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4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43A
KR20130005543A KR1020110067005A KR20110067005A KR20130005543A KR 20130005543 A KR20130005543 A KR 20130005543A KR 1020110067005 A KR1020110067005 A KR 1020110067005A KR 20110067005 A KR20110067005 A KR 20110067005A KR 20130005543 A KR20130005543 A KR 2013000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alue
terminal
channel information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필용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543A/ko
Priority to US13/541,060 priority patent/US8724578B2/en
Priority to PCT/KR2012/005376 priority patent/WO2013006012A2/en
Publication of KR2013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송률을 고려한 분산형 스케줄링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의 동작은, PF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distributed scheduling)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식은 중앙 집중형(Centralized) 스케줄링 및 분산형 스케줄링이 있다. 상기 중앙 집중형 스케줄링은 기지국과 같은 등의 하나의 제어 노드가 다른 노드들에 대한 무선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방식이며, 상기 분산형 스케줄링은 각각의 노드가 임의로 무선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분산형 스케줄링은 일반적으로 경쟁(contention) 기반의 방법을 채용하며, 이 경우, 기본적으로 분산된 다수의 노드들이 적절한 경쟁을 통하여 무선 자원을 점유한다. 널리 알려진 분산 스케줄링 방식의 예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이 있다.
스케줄링에 있어서, 공정성(fairness) 및 최대 시스템 전송률(Maximum System Throughput)이 주요한 기준이 된다. 상기 공정성은 각 노드가 얼마가 균등하게 자원을 점유하는가의 문제를, 상기 최대 시스템 전송률은 전체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의 문제를 반영한다.
상기 공정성 및 상기 최대 시스템 전송률을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최대 시스템 전송률에 치중하면, 노드들 간 공정성이 보장되지 아니하므로 인한 특정 단말의 자원 빈곤(Starv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공정성에 치중하면, 각 노드는 공평하게 자원을 점유하지만 전체 시스템 전송률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정성 및 상기 최대 시스템 전송률을 모두 고려하여, 효과적인 분산형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송률을 고려한 분산형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F 값(Proportional Fairness value)에 따라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F 값에 따라 결정되는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PF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은, 피어 단말로부터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는, PF 값을 결정하고,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고,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수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는, 피어 단말로부터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뎀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송률을 고려한 분산형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가 없는 무선 통신 망에서도 효과적인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오프셋(backoff offset)에 기반한 경쟁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위치에 기반한 경쟁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들의 분포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정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송률을 고려한 분산형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스케줄링은 경쟁 방식에 기반한다. 따라서, 노드들은 정의된 절차에 따라 경쟁을 수행하고, 경쟁에서 승리한 노드가 채널을 점유한다. 이때, 각 노드는 채널 점유의 공정성을 반영하는 PF 값(Proportional Fairness value)을 계산하고, 상기 PF 값을 경쟁 절차에 반영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PF 값이 클수록 경쟁에서 유리해지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PF 값은 큐(Que) 상태, 채널 품질, 이전 송신한 데이터량,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 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상기 PF 값이 클수록 채널 점유의 필요성이 큰 것으로서, 큰 PF 값을 가지는 큰 노드가 채널을 먼저 점유하여야 공정성이 보장된다.
구체적은 경쟁 절차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판단하는 방식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백오프 오프셋(backoff offset)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 상기 백오프 오프셋을 이용한 경우의 경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오프셋에 기반한 경쟁 결과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노드들(110, 120, 130, 140)은 각자의 백오프 오프셋을 설정하고, 상기 백오프 오프셋만큼의 시간 경과 후 채널 점유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가장 먼저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노드A(110)가 경쟁에서 승리한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경우, 상기 백오프 오프셋이 작을수록 경쟁에서 유리하다.
다른 예로, 채널 점유를 요구하는 메시지의 전송 위치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상기 전송 위치를 이용한 경우의 경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위치에 기반한 경쟁 결과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노드들(210, 220, 230, 240)은 하나의 단위 자원 영역 내에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할 자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미리 정의된 기준 위치(200)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노드A(210)가 경쟁에서 승리한다. 따라서, 상기 도 2와 같은 경우, 상기 결정된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200)에 근접할수록 경쟁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PF 값이 클수록 상기 백오프 오프셋이 작아지도록, 또는, 상기 PF 값이 클수록 상기 메시지를 송신할 자원의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가 가까워지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에 도시된 경쟁 방식은 일 예로서, 다른 경쟁 방식을 채용한 스케줄링 방식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백오프 오프셋 및 상기 메시지를 송신할 자원의 위치와 같이 경쟁의 승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변수, 다시 말해,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경쟁 지표(contention metric)'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형 스케줄링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송을 원하는 노드는 피어(peer) 노드로부터 채널 정보를 얻는다. 여기서, 상기 채널 정보는 비교적 긴 주기(long term) 동안의 측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의 획득은 데이터의 송신 전에 선행되어야하며, 링크 상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상태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태

내용
후보 상태(candidate status)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전
준비 상태(ready status)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한 후
링크는 후보 상태로 초기화되어 있으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링크는 준비 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품질, 채널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값이다. 따라서, 상기 준비 상태로 천이 후, 일정 시간 동안 채널 정보의 재획득에 의한 채널 정보의 갱신이 없다면, 상기 링크는 링크 만료(expiration)에 의해 다시 후보 상태로 되돌아간다.
둘째, 전송을 원하는 노드는 자신의 링크(link)와 현재 전송중인 링크의 PF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다음 슬롯(slot)에서의 경쟁 시 자신의 링크 클래스(link class)를 결정한다. 상기 링크 클래스는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 및 자신의 링크의 PF 값과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각 링크 클래스는 상기 경쟁 지표를 조절하기 위한 가중치 값에 대응된다. 상기 가중치 값은 적어도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2>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링크 클래스

PF 값 차이

가중치
A 큼 (th_a 이상) 0
B 중간 (th_a 미만 th_b 이상) K
C 작음 (th_b 미만 th_c 이상) 2K
D 매우 작음 (th_c 미만) 3K
셋째, 다음 슬롯에서의 경쟁 시, 상기 노드는 자신의 링크 클래스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경쟁을 위한 경쟁 지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쟁 지표가 백오프 오프셋인 경우, 상기 노드는 자신의 링크 클래스에 대응되는 값만큼 백오프 오프셋에 더한다. 다른 예로, 상기 경쟁 지표가 자원의 위치인 경우, 상기 노드는 자신의 링크 대응되는 값만큼 자원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넷째, 각 노드는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메시지 및 상기 채널 점유의 요청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경쟁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채널 점유의 요청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라 칭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요청 메시지는 RTS(Request To Send), 상기 응답 메시지는 CTS(Clear To Send)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채널 점유에 대한 경쟁시 사용되며, 주변 노드들로 자신의 PF 값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피어 노드로 채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주변 노드들로 피어 노드의 PF 값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분산형 스케줄링 기법에 따른 데이터 송신 과정을 구체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들의 분포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7개의 노드들이 존재하며, 노드c는 노드d로, 노드a는 노드b로, 노드e는 노드b로, 노드f는 노드g로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희망한다. 이에 따라, 송신자가 되는 상기 노드c, 상기 노드a, 상기 노드e, 상기 노드f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쟁에 참여한다. 이때,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3>과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후보 - - - A
c-d 후보 - - - A
e-b 후보 - - - A
f-g 후보 - - - A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링크들은 후보 상태로 초기화되어 있으며, 이전 채널을 점유한 링크가 없으므로 PF 차이값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링크 클래스는 후보 상태의 초기값인 A로 설정되어 있다. 채널 정보 유효기간은 채널 정보 획득 후 갱신 없이 링크의 준비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나의 슬롯 경과 시마다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 노드a가 경쟁에서 승리, 다시 말해, 채널 점유에 성공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노드a가 경쟁에서 승리함에 따라, 상기 노드a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노드b로 전달된다.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b는 링크 a-b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4>과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준비 10 - - C
c-d 후보 - - - AA
e-b 후보 - - - A
f-g 후보 - - - A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a-b는 채널 정보 획득에 따라 준비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a-b의 링크 클래스는 상기 준비 상태의 초기값인 C로 변경된다.
상기 링크 a-b의 링크 클래스가 C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노드a는 경쟁에서 불리한 지위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드c, 상기 노드e, 상기 노드f가 경쟁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링크가 후보 상태인 노드는 링크가 준비 상태인 노드보다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매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링크들이 준비 상태로 천이하며, 결과적으로, 모든 링크들이 준비 상태로 천이하는 상황이 유도된다. 더불어, 각 링크의 PF 값은 매 슬롯마다 결정된다. 이때, 버퍼에 누적된 데이터(data) 크기 및 지연(latency), 데이터 QoS(data Quality of Service)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링크의 클래스는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예의 경우, 자신의 PF 값을 알고 있으나 현재 전송중인 링크에서의 PF 값이 없기 때문에 링크 클래스는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이때,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5>와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준비 7 - - C
c-d 준비 8 - - CCCC
e-b 준비 9 - - C
f-g 준비 10 - - C
이후, 상기 노드a, 상기 노드c, 상기 노드e, 상기 노드f는 자신의 링크의 PF 값을 결정한 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쟁에 참여한다. 각 링크는 준비 상태이므로, 상기 요청 메시지는 PF 값을 포함한다. 이때,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6>과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준비 7 22 - C
c-d 준비 8 25 - CCCC
e-b 준비 9 19 - C
f-g 준비 10 8 - C
상기 <표 6>에 나타난 PF 값들은 설명을 위해 가정한 결과이다. 상기 PF 값은 큐 상태, 채널 품질, 이전 송신한 데이터량, 트래픽의 QoS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노드a가 경쟁에서 승리하였다고 가정한다. 상기 노드a가 경쟁에서 승리함에 따라, 상기 노드a의 요청 메시지는 상기 노드b로 전달된다.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b는 링크 a-b의 PF 값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노드a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채널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각 링크의 PF 값이 재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경쟁에서 승리한 링크 a-b의 경우, PF 값이 감소하고, 경쟁에서 패배한 나머지 링크들의 경우, PF 값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노드a에 의해 송신된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노드b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노드c, 상기 노드d, 상기 노드e, 상기 노드f, 상기 노드g도 상기 링크 a-b의 PF 값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링크의 PF 차이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7>과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준비 10 12 -10 (=12-22) D
c-d 준비 7 35 13 (=35-22) BC
e-b 준비 8 29 7 (=29-22) C
f-g 준비 9 18 -4 (=18-22) D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a-b가 채널을 점유할 때의 PF 값을 기준으로 PF 차이값이 결정되었다. 상기 PF 차이값이 결정됨에 따라, 링크들의 링크 클래스가 결정되었다. 또한, 상기 노드a-b의 채널 정보가 갱신됨에 따라, 링크 a-b의 채널 정보 유효기간이 초기화되었다.
상술한 과정과 유사하게, 상기 노드a, 상기 노드c, 상기 노드e, 상기 노드f는 경쟁을 반복한다. 경쟁에서 승리한 노드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채널 정보를 갱신한다. 만일, 하나의 노드가 지속적으로 경쟁에서 패배하는 경우, 채널 정보가 만료되어 링크가 후보 상태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노드d가 지속적으로 경쟁에서 패배한 경우, 각 링크의 상태, 채널 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는 하기 <표 8>과 같다.
링크 링크상태 채널정보
유효기간
PF 값 PF 차이값 링크 클래스
a-b 준비 8 14 -10 D
c-d 준비 3 32 31 AC
e-b 후보 - 35 30 A
f-g 준비 6 23 18 B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노드의 동작 및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노드는 종단 장비이므로, 이하 본 발명은 상기 노드를 '단말'로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401단계에서 피어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피어 단말은 발생된 데이터의 목적지에 따라 결정된다. 발생한 데이터는 큐에 저장되고, 상기 큐의 사용률은 PF 값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피어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PF 값 및 링크 클래스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후보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후보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 및 상기 링크의 PF 값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링크 클래스를 결정한다. 이때,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준비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후보 상태의 링크의 조속한 준비 상태로의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후보 상태에 대응되는 링크 클래스의 초기값은 최상위 클래스로, 상기 준비 상태에 대응되는 초기값은 상기 최상위 클래스보다 낮은 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PF 값은 큐 상태, 채널 품질, 이전 송신한 데이터량, 트래픽의 QoS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어, 상기 단말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링크 클래스를 반영하여 경쟁 지표를 결정한다. 즉, 상기 단말은 경쟁 지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링크 클래스에 대응되는 가중치에 따라 상기 경쟁 지표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과 같이 백오프 오프셋을 이용한 경쟁 방식이 채용된 경우, 상기 경쟁 지표는 상기 백오프 오프셋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위치를 이용한 경쟁 방식이 채용된 경우, 상기 경쟁 지표는 자원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쟁 지표는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에 놓이도록 조절된다.
상기 경쟁 지표를 결정한 후, 상기 단말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경쟁 지표에 따라 경쟁에 참여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경쟁 지표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송신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PF 값을 포함시킨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점유에 성공하였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경쟁에서 승리하였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과 같이 백오프 오프셋을 이용한 경쟁 방식이 채용된 경우, 상기 단말은 다른 단말보다 먼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경쟁에서 승리함을 판단한다. 다른 예로,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위치를 이용한 경쟁 방식이 채용된 경우, 상기 단말은 다른 단말보다 기준 위치에 근접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경쟁에서 승리함을 판단한다.
만일, 상기 채널 점유에 실패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채널을 점유한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경쟁에서 패배함으로 인해,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을 점유한 다른 단말의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다른 단말의 피어 단말의 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다른 단말의 요청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403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슬롯에서 경쟁에 참여한다.
반면, 상기 채널 점유에 성공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품질, 채널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PF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은 415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을 초기화한다. 상기 유효 기간은 상기 채널 정보가 갱신 없이 유효하게 유지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매 슬롯 경과 시 일정 크기씩 감소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채널 정보의 갱신 없이 상기 유효 기간이 경과 시,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어, 상기 단말은 4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링크가 후보 상태인지 또는 준비 상태인지 판단한다. 앞서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유효 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링크는 준비 상태이다. 반면, 앞서 채널 정보를 수신한 바가 없거나, 채널 정보를 수신하였더라도 유효 기간 경과 동안 채널 정보의 갱신이 없었던 경우, 상기 링크는 후보 상태이다.
만일, 상기 링크가 상기 후보 상태이면, 상기 단말은 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링크를 준비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403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슬롯에서 경쟁에 참여한다. 반면, 상기 링크가 준비 상태이면, 상기 단말은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어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 및 부호화율(coding rate)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501단계에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PF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가 자신인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가 다른 단말이면, 상기 단말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피어 단말이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요청 메시지의 목적지가 자신이면, 상기 단말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에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PF 값은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때 포함된다. 즉, 상기 PF 값이 포함됨은 링크가 준비 상태임을, 상기 PF 값이 포함되지 아니함은 링크가 후보 상태임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품질, 채널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를 준비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필요한 채널 정보를 송신한다.
반면, 상기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 및 상기 PF 값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의 채널 상태를 갱신하도록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채널 정보를 포함시킨다. 또한, 상기 단말은 현재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을 주변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PF 값을 포함시킨다.
이후, 상기 단말은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610), 모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6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610)는 상기 모뎀(62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610)는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뎀(6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OFDM(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모뎀(6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모뎀(620)은 상기 RF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시스템 정보, 사용자 데이터, 설정 정보, QoS 분류 정보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630)는 링크 클래스 및 링크 클래스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정의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제어부(6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40)는 송신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모뎀(620)으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62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패킷을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640)는 분산형 스케줄링 기법에 따라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40) 내의 PF결정부(642)는 PF 값을 결정한다. 상기 PF 값은 큐 상태, 채널 품질, 이전 송신한 데이터량, 트래픽의 QoS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40) 내의 링크클래스결정부(644)는 상기 단말의 링크의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링크 클래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가 후보 상태인 경우, 상기 링크클래스결정부(644)는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후보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한다. 반면, 상기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링크클래스결정부(644)는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 및 상기 링크의 현재 PF 값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링크 클래스를 결정한다. 이때,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링크클래스결정부(644)는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준비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후보 상태의 링크의 조속한 준비 상태로의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후보 상태에 대응되는 링크 클래스의 초기값은 최상위 클래스로, 상기 준비 상태에 대응되는 초기값은 상기 최상위 클래스보다 낮은 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스케줄링 기법에 따라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64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피어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PF 값 및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고, 상기 링크 클래스를 반영하여 경쟁 지표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경쟁 지표는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에 놓이도록 조절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경쟁 지표에 따라 경쟁에 참여한다. 이때,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경쟁을 위한 요청 메시지에 상기 PF 값이 포함된다. 만일, 상기 채널 점유에 실패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채널을 점유한 다른 단말의 요청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다음 슬롯에서 경쟁에 참여한다. 반면, 상기 채널 점유에 성공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채널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채널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을 초기화한다. 상기 채널 정보의 갱신 없이 상기 유효 기간이 경과 시,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때, 상기 단말의 링크가 현재 후보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링크를 준비 상태로 천이시킨 후, 다음 슬롯에서 경쟁에 참여한다. 반면, 상기 링크가 현재 준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피어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먼저,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을 목적지로 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PF 값은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때 포함된다. 만일, 상기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반면, 상기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 및 상기 PF 값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PF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변수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에 놓이도록 상기 변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는, 백오프 오프셋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위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작은 크기의 가중치를 상기 백오프 오프셋에 가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기준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전송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PF 값 및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간 차이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차이 값에 대응되는 링크 클래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후보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후보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 상태는,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아니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에서 승리한 경우, 상기 피어 노드로부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의 상태는,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아니한 후보 상태 및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한 준비 상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거나, 채널 정보를 보유하더라도 유효 기간 경과 동안 채널 정보의 갱신이 없었던 경우,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PF 값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에서 패배한 경우, 다른 단말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통해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피어 단말로부터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PF 값을 결정하고,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고, 상기 링크 클래스에 따라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수에 따라 경쟁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경쟁에서 유리한 지위에 놓이도록 상기 변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변수는, 백오프 오프셋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전송 위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작은 크기의 가중치를 상기 백오프 오프셋에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클래스가 상위일수록 기준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전송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F 값을 이용하여 링크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PF 값 및 이전에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간 차이 값을 결정하고, 상기 차이 값에 대응되는 링크 클래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후보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링크 클래스를 상기 후보 상태의 초기값으로 결정하며,
    상기 후보 상태는,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아니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경쟁에서 승리한 경우, 상기 피어 노드로부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의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링크의 상태는,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아니한 후보 상태 및 상기 피어 노드와의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획득한 준비 상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거나, 채널 정보를 보유하더라도 유효 기간 경과 동안 채널 정보의 갱신이 없었던 경우, 상기 링크를 후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어 단말과의 링크가 준비 상태인 경우, 상기 PF 값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쟁에서 패배한 경우, 다른 단말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통해 채널을 점유한 링크의 PF 값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피어 단말로부터 채널 점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뎀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상기 피어 단말의 PF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피어 단말과의 상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PF 값 및 상기 피어 단말과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피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67005A 2011-07-06 2011-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05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05A KR20130005543A (ko) 2011-07-06 2011-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541,060 US8724578B2 (en) 2011-07-06 2012-07-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05376 WO2013006012A2 (en) 2011-07-06 2012-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05A KR20130005543A (ko) 2011-07-06 2011-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43A true KR20130005543A (ko) 2013-01-16

Family

ID=4743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05A KR20130005543A (ko) 2011-07-06 2011-07-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24578B2 (ko)
KR (1) KR20130005543A (ko)
WO (1) WO20130060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1512B2 (en) * 2013-11-25 2016-12-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mmunications using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05446028B (zh) * 2016-01-08 2019-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5993A1 (en) * 2002-11-05 2004-05-06 Wentink Maarten Menzo Shared-medium contention algorithm exhibiting fairness
US7606250B2 (en) * 2005-04-05 2009-10-20 Cisco Technology, Inc. Assigning resources to items such as processing contexts for processing packets
KR100679320B1 (ko) 2005-08-16 2007-02-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 백오프 방법
KR100810283B1 (ko) * 2005-09-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7792138B2 (en) 2006-09-13 2010-09-07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ndation Distributed opportunistic scheduling in IEEE 802.11 wireless location area networks (WLANs)
TW200832967A (en) * 2006-10-31 2008-08-01 Qualcomm Inc Reliable uplink resource request
US8462695B2 (en) 2009-05-18 2013-06-1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radio coordination of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6012A3 (en) 2013-03-14
WO2013006012A2 (en) 2013-01-10
US8724578B2 (en) 2014-05-13
US20130010717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640B1 (ko) 다중 뉴머롤로지 연산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KR100801183B1 (ko) Ieee 802.11 무선랜에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이득을 위한 분산적/기회적 스케줄링 방법
TWI355834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switc
US74006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states of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65435B1 (ko) 회선 쟁탈 기반의 네트워크들에서 매체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82201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지원 장치 및 방법
JP2019536334A (ja) 802.11ax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ユーザーEDCA送信モードのQoS管理
KR101674421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대역폭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382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CN102017768A (zh) 用于多载波通信系统中的频率再用的方法和设备
US20120287879A1 (en) Determining &#34;fair share&#34; of radio resources in radio access system with contention-based spectrum sharing
KR20100022052A (ko) 회선 쟁탈 기반의 네트워크들에서 매체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000304A1 (zh) 上行发送功率校准方法及其相关设备和系统
US86343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negotiation in a direct communication link network
JP2008505516A (ja) 競合ベースプロトコルにおける公正なスペクトル配分の方法
US2013023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JP2008510438A (ja) 信号通知期間の信号を用い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6041420A1 (zh) 一种时隙选择的方法及装置
US20090257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hannel measuremen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92396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移動通信端末
KR201300055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형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01915B2 (en) V2X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ulti-channe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20210143171A (ko) 컨텐션 기반 멀티 레이어 전송
US845722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38629B1 (en) Mitigation of wireless inter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