1 KR200482939Y1 (ko) 2017-03-17

Family

ID=5243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38U KR200482939Y1 (ko) 2012-03-14 2012-03-14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762A (zh) * 2017-04-25 2017-07-14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断路负荷开关的灭弧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5501A (ja) * 1998-02-25 2002-02-19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絶縁ノズル付き高圧電力遮断器
KR101048005B1 (ko) * 2010-04-29 2011-07-13 한국전기연구원 압축실 분출가스 제어형 복합 소호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5501A (ja) * 1998-02-25 2002-02-19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絶縁ノズル付き高圧電力遮断器
KR101048005B1 (ko) * 2010-04-29 2011-07-13 한국전기연구원 압축실 분출가스 제어형 복합 소호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762A (zh) * 2017-04-25 2017-07-14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断路负荷开关的灭弧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39Y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6568B2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101045158B1 (ko) 초고압 가스 절연 차단기
KR100675984B1 (ko) 가스절연 차단기
US20150014279A1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Particles Generated By An Electric Switching Arc
KR101860348B1 (ko)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KR20120121757A (ko) 가스 절연 차단기용 소호부
KR200478314Y1 (ko) 회로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KR200428448Y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919125B1 (ko) 고압 배전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291789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30089541A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EP2667395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20130005576U (ko) 복합소호식 가스개폐기
KR101605142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93375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0911968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KR101188449B1 (ko) 순시진공차단기
KR200437071Y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40058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595110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차단기
KR20120034981A (ko) 가스배출안내부를 적용한 가스절연차단기
KR100606421B1 (ko) 가스절연 차단기의 극간 전계완화장치
KR102466213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180103247A (ko) 친환경가스 부하개폐기
KR101879338B1 (ko) 기중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