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22U -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 Google Patents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22U
KR20130004022U KR2020110011506U KR20110011506U KR20130004022U KR 20130004022 U KR20130004022 U KR 20130004022U KR 2020110011506 U KR2020110011506 U KR 2020110011506U KR 20110011506 U KR20110011506 U KR 20110011506U KR 20130004022 U KR20130004022 U KR 201300040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magnet
shape
compartmen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542Y1 (ko
Inventor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주)짐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짐월드 filed Critical (주)짐월드
Priority to KR2020110011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4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rotation or translation, e.g. of keyhole or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가 개시된다. 자석완구는 일단에 결합홀 및 그 결합홀의 외주면에 요철 형태가 형성되고,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재와, 일단에 제1 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제1 부재의 결합홀의 외주면과 맞닿아 일정한 힘 이상인 경우에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부가 형성되며,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2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형태의 자석완구{Magentic block toy with joint module}
본 고안은 다양한 모양의 자석완구와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창작을 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와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관절형태의 자석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립식 완구의 경우, 몇몇 정형화된 모양의 한계로 인해 창의적인 구조물 형성에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창의적인 구조물 형성이 가능하도록 다른 자석완구와 결합가능한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의 일 예는, 일단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외주면에 요철 형태가 형성되고,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재; 및 일단에 상기 제1 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결합홀의 외주면과 맞닿아 일정한 힘 이상인 경우에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관절있는 팔 모양의 구조를 통해 보다 창의적인 학습과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완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완구의 외부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석완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완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완구의 외부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는 관절 형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부재(100a,100b,150a,150b)로 구성된다.
제1 부재(150a,150b)의 일단에는 자석(160)이 삽입되는 격실(17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홀(180)과 그 결합홀(180)의 외주면에 요철 형태(182)가 형성된다. 제1 부재(150a,150b)에서 자석(160)이 내장되는 격실(170)은 돌출되어 형성되며, 격실(170)이 형성된 반대 면에는 그 돌출된 격실에 대응되는 홈(175)이 형성된다.
제2 부재(100a,100b)의 일단에는 자석(110)이 삽입되는 격실(12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 부재(150a,150b)에 형성된 결합홀(18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 돌기(140)가 형성되고 또한 제1 부재의 결합홀(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출 형태(182)의 오목한 부위에 맞닿아 일정한 힘이 가해진 경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부(130)가 형성된다. 제2 부재(100a,100b)에서 자석(110)이 내장되는 격실(120)은 돌출되어 형성되며, 격실(120)이 형성된 반대 면에는 그 돌출된 격실에 대응되는 홈(125)이 형성된다.
제1 부재(150a,150b) 및 제2 부재(100a,100b)에서, 격실(170) 반대 면에 형성된 홈(175.125)의 크기 및 모양은 돌출된 격실(170,120)의 크기 및 모양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50a,150b) 및 제2 부재(100a,100b)에서, 자석(160,110)이 내장되는 격실(170,120)은 원통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원통형의 경우 옆면에 세로로 돌출라인(172)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의 격실(170) 옆면에 돌출라인(172)이 포함되는 경우 격실(170)의 반대 면에는 원통형태의 홈과 함께 그 주변에 돌출라인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77)이 일정각도마다 형성된다.
제1 부재(150a,150b)와 제2 부재(100a,100b)는 결합홀(180)과 결합돌기(140)로 서로 연결되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가능하며, 그 회전시 결합홀(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 형태(182)와 텐션부(130)에 의해 일정 이상 힘이 가해진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다. 더구나 자석이 내장된 격실(120,170)이 돌출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그 돌출된 격실(120,170)을 다른 자석완구의 해당 부위에 삽입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격실(120,170)의 반대 면에 형성된 홈(125,177)을 통해서도 다른 자석완구와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일단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외주면에 요철 형태가 형성되고,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재; 및
    일단에 상기 제1 부재의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결합홀의 외주면과 맞닿아 일정한 힘 이상인 경우에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텐션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자석이 내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각 타단의 한쪽면에는 자석이 내장되는 격실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상기 격실 모양의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타단의 한쪽면에는 옆면에 세로로 돌출라인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격실이 형성되며 다른 면에는 상기 격실모양에 대응하는 원통형의 홈과 상기 원통형의 돌출라인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일정각도마다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형태의 자석완구.
KR2020110011506U 2011-12-23 2011-12-23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KR200469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06U KR200469542Y1 (ko) 2011-12-23 2011-12-23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06U KR200469542Y1 (ko) 2011-12-23 2011-12-23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22U true KR20130004022U (ko) 2013-07-03
KR200469542Y1 KR200469542Y1 (ko) 2013-10-28

Family

ID=5077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506U KR200469542Y1 (ko) 2011-12-23 2011-12-23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3009A1 (en) * 2019-02-06 2020-08-1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Modular expandable 3d pri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14B1 (ko) 2014-04-17 2015-03-26 신동일 조립식 관절완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20Y1 (ko) * 2005-02-11 2005-05-13 윤봉석 자석놀이완구의 관절 연결 구조
KR100841960B1 (ko) 2007-04-02 2008-06-27 김종성 결합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블록완구
KR20100135125A (ko) * 2009-06-16 2010-12-24 정두보 자석 블록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3009A1 (en) * 2019-02-06 2020-08-1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Modular expandable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542Y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507B2 (en) Building toy block set
KR101349152B1 (ko) 자석 블록 완구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CN203989874U (zh) 一种易于造型的积木玩具
US20120270464A1 (en) Toy blocks for children
KR100524153B1 (ko) 자석놀이완구의 패널 구조
KR200469542Y1 (ko) 관절형태의 자석완구
KR20100134916A (ko) 자석을 이용한 퍼즐블록
KR101334775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CN210904964U (zh) 一种木质磁力魔方积木
KR200490011Y1 (ko) 도미노 완구용 연결부재 세트
WO2010001740A1 (ja) 組立てブロック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6Y1 (ko)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140109064A (ko) 자석퍼즐
KR200483048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입체 블록
KR102282815B1 (ko) 조립식 완구
KR20130003194U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101469745B1 (ko) 블록완구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KR20120006345U (ko) 자석완구
CN210698797U (zh) 磁性积木及积木玩具
KR200466732Y1 (ko) 자석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