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21U -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21U
KR20130003321U KR2020110010526U KR20110010526U KR20130003321U KR 20130003321 U KR20130003321 U KR 20130003321U KR 2020110010526 U KR2020110010526 U KR 2020110010526U KR 20110010526 U KR20110010526 U KR 20110010526U KR 20130003321 U KR20130003321 U KR 20130003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emical anchor
discharging
present
reu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송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림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21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 F16B13/143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using frangible cartridges or capsules containing the setting components
    • F16B13/144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using frangible cartridges or capsules containing the setting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nfiguration or material of the frangible cartridges or caps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작하여 계속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용기 제작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일회용 용기를 재활용 재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친환경적인 재질(폐기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산업쓰레기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화제 용기를 주재용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인 실리콘 주입기를 이용하여도 쉽게 케미컬앵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컬 앵커 토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Chemical anchor tochulyong reusable containers}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작하여 계속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용기 제작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일회용 용기를 재활용 재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친환경적인 재질(폐기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산업쓰레기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화제 용기를 주재용기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인 실리콘 주입기를 이용하여도 쉽게 케미컬앵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컬 앵커 토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입식 케미컬 앵커는 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 또는 암반 등의 모재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화학물질을 충진시킨 다음 앵커볼트를 삽입한 뒤 접착 응고시켜 앵커볼트를 고착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주재 조성물이 저장된 주재용기의 일측에 경화제가 저장된 경화제 용기가 부착되며 서로 연결된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주재와 경화제가 동시에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주입식 케미컬 앵커의 구체적인 형태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고안된 실용신안등록 제396507호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명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앵커는 용기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에 압출봉이 장착된 상태로 주입식 케미컬 앵커 전용 인젝숀디스펜스에 장착되고 레버를 이용하여 일측의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주재와 경화제가 동시에 압출봉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을 다한 용기는 폐기되고 새로운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입식 케미컬 앵커는 사용상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로, 용기는 견고한 합성수지제로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주재와 경화제가 피스톤에서 발생된 강한 압력에도 형태의 변화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을 다한 앵커용기는 폐기되는데 사용되는 앵커가 대량이어서 폐기되는 앵커용기가 많이 발생하여 산업폐기물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용기의 제작에 있어서도 견고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였다.
둘째로, 주재용기의 외측에 경화제 용기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주재용 경화제를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는 각각의 피스톤이 형성된 앵커용기 전용 인젝숀디스펜스를 사용해야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실리콘을 바를 때 널리 사용하는 실리콘 건은 1개의 피스톤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병행하여 사용할 수가 없으며, 따라서 주입식 케미컬 앵커를 사용하려면 전용 인젝숀디스펜스를 구입해야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미컬앵커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폐용기를 일회성 용기와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로 분할하고 일회성 용기는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얇게 제작하거나 또는 매립시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재사용 용기는 견고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폐기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임과 동시에 일회용 용기의 매립시 분해성을 우수하게 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주재용기와 경화제 용기를 하나의 원통형 용기를 구획하여 충전함으로써 실리콘 주입기와 같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주입기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케미컬앵커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 쌍의 반원형 용기가 측면의 힌지부에 의하여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의 대항면에 결착수단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여러 개의 "ㄴ"자 홈을 갖는 토출부가 형성된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에서 결착수단은 용기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와 대응되는 용기의 일면에 홈이 형성된 결착부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과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일측을 확장하고 내부에 자석을 수용하여 구성된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용기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판매되는 일회용 케미컬앵커 용기를 얇고 저가의 폐플라스틱에서 얻어진 폐자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케이스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케미컬앵커의 구입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폐자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자재를 이용하여 일회용 용기를 제작함으로써 폐기물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 효과가 있다.
또한, 일회용 용기는 하나의 용기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주재와 경화제를 수용하고 이를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주입건을 이용하여도 쉽게 케미컬앵커를 사용할 수 있는 호완성을 갖음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열린 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100)는 일측에 토출부(20, 20')를 갖는 한 쌍의 반원통형 용기(10, 10')가 측면에 형성된 여러 개의 힌지부(30)에 의하여 서로 접철되게 형성되며 힌지부(30)의 반대편에 접철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결착수단(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부(20, 20')는 외주면에 여러 개의 "ㄴ"자형 조립홈(21, 21')을 형성하여 토출구 보호용 캡(미도시)이나 압출봉(미도시)을 원터치 식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용기(10, 10')의 토출부(20, 20') 반대편은 개방되어 주재와 경화제를 가압하는 피스톤(미도시)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착수단(40)은 용기(10, 1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41)가 결착부(42)이 형성된 홈(43)에 끼움되어 용기가 자연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착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 10')의 일측을 확장하여 자석(50)을 삽입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10, 10')에 삽입되는 주재와 경화제 용기(60)(이하, '일회용 용기'라 함)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폐플라스틱 등의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녹말 등의 쉽게분해되는 수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용기의 제작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거나 또는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회용 용기(60)는 내부의 격벽(61)에 의하여 주재수용부(62)와 경화제수용부(63)로 구획되며 일측에 주재와 경화제가 동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6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일회용 용기는 외형이 원통형상으로 제작됨으로서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용기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실리콘주입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입식 케미컬 앵커의 사용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토출부(64)의 외주면은 용기(10, 10')의 토출구(20, 20') 내면에 밀착됨으로서 압출되는 주재와 경화제가 원활하게 압출봉(미도시)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제와 경화제가 모두 사용된 일회용 용기(60)는 재사용 용기(10, 10')의 결착수단(40)을 개방하여 배출하고 새로운 일회용 용기를 삽입하고 결착수단(40)을 밀폐하여 사용함으로써 재사용 용기(10, 10')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10' ... 용기 20, 20' ... 토출구
21, 21' ... 조립홈 30 ... 힌지부
40 ... 결착수단 41 ... 돌기
42 ... 결착부 43 ... 홈
50 ... 자석 60 ... 일회용 용기
61 ... 격벽 62 ... 주재수용부
63 ... 경화제 수용부 64 ... 토출구

Claims (3)

  1. 한 쌍의 반원형 용기(10, 10')가 측면의 힌지부(30)에 의하여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30)의 대항면에 결착수단(40)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여러 개의 "ㄴ"자 홈(21, 21')을 갖는 토출부(20, 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용기(10) 일측에 돌기(41)를 형성하고 이 돌기와 대응되는 용기(10')의 일면에 홈(43)이 형성된 결착부(42)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과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용기(10, 10')를 길이방향으로 일측을 확장하고 내부에 자석(50, 50')을 수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KR2020110010526U 2011-11-28 2011-11-28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KR20130003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26U KR20130003321U (ko) 2011-11-28 2011-11-28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26U KR20130003321U (ko) 2011-11-28 2011-11-28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21U true KR20130003321U (ko) 2013-06-05

Family

ID=5242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26U KR20130003321U (ko) 2011-11-28 2011-11-28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608B1 (ko) 카트리지 및 다성분 카트리지
KR20140079409A (ko) 카트리지, 카트리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다성분 카트리지
JP2008538344A (ja) 多成分カートリッジ
KR20130061136A (ko) 자기 지지 카트리지, 이러한 카트리지를 위한 분배 장치 및 그 카트리지의 사용 방법
SI1897814T1 (sl) Posoda
KR20190024982A (ko) 카트리지, 코어, 몰드 및 카트리지 제조 방법
US8297474B2 (en) Cartridge for multi-component masses
KR20190094162A (ko)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KR20130003321U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JP5771485B2 (ja) 樹脂成形体、曲管射出成形用型及び曲管射出成形方法
KR101514778B1 (ko) 폼블록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폼블록 성형방법
KR101369005B1 (ko)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
CN211894447U (zh) 浓缩液包装瓶及具有该包装瓶的喷雾瓶
KR200370847Y1 (ko) 케미컬 앵커용 토출부 개/폐 구조
KR200364838Y1 (ko) 케미컬 앵커용 입구부 마개의 미세구멍 개/폐 캡
KR101304331B1 (ko) 튜브형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
KR101481718B1 (ko) 이종 용기 케이스
KR101201221B1 (ko) 잉크비닐팩 내장용 카트리지
JP2011173629A (ja) 発泡樹脂製容器用のドレン弁及びドレン弁付容器
KR20090042076A (ko) 장전식 치과용 카트리지
JP2009120108A (ja) ウォッシャタンク
JP2007015390A (ja) 容器の製造方法
KR20110003405U (ko) 재충전 사용이 가능한 방향제 용기
JP2012232492A (ja) インキ補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