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79U -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479U KR20130003479U KR2020110010749U KR20110010749U KR20130003479U KR 20130003479 U KR20130003479 U KR 20130003479U KR 2020110010749 U KR2020110010749 U KR 2020110010749U KR 20110010749 U KR20110010749 U KR 20110010749U KR 20130003479 U KR20130003479 U KR 201300034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operating
- opening
- locking member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 가이드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operating member operating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 guide portion, an inclined portion that pivots through sliding contact with the actuating member, a catchable portion that is linearly movabl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locks the actuating member; A locking member including an intermediate portion; A confirmation member pivotable by the operating member, for confirming a locked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And hinge coupling part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and each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pivots by sliding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by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operat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to operate the lock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forcibly unlock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member, and during the unlocking operation by the locking member, the operating member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or the separation between them becomes unnatural. By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Description
본 고안은 승강기의 운행 시,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의 잠김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재 및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고안은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elevator is runn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ration membe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the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operation member, It includes a confirmation member for confirming the locked state and a hing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pivots by sliding contact with the actu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by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operat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to operate the lock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forcibly unlock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member, and during the unlocking operation by the locking member, the operating member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or the separation between them becomes unnatural. By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종래의 엘리베이터 또는 승강기의 도어 잠금장치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993-0006340호(1993.09.2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잠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 door lock device of a conventional elevator or elevator, Korean Utility Model No. 1993-006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iscloses a lock device for an elevator door.
상기 종래기술은 상, 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승강로의 지지부재에 체결되는 케이스 내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작동되어 도어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걸림부재를 괘, 해정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케이스내에 지지축을 지축으로 회동 자제되도록 구비되고 도어의 걸림부재에 의해 회동작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와 작동부재에 의해 ON, OFF되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ior art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up and down opening and closing elevator door, the lock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ase fasten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hoistway and rotated by the solenoid to hang the locking member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A locking member for releasing, an operating member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in the case by a support shaft, and a switch unit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the locking member of the door, and is switched on and off by the lock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to send a signal to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잠금부재는 선회동작을 통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걸림부재를 상부 방향으로 강한 힘으로 상승시키게 되면,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locking member is operated through a pivoting operation, when the locking member is raised with a strong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잠금부재가 선회하여 걸림부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ing member can be turn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의 걸림턱의 하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잠금부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의 경사면에 걸림부재가 걸려 동작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In additio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ocking member is caugh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jaw when the lock member is released by the solenoid. There is,
설령 걸림부재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잠금부재는 선회하기 때문에 잠금부재의 걸림턱과 걸림부재의 분리 동작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
Even whe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since the locking member pivots,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becomes unnatural.
더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은 정전시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로드와 연결된 링크를 당겨주면, 작동로드에 의해 작동구가 당겨져 잠금부재가 후퇴하여 걸림부재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지는데,Furthermore, in the prior art, when a power failure or an accident occurs, when the link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to manually open the door, the operation port is pulled by the operation rod so that the locking member is retrac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It consists of
이 경우 작동로드를 당기는 경우 링크에 연결된 잠금부재에 당기는 힘이 제대로 전달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In this case, when pulling the operating rod, it is not easy to properly transfer the pulling force to the locking member connected to the link,
또한 작동로드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승강기 작동 중에 당겨지는 경우 승강기에 심각한 작동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상에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safety problem because the operating ro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elevator is pull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can cause a serious operating erro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which pivots by sliding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by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operat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to lock the operating member by locking the operating member. To prevent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forcibly unlocked,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unlocking operation by the locking member, the operation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or the mutual separation of the unnatural is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본 고안은 잠금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에 연결된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이 도입됨으로써 정전 시나, 또는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by the introduction of the unlocking means for forcibly rotating the op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of the solenoid,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manually in case of power failure or in case of failure of the device,
특히 잠금해제수단이 잠금부재의 개방부재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수동 개방 시, 종래와 같은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작동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여 조작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unlocking means rotates the opening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directl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door does not occur as in the prior art, and the operation is simple and convenient, and it is another object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do.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가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단일 힌지구조를 취함으로써,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hat can realize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by compactly configur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to take a single hinge structure. .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 가이드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ng member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 guide portion, an inclined portion that pivots through sliding contact with the actuating member, a catchable portion that is linearly movabl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locks the actuating member; A locking member including an intermediate portion; A confirmation member pivotable by the operating member, for confirming a locked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And a hinge coupler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and each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잠금부재의 단부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와 연결된 개방부재가 더 구비되고,An end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of the solenoid,
상기 개방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켜 상기 도어의 수동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nlocking means for forcibly rotating the opening member to enable manual opening of the door.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ing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each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and constitute a single rotation center.
본 고안에 따른 도어를 온/오프시키고, 작동편을 갖는 개폐스위치가 더 구비되고,On / off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switch having an operation piece,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에는 상기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접촉하여 누르고,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누름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are in contact with and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is further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잠금부재가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선회하는 경사부가 구비되고, 또한 매개부에 의하여 경사부와 연결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동작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록킹시킴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김 상태에서 작동부재가 강제로 잠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The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pivots by sliding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portion by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operating in a lin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Locking the member can prevent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forcibly unlock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또한 잠금부재에 의한 잠김 해제 동작 시, 작동부재가 잠금부재의 걸림부에 걸리거나, 또는 상호간의 분리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동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during the unlocking operation by the locking member, it is possible to ensure operating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or unnatural separation from each other.
본 고안은 잠금부재의 단부에 구비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에 연결된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이 도입됨으로써 정전 시나, 또는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고,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by the introduction of the unlocking means for forcibly rotating the op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of the solenoid,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manually in case of power failure or in case of failure of the device,
특히 잠금해제수단이 잠금부재의 개방부재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수동 개방 시, 종래와 같은 작동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작동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여 조작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unlocking means directly rotates the opening member of the locking member, manual opening of the door does not occur as in the prior art, and operation is simple and convenient,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of operation.
본 고안은 힌지결합부가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단일 힌지구조를 취함으로써, 잠금부재와 확인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upling part connects each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to take a single hinge structure, thereby compactly configur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thereby realizing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수단에 의한 도어의 수동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manual opening state of the door by the unl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levator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고안의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 화물용 승강기에서 상하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 적용된 것을 전제하여 기술하고 있으나,First of all, the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is applied to a door of vertical slide type in a cargo elevator.
화물용 이외에도 사람을 이송시키거나, 또는 좌우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특정 동작방식이나, 운반 객체에 한정되지 않는 포괄적인 개념의 잠금장치이다.
In addition to the cargo, it can be applied to the door or the sliding doors of the left and right is a comprehensive concept locking device not limited to a specific operation method or a carrying objec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는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3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부재(10); 가이드부(21)와, 상기 작동부재(10)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22)와,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는 걸림부(23)와, 상기 경사부(22)와 걸림부(23)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24)를 포함하는 잠금부재(20); 상기 작동부재(10)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재(30); 및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화물용 승강기에서 상하 슬라이드방식의 도어에 구비되는데,First,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door of the vertical slide method in the cargo lift,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부재(20), 확인부재(30) 및 힌지결합부(40)가 장착되는 케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는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다.
The lo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에서 작동부재(10)는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And in the locking
이때 승강기의 도어가 상하 슬라이드방식인 경우에는 작동부재(10)는 도어의 승강 시에 상승하고, 도어의 하강 시 하강하게 되며,In this case,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a vertical slide method, the
또한 상기 작동부재(10)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근접하여 배열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는 상부에는 제1 노출공(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출공(2)의 하부에는 제2 노출공(3)이 형성되며,A
상기 케이스(1)의 양측벽면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장착공(4)이 구비된다.
Both side wall surfaces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작동부재(10)는1 to 3, in the elevator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도어가 잠김 상태에서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된다.
It i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s described above, and is locked by the
상기 작동부재(10)는 도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11)와, 상기 결합부재(11)와 연결되는 블록체(13)로 구성되고,The
상기 블록체(13)의 하부에는 경사면(13a)이 형성되어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와 접촉되어 미끄럼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An
즉 상기 작동부재(10)는 도어의 승강 시에 승강하고, 도어의 하강 시에 하강하게 되며,That is, the
특히 도어의 하강하는 경우, 즉 도어의 닫힌 경우 작동부재(10)의 블록체(13) 상면이 잠금부재(20)의 걸림부(23) 하면에 걸려 승강이 저지됨으로써 록킹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door is lowered, that is, when the door is cl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잠금부재(20)는1 to 3, in the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하여 도어가 강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Locking the
상기 잠금부재(20)는 가이드부(21)와, 상기 작동부재(10)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22)와,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는 걸림부(23)와, 상기 경사부(22)와 걸림부(23)의 동작을 상호 연계하는 매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상단부가 힌지결합부(40)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1 경사돌출부(22a)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제1 노출공(2)을 통하여 상기 제1 경사돌출부(22a)가 진출입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 벽면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홈(21a)이 형성되어 있으며,The
상기 걸림부(23)는 상부와 하부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21)의 가이드홈(21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1)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제1 노출공(2)을 진출입하게 된다.
The locking
아울러 상기 매개부(24)는 상기 경사부(22)와 상기 걸림부(23)에 상호 대응하도록 장공(24b)이 형성되고,In addition, the
상기 각 장공(24b)에는 안내돌기(24a)가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돌기(24a)는 볼트를 각 장공(24b)에 삽입한 후, 상기 걸림부(23) 하면에서 볼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경사부(22)에 형성된 장공(24b)은 볼트 헤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이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 헤드가 경사부의 장공에서 분리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장공(24b)이 안내돌기(24a)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걸림부(23)가 상기 가이드홈(21a)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Accordingly, when the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을 상기 걸림부(23)와 연계시켜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turning mo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경사부의 장공은 테이퍼진 형태 이외에, 장공의 하부가 단턱을 형성하여 볼트 헤드의 하면이 단턱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tapered shape, the inclined portion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ng hole forms a stepped por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lt head is covered with the stepped portion.
즉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을 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이 상기 경사부(22)의 제1 경사돌출부(22a)와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상기 경사부(22)가 힌지결합부(40)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되고,That is, as shown in FIGS. 4A to 4C, when the operating
이때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21)를 타고 후방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10)가 계속 하강하여 상기 잠금부재(20)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상기 걸림부(23)는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And when the operating
이때 상기 걸림부(23)의 전방부 하면이 상기 작동부재(10)의 상면과 맞닿아 작동부재(10)가 승강되는 것을 저지하여 작동부재(10)를 록킹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는 힌지결합부(40)와 연결된 제1 탄성부재(25)인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22)가 시계방향으로의 선회 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를 벗어나는 경우 탄성을 발휘하여 경사부(22)가 반시계방향을 원상 복귀되는 것을 돕게 된다.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는 개방부재(26)가 연결되어 있고,And the opening
상기 개방부재(26)는 상기 케이스(1)의 내측벽면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50)의 작동로드(51)에 결합되어The opening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로드(51)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개방부재(26)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he
이때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후진하여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어의 수동개방을 위한 잠금해제수단(60)이 더 구비되는데,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locking
상기 잠금해제수단(60)은 승강기의 정전 시나, 또는 승강기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잠김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unlocking means 60 plays a role of forcibly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이를 위한 상기 잠금해제수단(6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키홈(61a)이 형성된 회동체(61)와, 상기 회동체(61)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부재(26) 하부에 배열된 지지체(63)와,The unlocking means 60 for this purpose is rotatably mounted to the
그리고 상기 회동체(61)의 키홈(6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대(65)와, 상기 연결대(65)와 연결된 키뭉치(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connecting
상기 회동체(6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의 장착공(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The rotating
상기 회동체(61)의 키홈(61a)은 십자 또는 일자 형태(첨부된 도면에는 십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로 구성되며,The
상기 연결대(65)는 상기 키홈(6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나 또는 일자 형태(첨부된 도면에는 일자 형태로 도시되어 있음.)로 구성된다.
The connecting
아울러 상기 지지체(63)는 상기 한 쌍의 회동체(61)를 연결하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개방부재(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지지체(63)는 도어프레임의 외부 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키뭉치(67)의 일측에 배열되고, 상기 연결대(65)는 키홈(61a)에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승강기의 정전 시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도어를 강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키뭉치(67)에 키(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Accordingly, when a power failure of the elevator or a failure occurs, a key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상기 지지체(63)가 상기 개방부재(26)의 하부를 떠받쳐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The
이때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를 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경사부(22)의 선회동작 시, 상기 매개부(24)에 의하여 후진하여 상기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를 유사시에 강제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확인부재(30)는In the elevato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하여 상기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0)에 의하여 선회하여 제2 개폐스위치(8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확인 신호를 제어반에 전달하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이 힌지결합부(40)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2 경사돌출부(31)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의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가 진출입하게 된다.
An upper end of the
즉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hat is, as shown in Figures 4a to 4c
확인부재(30)는 상기 작동부재(10)가 하강하여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가 록킹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부재(10)의 경사면(13a)이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와 접촉되어 확인부재(30)가 밀리면서 힌지결합부(40)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The
이때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에 의하여 록킹되면서 상기 확인부재(30)는 도어의 록킹된 상태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에 의하여 작동부재(1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확인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케이스(1) 외부로 돌출되어 원상 복귀되는데,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이때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부에는 제2 탄성부재(33)인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확인부재(30)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 압축되었다가, 상기 작동부재(10)가 상승하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 탄성을 발휘하여 확인부재(30)의 원상 복귀 동작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더 나아가 상기 확인부재(30)의 하단에는 스토퍼(32)가 더 구비되는데,Furthermore, a
상기 확인부재(30)의 스토퍼(32)는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 해제되어 상승하는 경우 상기 확인부재(3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시, 상기 제2 경사돌출부(31)가 상기 케이스(1)의 제2 노출공(3)을 통하여 노출되고, 이때 상기 확인부재(30)를 스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When the
즉 상기 스토퍼(32)는 상기 제2 노출공(3)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1)의 정지부(5)에 걸려 상기 확인부재(30)의 동작을 스톱시키고,That is, the
이 경우 상기 정지부(5)에는 상기 스토퍼(32)와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6)가 구비되어 부재간의 충돌이나, 이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에서, 상기 힌지결합부(40)는In the elevator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3, the
상기 잠금부재(20)와, 상기 확인부재(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의 선회동작 시, 회전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ocking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 형성된 제1 힌지공(28)과,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힌지공(35)에 삽입되는 회전축(41)이 상기 케이스(1)의 내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The
상기 회전축(41) 단부 부분에 형성된 나선부에 체결볼트(45)를 체결하여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를 결합시키게 되며,By fastening the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 확인부재(30) 및 체결볼트(45) 사이에는 지지와셔(43)가 구비되어 각 부재의 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a
특히 상기 힌지결합부(40)는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상단에 형성된 제1 힌지공(28)과, 상기 확인부재(30)의 상단에 형성된 제2 힌지공(35)을 하나의 회전축(41)로 연결하여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게 되는데,In particular, the
이는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가 별도의 힌지결합부(40)를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 부재간의 작동범위가 확보되어야 하고, 또한 각 부재와, 이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40)를 별도의 위치에 취부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입된 것이다.
This means that when the locking
따라서 본 고안에는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를 하나의 힌지결합부(40)에 연결하여 단일 회전중심을 갖는 힌지구조를 도입하여 각 부재의 취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케이스의 폭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더 나아가 본 고안에는 개폐스위치(70)(80)가 더 구비되는데,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스위치는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재(20)와 확인부재(30)의 일측 방향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케이스(1) 하부 내측벽면에 상호 포개지는 형태로 장착되며,The opening and closing switch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에는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이 각각 구비되고,The first and second open /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개폐스위치(70)(8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이 눌리는 경우 작동편에 의하여 스위치를 접속시키는 접속돌기(83)가 각각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switches 70 and 80 are provided with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20)의 경사부(22) 하단과, 상기 확인부재(30)의 후방부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편(71)(81)을 가압하여 누르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1 누름부(27)와 제2 누름부(34)가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우선 도 4a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김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가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눌러 제1 개폐스위치(70)의 접점이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23)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operating
또한 도 4c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가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을 누르게 되므로 도어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when the operating
이 경우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 역시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른 상태가 되고,In this case, the first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10)의 제2 누름부(34)와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가 동시에 해당 개폐스위치(70)(80)의 작동편(71)(81)을 누르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가 안전하게 잠겨있는 상태인 것이다.
Accordingly, the second
자세히 설명하면 걸림부(23)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확인부재(30)가 눌러져서 개폐스위치(70)(80)가 모두 동작해야 잠김확인 신호를 제어반에 보내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locking
아울러 상기 각 누름부(27)(34)는 전방부와 후방부가 서로 다른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데,In addition, the
상기 각 누름부(27)(34)의 경사는 각 경사면(13a)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각 경사면(13a)의 경계부를 기준으로 해당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가압하여 누르거나,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작동편(71)을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우선 도 4a와 같이 도어의 작동이 온(on)된 상태는 상기 잠금부재(20)의 제1 누름부(27)는 후방부 하면이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르고,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operation of the door is turned on, the first pressing
이에 반하여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는 후방부 하면이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다.
On the contrary, the lower pressing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도어의 작동이 오프(off)된 상태는 작동부재(10)에 의하여 상기 잠금부재(20)는 시계방형을 선회하고, 이때 상기 제1 누름부(27)도 선회하여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이 제1 누름부(27)의 경계부를 넘어 위치하게 되어 누름 상태가 해제된다.
Next, as shown in FIG. 4B, when the operation of the door is turned off (off), the locking
그리고 도 4c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가 잠금부재(20)의 걸림부(23)에 의하여 잠김 상태가 되면 상기 확인부재(30)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이때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은 상기 제2 누름부(34)의 경계부를 넘어 전방부 하면에 가압되어 눌러지게 되고,And when the operating
동시에 상기 잠금부재(20)는 반시계방향을 회전하여 상기 제1 누름부(27)는 다시 해당 제1 개폐스위치(70)의 작동편(71)을 누르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더 나아가 상기 확인부재(30)의 제2 누름부(34)는 해당 제2 개폐스위치(80)의 작동편(81)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덧댄판(36)을 결합하여 제2 누름부(34)의 하면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secon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1 : 케이스 2 : 제1 노출공
3 : 제2 노출공 4 : 장착공
5 : 정지부 6 : 완충부재
10 : 작동부재 11 : 결합부재
13 : 블록체 13a : 경사면
20 : 잠금부재 21 : 가이드부
21a : 가이드홈 22 : 경사부
22a : 제1 경사돌출부 23 : 걸림부
24 : 매개부 24a : 안내돌기
24b : 장공 25 : 제1 탄성부재
26 : 개방부재 27 : 제1 누름부
28 : 제1 힌지공
30 : 확인부재 31 : 제2 경사돌출부
32 : 스토퍼 33 : 제2 탄성부재
34 : 제2 누름부 35 : 제2 힌지공
36 : 덧댄판
40 : 힌지결합부 41 : 회전축
43 : 지지와셔 45 : 체결볼트
50 : 솔레노이드 51 : 작동로드
60 : 잠금해제수단 61 : 회동체
61a : 키홈 63 : 지지체
65 : 연결대 67 : 키뭉치
70 : 제1 개폐스위치 71 : 제1 작동편
80 : 제2 개폐스위치 81 : 제2 작동편
83 : 접속돌기1: Case 2: First exposure hole
3: second exposure hole 4: mounting hole
5: stop part 6: buffer member
10: operating member 11: coupling member
13:
20: locking member 21: guide portion
21a: guide groove 22: inclined portion
22a: first inclined protrusion 23: locking portion
24:
24b: long hole 25: first elastic member
26: opening member 27: the first pressing part
28: first hinge ball
30: confirmation member 31: second inclined protrusion
32: stopper 33: second elastic member
34: 2nd press part 35: 2nd hinge hole
36: pad
40: hinge coupling portion 41: rotation axis
43: support washer 45: fastening bolt
50: solenoid 51: operating rod
60: unlocking means 61: rotating body
61a: keyway 63: support
65: connecting rod 67: bundle of keys
70: first opening and closing switch 71: the first operating piece
80: second opening and closing switch 81: the second operation piece
83: connection protrusion
Claims (4)
가이드부와, 상기 작동부재와 미끄럼 접촉을 통하여 선회하는 경사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시키는 걸림부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의 동작을 상호 연계시키는 매개부를 포함하는 잠금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결합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An operating membe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 guide portion, an inclined portion pivoting through sliding contact with the actuating member, a catching portion movable linearly along the guide portion, and locking the actuating member; A locking member including an intermediate portion;
A confirmation member pivotable by the operating member, for confirming a locked state of the operating member; A hinge coupler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and each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Elevator door lock device comprising a.
상기 잠금부재의 단부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로드와 연결된 개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개방부재를 강제 회전시켜 상기 도어의 수동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 end of the lock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of the solenoid,
An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member, the unlocking means for forcibly rotating the opening member to enable manual opening of the door.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단일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inge coupler i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identification member, the elevator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gure a single rotation center.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작동편을 갖는 개폐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확인부재에는 상기 개폐스위치의 작동편을 접촉하여 누르고,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누름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switch having a working piec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Elevator door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and the confirmation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pie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switch, and further provided with pressing portion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en) | 2011-12-02 | 2011-12-02 |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en) | 2011-12-02 | 2011-12-02 |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479U true KR20130003479U (en) | 2013-06-12 |
KR200469341Y1 KR200469341Y1 (en) | 2013-10-08 |
Family
ID=5073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749U KR200469341Y1 (en) | 2011-12-02 | 2011-12-02 |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341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54062A (en) * | 2019-04-16 | 2019-07-26 |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elevator door lock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195Y1 (en) | 2014-04-03 | 2014-09-23 | 강만구 | Goods lif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6340Y1 (en) * | 1991-09-18 | 1993-09-20 | 김진후 | Door locking device in elevator |
KR20060040320A (en) * | 2004-11-05 | 2006-05-10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 car door locking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
KR20080086235A (en) * | 2007-03-22 | 2008-09-25 | (주)동인산전 | Elevator open & close equpment |
-
2011
- 2011-12-02 KR KR2020110010749U patent/KR200469341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54062A (en) * | 2019-04-16 | 2019-07-26 |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elevator door lock device |
CN110054062B (en) * | 2019-04-16 | 2024-04-02 | 杭州优迈机电科技有限公司 | Elevator door lock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341Y1 (en) | 201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0635B1 (en) | Deadlocking guidance device for latch bolt in door lock | |
JP6518011B2 (en) | Door latch system | |
CN102923554A (en) | Integrated door knife for car door lock | |
CN103132825B (en) | Door lock assembly | |
KR200469341Y1 (en) | Locking device of elevator door | |
KR101598958B1 (en) |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Mortise Lock | |
WO2024179394A1 (en) | Miniature electric self-unlocking locking apparatus | |
KR101450814B1 (en) | Interlocking device for elevator door lock in ship | |
KR100785705B1 (en) | Opening and closing tilt device of sliding window | |
KR100908685B1 (en) | Dual safety door lock | |
CN206842803U (en) | A kind of asynchronous door knife | |
KR101269967B1 (en) | Button type safety 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 |
KR20210073116A (en) | Flush glass apparatus | |
CN214659460U (en) | Linkage locking structure of world lock | |
JP2008208588A (en) | Outside door handle | |
CN105257093B (en) | A kind of Manual un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 |
CN106760946B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lock | |
CN220319344U (en) | Mechanical auxiliary lock with double lock hooks for caravan | |
JPH0882140A (en) | Handle device for locking | |
JP2528753B2 (en) | Window shoji control device | |
JP2008261154A (en) | Manual operating device of shutter | |
CN112502552A (en) | Furniture operating device with locking function | |
KR102502520B1 (en) | Locking device for swing door of elevator | |
JP5364406B2 (en) | Sliding door device with hinged door | |
CN220580750U (en) | Door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