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12A - 배터리 충전회로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12A
KR20130002912A KR1020110086001A KR20110086001A KR20130002912A KR 20130002912 A KR20130002912 A KR 20130002912A KR 1020110086001 A KR1020110086001 A KR 1020110086001A KR 20110086001 A KR20110086001 A KR 20110086001A KR 20130002912 A KR20130002912 A KR 2013000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battery
power supply
charg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민
Original Assignee
윤천영
홍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천영, 홍준희 filed Critical 윤천영
Priority to US13/535,644 priority Critical patent/US9184612B2/en
Priority to CN2012102341800A priority patent/CN102856950A/zh
Publication of KR2013000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충전회로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배터리(Unit Battery)들과,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의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와,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에 따라,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에 제공하는 충전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충전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회로{BATTERY CHARGING CIRCUIT}
본 발명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들로 구성된 배터리팩의 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 충전시 각 배터리의 전압을 동일하게 맞추어 주는 cell-balancing을 위한 것이다.
배터리가 직렬 연결되어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면 배터리마다 다른 수명때문에 각 배터리의 전압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배터리마다 서로 다른 전압을 갖고 충방전을 반복할경우 열화가 보다 많이 진행된 배터리는 방전시 과다 방전하고 충전시 과다충전되어 열화과정이 가속되고 이는 전체 배터리팩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배터리팩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의 충방전정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한데 보통 이를 위해 배터리전압들을 모두 똑같이 맞춰준다. 이를 Cell-balancing이라고 하며 이런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배터리 충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배터리(BAT1~BAT4)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단위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전류경로 형성부가 구비되어 있다. 전류경로 형성부는 저항(R) 및 스위치(SW)로 구성되며, 해당 단위 배터리가 완충되었을 때 전류경로를 형성하여, 단위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또한, 충전전원 공급부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BAT1~BAT4) 중 제1 단위 배터리(BAT1)의 양극과, 제4 단위 배터리(BAT4)의 음극 사이에 접속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이미 완전 충전(완충)되어서 충전할 필요가 없는 제1 단위 배터리 (BAT1), 제3 단위 배터리(BAT3) 및 제4 단위 배터리(BAT4)에 선택된 전류경로 형성부의 스위치(SW1,SW3,SW4)는, 턴온(TURN ON) 되어 전류의 이동을 해당 저항(R1,R3,R4)쪽으로 경유하도록 한다. 즉, 완충된 단위 배터리(BAT1, BAT3, BAT4)들이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전류경로를 저항쪽으로 우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단위 배터리가 완충되었더라도 저항 측으로 전류 흐름이 존재하고, 이는 열의 형태로 발산되어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등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완충된 단위 배터리의 수가 증가할수록 즉, 저항 측으로 우회되는 전류경로가 많아질수록 에너지 낭비는 더욱 심화된다.
또한, 저항 측으로 전류경로를 우회시키더라도 누설 전류에 의해 이미 완충된 단위 배터리에 전하가 유입되어 과충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단위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전류경로를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배터리 (Unit Battery)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의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에 제공하는 충전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충전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배터리 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의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제어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감지한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충전제어펄스 생성부; 및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에 제공하는 충전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충전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충전이 필요한 단위 배터리 측으로만 선택적으로 전류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위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충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회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충전회로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BAT1 ~ BAT5)와,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11_1 ~ 15_2)와, 제어부(20)와, 충전전원 공급부(3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충전회로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단위 배터리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단위 배터리는 모든 종류의 이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납축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단위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를 도시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을 구성하는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CTRL1_1 ~ CTRL2_5)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는, 복수의 전류 유입부(11_1,12_1,13_1,14_1,15_1)와, 복수의 전류 유출부(11_2,12_2,13_2,14_2,15_2)로 구성된다. 각 전류 유입부는 복수의 선택신호(CTRL1_1,CTRL2_1,CTRL3_1,CTRL4_1, CTRL5_1)에 의해 선택된 제1 스위칭부(T1_1,T2_1,T3_1,T4_1,T5_1)에 의해 실제 전류의 유입이 발생하며 각 전류 유출부는 복수의 선택신호(CTRL1_2,CTRL2_2,CTRL3_2,CTRL4_2,CTRL5_2)에 의해 선택된 제2 스위칭부(T1_2,T2_2,T3_2,T4_2,T5_2)에 의해 실제 전류의 유출이 발생한다. 전류 유입부는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A+)과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양극에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전류 유출부는 충전전원 공급부(30)의 타단(A-)과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음극에 접속된다.
제1 노드(N1_1,N2_1,N3_1,N4_1,N5_1)는 제1 스위칭부와 제1 다이오드(D1_1,D2_1,D3_1,D4_1,D5_1) 사이 위치하며, 제2 노드(N1_2,N2_2,N3_2,N4_2,N5_2)는 제2 스위칭부와 제2 다이오드(D1_2,D2_2,D3_2,D4_2,D5_2) 사이 위치한다.
한편, 복수의 전류 유입부 중에서 대표적으로 제1 전류 유입부(11_1)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전류 유입부(11_1)는, 복수의 선택신호(CTRL1_1 ~ CTRL5_2) 중 할당된 선택신호(CTRL1_1)의 제어를 받는 제1 스위칭부(T1_1)와,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A+)과 제1 노드(N1_1) 사이에 접속되는 제1 기생다이오드(DP1_1)와, 제1 노드(N1_1)와 선택된 단위 배터리(BAT1)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D1_1)로 구성된다. 즉, 제1 다이오드(D1_1)의 애노드(Anode)는 제1 스위칭부(T1_1)에 접속되고, 제1 다이오드(D1_1)의 캐소드(Cathode)는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스위칭부(T1_1,T2_1,T3_1,T4_1,T5_1)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사용한 예를 든 것이다. 이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 성분을 모식화한 것이 제1 기생다이오드(DP1_1,DP2_1,DP3_1,DP4_1,DP5_1)이다. 이와 같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로 인한 이상 전류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다이오드(D1_1,D2_1,D3_1,D4_1,D5_1)를 연결한 것이다.
즉, 복수의 전류 유입부의 다이오드들(DP1_1,DP2_1,DP3_1,DP4_1,DP5_1)은 모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이다.
또한, 복수의 전류 유출부중에서 대표적으로 제1 전류 유출부(11_2)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전류 유출부(11_2)는, 복수의 선택신호(CTRL1_1 ~ CTRL5_2) 중 할당된 선택신호(CTRL1_2)의 제어를 받는 제2 스위칭부(T1_2)와 제2 노드(N1_2)와 단위 배터리 (BAT1)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기생다이오드(DP1_2)와, 제2 노드(N1_2)와 충전전원 공급부(30)의 타단(A-)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D1_2)로 구성된다. 즉, 제2 다이오드(D1_2)의 캐소드는 충전전원 공급부(30)의 타단(A-)에 접속되고, 제2 다이오드(D1_2)의 애노드는 제2 스위칭부(T1_2)에 접속된다. 또한, 제2 기생다이오드(DP1_2)의 애노드는 제2 다이오드(D1_2)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제2 기생다이오드(DP1_2)의 캐소드는 단위 배터리(BAT1)의 양극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스위칭부(T1_2,T2_2,T3_2,T4_2,T5_2)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예를 든 것이다. 이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 성분을 모식화한 것이 제2 기생다이오드(DP1_2,DP2_2,DP3_2,DP4_2,DP5_2)이다. 이와 같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로 인한 이상 전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다이오드(D1_2,D2_2,D3_2,D4_2,D5_2)를 연결한 것이다.
즉, 복수의 전류 유출부의 다이오드들(DP1_2,DP2_2,DP3_2,DP4_2,DP5_2)은 모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내부 기생 다이오드이다.
제어부(20)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충전제어펄스(PWM1,PWM2)의 듀티비를 조절한다. 참고적으로 제어부(20)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배터리 제어부(22)와, 충전제어펄스 생성부(21)로 구성된다. 배터리 제어부(22)는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제어펄스 생성부(21)는 배터리 제어부(22)에서 감지한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제어펄스(PWM1,PWM2)의 듀티비를 조절한다. 여기에서 충전제어펄스는 제1 충전제어펄스(PWM1) 및 제2 충전제어펄스(PWM2)로 구분할 수 있는데, 두 신호의 위상은 서로 반전된 관계를 갖는다. 즉, 제1 충전제어펄스(PWM1) 및 제2 충전제어펄스(PWM2)는 차동형태의 신호이다. 즉, 충전제어펄스 생성부(21)는 충전이 필요한 단위 배터리의 수가 많아질수록 제1 충전제어펄스(PWM1)의 듀티비가 점점 커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 충전제어펄스(PWM2)는 제1 충전제어펄스(PWM1)과 반전된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충전제어펄스(PWM1)의 듀티비가 점점 커짐에 따라 제2 충전제어펄스(PWM2)의 듀티비는 점점 작아지게 된다.
충전전원 공급부(30)는 충전제어펄스(PWM1,PWM2)의 듀티비에 따라,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11_1 ~ 15_2)에 제공하는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A+)과 타단(A-) 사이의 전압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전원 공급부(30)는, 변압기(31), 정류기(32), 제1 전압단(V+)과 컨버터 노드(NCON)사이에 접속되며 제1 충전제어펄스(PWM1)의 제어를 받는 제1 트랜지스터(IGBT1)와, 제2 전압단(V-)과 컨버터 노드(NCON)사이에 접속되며 제1 충전제어펄스(PWM1)와 반전관계인 제2 충전제어펄스(PWM2)의 제어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IGBT2)와, 컨버터 노드와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 (A+) 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터(L)와,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 (A+)과 충전전원 공급부(30)의 타단 (A-)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인덕터(L)로 인한 리플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평활용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충전이 필요한 단위 배터리의 수가 많아질수록 제1 충전제어펄스(PWM1)의 듀티비가 점점 커지게 되는데, 제1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가 점점 커질수록 충전전원 공급부(30)의 일단 (A+) 및 타단(A-)에서 출력되는 충전전원의 전압의 크기가 점점 증가한다.
제1 전압단(V+) 및 제2 전압단(V-)을 통해서 충전전원 공급부(30)에 제공되는 구동전압은, 변압기(31) 및 정류기(32)를 통해서 생성된 전압이다. 이 변압기(31)의 1차 권선쪽은 전력망에 직접 연결되거나 전력망의 AC를 스케일 다운(scale down)하여 연결되며 2차 권선쪽은 1차 권선의 AC와 형태는 같으나 스케일이 크거나 작은 AC가 된다. 이 변압기(31)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에서 생성된 AC를 입력으로도 받을 수 있으며, 변압기(31)는 PCS 또는 BMS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트랜지스터(IGBT1) 및 제2 트랜지스터(IGBT2)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로 구성한 예를 든 것으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제2 단위 배터리(BAT2) 및 제3 단위 배터리(BAT3)이 선택되어 충전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2 전류 유입부(12_1) 및 제3 전류 유출부(14_2)의 스위칭부(T2_1,T4_2)만이 턴온(TURN ON) 되어 제2 단위 배터리(BAT2) 및 제3 단위 배터리(BAT3)에만 전류경로가 형성된다. 즉, 충전이 필요한 제2 단위 배터리(BAT2) 및 제3 단위 배터리(BAT3)에만 전류경로가 형성되므로,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없앨 수 있으며, 완충된 나머지 단위 배터리가 과충전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배터리(Unit Battery)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의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에 제공하는 충전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충전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는,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양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 유입부; 및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음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 유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유입부는 ,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 중 할당된 선택신호의 제어를 받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1 기생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노드와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유출부는 각각,
    충전 필요에 의해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 중 할당된 선택신호의 제어를 받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2 노드와 충전 필요에 의해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음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기생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Unit Battery)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감지한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충전제어펄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는,
    제1 전압단과 컨버터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충전제어펄스의 제어를 받는 제1 트랜지스터;
    제2 전압단과 상기 컨버터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충전제어펄스와 반전관계인 제2 충전제어펄스의 제어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컨버터 노드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터; 및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속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은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8.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배터리(Unit Battery)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의 각 단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 배터리에 충전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제어부;
    상기 배터리 제어부에서 감지한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하는 충전제어펄스 생성부; 및
    상기 충전제어펄스의 듀티비에 따라,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에 제공하는 충전전원의 전압을 조절하는 충전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경로 형성부는,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양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 유입부; 및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음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 유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유입부는 각각,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 각각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 중 할당된 선택신호의 제어를 받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1 기생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노드와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양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유출부는 각각,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음극과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복수의 선택신호 중 할당된 선택신호의 제어를 받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2 노드와 선택된 단위 배터리의 음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기생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는,
    제1 전압단과 컨버터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충전제어펄스의 제어를 받는 제1 트랜지스터;
    제2 전압단과 상기 컨버터 노드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 충전제어펄스와 반전관계인 제2 충전제어펄스의 제어를 받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컨버터 노드와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 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터; 및
    상기 충전전원 공급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접속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배터리들은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회로.
KR1020110086001A 2011-06-29 2011-08-26 배터리 충전회로 KR20130002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35,644 US9184612B2 (en) 2011-06-29 2012-06-28 Battery charging circuit
CN2012102341800A CN102856950A (zh) 2011-06-29 2012-06-29 电池充电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3670 2011-06-29
KR1020110063670 2011-06-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351A Division KR20140111242A (ko) 2014-08-27 2014-08-27 배터리 충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12A true KR20130002912A (ko) 2013-01-08

Family

ID=4783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01A KR20130002912A (ko) 2011-06-29 2011-08-26 배터리 충전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84612B2 (ko)
KR (1) KR201300029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378A1 (ko) * 2013-04-10 2014-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620B2 (en) * 2012-06-28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7734A1 (en) * 2003-04-30 2004-11-04 Shum King Mo Battery charger circuit
US20120249066A1 (en) * 2009-11-26 2012-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378A1 (ko) * 2013-04-10 2014-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방법
KR20140122495A (ko) * 2013-04-10 2014-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방법
US9755210B2 (en) 2013-04-10 2017-09-05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4612B2 (en) 2015-11-10
US20130249489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5937B2 (ja) 直列接続バッテリーストリングのための均等充電方法及び装置
KR101124725B1 (ko) 전하 균일 장치
KR101124800B1 (ko) 전하 균일 장치
US92701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balancing electrical cells
US9368977B2 (en) Battery equalization circuits for series charging/discharging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101122598B1 (ko) 배터리 셀 균등 충전 장치
KR101677679B1 (ko) 2차 전지 스택을 위한 전력 관리 회로
CN101606300B (zh) 均衡充电设备
US9065277B1 (en) Battery backup system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US20090140693A1 (en) Flyback charge redistribution apparatus for serially connected energy storage devices using flyback-type converters
KR20140140182A (ko) Dc 전력 계통용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KR20130023003A (ko) 배터리 충전 회로
KR20130002912A (ko) 배터리 충전회로
KR20140111242A (ko) 배터리 충전회로
CN102856950A (zh) 电池充电电路
RU2230418C1 (ru) Батарея химических источников тока
JP2020043763A (ja) 蓄電状態調整装置、電池パック、負荷システム及び蓄電状態調整方法
JP2004129455A (ja) 自己補充電機能付き直列接続キャパシタ
CN118157286B (zh) 一种电池均衡系统及电子设备
KR101525937B1 (ko) 배터리 충전 회로
KR20140111244A (ko) 배터리 충전 회로
KR20130023002A (ko) 배터리 충전 회로
JP2020182336A (ja) 組電池の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メンテナン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