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69A - 터치형 마우스 - Google Patents

터치형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869A
KR20130004869A KR1020110080678A KR20110080678A KR20130004869A KR 20130004869 A KR20130004869 A KR 20130004869A KR 1020110080678 A KR1020110080678 A KR 1020110080678A KR 20110080678 A KR20110080678 A KR 20110080678A KR 20130004869 A KR20130004869 A KR 20130004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input unit
screen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식
Original Assignee
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식 filed Critical 어식
Publication of KR2013000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마우스 본체와, 마우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메인입력부와, 메인입력부에서 전달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메인입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터치형 마우스{A TOUCH TYPE MOUSE}
본 발명은 터치형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형 입력방식을 가지는 터치형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컴퓨터의 주변장치의 하나로서, 키보드 입력수단을 대신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각종 기능을 입력 및 수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마우스는 크게 볼마우스 및 광마우스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광마우스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즉, 볼의 구름동작을 감지하여 화면상에서의 커서의 위치값을 설정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볼마우스에 비하여, 정확성이 뛰어나고,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광마우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볼마우스 및 광마우스는 공통적으로 화면상에서의 커서의 위치이동을 위해서 마우스 전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실제로 이동시켜줘야 한다. 또한, 종래의 볼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경우에는, 좌클릭버튼 및 우클릭버튼이 각각 버튼식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좌클릭버튼 및 우클릭버튼을 선택적으로 클릭함으로써 커서 위치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이 동작되도록 동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의 경우에는, 화면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마우스자체를 실제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오랜 시간 사용시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가고, 마우스에도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로 마우스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마우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비좁거나 협소한 공간에서는 마우스의 사용이 불편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광마우스의 경우에는, 광마우스의 저면부에 설치된 수발광센서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을 감지하므로,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 위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므로,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마우스패드 등을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볼마우스의 경우에도 볼의 구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패드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마우스 자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화면상에서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고, 커서 위치에서의 좌클릭 및 우클릭 기능을 입력신호를 터치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개선된 터치형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형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메인입력부와; 상기 메인입력부에서 전달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인입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기능 실행명령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좌측 및 우측 클릭 신호를 입력하는 좌측 및 우측 클릭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클릭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며, 터치 동작에 의해 화면을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를 가지는 제1입력부와; 화면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터치 입력방식으로 선택하는 제2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면상에서 동영상의 실행시, 상기 우측 클릭부의 터치입력시 실행되는 동영상의 일시정지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좌측 클릭부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로 드레그할 경우 화면상의 커서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제1입력부의 주변에 마련되며, 커서의 이동 방향으로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각각 선택하고, 커서의 이동 속도를 선택하는 좌, 우, 상, 하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 우 상, 하 입력부를 터치하는 면적에 비례하여 커서의 이동속도가 결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입력부는, 상기 제2입력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인터넷 화면창에서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터치 입력부를 가지는 제3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게임모드와 비 게임모드(일반모드)의 사용을 선택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는 보조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상기 게임모드를 선택시에, 상기 보조입력부의 누름 동작을 좌측 클릭신호로 인식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터치형 마우스에 따르면, 터치방식으로 화면상에서의 커서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이동위치, 좌클릭기능 및 우클릭 기능은 물론, 인터넷 사용 환경에서의 각종 기능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마우스본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커서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마우스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마우스패드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 및 보조입력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게임과 같이 복잡하고, 신속한 동작이 요구되는 사용모드에서는 손바닥 받침대 기능을 겸용하는 보조입력부를 사용하여 컴퓨터게임 등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는, 마우스 본체(100)와, 메인 입력부(200)와, 제어부(300)와, 모드선택부(400)와, 송신부(500)와, 전원공급부(600)와, 보조 입력부(700)를 구비한다.
상기 마우스본체(100)는 그 외측으로 상기 메인 입력부(200)와, 보조 입력부(7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마우스본체(100)는 그 내부에 상기 제어부(300), 송신부(500)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600) 등이 수용되어 설치되는 케이스 즉, 하우징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마우스본체(100)의 외형상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마우스본체(100)는 무선 또는 유선식으로 컴퓨터기기에 신호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입력부(200)는 화면상에서 커서의 위치는 물론, 인터넷 사용 기능 및 동영상 등의 사용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되다.
이러한 메인 입력부(200)는 마우스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입력부(200)로서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입력부들의 위치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그 터치 상태를 감지하고 터치된 위치정보(입력부)를 제어부(300)로 전달함으로써,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입력부(200)는 제1입력부(210)와, 제2입력부(220)와, 제3입력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입력기능들로서, 좌측 및 우측 클릭부(211,212)와,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213,2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의 중앙부분에 원형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클릭부(211,212)는 커버가 나타나는 화면이 일반모드일 경우(동영상 실행이 아닌 경우)에는 통상의 마우스의 좌클릭 및 우클릭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며, 화면에서 동영상이 나오는 경우에는 우측 클릭부(212)는 동영상의 일시정지(pause) 기능으로 전환되며, 터치방식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제어부(300)에서는 미리 설정된 환경에 따라서, 화면에서 동영상이 실행될 경우에는 우측 클릭부(212)의 입력신호를 동영상의 일시정지 기능으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클릭부(211,212)의 마우스 클릭신호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해당위치를 터치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것을 터치스크린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하여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클릭부(211)는 일반적인 마우스의 좌측 클릭 기능을 수행하며, 좌측 클릭부(211)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는 것이 아니라, 대략 5mm 이상 긁게 되면, 즉, 손가락으로 좌측 클릭부(211)를 '지-익' 하고 긁을 경우, 좌클릭고정상태(종래 마우스에서 좌클릭을 클릭하고 있는 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손가락으로 좌측 클릭부(211)를 긁게 되면 좌클릭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좌측 클릭부(211)를 긁어서 좌클릭고정상태가 되도록 하면, 예를 들어 화면상에서 드래그 기능, 그림을 옮기거나, 소형창의 크기를 조절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좌측 클릭부(211)와 우측 클릭부(212)의 터치상태를 인식한 정보를 제어부(300)에서 전달받아,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대로 실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송신부(50)를 통해 전달하거나, 직접 화면상에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213,214) 각각은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화면을 상부 또는 하부 각각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곳이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213,214) 각각의 터치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213,214)를 각각 2회 터치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화면이 최상단 또는 최하단 각각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2입력부(220)는 제1입력부(2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구비되며, 화면상에서의 커버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 우, 상, 하 터치부(221,222,223,224)를 구비한다. 상기 좌, 우, 상, 하 터치부(221,222,223,224)는 손가락 터치상태를 감지하고, 손가락 터치위치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터치위치(터치방향정보) 정보를 근거로 하여 커서의 이동방향에 대한 입력신호를 송신부(60)를 통해 컴퓨터기기로 전달함으로써 화면상에서 터치된 터치부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는 각각의 터치부(221,222,223,224)에서의 터치면적을 감지하여 그 터치면적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300)에서는 터치면적 정보를 근거로 하여 터치부에서의 터치면적에 비례하여 화면상에서의 커서 이동속도값을 산출하여 컴퓨터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화면에서는 터치부(221,222,223,224)에서의 터치면적에 비례하여 커서의 이동속도가 결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는 커서를 화면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마우스 본체(100)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상기 각각의 터치부(221,222,223,224)를 선택적으로 터치하고, 터치면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커서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입력부(230)는 터치스크린에서 제2입력부(220)의 외곽 쪽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각종 기능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3입력부(230)는 화면 축소부(231a) 및 화면 확대부(231b), 인터넷 화면창에서의 커서위치를 선택하는 제1 및 제2위치선택부(232a,232b)와, 페이지 전환선택부(233a,233b)와, 화면 좌우 스크롤부(234a,234b), 인쇄 미리보기 선택부(235), 창 숨기기 선택부(236), 창닫기 선택부(237), 인쇄 선택부(238)를 구비한다.
상기 화면 축소부(231a)는 정상적인 사용모드(동영상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 화면의 축소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화면 확대부(231b)는 터치시 화면 확대 기능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이들 화면 축소부(231a)와 화면 확대부(231b) 사이에는 화면 사이즈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기준바(231c)가 표시되어 터치스크린 상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표시되도록 구비되다.
또한, 화면축소부(231a) 및 화면 확대부(231b)는 동영상 실행상태인 경우에는, 터치시 볼륨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동영상 실행상태에서는 화면축소부(231a) 및 화면 확대부(231b) 각각에서의 터치신호를 근거로 하여 볼륨 크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1위치선택부(232a)는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선택시, 커서위치가 화면의 인터넷 주소입력칸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2위치선택부(232b)는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선택시, 커서위치가 화면의 인터넷 검색어 입력칸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위치선택부(232a,232b)는 화면(디스플레이패널)에 인터넷이 표시되어 실행중인 상태에서만 커서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위치선택부(232a,232b)의 터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위치선택부(232a,232b)를 선택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인터넷 사용시 커서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상기 페이지 전환선택부(233a,233b)는 이전화면 선택부(233a)와, 다음 화면 선택부(233b)를 구비한다. 이전화면 선택부(233a)는 인터넷 화면에서 이전화면(이전페이지)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다음화면 선택부(233b)는 인터넷 화면에서 다음화면(다음페이지)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페이지 전환선택부(233a,233b)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화면의 인터넷창을 이전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다음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화면 좌우 스크롤부(234a,234b)는 화면을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기능을 하며, 사용자의 손으로 터치하는 면적 즉, 접촉면적에 따라서 좌측 및 우측으로의 화면 이동속도가 비례하게 된다. 화면 좌우 스크롤부(234a,234b)의 터치입력 신호는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터치입력 신호를 근거로 하여 화면 상의 인터넷 화면, 문서 화면 등의 좌우 이동 및 이동속도가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인쇄 미리보기 선택부(235), 창 숨기기 선택부(236), 창닫기 선택부(237), 인쇄 선택부(238) 각각은 터치스크린에 아이콘형상 등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위치를 손으로 터치시 해당 터치위치의 입력신호가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입력신호에 따라서 각종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인쇄 미리보기 선택부(235)의 터치시, 미리보기 화면이 실행되며, 미리보기 화면이 실행된 상태에서 인쇄 미리보기 선택부(235)를 다시 한번 터치하면 미리보기 나가기가 실행된다.
창 숨기기 선택부(236)는 터치시 화면의 창이 숨겨지고, 창닫기 선택부(237)는 터치시 화면의 창이 닫히도록 한다.
인쇄 선택부(238)는 터치시 선택된 영역이 인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입력부(230)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아이콘들이 마련되며, 터치신호는 터치스크린의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부(500)를 통해 컴퓨터로 전달하여 화면(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입력부(700)는 마우스본체(100)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손바닥 받침대의 역할을 하다가, 상기 모드선택부(400)에 의해 제1모드(노멀모드)에서 제2모드(게임사용모드)로전환시에는 좌클릭버튼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입력부(700)는 종래의 클릭버튼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실제로 사용자가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마우스를 사용시 손바닥으로 보조입력부(700)를 누르면, 물리적으로 움직이면서 클릭동작에 의해 좌클릭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컴퓨터 게임 등을 할 때, 모드선택부(400)를 이용하여 제2모드로 선택한 상태에서는, 보조입력부(700)가 활성화되어 입력신호를 제어부(300)를 전달하도록 하여 빠른 손놀림에 의한 입력이 요구되는 게임모드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드 선택부(400)는 마우스본체(100)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모드선택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선택노브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모드는 일반적인 컴퓨터기능(인터넷, 문서작업 등)을 할 때 사용하는 노멀모드를 나타내고, 제2모드는 컴퓨터게임과 같이 복잡하고 신속한 입력동작이 요구되는 소위 게임사용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모드 선택부(400)에서의 선택정보는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즉, 제1모드일 경우, 제어부(300)는 메인입력부(200)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메인입력부(200)의 제1입력부(210)의 좌측 클릭부(211)와 우측 클릭부(212) 각각에서의 입력신호가 그대로 적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입력부(700)에서의 입력신호는 차단하여 적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2모드일 경우, 제어부(300)는 제1입력부(210)의 좌측 클릭부(211) 및 우측 클릭부(212)의 터치신호는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더불어서 보조입력부(700)의 입력신호는 정상적으로 좌클릭 신호로 수용하여 적용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입력신호)를 컴퓨터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무선마우스의 경우에는 마우스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마우스인 경우에는 컴퓨터기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500) 및 전원공급부(600)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마우스에 따르면, 터치방식으로 화면상에서의 커서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이동위치, 좌클릭기능 및 우클릭 기능은 물론, 인터넷 사용 환경에서의 각종 기능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마우스본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커서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마우스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협소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마우스패드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 및 보조입력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게임과 같이 복잡하고, 신속한 동작이 요구되는 사용모드에서는 손바닥 받침대 기능을 겸용하는 보조입력부를 사용하여 컴퓨터게임 등의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마우스 본체 200..메인입력부
300..제어부 400..모드선택부
500..송신부 600..전원공급부

Claims (7)

  1. 마우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메인입력부와;
    상기 메인입력부에서 전달되는 터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인입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기능 실행명령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좌측 및 우측 클릭 신호를 입력하는 좌측 및 우측 클릭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클릭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며, 터치 동작에 의해 화면을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상부 및 하부 스크롤부를 가지는 제1입력부와;
    화면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터치 입력방식으로 선택하는 제2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상에서 동영상의 실행시, 상기 우측 클릭부의 터치입력시 실행되는 동영상의 일시정지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좌측 클릭부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로 드레그할 경우 화면상의 커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제1입력부의 주변에 마련되며, 커서의 이동 방향으로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각각 선택하고, 커서의 이동 속도를 선택하는 좌, 우, 상, 하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 우 상, 하 입력부를 터치하는 면적에 비례하여 커서의 이동속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입력부는,
    상기 제2입력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인터넷 화면창에서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터치 입력부를 가지는 제3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7. 제3항에 있어서,
    게임모드와 비 게임모드(일반모드)의 사용을 선택하도록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마우스 본체에 구비되는 보조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상기 게임모드를 선택시에, 상기 보조입력부의 누름 동작을 좌측 클릭신호로 인식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마우스.
KR1020110080678A 2011-07-04 2011-08-12 터치형 마우스 KR201300048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30 2011-07-04
KR20110065930 2011-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69A true KR20130004869A (ko) 2013-01-14

Family

ID=4783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678A KR20130004869A (ko) 2011-07-04 2011-08-12 터치형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8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7729A (zh) * 2021-08-11 2021-11-23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7729A (zh) * 2021-08-11 2021-11-23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设备
CN113687729B (zh) * 2021-08-11 2023-11-2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4435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JP5066055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588734B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US9086741B2 (en) User input device
US200401048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2130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pad Input Controller
US20090262086A1 (en) Touch-pad cursor control method
US872382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US20150193023A1 (e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US20120306773A1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6194355B2 (ja) コンピュータと共に用いるデバイスの改良
US8610668B2 (en) Computer keyboard with input device
WO1998043202A1 (en) Button wheel pointing device for notebook pcs
JP201309776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入力制御プログラム
CN101377725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30004869A (ko) 터치형 마우스
US2015004902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ointing device acceleration
TWI439922B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JP2018023792A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8710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5769841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140B1 (ko) 부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 부화면 장치 및 복수화면 제어방법
US20100309125A1 (en) Button To Change Modes of a Pointing Device
JP6126639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