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840A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840A
KR20130003840A KR1020110065448A KR20110065448A KR20130003840A KR 20130003840 A KR20130003840 A KR 20130003840A KR 1020110065448 A KR1020110065448 A KR 1020110065448A KR 20110065448 A KR20110065448 A KR 20110065448A KR 20130003840 A KR20130003840 A KR 2013000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ield
remote control
scan
disp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3215B1 (en
Inventor
박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215B1/en
Publication of KR2013000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asily recognize input from multiple remote control devices by setting a part of multiple subfields as a first scan subfield and setting the other part of the multiple subfields as a second scan subfield. CONSTITUTION: A paring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st remote control device(S1310). A paring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a first paring device(S1315). At least one subfield is set as a first scan subfield and the other subfield is set as a first display subfield(S1320). A first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subfield(S1325). The first subfield within a unit frame is reset(S1330). An image is display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S1335).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DD) No; (CC,EE) Yes; (FF) End; (S1310) Receiving a paring signal from a first remote control device?; (S1315) Transmitting a paring response signal to a first paring device; (S1320) Setting at least one subfield as a first scan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comprising a single frame, and setting the other subfield as a first display subfield; (S1325) Displaying a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subfield; (S1330) Resetting the first subfield within a unit frame based on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sensed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S1335)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reset first display subfield; (S1340) Receiving a paring signal from a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S1345) Transmitting a paring response signal to a second paring device; (S1350) Setting one subfield as the first scan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comprising a single frame, setting another subfield as a second scan subfield, and setting the other subfield as a second display subfield; (S1355) Displaying a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S1360) Resetting the second subfield within a unit frame based on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sensed in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S1365)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reset second display subfield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터치 펜(Touch Pen) 방식의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input from a plurality of touch pen-type remote control apparatuses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a discharge cell of a plasma display pan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gnizable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watch.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on a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shift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worldwide.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Digital broadcasting is more resistant to external noise than analog broadcasting, so it has less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er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er picture. In addition,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s.

한편, 영상표시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remotely.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터치 펜(Touch Pen) 방식의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recognize input from a plurality of touch pen-type remote controllers that sense light emitted from discharge cells of a plasma display panel.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제1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서브필드를 제1 영상 표시를 위한 제1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제1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2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2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서브필드를 제2 영상 표시를 위한 제2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For example, when the first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configured to detect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Setting as a scan subfield, setting another subfield as a first display subfield for the first image display, displaying a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subfield, an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When the second pairing signal is received,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fram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Setting a second part as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a coordinate of a discharge cell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the remaining subfield as a second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복수의 원격제어장치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서브필드를 제2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프레임 별로,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가변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s an operation method, when pairing is performed with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a part of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set as a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Setting another part as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the remaining subfields as a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ccording to the subfield, wherein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first scan subfield or the second scan subfield is variable for each fram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며, 제1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직 어드레스 광 및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1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2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여, 제1 및 제2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각각 수직 어드레스 광 및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한다.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discharge cells, when the first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Set at least one of the subfields as the first scan subfield for the coordinate detection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d emits vertical address light and horizontal address light sequentially during the first subfield perio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frame when the second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Part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to be configured as the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 another part as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so that the vertical address light and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are sequentially sequential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 periods. Rele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원격제어장치와 페어링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터치 펜(Touch Pen)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ired with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a part of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converted into a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 touch pen for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by setting a second part as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input from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cheme.

특히, 프레임의 계조 또는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를 구성함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의 계조 표현력 저하 없이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in consideration of the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display subfiel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grading the gray level expression power of the displayed image.

또한,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표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터치 펜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is performed based on the respect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touch pen mode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그 외, 터치 펜 모드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user interfaces are possible in the touch pen mod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는 도 2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볼록도이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원격제어장치에서 광 감지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모드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d는 도 13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ior of the display of FIG. 2.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FIG. 2.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7 is an internal convex view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8 show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and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inting signal receiver.
9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the light sensing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10 to 12 illustrate an operati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the touch pe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20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13.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함께, 영상표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pen-bas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The video display system can be configured.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 펜 방식이 가능하도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셀(Cell) 내에 형성된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을 포함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lasma display panel to enable a touch pen method. The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a phosphor layer formed in a discharge cell divided by a partition wal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면, 방전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 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supplies a drive signal to each electrode, the discharge is generated by the drive signal supplied in the discharge cell. Here, when discharged by a drive signal in the discharge cell, the discharge gas filled in the discharge cell generates vacuum ultraviolet rays, and the vacuum ultraviolet light emits the phosphor formed in the discharge cell to emit visible light. Generate. The visible light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내의 방전공간에는, 방전 가스로서, He+Xe, Ne+Xe 및 He+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Meanwhile, an inert mixed gas such as He + Xe, Ne + Xe, He + Ne + Xe, or the like may be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in the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상술한 가스 방전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시광을 방출하는 것 외에, 제논(Xe) 에 의한 적외선도 방출한다.In the gas discharg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emitting visible light, the plasma display panel also emits infrared rays by xenon (X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IR)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 근처에, 원격제어장치(200)가 접근하거나 접촉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감지된 광에 기초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방전셀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된 방전셀의 x,y 좌표 신호는, RF 신호로 변환되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로 전송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en type remote controller 200 senses light emitted from a discharge cell of a plasma display panel. Specifically, infrared (IR)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0 approaches or contacts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remote controller 200 outputs a timing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ight, and based on the timing signal. Thus, the x, y coordinat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discharge cell can be calculated. The calculated x, y coordinate signals of the discharge cells are converted into RF signals and transmitted to the pointing signal receiver 300.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이를 처리하기 위한 RF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USB 또는 블루투스 동글(dongle) 등일 수 있다.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receives an x, y coordinate signal of an RF method, and transmits the x, y coordinate signal to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To this end,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n antenna for receiving an RF signal and an RF module for processing the same. The x, y coordinate signal of the received RF method may be transmitted to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pointing signal receiver 300 may be a USB or a Bluetooth dongle.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수신된 x,y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정 방전셀, 즉 해당 좌표(x,y 좌표)에 해당하는 방전셀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하게 된다.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receives the received x, y coordinate signal, processes the signal,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a resul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plasma display panel,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a pointing image, etc.) in a specific discharge cell, that is, in a discharge cel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x, y coordinate).

한편,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터치 펜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이를 실행하여, 수신된 x,y 좌표에 대한 신호 처리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컴퓨터(PC)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may include a program for executing the touch pen mode, and execute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n the received x and y coordinates. For example,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may be a computer or the like.

이와 같이, 펜 형상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특정 좌표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 펜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기하듯이, 원격제어장치(200)를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 경로에 따라, 필기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by using the pen-shape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t is possible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pointing image, etc.) at specific coordinates in the display panel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That is, as the handwriting moves on the plasma display panel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touch pen,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s moved, the writ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의 원격제어장치를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라 명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팬 모드는, 정압식 접촉 모드에 의한 터치 모드, 또는 정전식 접촉 모드에 의한 터치 모드와는 구별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remote control device is referred to as a touch pen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touch fan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mode or a capacitive touch mod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touch mode by the contact mode.

한편, 도면에서는, 터치 펜 방식의 영상표시장치(100)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별도로 도시하고 있으나,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 중 적어도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가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간단하게 터치 펜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drawing, the touch pe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are separately illustrated, but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are illustrated. At least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of the processing apparatus 400 may be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a result, in on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touch pen mode can be easily performed.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2 to 3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1.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 network interface unit 135, and a storage unit 140. ,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ler 170, a display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roadcast receiver 105 may include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Of course, if necessary, the tuner 110 and the demodulator 12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includ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On the contrary, the tuner 110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be provided. The demodulator 120 may be designed so as not to be included.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 wireless.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may receive a video and audi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set top boxes and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 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70,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the storage unit 140 of FIG. 2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200 transmits / receives a user input signal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or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or a set value.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70,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to a sensing unit (not shown).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outputs a video or audio signal. You can create and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sound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or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Create

디스플레이(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 방식이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전제로 이하에서 기술한다. The display 180 is described below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play 180 is a plasma display panel capable of a touch pe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ct a gesture of a user,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ha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a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or combin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particular,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ler 170, which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have.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AC power into DC powe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c / dc converter for level converting the DC power and outputting the level converted DC power.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되는데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좌표 정보를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해당하는 이미지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에 입력되도록 하는데에 사용된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s used to input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device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device 400, Is used to cause an image signal to be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다음, 도 3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와 유사하나, 도 2의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가 각각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Nex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3 is similar to FIG. 2, except that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of FIG. 2 are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espectively. There is a difference.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감지된 광 신호에 기초한 좌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포인팅 신호 수신부(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로 입력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는, 좌표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이미지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기술한, 소정 프로그램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부(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부(400)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optical signal sensed by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input to the pointing signal receiver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or 400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pointing signal processor 400 may generate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image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on the plasma display panel. Meanwhile, the predetermined program described in FIG. 1 may be mounted in the pointing signal processor 400. Meanwhile, unlike FIG. 3,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unit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TV receiv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etc. May be included.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hown in FIGS. 2 to 3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ior of the display of FIG. 2.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 구동회로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lasma display panel based display 180 includes a plasma display panel 210 and a driving circuit unit 2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과, 제2 기판 상에 형성되며,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X)을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is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r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 And an address electrode X intersecting with Z).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캔전극 라인(Y), 서스테인 전극 라인(Z) 및 어드레스 전극 라인(X)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방전셀이 형성된다. 한편, 방전셀이, R,G,B별로 생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a plurality of scan electrode lines Y, a sustain electrode line Z, and an address electrode line X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a matrix form, and discharge cells are formed in the crossing regions. Meanwhile, the discharge cells may be generated for each of R, G, and B.

구동 회로부(230)는, 도 1의 제어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32),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를 포함한다.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의 동작은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driving circuit unit 230 drives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hrough a control signal and a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170 of FIG. 1. To this end, the driving circuit unit 230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232, a scan driver 234, a sustain driver 238, and an address driver 236. The operation of the scan driver 234, the sustain driver 238, and the address driver 236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or below.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G,B 데이터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를 제어하고, R,G,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에 제공한다.The timing controller 232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an R, G, B data signal,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like, and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scan driver 234 and the sustain driver ( 238 is controlled, and the R, G, and B data signals are rearranged and provided to the address driver 236.

전원공급부(19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필요한 다수 레벨의 직류 전원을 스캔 드라이버(234), 서스테인 드라이버(238),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236)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a plurality of levels of DC power required for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o the scan driver 234, the sustain driver 238, and the address driver 236, respectively.

도 5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FIG. 2.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410), 영상 처리부(420), OSD 생성부(440), 믹서(4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 및 포맷터(4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ultiplexer 410, the image processor 420, the OSD generator 440, the mixer 445, the frame rate converter 450, and formatter 460.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or (not shown) and a data processor (not shown).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4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4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may be demultiplexed and separat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4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영상 처리부(4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20)는,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4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4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425 and a scaler 435.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image decoder 425 decodes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and the scaler 435 performs scaling to outpu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signal on the display 180.

영상 디코더(4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ideo decoder 425 may include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or 4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itself. For example,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180 as a graphic or text may b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a 2D object or a 3D object.

믹서(445)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4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에 제공된다.The mixer 445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440 and the decoded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420. In this case, the OSD signal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 2D signal and a 3D signal. The mixed video signal is provided to the frame rate converter 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4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ame rate converter 450 converts the frame rate of the input video. On the other hand, the frame rate converter 450 may output the data as it is without additional frame rate conversion.

포맷터(Formatter)(460)는, 믹서(4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formatter 460 receives a mixed signal from the mixer 445, that is, an OSD signal and a decoded video signal, and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display 180. For example, th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nd th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한편, 포맷터(Formatter)(4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The formatter 460 may separate a 2D video signal and a 3D video signal for displaying a 3D video. In addition,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may be changed or the 2D video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3D video signal.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Also,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ler 170 may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not shown) in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t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in each channel.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shown in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ontroller 17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0), 및 포맷터(4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rame rate converter 450 and the formatter 460 may not be provided in the controller 170,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도 6는 도 2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상의 또는 그 주변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6(b)와 같이, 해당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해당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As shown in FIG. 6A, the display 180 moves the touch pen-based remote controller 200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on or near the plasma display panel 18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B, according to the moveme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the figure, it illustrates that the image of the '-' shape is displayed.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터치 펜 모드시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내의 특정 방전셀에서 출력되는 적외선(IR)을 감지하고, 감지한 광에 기초하여 해당 방전셀의 좌표를 산출함에 따른 것이다. 결국, 산출된 좌표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에,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en type remote controller 200 detects infrared rays (IR) output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in the plasma display panel 180 in the touch pen mode, and based on the detected light. By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 As a result,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plasma display panel 18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 상의 또는 그 주변의,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6(d)와 같이, 해당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해당 이동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결국 도면에서는, 'T'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6 (c), the touch pen-based remote control device 200 on the display 180 is moved from the third point to the fourth point on or near the plasma display panel 180. In the case of moving, as shown in FIG. 6 (d), according to the movemen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s a result, the figure illustrates that an image having a 'T' shape is displayed.

한편, 도면에 예시된 바와 달리,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특정 방전셀에 계속 위치하는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80)에는 '.' 모양의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in the figure, when the touch pen-typ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still located in a specific discharge cell, the plasma display panel 180, '.' The image of the shape will be displayed.

이와 같은, 터치 펜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형상의 이미지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By such a touch pen method, a user can easily display an image having a desired shape on the plasma display panel.

이하에서는,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ouch pen type remote controlle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볼록도이고,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와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9a 내지 도 9b는 도 8의 원격제어장치의 단부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은 원격제어장치에서 광 감지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7 is an internal convex view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FIG. 8 show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and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inting signal receiving device, and FIGS. 9A to 9B 8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the end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8,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light sensing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광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펜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는, 회전볼(78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9, the touch pen typ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user input unit 235, an optical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nd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270, and a controller 280. In addition, the touch pen-typ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rotary ball 780.

무선통신부(225)는,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의 통신을 위해, RF 모듈(221) 또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may include an RF module 221 or an IR module 223 for communication with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IR 모듈(223) 또는 RF 모듈(221)은, 광센서부(240)에서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연산된 방전셀에 대응하는 좌표 신호(x,y)를, IR 방식 또는 RF 방식에 따라,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23) 또는 RF 모듈(221)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한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RF 모듈(221)를 통해,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통신하는 것을 기술한다.The IR module 223 or the RF module 221 transmits coordinate signals (x, y)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scharge cells based on the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240 according to the IR method or the RF method. The point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300. In addition, the IR module 223 or the RF module 221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such as a power on / off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municate with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through the RF module 221, for stable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235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5.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사용자 입력부(235)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키(775), 터치 펜 모드 키(773) 등을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7 to 8, 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a power on / off key 775, a touch pen mode key 773, and the like.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키(775)의 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터치 펜 모드 키(773)의 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가 웨이크 업(wake up)되어, 터치 펜 모드(touch pen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on / off key 775,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may be turned on or off,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pen mode key 773, the remote controller 200 may be used. ) May wake up to enter touch pen mode.

구체적으로, 터치 펜 모드 키(773)가 1회 눌려지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가 웨이크 업되어,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다시 1회 더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touch pen mode key 773 is pressed onc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akes up to enter the touch pen mode, and when pressed again, the touch pen mode ends. Can be.

다른 예로, 터치 펜 모드 키(773)가 눌려지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가 웨이크 업되어,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터치 펜 모드 키(773)가 다시 안 눌려지는 경우, 터치 펜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ouch pen mode key 773 is pressed, the remote controller 200 wakes up to enter the touch pen mode, and when the touch pen mode key 773 is not pressed again, the touch Pen mode may end.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광센서부(24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 예를 들어,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센서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710), 증폭부(715), 및 비교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unit 240 may detect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example, infrared rays. To this end, the optical sensor unit 240, as shown in FIG. 8,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710, an amplifier 715, and a comparator 720.

광센서(710)는, 터치 펜 모드 시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 부근에서 또는 접촉하여, 해당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IR)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신호(SIR)는,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을 수 있다.In the touch pen mode, the optical sensor 710 may detect light emitted from a corresponding discharge cell near or in contact with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particular, infrared (IR) can be detected. The detected signal S IR may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증폭부(715)는, 광센서(710)에서 감지된 광 신호(SIR)를 증폭한다. 이를 위해, 증폭부(715)는, OP AMP를 구비할 수 있다. 증폭된 신호(Samp)는,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을 수 있다.The amplifier 715 amplifies the optical signal S IR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710. To this end, the amplifier 715 may include an OP AMP. The amplified signal Samp may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b).

다음, 비교부(720)는, 증폭부(715)에서 증폭된 신호(Samp)와 기준 신호(Sref)를 비교하고, 증폭된 신호(Samp) 중 기준 신호(Sref) 레벨 이상인 구간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Sf)를 출력한다. 도 9(c)에서는, 증폭된 신호(Samp) 중 기준 신호(Sref) 레벨 이상인 구간이 로우 레벨(low level)을 갖는 것으로 예시한다. Next, the comparison unit 720 compares the signal Samp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715 with the reference signal Sref, and the timing corresponding to a section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gnal Sref level among the amplified signals Samp. Output the signal Sf. In FIG. 9C, a section having a level high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ignal Sref level among the amplified signals Samp has a low level.

이러한 타이밍 신호(Sf)는, 특정 방전셀의 위치, 특히, x,y 좌표에 대응하며, 제어부(280)에 입력되어, x,y 좌표 연산에 사용된다. The timing signal Sf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a specific discharge cell, in particular, the x and y coordinates, 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280 and used for the x and y coordinate calculation.

한편, 도 9에서 살펴보면, 타이밍 신호(Sf)의 로우 레벨 구간은, 감지된 광 신호(SIR)의 피크 구간이 아닌, 그 보다 낮은 레벨의 구간에 해당한다. 보다 정확한 신호 검출을 위해, 기준 신호(Sref) 레벨을 높게 설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적외선 감지시의 주변 환경에 따라, 광센서(710)에서 감지되는 광 신호(SIR)에 잡음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광센서부(240) 또는 제어부(280)는, 도 9(c)의 타이밍 신호(Sf)에 대한 신호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9, the low level section of the timing signal Sf corresponds to a section of a lower level, not a peak section of the detected optical signal S IR . In order to detect the signal more accurately, there is a method of setting the reference signal (Sref) level higher, bu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detecting the infrared light, the optical signal (S IR )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710 may include noise. The optical sensor unit 240 or the controller 280 may further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the timing signal Sf of FIG. 9C.

예를 들어, 도 9(c)의 타이밍 신호(Sf)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와 라이징 에지(rising edge)를 연산하여, 그 평균값을 로우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폴링 에지(falling edge)와 라이징 에지(rising edge)의 중간 구간을 로우 레벨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적외선 신호의 실제 파형에 거의 유사한 디지털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a falling edge and a rising edge of the timing signal Sf of FIG. 9C may be calculated to set the average value to a low level.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intermediate section between the falling edge and the rising edge to a low level. Thus, a digital signal almost similar to the actual waveform of the infrared signal can be calculated.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LED module 2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nd a vibration module generating vibration. 253, a 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제1 소정 시간 이상 광을 감지하지 못 하는 경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여, 일부 모듈의 전원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탠 바이 모드 이후, 제2 소정 시간 이상, 계속 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 또는 다시 광센서부(240)에서 광 감지가 수행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260,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detect the light for more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nters the standby mode, it may limit the power of some modules.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may be stopped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s operated or when light sensing is perform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240 again.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의 페어링 동작 등을 위해, 복수 채널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전송 데이터 단위 등의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In particular, for a pairing operation with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a transmission data unit for a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stored.

제어부(280)는, 터치 펜 모드인 경우, 플라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 광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를 광센서부(240)로부터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도 9(c)와 같은 타이밍 신호(Sf)가 입력될 수 있다.In the touch pen mode, the controller 280 receives a tim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light detection signal that detects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from the light sensor unit 240. For example, a timing signal Sf as shown in FIG. 9C may be input.

제어부(280)는, 수신된 타이밍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한다. The controller 28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received timing signal to calculate x, y coordinate signals in the plasma display panel.

그리고, 제어부(280)는, 연산된 x,y 좌표 신호를 RF 방식으로 송출되도록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RF 방식의 x,y 좌표 신호를 RF 모듈(221)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80 may perform signal conversion to transmit the calculated x, y coordinate signal in an RF manner. In addition, the converted RF x, y coordinate signal may be output to the RF module 221.

한편, 제어부(280)는, 전원 온/오프 키(775)가 동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 전원이 온 된 경우,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를 통해,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 동작은, 터치 펜 모드 키(235)가 동작에 따른 터치 펜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80, when the power on / off key 775 is operated, the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via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device 300,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device 400 Control to perform a pairing operation with the. The pai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touch pen mode key 235 enters the touch pe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원격제어장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730)를 더 구비하며, RF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RF 방식의 좌표 신호 또는 그 밖의 페어링 신호 등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remote controll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antenna 730, and may output data signals such as RF coordinate signals or other pairing signals output from the RF module. .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760) 및 RF 모둘(765)을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760)는 통해 RF 신호룰 수신하며, 수신되는 RF 모듈(765)은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는 x,y 좌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좌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접속된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에 입력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pointing signal receiver 300 may include an antenna 760 and an RF module 765. The antenna 760 receives an RF signal, and the received RF module 765 may process the received RF signal and output an x, y coordinate signal. The output coordinate signal is input to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connec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는, 입력되는 좌표 신호에 기초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소정 이미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구체적으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정 방전셀, 즉 해당 좌표(x,y 좌표)에 해당하는 방전셀에, 소정 이미지(포인팅 이미지 등)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processes the signal based on the input coordinate signal,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plasma display panel, can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pointing image, etc.) in a specific discharge cell, that is, in a discharge cel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x, y coordinate). do.

회전볼(780)은, 광센서(710)의 전단에 배치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접촉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부분을 회전볼로 구현함으로써, 접촉부분의 마모를 줄일 수 있어 원격제어장치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rotating ball 78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ptical sensor 710 to rotate when in contact with the plasma display panel. As such, by implementing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plasma display panel with the rotating ball, wear of the contact part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surface durability of the plasma display panel.

한편, 광센서(710)에서의 원활한 광 감지를 위해, 회전볼(78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출되는 광은, 투명한 회전볼(780)을 관통하여, 광센서(710)에서 광 감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smooth light sensing in the optical sensor 710, the rotating ball 78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light emitted from the plasma display panel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rotating ball 780 and may be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710.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압력 감지부(미도시), 또는 회전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8,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detector (not shown) or a rotation detector (not shown).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를 누르는 힘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의 회전볼(780)이 광센서(710)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에 따라, 압력 감지부는,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압력 신호는 제어부(280)로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로 다른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크기 또는 두께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rotary ball 78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directed toward the optical sensor 710 by the force of press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You can retreat. According to the pressure, the pressure sensing unit may output signals of different levels. In addition, the detected pressur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80.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images having different sizes or thicknesses based on different pressure signals.

한편,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방법에 대해 살펴본다.Meanwhile, a driving method for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provided i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영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한 단위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필드(Subfield)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unit frame for implementing the gray level of the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fields.

아울러, 복수의 서브필드는 방전셀을 방전이 발생하지 않을 방전셀을 선택하거나 혹은 방전이 발생하는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ddress Period)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Sustain Period)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bfields may include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dation according to an address period and a number of discharges for selecting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cells will not occur or discharge cells in which discharge occurs. Period) may be included.

또는,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는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reset period for initialization.

도 10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 모드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the touch pe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살펴보면, 터치 펜 모드에서는 하나의 프레임(Frame)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 서브필드(Scan SF)로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touch pen mo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one frame may be set as a scan subfield.

예를 들면,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와 두 번째 서브필드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스캔 서브필드(scan subfield)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스캔 서브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서브필드는 일반 서브필드(Normal SF)일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서브필드는, 영상 표시, 즉 영상 계조 표시를 위한 서브필드로서, 스캔 서브필드에 견주어, 표시 서브필드(display subfield)라고도 한다. For example, a first subfield and a second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of a frame may be used as a scan subfield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In addition, the remaining subfields except the scan subfield among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be normal subfields (Normal SF). Here, the general subfield is a subfield for video display, that is, video gradation display,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display subfield in comparison with the scan subfield.

아울러, 터치 펜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는 프레임이 스캔 서브필드를 포함하지 않고,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서브필드가 일반 서브필드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rmal mode other than the touch pen mode, the frame does not include the scan subfield, and all subfields included in the frame may be the general subfield.

다르게 표현하면, 터치 펜 모드에서, 터치 팬 방식의 원격제어장치(200)가 동작하는 경우,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가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touch pen mode, when the touch fan typ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operates,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be set as a scan subfield.

도 11을 살펴보면, 스캔 서브필드는 터치 위치의 수직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와 터치 위치의 수평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scan subfield may include a vertical scan subfield VSSF for detec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ouch position and a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for detec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ouch position.

예를 들면, 터치 펜 모드 시 프레임의 복수의 서브필드 중 첫 번째 서브필드가 수직 스캔 서브필드일 수 있고, 두 번째 서브필드가 수평 스캔 서브필드일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수직 스캔 서브필드와 수평 스캔 서브필드는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touch pen mode, the first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of the frame may be a vertical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ubfield may be a horizontal scan subfield. As such, the vertical scan subfield and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one frame.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중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는 스캔 기준 전압(Vsc)으로부터 하강하는 터치 스캔 신호(TSP)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In the vertical scan address period VSAP of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the touch scan signal TSP descending from the scan reference voltage Vsc may be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캔 전극(Y)들에 순차적으로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스캔 전극(Y)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uch scan signal TSP may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can electrodes Y. Alternatively, the touch scan signal TSP may be supplied to at least two scan electrodes Y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이처럼,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 및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touch scan signal TSP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the voltages of the address electrode X and the sustain electrode Z may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스캔 전극(Y)에 터치 스캔 신호(TSP)가 공급될 때, 어드레스 전극(X)의 전압을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보다 높게 설정하게 되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방전을 수직 어드레스 방전이라 한다.When the touch scan signal TSP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in the vertical scan address period VSAP, when the voltage of the address electrode X is set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ustain electrode Z, the scan electrode Y ) And the address electrode X may generate a dischar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scharge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vertical scan address period VSAP are referred to as vertical address discharges as described above.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의 어드레스 기간(이하에서는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라 한다)에서는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어드레스 전극(X)에 공급될 수 있다.In the address period of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scan address period HSAP), the touch data signal TDP may be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FIG.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X)들에 순차적으로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어드레스 전극(X)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uch data signal TDP may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address electrodes X. Alternatively, the touch data signal TDP may be supplied to at least two address electrodes X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point.

이처럼, 어드레스 전극(X)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touch data signal TDP is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voltages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may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어드레스 전극(X)에 터치 데이터 신호(TDP)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면, 스캔 전극(Y)과 어드레스 전극(X)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거나 서스테인 전극(Z)과 어드레스 전극(X)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발생하는 방전을 수평 어드레스 방전이라 한다.When the touch data signal TDP is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in the horizontal scan address period HSAP, when the voltages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re kept constant, the scan electrode Y And discharge may occur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Hereinafter, the discharg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scan address period HSAP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horizontal address discharge.

한편, 앞서 상세히 설명한 원격제어장치,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방전, 즉 수직 어드레스 광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직 좌표(y 좌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방전, 즉 수평 어드레스 광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평 좌표(x 좌표)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vertical address discharge, that is, the vertical address light generated in the vertical scan address period (VSAP), to the vertical coordinate (y coordinate) of the touch positi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x coordinate) of the touch posi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horizontal address discharge generated in the horizontal scan address period HSAP, that is,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예를 들어, 터치 펜 모드에서, 도 12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위치가, 제3 스캔 전극 라인(Y3)과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X2)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원격제어장치(200), 도 22과 같이, 스캔 서브필드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중, 제3 스캔 전극 라인(Y3)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광을 감지한다. 그리고, 스캔 서브필드의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중,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X2)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광을 감지한다.For example, in the touch pen mode,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located in the third scan electrode line Y3 and the second address electrode line X2 as shown in FIG. 12. 22, the vertical address light generated in the third scan electrode line Y3 is detected during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of the scan subfield.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generated in the second address electrode line X2 is sensed during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of the scan subfield.

특히, 제3 스캔 전극 라인(Y3)에서 발생하는 수직 어드레스 광 감지 타이밍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직 좌표가 Y3임을 알 수 있으며, 제2 어드레스 전극 라인(X2)에서 발생하는 수평 어드레스 광 감지 타이밍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의 수평 좌표가 X2임을 알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touch position is Y3 based on the vertical address light sensing timing occurring in the third scan electrode line Y3, and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sensing timing occurring in the second address electrode line X2. Based on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touch position is X2.

수직 광 감지 타이밍과, 수평 광 감지 타이밍은, 각각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터치 위치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e vertical light sensing timing and the horizontal light sensing timing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can sustain period SSP,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touch position can be obtained simply.

한편, 도 11의 경우와 같이, 수직 스캔 어드레스 기간(VSAP)과 수평 스캔 어드레스 기간(HSAP)의 사이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서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 서스테인 신호(TSUS)를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as in the case of FIG. 11, at least one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touched in the scan sustain period SSP between the vertical scan address period VSAP and the horizontal scan address period HSAP. The sustain signal TSUS can be supplied.

한편, 도면과 달리,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에서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 전극(Z)에 터치 서스테인 신호(TSUS)를 교번적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alternately supply the touch sustain signal TSUS to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n the scan sustain period SSP.

도 11의 스캔 서스테인 기간(SSP)은, 동기 서스테인 기간 및 식별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서스테인 기간은 다른 용어로 기준 서스테인 기간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The scan sustain period SSP of FIG. 11 may include a synchronous sustain period and an identification sustain period. The scan sustain perio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sustain period in other terms.

도 11에서는 동기 서스테인 기간에, 스캔 전극(Y)에 2개의 동기 서스테인 펄스(sync sustain pulse)가 인가되는 것을 예시하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In FIG. 11, two sync sustain pulses ar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in the sync sustain period, but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setting.

그리고, 도 11에서는,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이후, 즉, 2번째 동기 서스테인 펄스 이후, 식별 서스테인 펄스가 스캔 전극(Y)에 인가되는 것을 예시한다.In FIG. 11, an identification sustain puls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fter the synchronous sustain pulse, that is, after the second synchronous sustain pulse.

이러한 식별 서스테인 펄스를 기준으로, 정확히는 식별 서스테인 광을 기준으로, 수직 좌표와 수평 좌표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식별 서스테인 광과 Y3 위치에 해당하는 수직 어드레스 광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수직 좌표, 즉, Y3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서스테인 광과 X2 위치에 해당하는 수평 어드레스 광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수평 좌표, 즉, X2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On the basis of such an identification sustain pulse, it is possible to perform vertical coordinate and horizontal coordinate calculation, exactl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ustain ligh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vertical coordinate, that is, the Y3 coordinat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sustain light and the vertical address light corresponding to the Y3 position. Then, the horizontal coordinate, that is, the X2 coordinat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sustain light and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corresponding to the X2 position.

물론, 식별 서스테인 펄스 외에, 동기 서스테인 펄스를 더 활용하여,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sustain puls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horizontal coordinate and the vertical coordinate by further utilizing the synchronous sustain pulse.

한편, 복수의 원격제어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하에선 논의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devices are used, a method for easily recognizing an input from each remote control device will be discussed below.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4 내지 도 20d는 도 13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to 20D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FIG. 13.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0). Referring to the drawings, firs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a pairing signal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S1310).

예를 들어,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전원 버튼이 눌려지거나,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원격제어장치(200a)는, 페어링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도 14의 S1410). 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of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pressed or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Can transmit the pairing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1410 in FIG. 14).

한편, 페어링 신호는 도 14와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FIG. 14, the pair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한편, 제1310 단계 이전에,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0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반 모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소정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를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 서브 필드로 모두 설정하고, 이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before the operation 1310,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operate as a normal mod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That is, in order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are all set as display subfield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ccordingly, the predetermined image can be displayed.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 송신한다(S1315). Next, when determining that the pairing signal is receiv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pair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S1315).

페어링 응답 신호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에 대한, 페어링 완료 정보, 아이디(ID), 또는 프레임 내의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터치 펜 모드에서,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가, 프레임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서브필드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iring response signal may include pairing completion information, ID (ID), position information of a scan subfield in a frame, and the like, for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For example, in the touch pen mode of FIG. 10,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ation of the scan subfield is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s of the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한편, 도 14에서는, 페어링 응답 신호 전송(S1415)이, 영상표시장치(100)와 제1 원격제어장치(200a)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단계별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FIG. 14, the pairing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S1415 is performed betwe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Alternatively,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It is also possible to be transmitted step by step via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device 400.

디음, 영상표시장치(100)는, 페어링 완료 이후, 일반 모드에서 터치 펜 모드로 전환한다. 즉, 제1 페어링 신호의 수신에 따라,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서브필드를 제1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한다(S1320). After the pairing is complet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witches from the normal mode to the touch pen mode. That is,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first pairing signal, at least one subfield among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frame is set as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other subfield is set as the first display subfield (S1320). .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70)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페어링 응답 신호 송신 제어 외에, 일반 모드에서 터치 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브필드 중 일부를 터치 펜 모드에서, 방전셀 좌표 인식을 위한 스캔 서브필드로 변환한다.In detail,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s to switch from the normal mode to the touch pen mode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control when receiving the pairing signal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Accordingly, the display 180, that is, the plasma display panel, converts a part of the subfields into a scan subfield for recognizing discharge cell coordinates in the touch pen mode.

도 15(a)는, 일반 모드에서의 프레임 내의 서브필드 구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단위 프레임 내에 10개의 서브필드가 구비되는 경우, 일반 모드에서는, 도 15(a)와 같이, 제1 서브필드에서 제10 서브필드(SF1 ~ SF10)까지, 모두 표시 서브필드(dsiaply subfield)로 구성될 수 있다. Fig. 15A illustrates a subfield structure in a frame in the normal mode. For example, when 10 subfields are provided in a unit frame, in the normal mode, as shown in Fig. 15A, all the display subfields from the first subfield to the tenth subfield SF1 to SF10 are displayed. subfield).

다음,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15(b)와 같이, 단위 프레임 내에 스캔 서브필드가 추가된다(S1420). 도 15(b)에서는, 10개의 서브필드 중 제1 서브필드(SF1)와 제2 서브필드(SF2)가, 각각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 및 도 11 등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캔 서브필드(SF1,SF2)는, 각각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와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로 구성될 수 있다.Next, when receiving the pairing signal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200a, as shown in Fig. 15 (b), a scan subfield is added in the unit frame (S1420). In FIG. 15B, the first subfield SF1 and the second subfield SF2 among the ten subfields are set as scan subfields, respectivel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the scan subfields SF1 and SF2 may be configured of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and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respectively.

한편, 제1 원격제어장치용 스캔 서브필드(1st scan subfield)는, 단위 프레임(예를 들어, 1/60초) 중 Ta 기간 동안으로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1st scan subfield for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set during a Ta period of a unit frame (for example, 1/60 second).

한편, 이러한 서브필드 설정은, 도 4의 디스플레이(180) 내의 타이밍 컨트롤러(23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232) 내의 서브필드 배열부(미도시)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subfield setting may be performed by the timing controller 232 in the display 180 of FIG. 4.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subfield arrangement unit (not shown) in the timing controller 232.

다음, 설정된 서브필드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S1325). 즉, 타이밍 컨트롤러(232)에서 설정된 제1 스캔 서브필드(SF1,SF2)와 제1 표시 서브필드(SF3 ~ SF10)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425). 이때의 제1 영상은, 제1 스캔 서브필드(SF1,SF2)가 아닌, 제1 표시 서브필드(SF3 ~ SF10)의 계조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Next, an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t subfield (S1325). 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scan subfields SF1 and SF2 and the first display subfields SF3 to SF10 set by the timing controller 232,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may display the first image (S1425). ). In this case, the first image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gray levels of the first display subfields SF3 to SF10, rather than the first scan subfields SF1 and SF2.

즉, 제1 스캔 서브필드(SF1,SF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원격제어장치(200a)에서의 광 감지를 위해 사용될 뿐, 영상 표시시의 계조 표현은, 표시 서브필드에서 담당하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can subfields SF1 and SF2 are used only for light sensing in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and the gray level representation in the image display is performed in the display subfield. do.

다음,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 감지된 방전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프레임 내의 제1 표시 서브필드를 재설정한다(S1330). 그리고, 재설정된 제1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제1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한 이미지를 표시한다(S1335).Next, based on the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remote controller, the first display subfield in the unit frame is reset (S1330). In operation S1335, an image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et first display subfield.

제1 원격제어장치(200a)는, 제1 스캔 서브필드(SF1,SF2) 내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동안 수직광을 감지하고,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동안 수평광을 감지한다.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detects vertical light during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in the first scan subfield SF1 and SF2 and detects horizontal light during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

그리고,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제어부(280)는, 플라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 광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80 of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may transmit an x, y coordinate signal in the plasma display panel based on a light detection signal that detects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Calculate

연산된 좌표 신호 정보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달되며(S1427),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400)는,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한다(S1429).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이미지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된다. The calculated coordinate sig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S1427),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display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Transfer to device 100 (S1429). Specifically, such an imag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이미지 신호는, OSD 신호와 같이 처리되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상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미 표시되는 제1 영상과 이격되는 영역에 별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image signal may be processed like the OSD signal to be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that is already displayed. Alternatively, the display may be separately displayed in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mage that is already displayed.

디스플레이(180) 내의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여, 서브필드, 특히 제1 표시 서브필드(SF3 ~ SF10) 부분을 재설정한다(S1430).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1 영상 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S1435). 즉, 도 6과 같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 timing controller 232 in the display 180 resets the subfields, particularly the first display subfields SF3 to SF10, in response to the image signal (S1430). Accordingly,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may further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 addition to the first image (S1435). That is, as shown in FIG. 6, an image can be displayed.

한편, 제1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신호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image is not displayed, only the image signal may be displayed.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340). Nex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a pairing signal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S1340).

예를 들어, 제2 원격제어장치(200b)의 전원 버튼이 눌려지거나, 제2 원격제어장치(200b)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2 원격제어장치(200b)는, 페어링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도 14의 S1440). 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of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is pressed or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Can transmit the pairing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1440 in FIG. 14).

한편, 페어링 신호는 도 14와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될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FIG. 14, the pair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다음, 영상표시장치(100)는,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 송신한다(S1345). Next, when determining that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pairing signa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pairing response signal to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200b (S1345).

페어링 응답 신호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b)에 대한, 페어링 완료 정보, 아이디(ID), 또는 프레임 내의 제2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ing response signal may include pairing completion information, ID (ID), 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can subfield in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예를 들어, 제2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가, 프레임 중 9 번째와 10 번째 서브필드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scan subfields are the 9th and 10th subfields of the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한편, 도 14에서는, 페어링 응답 신호 전송(S1445)이, 영상표시장치(100)와 제2 원격제어장치(200b)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포인팅 신호 수신 장치(300)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를 거쳐 단계별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FIG. 14, the pairing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S1445 is performed betwe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In contrast,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It is also possible to be transmitted step by step via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device 400.

다음, 제2 페어링 신호의 수신에 따라,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며, 나머지 서브필드를 제2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한다(S1350). Next,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second pairing signal, some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frame are set to the first scan subfield, others are set to the second scan subfield, and the remaining subfields are set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Set to a field (S1350).

구체적으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170)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를 통해 터치 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pairing signal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200b while operating in the touch pen mode through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the pairing response signal. Control to transmit to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200b.

제1 원격제어장치(200a)와 영상표시장치(100)가 터치 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15(c)와 같이, 단위 프레임 내에 제2 스캔 서브필드가 추가된다(S1450). When receiving the pairing signal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200b while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200a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perate in the touch pen mode, as shown in FIG. The second scan subfield is added in operation S1450.

도 15(c)에서는, 10개의 서브필드 중 제1 서브필드(SF1)와 제2 서브필드(SF2)가,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고, 제9 서브필드(SF9)와 제10 서브필드(SF10)가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 외의 서브필드들(SF3 ~ SF8)은 제2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In FIG. 15 (c), the first subfield SF1 and the second subfield SF2 among the ten subfields are set as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ninth subfield SF9 and the tenth subfield. (SF10) is set to the second scan subfield. The other subfields SF3 to SF8 are set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캔 서브필드(SF1,SF2)는, 각각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와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캔 서브필드(SF9,SF10)는 각각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와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can subfields SF1 and SF2 may be configured of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and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can subfields SF9 and SF10 may be formed. Each of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and the horizontal scan subfield HSSF may be configured.

한편, 제1 원격제어장치(200a)용 제1 스캔 서브필드(1st scan subfield)는, 단위 프레임(예를 들어, 1/60초) 중 Ta 기간 동안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원격제어장치(200b)용 제2 스캔 서브필드(2nd scan subfield)는, 단위 프레임(예를 들어, 1/60초) 중 Tb 기간 동안으로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scan subfield for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may be set during a Ta period of a unit frame (for example, 1/60 second),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200b may be set during a Tb period of a unit frame (for example, 1/60 second).

한편, 이러한 서브필드 설정은, 도 4의 디스플레이(180) 내의 타이밍 컨트롤러(23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232) 내의 서브필드 배열부(미도시)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subfield setting may be performed by the timing controller 232 in the display 180 of FIG. 4.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subfield arrangement unit (not shown) in the timing controller 232.

다음, 설정된 서브필드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S1355). 즉, 타이밍 컨트롤러(232)에서 설정된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와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455). 이때의 제2 영상은,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가 아닌, 제2 표시 서브필드(SF3 ~ SF8)의 계조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Next, an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t subfield (S1355). 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and the second display subfield set in the timing controller 232,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may display a second image (S1455). In this case,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gray levels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s SF3 to SF8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즉,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200a,200b)에서의 광 감지를 위해 사용될 뿐, 영상 표시시의 계조 표현은, 제2 표시 서브필드에서 담당하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are used only for light sensing in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es 200a and 200b, respectively, and the gray level representation in the image display is the second. It is in charge of the display subfield.

다음,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 감지된 방전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를 재설정한다(S1360). 그리고, 재설정된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한 이미지를 표시한다(S1365).Next,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unit frame is reset based on the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lers (S1360). In operation S1365, an image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es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et second display subfield.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200a,200b)는, 각각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 내의 수직 스캔 서브필드(VSSF) 기간 동안 수직광을 감지하고,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 내의 수평 스캔 서브필드(HSSF) 기간 동안 수평광을 감지한다.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200a and 200b detect vertical light during the vertical scan subfield VSSF in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respectively, and horizontally in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The horizontal light is sensed during the scan subfield (HSSF).

그리고,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제어부(280)와 제2 원격제어장치(200b)의 제어부(280)는, 각각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정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한 광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x,y 좌표 신호를 연산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 of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200a and the control unit 280 of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200b may each respond to a light sensing signal that detects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discharge cell of the plasma display panel. Based on this, x, y coordinate signals in the plasma display panel are calculated.

연산된 좌표 신호 정보는, 포인팅 신호 수신장치(300), 및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400)로 전달되며(S1457), 포인팅 신호 처리 장치(400)는,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한다(S1459).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이미지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된다. The calculated coordinate sig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in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S1457), and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400 display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information. Transfer to the device 100 (S1459). Specifically, such an imag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이미지 신호는, OSD 신호와 같이 처리되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제2 영상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미 표시되는 제2 영상과 이격되는 영역에 별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image signal may be processed like the OSD signal to be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image that is already displayed. Alternatively, the display may be separately displayed on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mage that is already displayed.

디스플레이(180) 내의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여, 서브필드, 특히 제2 표시 서브필드(SF3 ~ SF8) 부분을 재설정한다(S1460). 이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제2 영상 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S1465). The timing controller 232 in the display 180 resets the subfields, in particular, the second display subfields SF3 to SF8, in response to the image signal (S1460). Accordingly,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may further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 addition to the second image (S1465).

한편, 제2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신호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image is not displayed, only the image signal may be displayed.

도 16 내지 도 18은 프레임 내에 스캔 서브필드 설정의 다양한 예를 보여준다.16 to 18 show various examples of scan subfield setting in a frame.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원격제어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단위 프레임 내에는, 각 원격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스캔 서브필드가 설정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6, when two remote control apparatuses are used, scan subfields corresponding to each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be set in a unit fram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즉, 도 16(a) 내지 도 16(c)에서는 제1 스캔 서브필드가 Ta 기간 동안으로 고정되고, 제2 스캔 서브필드가 Tb1 기간(도 16(a)), Tb2 기간(도 16(b)), 또는 Tb3 기간(도 16(c)) 동안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That is, in Figs. 16A to 16C, the first scan subfield is fixed for the Ta perio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s for the Tb1 period (Fig. 16 (a)) and the Tb2 period (Fig. 16 (b). ), Or set during the Tb3 period (Fig. 16 (c)).

도 16(a)는, 단위 프레임을 구성하는 10개의 서브필드(SF1 ~ SF10) 중 제1 내지 제2 서브필드(SF1,SF2)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고, 제9 내지 제10 서브필드(SF9, SF10)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b)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16A illustrates a first scan sub for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of the first to second subfields SF1 and SF2 among the ten subfields SF1 to SF10 constituting the unit frame. Field is set, and the ninth to tenth subfields SF9 and SF10 are set as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이와 같이, 프레임 내에서,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각 원격제어장치는, 각 스캔 서브필드 기간 동안만 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frame,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each remote control apparatus can sense light only during each scan subfield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inputs from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devices.

도 16(b)와 도 16(c)는, 도 16(a)에 비해, 제2 원격제어장치(200b)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16 (b) and 16 (c) illustrate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is variable compared with that of FIG. 16 (a).

즉, 프레임 별로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할 수 있다. 이를 서브필드 호핑(subfield hopping)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vary for each frame. This may be referred to as subfield hopping.

영상 표시시, 10개의 서브필드 중 4개의 서브필드를 스캔 서브필드로 사용하는 경우, 6개의 표시 서브필드만으로는, 영상 표시를 위한 계조 표현력이 부족할 수 있다. 특히, 서브필드 배열상 뒤로 갈수록, 할당 계조가 더 높은 상태(예를 들어, 제1 서브필드(SF1)가 1계조, 제10 서브필드SF10)가 256 계조인 상태)에서, 제9 및 제10 서브필드(SF9,SF10)를 제2 원격제어장치(200b)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할당하는 경우 더욱 그러할 수 있다.When four subfields out of ten subfields are used as scan subfields in image display, only six display subfields may be insufficient in gray scale expression for image display. Particularly, as the back of the subfield arrangement is hig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assigned gray level is higher (for example, the first subfield SF1 is 1 gray and the 10th subfield SF10 is 256 gray), the ninth and tenth This may be further the case when the subfields SF9 and SF10 are allocated as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따라서, 단위 프레임의 계조 또는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에 따라,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varies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예를 들어,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512 계조인 경우, 도 16(c)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4 및 제5 서브필드(SF4,SF5)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is 512 gray levels, as illustrated in FIG. 16C,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fourth and fifth subfields SF4 and SF5.

다른 예로,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364 계조인 경우, 도 16(c)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6 및 제7 서브필드(SF6,SF7)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is 364 gray levels, as shown in FIG. 16C,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sixth and seventh subfields SF6 and SF7.

또 다른 예로,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128 계조인 경우, 도 16(a)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9 및 제10 서브필드(SF9,SF10)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is 128 gray levels, as illustrated in FIG. 16A,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ninth and tenth subfields SF9 and SF10.

즉, 제1 스캔 서브필드가, 저계조 서브필드로 고정인 경우, 단위 프레임의 계조 또는 제2 표시 프레임의 계조가 작아질수록,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scan subfield is fixed to the low gradation subfield, the smaller the gradation of the unit frame or the gradation of the second display frame is,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s. You can go far.

다음, 도 17(a) 내지 도 17(c)에서는 제2 스캔 서브필드가 Tb 기간 동안으로 고정되고, 제1 스캔 서브필드가 Ta1 기간(도 17(a)), Ta2 기간(도 17(b)), 또는 Ta3 기간(도 17(c)) 동안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in Figs. 17A to 17C, the second scan subfield is fixed to the Tb period, and the first scan subfield is set to the Ta1 period (Fig. 17A) and the Ta2 period (Fig. 17B). ), Or set during the Ta3 period (Fig. 17 (c)).

도 17(a)는, 도 16(a)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FIG. 17 (a) is the same as FIG. 16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7(b)와 도 17(c)는, 도 17(a)에 비해, 제1 원격제어장치(200a)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의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17 (b) and 17 (c) illustrate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can subfield for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variable compared to that of FIG. 17 (a).

즉, 프레임 별로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할 수 있다.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vary for each frame.

영상 표시시, 10개의 서브필드 중 4개의 서브필드를 스캔 서브필드로 사용하는 경우, 6개의 표시 서브필드만으로는, 영상 표시를 위한 계조 표현력이 부족할 수 있다. 특히, 서브필드 배열상 뒤로 갈수록, 할당 계조가 더 높은 상태(예를 들어, 제1 서브필드(SF1)가 1계조, 제10 서브필드(SF10)가 256 계조인 상태)에서, 제9 및 제10 서브필드(SF9,SF10)를 제2 원격제어장치(200b)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할당하는 경우 더욱 그러할 수 있다.When four subfields out of ten subfields are used as scan subfields in image display, only six display subfields may be insufficient in gray scale expression for image display. Particularly, as the back of the subfield arrangement is higher, in the state where the assigned gray level is higher (for example, the first subfield SF1 is one gray level and the tenth subfield SF10 is 256 gray levels), This may be further the case when the 10 subfields SF9 and SF10 are allocated as the second scan subfield for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따라서, 단위 프레임의 계조 또는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에 따라,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varies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예를 들어,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32 계조인 경우, 도 17(c)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6 및 제7 서브필드(SF6,SF7)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is 32 gray levels, as shown in FIG. 17C,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sixth and seventh subfields SF6 and SF7.

다른 예로,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64 계조인 경우, 도 16(c)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4 및 제5 서브필드(SF4,SF5)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gray level of the unit frame is 64 gray levels, as illustrated in FIG. 16C,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fourth and fifth subfields SF4 and SF5.

또 다른 예로, 단위 프레임의 계조가 128 계조인 경우, 도 17(a)와 같이,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제9 및 제10 서브필드(SF9,SF10)의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gradation of the unit frame is 128 gradations, as shown in FIG. 17A,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allocated to the positions of the ninth and tenth subfields SF9 and SF10.

즉, 제2 스캔 서브필드가, 고 계조 서브필드로 고정인 경우, 단위 프레임의 계조 또는 제2 표시 프레임의 계조가 커질수록,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scan subfield is fixed to the high gradation subfield, as the gradation of the unit frame or the gradation of the second display frame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ncreases further. Can lose.

이와 같이, 프레임의 계조 또는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를 구성함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의 계조 표현력 저하 없이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in consideration of the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display subfiel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grading the gray level expression power of the displayed image.

한편, 상술한,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의 설정은, 하나의 단이 프레임 내가 아닌, 연속하는 프레임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프레임의 계조 또는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etting of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may be performed between consecutive frames in which one stage is not in the frame. That is, i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프레임의 계조가 상당히 높은 경우, 예를 들어, 프레임의 계조가 910 계조인 경우, 제1 프레임에서 제1 스캔 기간을 설정하고, 제2 프레임에서 제2 스캔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제1 스캔 기간과 제2 스캔 기간은 동일한 서브필드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gradation of the frame is quite high, for example, when the gradation of the frame is 910 gradations,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first scan perio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scan period in the second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can period and the second scan period at this time are not the same subfield.

도 18(a)는 제1 프레임(Frame 1)에서, 제1 및 제2 서브필드를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18(b)는 제2 프레임(Frame 2)에서, 제4 및 제5 서브필드를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18A illustrates setting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s as the first scan subfield in the first frame, and FIG. 18B illustrates the second frame in the second frame. For example, the fourth and fifth subfields are set as the second scan subfield.

이에 따라, 각 원격제어장치(200a,200b)는, 서로 다른 프레임 기간 동안의 스캔 서브필드에서, 광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Accordingly, each of the remote controllers 200a and 200b detects light in the scan subfields for different frame periods and calculates position information thereof.

도 19a 내지 도 20d는 터치 펜 모드에서의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9A to 20D illustrate various user interfaces of an image display device in a touch pen mode.

도 19a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1310)에,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910)를 예시한다. FIG. 19A illustrates an object 1910 indicating whether to enter the touch pen mode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receiving a pairing signal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S1310). do.

원격제어장치 또는 로컬키 입력 등에 의해, 터치 펜 모드 진입으로 결정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원격제어장치(200a)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그 이후, 터치 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o enter the touch pen mode by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key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ransmits a pair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as described above, and thereafter. , Touch pen mode is entered.

도 19b는 터치 펜 모드에서,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움직임에 따라 소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80)의 일부에,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920a)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사용중임을 간략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19B illustrates that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in the touch pen mode. In addition,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object 1920a indicating that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in use is part of the display 180. As a result, the user can briefly grasp that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in use.

도 19c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소정 시간 이상 사용 중지되는 경우에,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모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930)를 예시한다. 19C illustrates an object 1930 indicating whether the touch pen mode is terminat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원격제어장치 또는 로컬키 입력 등에 의해, 터치 펜 모드 종료로 결정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더 이상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게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pen mode is termin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key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no longer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다음, 도 20a는, 터치 펜 모드에서,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사용 중인 상태에서, 제2 원격제어장치(200b)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1340)에,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제2 원격제어장치(200b)의 추가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0)를 예시한다. Next, FIG. 20A illustrates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a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while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in use in the touch pen mode (S1340). An object 2010 indicating whether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200b is added to the display 180 of FIG.

도 20b는 터치 펜 모드에서,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200a,200b)의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80)의 일부에,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200a,200b)가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2020a,2020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및제2 원격제어장치(200a,200b)가 사용중임을 간략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FIG. 20B illustrates that each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200a and 200b in the touch pen mode. In addition,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objects 2020a and 2020b indicat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200a and 200b are in use is part of the display 180. As a result, the user can briefly grasp that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es 200a and 200b are in use.

도 20c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b)가 소정 시간 이상 사용 중지되는 경우에,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터치 펜 모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30)를 예시한다. FIG. 20C illustrates an object 2030 indicating whether the touch pen mode is terminat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is suspend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원격제어장치 또는 로컬키 입력 등에 의해, 터치 펜 모드 종료로 결정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더 이상 제2 원격제어장치(200a)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게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pen mode is termin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local key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no longer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200a.

도 20d는 제2 원격제어장치(200b)의 사용 종료 이후, 제1 원격제어장치(200a)만이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다. 계속해서, 제1 원격제어장치(200a)의 움직임에 따라 소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며,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920a)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원격제어장치(200a)가 사용중임을 간략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20D illustrates that after the use of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200b is terminated, only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used. Subsequently,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and an object 1920a indicating that the first remote controller 200a is in use is displayed. As a result, the user can briefly grasp that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200a is in use.

이와 같이, 복수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표시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터치 펜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is way, the image display is performed based on the respect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remote control apparatus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touch pen mode us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그 외, 터치 펜 모드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해져,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user interfaces are possible in the touch pen mod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 may be optional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또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o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제1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서브필드를 제1 영상 표시를 위한 제1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제2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2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서브필드를 제2 영상 표시를 위한 제2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When the first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t least one subfield among a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configured to detect a coordinate of a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Setting a subfield and setting another subfield as a first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Displaying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subfield;
When the second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frame is set as the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 of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Setting another part as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the remaining subfield as a second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의 계조 또는 상기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may include:
And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adation of the frame or the gradation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별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s variable for each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서브필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scan subfields in the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별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고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first scan subfield or the second scan subfield is fixed for each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수신 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설정 완료 이후, 페어링 응답 신호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first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fter completing setting of the first scan subfield, transmitting a pairing response signal to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How the device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2 페어링 신호가 수신 시,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설정 완료 이후, 페어링 응답 신호를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second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fter completing setting of the second scan subfield, transmitting a pairing response signal to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How the device wor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 감지된 방전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프레임 내의 제1 표시 서브필드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제1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setting a first display subfield in a unit frame based on the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reset first display sub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 감지된 방전셀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setting a second display subfield in a unit frame based on the discharge cell coordin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devices; And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reset second display sub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 또는 제2 원격제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는 경우, 펜 터치 모드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an object indicating a pen touch mod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is us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에서 방출되는 광을 감지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원격제어장치와 페어링이 수행된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서브필드를 제2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 서브필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 서브필드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프레임 별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sen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When pair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performed,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set as a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a coordinate of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ler, and the other part. Setting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a discharge cell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the remaining subfields as display subfields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subfield.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s variable for each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의 표시 계조 또는 프레임 내의 표시 서브필드의 표시 계조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varies in position depending on the display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display gray level of the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의 표시 계조 또는 프레임 내의 표시 서브필드의 표시 계조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varies in position depending on the display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display gray level of the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복수의 방전셀을 구비하며, 제1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1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수직 어드레스 광 및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2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프레임을 이루는 복수의 서브필드 중, 일부를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1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원격제어장치에서의 방전셀의 좌표 감지를 위한, 제2 스캔 서브필드로 설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필드 기간 동안에, 각각 수직 어드레스 광 및 수평 어드레스 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When the first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cells, at least one subfield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a frame is coordinated with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configured as a first scan subfield for sensing and sequentially emitting vertical address light and horizontal address light during the first subfield period;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o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remote controller.
The plasma display panel,
When the second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bfields forming the frame is set as the first scan subfield for detecting the coordinate of the discharge cell in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another part as a second scan subfield for detecting coordinates of the discharge cells in the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so that the vertical address light and the horizontal address light are sequentially sequential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ubfield periods. The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mitt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의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제2 스캔 서브필드의 설정은, 상기 프레임의 계조 또는 상기 프레임 내의 제2 표시 서브필드의 계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tting of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n the frame is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the frame or the gray level of the second display subfield in the frame.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 별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와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사이의 거리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 subfield and the second scan subfield is variable for each frame.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 별로, 상기 제1 스캔 서브필드 또는 상기 제2 스캔 서브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고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first scan subfield or the second scan subfield is fixed for each fra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와, 제2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a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mote control apparatus.
제14항에 있어서,
외부 포인팅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from an external pointing signal processor.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th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팅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포인팅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좌표 정보에 기초한 소정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pointing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And a pointing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output a predetermined image signal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inting signal receiver.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th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KR1020110065448A 2011-07-01 2011-07-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33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48A KR101233215B1 (en) 2011-07-01 2011-07-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48A KR101233215B1 (en) 2011-07-01 2011-07-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40A true KR20130003840A (en) 2013-01-09
KR101233215B1 KR101233215B1 (en) 2013-02-15

Family

ID=4783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448A KR101233215B1 (en) 2011-07-01 2011-07-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21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62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4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3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5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74B1 (en) 2018-08-08 2023-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950A (en) 1998-02-24 1999-08-31 Fujitsu General Ltd Ultrasonic digitizer device
JP2001100917A (en) * 1999-09-29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KR20040085303A (en) 2003-03-31 2004-10-08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RF Signal Detec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562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4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3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1565A (en)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tting Unit for Obtaining Touch Coordin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22584B2 (en) 2020-02-10 2022-01-11 Silicon Works Co., Ltd.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76355B2 (en) 2020-02-10 2022-03-15 Silicon Works Co., Ltd.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07700B2 (en) 2020-02-10 2022-04-19 Silicon Works Co., Ltd.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08863B2 (en) 2020-02-10 2022-04-19 Silicon Works Co., Ltd.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215B1 (en)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21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81700A1 (en) Multi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method
KR20140007580A (e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ulti touch display apparatus
CN103339956B (en) Image display and the method for operation image display
KR20150117018A (en) Compu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ing apparatus thereof, and multi-display system
US20130113725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0157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KR2013005351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110137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60507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US1080379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5916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38988A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20140025A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relation to a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3002524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4935999A (en) VGA signal selection switching module and method applied to OSD menu
KR20130066339A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2013125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48857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28886A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spatial coordin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70072652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KR20160039478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05676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0008117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14203425A (en) Image display system having electronic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