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850U - 커터가 장착된 쟁기 - Google Patents

커터가 장착된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850U
KR20130003850U KR2020110011263U KR20110011263U KR20130003850U KR 20130003850 U KR20130003850 U KR 20130003850U KR 2020110011263 U KR2020110011263 U KR 2020110011263U KR 20110011263 U KR20110011263 U KR 20110011263U KR 20130003850 U KR20130003850 U KR 201300038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low
frame
bla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752Y1 (ko
Inventor
서창엽
Original Assignee
서창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엽 filed Critical 서창엽
Priority to KR2020110011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5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8Cou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4Hand devices; Hand device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커터 프레임과, 커터 회전축과, 쟁기 프레임과, 복수의 쟁기날과, 제1커터부와, 제2커터부를 포함한다. 커터 프레임은 견인기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터 회전축은 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쟁기 프레임은 커터 프레임에 연결되며, 작업 진행 방향에 대하여 커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다. 복수의 쟁기날은 작업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제1커터부는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며, 제1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한다. 제2커터부는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터가 장착된 쟁기 {Plow with Cutter}
본 고안은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쟁기의 전방부에 토양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를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 다. 특히, 이러한 용도를 위해 트랙터와 같은 기계에 장착되는 쟁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형상의 메인 프레임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다리부를 구비하고, 이들 다리부의 하단에 쟁기날이 고정설치되어, 트랙터가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쟁기가 견인되면서 양측방향으로 농경지의 흙을 갈아엎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쟁기는 크게 이랑쟁기와 원판쟁기로 구분되는데, 이랑쟁기는 일정각으로 부착된 쟁기날에 의해 정확한 양과 정확한 위치로 흙을 갈아 엎기 때문에 매우 가지런한 이랑(또는 고랑)이 형성되는 반면,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지 못함으로써 경작효율이 떨어지며, 물기가 많거나 경작지 표면에 풀이나 짚과 같이 질긴 재질이 있는 경우는 이들 때문에 쟁기에 많은 부하가 생기게 되어 경작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원판쟁기는 원판쟁기날이 트랙터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스스로 회전하면서 경작하게 되므로 흙덩어리의 미세한 분쇄가 가능하고 트랙터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으나, 습한 땅이나 질퍽질퍽한 땅에서는 습기로 인해 서로 결합력이 강하여 원판쟁기로는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이 도저히 불가능하며, 작업을 진행해도 이랑 자체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쟁기날의 전방에 커터를 장착한 쟁기를 고안하였다(특허출원번호 10-2009-0066069). 종래의 쟁기를 통해 경작작업 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시키고 쟁기날에 의해 갈아 엎어지는 토양의 양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나, 쟁기날 전방에 배치된 모든 커터의 길이가 동일하고, 지면에 깊숙이 파고 들어가도록 배치됨으로써, 커터와 지면과의 마찰력이 커져, 쟁기를 견인하고 커터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토양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커터부를,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분류하여 쟁기날의 전방부에 배치함으로써, 지면에 파고 들어가는 커터부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쟁기를 견인하고 커터부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는, 견인기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커터 프레임; 상기 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 회전축; 상기 커터 프레임에 연결되며, 작업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커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쟁기 프레임; 작업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쟁기날;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며, 제1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하는 제1커터부;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하는 제2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커터부와 상기 제2커터부는,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하여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쟁기 프레임이 장착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정부에 의해 상기 쟁기 프레임은 상기 커터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정부는, 상기 커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결합홀; 상기 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홀 중 하나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결합홀; 상기 제1결합홀 중 하나와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터 프레임과 상기 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핀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따르면, 커터부와 지면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여 쟁기를 견인하는 견인기 및 커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의 동력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따르면, 쟁기날에 의해 갈아 엎어지는 흙덩어리를 일정한 부피로 분리하고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에 따르면, 다양한 조건의 토양에 대하여 호환성 있게 경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제1,2커터부와 쟁기날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높이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가 높이조정부에 의해 높이조정되는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쟁기의 높이를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제1,2커터부와 쟁기날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의 높이조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커터가 장착된 쟁기가 높이조정부에 의해 높이조정되는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100)는, 쟁기의 전방부에 토양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장착된 것으로서, 커터 프레임(110)과, 커터 회전축(120)과, 쟁기 프레임(130)과, 복수의 쟁기날(140)과, 제1커터부(150)와, 제2커터부(160)와, 높이조정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 프레임(110)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견인기(미도시)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터 프레임(110)에는 후술할 커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동력원(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한 동력원의 회전력을 커터 회전축(120)으로 전달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축이음, 감속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 회전축(120)은, 그 양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커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터 회전축(120)에는 후술할 제1커터부(150)와 제2커터부(160)가 결합되고, 제1커터부(150)와 제2커터부(160)는 커터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쟁기 프레임(130)은, 커터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작업 진행 방향(A)에 대하여 커터 프레임(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쟁기 프레임(130)은 작업 진행 방향(A)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B)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지지대(131)가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대(131)에는 단부에 쟁기날(140)이 결합되는 쟁기지지부(132)가 설치된다.
상기 쟁기날(14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쟁기지지부(132)에 의해 쟁기 프레임(130)에 각각 결합되고, 작업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B)을 따라 쟁기 프레임(130)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쟁기날(140)은 소정의 각도로 비틀린 판 형상의 이랑쟁기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커터부(150)는, 커터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커터 회전축(12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커터 회전축(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커터날(151)로 구성된다. 제1커터부(15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커터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커터부(150)는 커터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땅을 깊숙이 파고 들어간다.
제1커터부(150)는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쟁기날(140)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VL)상에 배치되며, 제1커터부의 커터날(151)은 후술할 제2커터부(160)의 커터날(16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지면(1)을 깊숙이 파고 들어가도록 제2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1길이를 가진다.
상기 제2커터부(160)는, 커터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커터 회전축(12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커터 회전축(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커터날(161)로 구성된다. 제2커터부(16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커터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커터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커터부(150)와 교차하여 배치된다. 제2커터부(160)도 커터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면서,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땅을 파고 들어간다.
제2커터부(160)는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제2커터부(160)의 커터날(161)은 제1커터부(150)의 커터날(15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지면(1)을 얕게 파고 들어가도록 제1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2길이를 가진다.
상기 높이조정부(170)는, 커터 프레임(110)에 대하여 쟁기 프레임(130)이 장착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제1결합홀(171)과, 제2결합홀(172)과, 핀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결합홀(171)은 커터 프레임(110)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다수 개가 배치된다. 제2결합홀(172)은 쟁기 프레임(130)에 형성되고, 커터 프레임(110)과 쟁기 프레임(130)이 결합될 때 다수의 제1결합홀(171) 중 하나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핀부재는 다수의 제1결합홀(171) 중 하나와 제2결합홀(172)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원하는 높이에 배치된 쟁기 프레임(130)을 커터 프레임(110)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정부(170)에 의해 쟁기 프레임(130)이 커터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커터 프레임(110)과 쟁기 프레임(130) 사이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고, 유압 실린더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작동으로 인해 커터 프레임(110)과 쟁기 프레임(130) 사이의 한 점(P)을 중심으로 쟁기 프레임(130)을 회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종래의 방식에서는 쟁기날(14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쟁기날(140)의 뾰족한 전단부(141)와 지면(1)이 이루는 각도만이 변경되었다.
습한 땅에서는 수분에 의해 흙이 서로 엉겨 붙어있어서 쟁기날(140)을 지면(1) 속으로 얕게 집어넣어도 충분한 양의 흙을 갈아 엎을 수 있는데, 건조한 땅에서는 수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쟁기날(140)을 지면(1) 속으로 깊게 집어넣어야만 충분한 양의 흙을 갈아 엎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높이조정 방식에서는 쟁기날(140)의 높이를 조정해도 쟁기날(140)의 전단부만이 지면(1) 속으로 깊게 들어가고 쟁기날(140)과 지면(1)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충분한 양의 흙을 갈아 엎을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쟁기 프레임(130)을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쟁기날(140)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쟁기날(140)과 지면(1)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터가 장착된 쟁기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커터부(150)는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쟁기날(140)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VL)상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긴 제1길이의 커터날(151)로 구성되어 제2커터부(160)에 비해 지면(1)을 깊숙이 파고 들어간다. 제1커터부(150)가 지면(1)에 깊숙이 파고 들어가면서 지면(1) 밑에 퍼져 있던 청보리 또는 풀 등의 연결된 뿌리(2)들을 서로 끊게 된다. 제1커터부(150)에 의해 지면(1) 밑 뿌리(2)들이 끊어진 상태에서 제1커터부(150)와 동일 직선(VL)상에 배치된 쟁기날(140)은 제1커터부(150)를 뒤따라 진행하면서 식물뿌리(2)들에 의해 엉키지 않고 용이하게 땅을 갈아 엎을 수 있다.
제2커터부(160)는 작업 진행 방향(A)을 따라 쟁기날(140)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VL)으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제2길이의 커터날(161)로 구성되어 제1커터부(150)에 비해 지면(1)을 얕게 파고 들어간다. 제2커터부(160)는 지면(1)을 얕게 파고 들어가므로 지면(1) 밑에 퍼져 있던 청보리 또는 풀 등의 연결된 뿌리(2)들을 끊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2커터부(160)는 단지 쟁기날(140)과 쟁기날(140) 사이의 지면(1)을 분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후방에 배치된 쟁기날(140)에 의해 갈아 엎어지는 흙덩어리가 너무 뭉치지 않고 일정한 부피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면(1) 밑에 퍼져 있던 청보리 또는 풀 등의 연결된 뿌리(2)들을 끊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터부(150)에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커터날(151)을 장착하고, 단지 지면(1)에 얕은 홈을 형성하여 지면(1)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커터부(160)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커터날(161)을 장착함으로써, 커터부와 지면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는,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커터날을 장착하는 2종류의 커터부로 분리하여 장착함으로써, 커터부와 지면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여 쟁기를 견인하는 견인기 및 커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의 동력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는, 이웃하는 제1커터부 사이에 지면을 분리하는 제2커터부를 배치함으로써, 쟁기날에 의해 갈아 엎어지는 흙덩어리를 일정한 부피로 분리하고 쟁기날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터가 장착된 쟁기는, 쟁기날을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쟁기날을 지면에 깊숙이 집어넣어야 하는 경우 쟁기날과 지면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의 토양에 대하여 호환성 있게 경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과 동력원의 회전력을 커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커터 회전축은 회전을 위한 동력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즉 무동력 상태로 설치되어, 커터부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결합홀이 커터 프레임에 형성되고 하나의 제2결합홀이 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커터 프레임에 대하여 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정하였으나, 반대로 다수의 제1결합홀이 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하나의 제2결합홀이 커터 프레임에 형성되어 쟁기 프레임에 대하여 커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커터가 장착된 쟁기
110: 커터 프레임
120: 커터 회전축
130: 쟁기 프레임
140: 쟁기날
150: 제1커터부
160: 제2커터부
170: 높이조정부

Claims (5)

  1. 견인기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커터 프레임;
    상기 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 회전축;
    상기 커터 프레임에 연결되며, 작업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커터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는 쟁기 프레임;
    작업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쟁기날;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되며, 제1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하는 제1커터부;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작업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쟁기날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의 커터날을 구비하는 제2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부와 상기 제2커터부는, 상기 커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쟁기 프레임이 장착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에 의해 상기 쟁기 프레임은 상기 커터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부는,
    상기 커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결합홀;
    상기 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홀 중 하나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2결합홀;
    상기 제1결합홀 중 하나와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터 프레임과 상기 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장착된 쟁기.
KR2020110011263U 2011-12-20 2011-12-20 커터가 장착된 쟁기 KR200469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63U KR200469752Y1 (ko) 2011-12-20 2011-12-20 커터가 장착된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263U KR200469752Y1 (ko) 2011-12-20 2011-12-20 커터가 장착된 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50U true KR20130003850U (ko) 2013-06-28
KR200469752Y1 KR200469752Y1 (ko) 2013-11-07

Family

ID=5074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263U KR200469752Y1 (ko) 2011-12-20 2011-12-20 커터가 장착된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49B1 (ko) * 2015-08-11 2016-11-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 가축분뇨 제거용 다단형 갈고리장치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060B1 (ko) 2016-12-02 2018-08-24 최준호 스프링 쟁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23B1 (ko) * 2009-07-20 2010-06-29 서창엽 쟁기
KR101053758B1 (ko) * 2010-11-08 2011-08-04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보습부가 구비된 해로우 배토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49B1 (ko) * 2015-08-11 2016-11-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 가축분뇨 제거용 다단형 갈고리장치
KR200489965Y1 (ko) * 2018-12-28 2019-09-02 신정호 트랙터용 배토 및 두둑형성장치
KR20200044657A (ko) * 2019-05-13 2020-04-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WO2020231119A3 (ko) * 2019-05-13 2021-02-11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KR102196065B1 (ko) * 2020-03-24 2020-12-29 박기혁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752Y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1168B1 (en) Agricultural machine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KR102273479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JP7142381B2 (ja) まぐわを有する耕作装置
CN101869015B (zh) 前深粗耕后浅细碎旋耕机
JP2006211967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CN201682759U (zh) 前深粗耕后浅细碎旋耕机
US5097908A (en) Farm machine for working the soil
KR100966623B1 (ko) 쟁기
CN105993246A (zh) 一种深松施肥机
CN205793982U (zh) 一种旋耕装置
CN206061446U (zh) 一种深松旋耕机
RU89319U1 (ru) Корпус плуга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AU7189200A (en) Combination rotary & ripper cultivator
CN101869016B (zh) 同轴深粗耕浅细碎旋耕机
CN107396644A (zh) 一种微型耕地机
CN201682760U (zh) 同轴深粗耕浅细碎旋耕机
CN106612640A (zh) 一种深耕机
CN202721961U (zh) 往复铲式耕整机
CN105960845A (zh) 一种旋耕装置
KR200465613Y1 (ko) 습지용 쟁기
CN201171266Y (zh) 水旱田两用旋耕机
WO2019145373A1 (en) Apparatus for tilling agricultural soils, particularly for preparing for sowing or transplantation, vibrating frame and toothed disk for such apparatus
KR102273483B1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