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89U -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 Google Patents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89U
KR20130004089U KR2020110011585U KR20110011585U KR20130004089U KR 20130004089 U KR20130004089 U KR 20130004089U KR 2020110011585 U KR2020110011585 U KR 2020110011585U KR 20110011585 U KR20110011585 U KR 20110011585U KR 20130004089 U KR20130004089 U KR 201300040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finishing
opening surface
albu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5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효정
Original Assignee
서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정 filed Critical 서효정
Priority to KR2020110011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089U/en
Publication of KR20130004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8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비자가 앨범을 직접 제작할 시에 한 번에 두 개의 속지를 일시에 제작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양측의 속지 모두에 동일방향으로 사진을 수용할 수 있어 책자 형태의 앨범 제작이 용이한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는 일측에는 제 1 개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마감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마감면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본면과, 상기 제 1 개방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개방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마감면과, 상기 제 1 마감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마감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design makes it easy to produce two inlays at a time when a consumer makes an album himself, and it is easy to produce photos in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lay. It relates to a photo pocket inlay.
Photo-pocket inlay for producing an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open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finishing surfa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can be stacked on each other A second closing surface that is foldable and connected to a main surface, and a second closing surface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to form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hotograph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irst finishing surface to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hoto can be accommodated. .

Description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Photo 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본 고안은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앨범을 직접 제작할 시에 한 번에 두 개의 속지를 일시에 제작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양측의 속지 모두에 동일방향으로 사진을 수용할 수 있어 책자 형태의 앨범 제작이 용이한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album is directly produced by a consumer, two inlays can be produced at a time at a time, and it is easy to accept photos in both directions. It relates to a photo-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that can be easily produced in the form of a booklet album.

사진의 파손과 분실을 방지해 오래 보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앨범은, 일반적으로 사진을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앨범 대지가 투명한 비닐커버로 덮여져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형적인 구성의 앨범은 앨범 대지의 양면에 도포 된 접착제가 그 앨범 대지에 부착된 사진 속으로 배어 들어가 시간이 지나면서 사진을 변색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Albums made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m for a long time to prevent damage and loss of the photos are generally composed of an album cover covered with a transparent vinyl cov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photos. However, such a typical album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dhesiv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album sheet is soaked into the photo attached to the album sheet and discolors the picture over time.

또한, 비교적 두꺼운 앨범 대지의 양면에 사진을 부착함으로써, 앨범의 부피는 커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앨범을 펼쳐보기가 쉽도록 앨범 대지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3㎝∼5㎝가량 떨어진 안쪽 지점에, 얕은 홈 형태의 미소(흠)를 형성해 두기는 하지만 여전히 이 미소 부분이 뻣뻣하여 양손을 쓰지 않고서는 쉽게 책장 넘김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by attaching photos on both sides of a relatively thick album paste, the volume of the album is not only large, but also a shallow groove at an inner point 3 cm to 5 cm away from one edge of the album paste to facilitate unfolding of the album. Although the shape of the micro (blemishes) is formed, but the micro portion is still stiff so that you can not easily turn the bookshelf without using both hands.

이에 근래에는 소비자 본인이 직접 원하는 사이즈의 앨범을 만들 수 있도록 표지와 속지가 구비된 앨범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앨범 제작에 익숙하지 못한 일반인의 경우 이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았고, 뿐만 아니라 속지 한장 한장을 낱장으로 준비하여 제작하기가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Recently, albums are provided with covers and inlays so that consumers can make albums of their desired size. However, it was not easy to use this for general people who were not used to making albums,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prepare and produce one piece of inlay one by on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자가 앨범을 직접 제작할 시에 한 번에 두 개의 속지를 일시에 제작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양측의 속지 모두에 동일방향으로 사진을 수용할 수 있어 책자 형태의 앨범 제작이 용이한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sumer can produce two inlays at a time when the album is produced directly, it is simple and can accommodate photos in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lay, making it easy to produce a book-type album It is to provide a photo pocket inlay for making an album.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는 제 1 개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마감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마감면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본면과, 상기 제 1 개방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개방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마감면과, 상기 제 1 마감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마감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open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surfa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open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folded to be folded so as to be folded with each other, A second finishing surface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to form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hotograph may be accommodated, and on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To provide a photo 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pen surface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closing surface side to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photo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s achieved.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은 상기 제 1 수용공간 및 제 2 수용공간에 수용된 사진의 전면부를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되 관통구 측에는 투명 셀로판지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are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photo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It is assumed that transparent cellophane paper is sel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마감면 및 제 2 마감면의 상부 모서리 측에는 상기 제 1 수용공간 및 제 2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사진 후면부의 상부 모서리 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dge side of 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finishing surface is formed with an opening groove so that the upper edge side of the photo rear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can be exposed. It shall be.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2 마감면과 상기 제 2 개방면은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1 마감면 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described abov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first finishing surface.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는 소비자가 앨범을 직접 제작할 시에 한 번에 두 개의 속지를 일시에 제작할 수 있어 간편하고 또한 양측의 속지 모두에 동일방향으로 사진을 수용할 수 있어 책자 형태의 앨범 제작이 용이 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의 손상 없는 보관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Photo-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duced at a time two inlays at a time when the consumer directly produces the album simple and in the same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lay It is easy to produce a book-type album because it can accommodate photos, and it can be used easily by any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전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제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사용상태도.
1 is an exploded view of an album production photo 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d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the album production photo 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album production photo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전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2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제작 순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제작용 포토포켓 속지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1 is an exploded view of the album production photo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to 2d is a manufacturing flow chart of the album production photo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album production photopocket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1)는 일측에는 제 1 개방면(1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마감면(120)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방면(110) 및 제 2 마감면(130)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본면(100)과, 상기 제 1 개방면(110)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개방면(110)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170)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수용공간(150)을 형성하는 제 2 마감면(130)과, 상기 제 1 마감면(120)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마감면(120)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170)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수용공간(160)을 형성하는 제 2 개방면(140)을 포함한다.
Photo-pocket inlay 1 for producing an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closing surface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are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is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is attached to the side to form a first receiving space 150 that can accommodate the photo 170 therein, and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140 attached to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to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160 in which the photo 170 may be accommodated.

여기서 기본면(100)은 앨범 속지 구성의 기본이 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양측 면이 상호 완벽하게 포개어지질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는데 그 일측에 제 1 개방면(110)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 1 마감면(1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본면(100)은 그 내부에 수용될 사진(170)의 규격에 맞도록 다양한 크기로 변경형성 가능하며, 이때 추후에 설명될 제 2 마감면(130) 및 제 2 개방면(140) 역시 기본면(100)의 크기에 맞도록 변경형성된다.Here, the base surface 100 serves as a basic element of the album inlay, and is formed to be folded so that both sides formed with the same size can be perfect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base surface 100 can be changed and formed in various sizes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photo 170 to be accommodated therein, in which case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lso modified to match the size of the base surface (100).

전술한 제 1 개방면(110)은 추후에 설명될 제 2 마감면(130)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제 1 수용공간(150) 내에 수용된 사진(170)의 전면부를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내측에 관통구(111)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111) 측에는 사진(170)을 보호하는 투명 셀로판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inside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photograph 170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50 formed by attaching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and the transparent cellophane paper protecting the photo 17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through hole 111 side.

이때 전술한 관통구(111)는 기본적으로 제 1 개방면(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1 개방면(110)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면 관통구(111)는 이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외에도 구름형상, 액자형상, 하트형상, 별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through hole 111 is basical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That is, when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through hole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f a somewhat smaller size. In addit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loud shape, a frame shape, a heart shape, and a star shape. Do.

그리고 전술한 기본면(100)은 하드보드지와 같은 다소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부면은 다양한 모양 및 색채로 장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base surface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rather thick paper material such as hardboard paper, and its outer surface may be decorated with various shapes and colors.

또한 전술한 제 1 마감면(120)의 상부 모서리 측에는 개방홈(121)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개방홈(121)은 제 2 수용공간(160) 내에 수용된 사진(170) 후면부의 상부 모서리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진(170)을 제 2 수용공간(160) 내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opening groove 12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t the upper edg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described above, the opening groove 121 is the upper edge of the rear portion of the photo 170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160 Is to expose the photo 170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160 easily.

한편, 전술한 제 1 개방면(110)의 일측에는 제 2 마감면(13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제 2 마감면(130)은 제 1 개방면(110)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170)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수용공간(15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기본면(100)과 마찬가지로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다양한 모양과 색채로 장식 처리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opening surface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to be foldable,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side to be photographed inside It serves to for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50 that can accommodate the 170 is formed of a thick paper material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base surface 100 is decorated with a variety of shapes and colors.

이와 같은 제 2 마감면(130)은 전술한 제 1 마감면(120)과 마찬가지로 그 상부 모서리 측에 제 1 수용공간(150) 내에 수용된 사진(17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개방홈(131)이 형성된다.Like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has an open groov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photo 170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50 can be easily taken out at the upper edge side thereof. 131 is formed.

또한 제 1 개방면(110)과 제 2 마감면(130)을 상호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 1 개방면(110)의 모서리 측 또는 제 2 마감면(130)의 모서리 측에 양면테이프(180)를 부착하거나, 풀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Also, in order to attach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to each other, the double-sided tape 180 may be attached to the edge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or the edge side of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Or an adhesive such as glue.

그리고 전술한 제 1 마감면(120)의 일측에는 제 2 개방면(140)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제 2 개방면(140)은 제 1 마감면(120)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170)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수용공간(16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기본면(100) 및 제 2 마감면(130)과 마찬가지로 두꺼운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다양한 모양과 색채로 장식 처리된다.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is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forementioned first finish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is attached to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to be photographed therein. It serves to form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60 that can accommodate the 170 is formed of a thick paper material and decorated with a variety of shapes and colors like the base surface 100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described above. Is processed.

이와 같은 제 2 개방면(140)은 전술한 제 1 개방면(110)과 마찬가지로 제 2 수용공간(160)에 수용된 사진(170)의 전면부를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내측에 관통구(141)가 형성되되 관통구(141) 측에는 투명 셀로판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Like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described above,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has a through hole 141 therein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photo 170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60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but the transparent cellophane cardboard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through hole 141 side.

또한 이때 전술한 관통구(141)는 기본적으로 제 2 개방면(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2 개방면(140)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면 관통구(141)는 이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외에도 구름형상, 액자형상, 하트형상, 별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hrough hole 141 is basical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That is, when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through hole 1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f a somewhat smaller size. In addit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loud shape, a frame shape, a heart shape, and a star shape. Do.

그리고 제 1 마감면(120)과 제 2 개방면(140)을 상호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 1 마감면(120)의 모서리 측 또는 제 2 개방면(140)의 모서리 측에 양면테이프(180)를 부착하거나, 풀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ttach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to each other, the double-sided tape 180 may be attached to the edg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or the edge side of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Or an adhesive such as glu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마감면(130)과 제 2 개방면(140)은 제 1 개방면(110) 및 제 1 마감면(120) 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and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respectively. do.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using the photo pocket inlay 1 for producing an alb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 2 마감면(130)의 가장자리 측과 제 2 개방면(140)의 가장자리 측에 양면테이프(180)를 붙인 후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제 2 마감면(130)은 제 1 개방면(110) 측으로, 제 2 개방면(140)은 제 1 마감면(120) 측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회동시켜 절첩한다. 이때 제 1 개방면(110)과 제 2 마감면(130) 사이에는 제 1 수용공간(150)이 형성되고 제 1 마감면(120)과 제 2 개방면(140) 사이에는 제 2 수용공간(160)이 형성된다.First, the double-sided tape 180 is attached to the edge side of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and the edge side of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and then the release paper is removed. Then,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is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is rotated and folded so as to be folded toward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side, respectively. In this cas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5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pening surface 110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130,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140. 160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1)는 제 1 수용공간(150)과 제 2 수용공간(160)이 서로 포개어지도록 회동해 절첩한 다음, 이와 같이 절첩 된 다수의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1)를 두께방향으로 적층해 표지(190)로 묶어 앨범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수용공간 내에 사진(170)을 수용하는데 이때 관통구(111,141)가 서로 마주보는 것이 아니라 마주보지 않는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어 책자 형태의 앨범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제 1 마감면(120)과 제 2 마감면(130)에 각각 개방홈(121,131)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된 사진(170)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관통구 측에 투명 셀로판지가 구비되어 있고 종래의 앨범과 달리 접착 성분에 의해 사진(170)이 고정하는 구조가 아니라 이에 따른 사진(17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hoto-pocket inlay 1 for the album production thus formed is pivoted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5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60 overlap each other, and then folded into the photo-pocket inlay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albums. (1) is lamin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bound with a cover plate 190 to form an album. Then, the photo 170 is accommodated in each accommodation space, where the through-holes 111 and 141 are not opposite to each other but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not facing each other, making it easy to produce a book-type album. In addition, opening grooves 121 and 131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nishing surfaces 120 and 130, respectively, so that the received photograph 170 can be easily taken out. The transparent cellophane is provided on the side, and unlike the conventional album, the photo 170 is not fixed to the structure by the adhesive componen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hoto 170.

본 고안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1 :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100 : 기본면
110 : 제 1 개방면
111,141 : 관통구
120 : 제 1 마감면
121,131 : 개방홈
130 : 제 2 마감면
140 : 제 2 개방면
150 : 제 1 수용공간
160 : 제 2 수용공간
170 : 사진
180 : 양면테이프
190 : 표지
1: Photo 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100: basic surface
110: first opening surface
111,141: through hole
120: the first finishing surface
121,131: Open groove
130: second finishing surface
140: second opening surface
150: first receiving space
160: second receiving space
170: Pictures
180: double sided tape
190: cover

Claims (4)

일측에는 제 1 개방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마감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마감면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본면;
상기 제 1 개방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개방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마감면; 및
상기 제 1 마감면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마감면 측에 부착되어 내부에 사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개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A first surfa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finishing surface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wherein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are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finishing surface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to form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hoto can be accommodated; And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fold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finishing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irst finishing surface to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hoto can be accommodated. Photo pocket inlay for prod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은 상기 제 1 수용공간 및 제 2 수용공간에 수용된 사진의 전면부를 외부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내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되 관통구 측에는 투명 셀로판지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are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pictur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outside, the transparent cellophane is optionally provided on the through hole side Photo pocket inlay for album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감면 및 제 2 마감면의 상부 모서리 측에는 상기 제 1 수용공간 및 제 2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사진 후면부의 상부 모서리 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finishing surfaces so that the upper edges of the photo rear parts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spaces are exposed. Pocket inla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감면과 상기 제 2 개방면은 상기 제 1 개방면 및 제 1 마감면 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제작용 포토포켓 속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second finish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first finishing surface side, respectively.
KR2020110011585U 2011-12-27 2011-12-27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KR2013000408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85U KR20130004089U (en) 2011-12-27 2011-12-27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85U KR20130004089U (en) 2011-12-27 2011-12-27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89U true KR20130004089U (en) 2013-07-05

Family

ID=5368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585U KR20130004089U (en) 2011-12-27 2011-12-27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08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998B2 (en) Picture mou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00205843A1 (en) User decorated photo mount
KR20130004089U (en) Inner sheet of photo pocket for album
CN204091519U (en) A kind of Novel paper photo frame
CN205457688U (en) Display frame
CN201587207U (en) Folded self-clamping photo album
JP2011056781A (en) Booklet and jacket thereof
CN204015778U (en) A kind of simple solid photo frame made of paper
KR200393079Y1 (en) Photo album
KR101506542B1 (en) Double Open Album
JP3147062U (en) Pillow-shaped books
KR200387290Y1 (en) A sketchbook
KR200442363Y1 (en) Multipurpose album having a heart shape and a stand therefor
JP6985716B2 (en) Dummy book
KR20160002108U (en) Continuous Book of Multi-folding frame
JP2017105496A (en) Storage case
JP3195905U (en) Photo frame
KR101143271B1 (en) An album provide with photo frame
KR200425898Y1 (en) Three-dimensional card combined with flowers
JP3201037U (en) Paper file
CN204617720U (en) A kind of multipurpose Simple photograph stand and photograph album
KR200484911Y1 (en) Insertion type frame album having decoration frame
JP3112214U (en) Frame mounting structure
JP3169349U (en) Food storage box set
KR20100088299A (en) Pocket photomount as well as album and fram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