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29U - Infant table - Google Patents

Infant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29U
KR20130004029U KR2020120001787U KR20120001787U KR20130004029U KR 20130004029 U KR20130004029 U KR 20130004029U KR 2020120001787 U KR2020120001787 U KR 2020120001787U KR 20120001787 U KR20120001787 U KR 20120001787U KR 20130004029 U KR20130004029 U KR 20130004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food
drive
food table
baby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국천
손복희
Original Assignee
김국천
손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천, 손복희 filed Critical 김국천
Publication of KR20130004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2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3/00Children's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Abstract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가 안착되며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를 테이블의 상판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유아를 앉혀둘 수 있으며 구동대에 의해 장소 이동이 용이하고, 아울러 구름동작에 의해 유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구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baby food tabl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driving body with wheels seated on the body to seat the infant seat, as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im of the driv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n the grou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formed with a support leg.
According to this, the infant can be seated, the place can be easily moved by the driving wheel, and the interest of the infant can be increased by the rolling motion, and the pedestal can be easily detached and mounted by using the coupling tool. .

Description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INFANT TABLE}Baby food table {INFANT TABLE}

본 고안은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앉혀둘 수 있는 기구본체와 각종 완구 및 음식물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대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기구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대로 이루어진 유아용 착석 기구를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대를 분리하여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food table for infants, and more specifically, the infant body made of a drive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rument body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a base for placing various toys and food, etc. When the seating mechanism is used, if necessary, the baby food table for separating the drive to be used as a table.

일반적으로 수유기의 유아들은 허리에 힘이 없어 앉힐 경우 앞 또는 뒤로 넘어지기 쉬우므로 유아에게 이유식 섭취시킬 때 혹은 유아와 놀아줄 때 유아는 보호자로부터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In general, breastfeeding infants are prone to fall back or forth when sitting down because of lack of strength in their backs, so infants should be absolutely protected from their caregivers when feeding or playing with infants.

이에 따라 현재 보호자는 유아를 실내에서 이동가능한 보행기에 태워 이유식을 섭취시거나 또는 놀아 주게 되는데, 위 보행기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근접성이 극히 낮아 유아의 정서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차치하더라도 보행기는 유아의 신체 발달에 지장을 주므로 보호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current caregiver is to take the baby to the indoor walker to eat or play baby food, the walker is very close proximity between the infant and the caregiver had a problem that hurts the emotion of the infant, apart from the walker As it interferes with physical development, the guardians are not actively using it.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288호의 "유아용 이유식 착석 기구"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view of such a situation, the present inventor has filed and registered a Korean infant utility model no.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실내에서 장소를 옮길때 유아를 기구본체로부터 내리도록 한 후 유아용 이유식 착석 기구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유아를 앉혀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is impossible to move, because when moving the place in the room to move the infant from the main body to move the baby food seating device to the desired place and then sit the infant agai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기구본체를 올려놓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판상의 구동대를 제공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vided a plate-shaped driving table on which wheels are mounted so that the machine body can be placed and moved.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착석부, 걸림부, 팔걸이부를 촉감이 좋은 재질(일정한 쿠션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기구본체(100)와, 이 기구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바퀴(34)가 형성되어 구동가능한 구동대(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the back of the body, the seat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the armrest portion is made of a good material (soft material having a certain cushion and a constant cushion) and the instrument body 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100 and the wheel 34 is formed to include a drive (1) capable of driving.

그런데 아이가 성장하여 이유식을 먹을 수 있는 나이가 되면 크기가 맞지 않아 상기 유아용 이유식 착석 기구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However, when the child grows up to eat baby food is not the size does not fit the baby food seating equipment for the baby is not used.

이렇게 유아용 이유식 착석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버리게 되므로,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Thus, when the baby food sitting apparatus is not used, it is thrown away, and a problem that causes a waste of resources is generat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술한 유아용 이유식 착석 기구의 구동대를 유아용 테이블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the drive table of the above-mentioned baby food seating mechanism as a baby table to provide a baby food table for the purpose of recycling the resources. have.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가 안착되며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를 테이블의 상판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drive body on which the wheel body is seated and the mechanism body that can seat the infant as the upper plate of the table,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frame is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It can be achieved by the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med with legs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구동대는 원판상이며 외주부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테두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외면이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table is in the shape of a disc and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the upper portion is recessed inwardly formed insertion portion, the e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taper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상기 장착부는 구동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drive rod is fitted, and the fitting groove is tape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drive rod.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억지끼움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so as to fit the rim of the drive.

또한,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은 돌출부와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대가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inden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bar is fitted.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는 수평조절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is formed.

상기 수평조절구는 장착부의 하부에 형성된 격판에 나사결합되어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adjusting mechanism is screwed to the diaphragm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is possible.

상기 다리는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change the height.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는 유아용 착석기구의 구동대를 활용하여 이유식 테이블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reused as a baby food table using a driving table of a baby seating device that is not in use, thereby reducing resource waste and reducing costs.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shows a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food table for ba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by food table for ba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의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by foo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foo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member of the baby foo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A)은, 하부에 바퀴(미도시)가 형성된 구동대(1)를 테이블의 상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이 가능해도록 한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2 to 6, the baby food tabl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top plate of the drive table (1) formed with a wheel (not shown) in the lower portion to enable resource recycling It is.

따라서 구동대(1)를 상판으로 활용하고, 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유지하기 위해 구동대(1)의 하부에 지지부재(2)가 다수 장착된다.
Therefore,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2 ar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unit 1 in order to use the driving unit 1 as a top plate and to maintain i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대(1)는 원판상이며 외주부에 테두리(12)가 형성되고, 상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삽입부(11)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테두리(12)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외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2 and 3, the drive table 1 is in the shape of a disc and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with a border 12, the upper portion is recessed inwardly the insertion portion 11 is formed, the edge 12 is the upper portion The outer surface is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하부에 장착되었던 바퀴는 활용도가 없어지게 되므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Wheels that were mounted on the bottom will be removed, so it is better to remove them.

지지부재(2)는 구동대(1)의 테두리(12)가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부(21)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1)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22)가 형성된 것으로, 구동대(1)의 하부에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support member 2 is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21 on which the rim 12 of the driving unit 1 is fitted, and formed thereon, and a leg 22 supported on the ground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1. The lower part of the drive stand 1 is arrange |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의 장착부(21)는 구동대(1)가 끼워지는 끼움홈(210)이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끼움홈(210)은 상기 구동대(1)의 테두리(12)의 경사각도와 부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4 and 5,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member 2 has a fitting groove 210 into which the driving rod 1 is fitted, which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and the fitting groove 210 has the driving rod (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mat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12 of 1).

또한 끼움홈(210)의 내측면에는 구동대(1)의 테두리(12)가 억지끼움되도록 돌기(21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protrusion 2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210 so that the edge 12 of the driving unit 1 is fitted.

또 상기 장착부(21)의 하단에는 수평조절구(3)가 형성되어 수평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1 is formed with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3) can be adjusted horizontally.

수평조절구(3)는 상부에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장착부(21)의 하부에 형성된 격판(23)에 나사결합된 것으로, 수평조절구(3)를 돌려 볼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4개의 다리(22)가 균형이 맞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Horizontal adjuster (3) is formed in the upper bolt, the bolt is screwed to the plate 2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1, by turning the horizontal adjuster (3)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lt 4 The dog's legs 22 can be set to be balanced.

본 고안에 따른 이유식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의 장착부(21)에 형성된 끼움홈(210)의 내측면은 돌출부(216)와 요입부(217)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대(1)가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foo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210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member 2 is a protrusion 216 and the recessed portion 217 Is formed so that the drive (1) can be fitte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이유식 테이블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다리(22)는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foo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22 may be formed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change the height.

즉 다리(22)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가 되도록 분할되고, 각 분할된 다리(221,222)들은 상호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된다.That is, the legs 22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numbers, and each of the divided legs 221 and 222 is slide-fitted to each other.

그리고 각 분할된 다리(221,222)를 볼스토퍼(53) 또는 핀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원하는 높이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to the desired height by fixing each of the divided legs (221, 222) with a ball stopper 53 or a pin.

볼스토퍼(53)는 쇠구슬과, 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가능할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all stopper 53 is composed of a metal ball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it, which is a technique that will be sufficien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유아용 착석 기구(일명 범보의자)는 유아가 착석하는 기구본체와 그 하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대(1)를 포함한다.Infant seating mechanism (also known as ambobo chair) includes a driving body (1)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wer body and the child body seated infant.

구동대(1)는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이를 분리한 후 지지부재(2)를 다수 결합시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A)로 재활용한다.Since the driving table 1 is a detachable structure, after separating it, the support member 2 is combined and recycled to the baby food tabl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구동대(1)의 테두리(12)를 지지부재(2)의 장착부(21)에 끼워넣어 다리(22)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유식 테이블(A)의 조립이 완료된다.
That is, the assembly of the weaning table A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rim 12 of the drive table 1 into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support member 2 so that the leg 22 is supported on the ground.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being attached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belong to the claims.

1 : 구동대 2 : 지지부재
3 : 수평조절구 12 : 테두리
21 : 장착부 22 : 다리
23 : 격판
1: drive table 2: support member
3: horizontal adjustment hole 12: frame
21: mounting portion 22: leg
23: plate

Claims (7)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가 안착되며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를 테이블의 상판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A mechanism body capable of seating an infant is seated and utilizes a driving wheel formed with wheels as a top plate of the table.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대는 원판상이며 외주부에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테두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외면이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table is in the shape of a disc and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the upper portion is recessed inwardly formed insertion portion, the edge of the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taper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구동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s a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is fitted on top, the fitting groove is tape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im of the dri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억지끼움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3,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so as to fit the rim of the dri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은 상기 구동대의 테두리가 억지끼움되도록 돌출부와 요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groove is a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rim of the drive forcibly fit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하단에 형성된 격판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수평조절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Baby food table for a bab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mechanism is formed so that the horizontal adjustment is screwed to the plat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le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며,
상기 다리는 다수개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다리들은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각 분할된 다리들은 볼스토퍼 또는 핀으로 고정시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leg is to have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e leg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each of the divided legs are slidingly coupled,
Each of the divided legs is fixed to the ball stopper or pin baby foo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ed.

KR2020120001787U 2011-12-23 2012-03-07 Infant table KR20130004029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80 2011-12-23
KR20110011480 201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29U true KR20130004029U (en) 2013-07-03

Family

ID=5242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87U KR20130004029U (en) 2011-12-23 2012-03-07 Infant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02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92787A1 (en)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US9895005B2 (en) Convertible child seat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US9464646B2 (en) Mounting mechanism for toy bar of child-support device
US20150289677A1 (en) Repositionable Infant Support Structures
CN106993909B (en) Up-down reciprocating type cradle for baby
KR101396857B1 (en) Baby chairs for table use with amusement function
KR20130004029U (en) Infant table
KR200461464Y1 (en) A movable chair for children
KR101435508B1 (en) Baby moving device
US202003971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furniture
US20070241597A1 (en) Baby/Child Support
US20180186396A1 (en) Miniaturized baby walker
EP3069635A1 (en) Access optimized child support device
CN112971454A (en) Holding tool
KR20130003999U (en) Moving infant seat
KR101834290B1 (en)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US11684177B2 (en) Convertible children's seat
KR20130009335A (en) Amusemeny toys for children
KR100916840B1 (en) A rocking toddler's plaything apparatus
CN215382733U (en) Height-adjustable child dining chair
US11102385B2 (en) Playground apparatus comprising a camera support
KR20180023254A (en) Multi-funcion baby walker
KR100777873B1 (en) take a seat instrument for a baby
KR101882984B1 (en) Hip seats carri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