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708U -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708U
KR20130002708U KR2020130000480U KR20130000480U KR20130002708U KR 20130002708 U KR20130002708 U KR 20130002708U KR 2020130000480 U KR2020130000480 U KR 2020130000480U KR 20130000480 U KR20130000480 U KR 20130000480U KR 20130002708 U KR20130002708 U KR 201300027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erminal
main body
area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339Y1 (ko
Inventor
송민섭
Original Assignee
송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섭 filed Critical 송민섭
Publication of KR20130002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슬라이더를 통해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이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와, 상기 각 몸체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하드웨어가 실장되고,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되고, 전면에 적어도 제2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확장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본체가 상호 슬라이드 중첩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면적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단말기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휴대의 편의와, 확장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및 조작의 편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면적을 축소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파손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Adjustable display area of the mobil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가 각각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몸체가 슬라이더를 통해 단말기의 면적을 축소 및 확장하여 단말기의 휴대는 물론, 디스플레이의 확장을 통해 시인성 향상과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으며, 주로 시인성 내지는 터치 등의 조작의 편의를 위해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는 넓은 화면에서 동영상 내지는 DMB시청 및 전자서적 등에 의한 독서 등이 용이하여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는 외부 노출면적이 넓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대형화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중 특히, 휴대폰(대략 4in 이상)의 경우 의복에 구비된 포켓에 휴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특히 디스플레이가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충격에 의한 파손 범위가 넓어 별도의 보호부재를 장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부담을 동시에 유발시킨다.
또한, 대형화된 디스플레이는 그 가격이 고가이므로, 단말기의 제조원가의 주요 상승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피에 따른 휴대성은 물론, 디스플레이의 확장을 통해 시인성 및 조작성의 편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며, 나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가 슬라이더를 통해 상호 슬라이드 중첩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면적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휴대의 편의와, 확장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및 조작의 편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면적을 축소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파손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몸체 중 상호 인접하는 경계영역의 베젤을 생략함으로써 복수의 몸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등을 단절됨 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를 중첩시킨 이후 베젤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는 걸림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내구성을 보완한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슬라이더를 통해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이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와, 상기 각 몸체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하드웨어가 실장되고,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되고, 전면에 적어도 제2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확장부;를 개시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음각의 레일; 및 상기 확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과 맞물려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양각의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수평의 영역과, 중첩된 상기 확장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수직 영역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를 확장할 때, 각 디스플레이의 평면적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 맞물리는 음양의 계단형 확장 구조로서, 상기 레일은, 내측 공간이 계단 형태로 확장된 구조인 것이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의 형태에 대응하는 직사각의 계단적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몸체의 중첩 및 확장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가이드 단부의 탄력적 돌출을 위한 탄성볼; 및 상기 레일의 각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볼이 탄력적으로 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이드가 마련된 제1커버부재와, 전면에 제2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을 통해 상기 본체 상층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확장부; 및 상기 가이드가 마련된 제2커버부재와, 전면에 제3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타 측면을 통해 상기 제1확장부 상층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하드웨어의 배치는 상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거나, 상기 각 몸체에 분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를 통한 상기 단말기의 중첩 및 확장에 대응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된 화면이 확장 표시되거나, 해상도를 확대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확장부의 확장상태를 지지하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고정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면적을 확장할 때, 서로 맞닿는 상기 본체의 양측과,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일측에 대한 베젤이 삭제되어, 확장에 따른 화면의 단절을 방지하고, 확장된 일체형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확장부는, 제1베젤의 저면이 돌출되고, 상기 안착홈과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걸림턱; 및 상기제1베젤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3디스플레이의 일면을 감싸는 제2걸림턱;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확장부는, 제2베젤이 형성된 일면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3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본체가 상호 슬라이드 중첩 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면적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단말기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휴대의 편의와, 확장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및 조작의 편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단말기의 면적을 축소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파손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몸체 중 상호 인접하는 경계영역의 베젤을 생략함으로써 복수의 몸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등을 단절됨 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를 중첩시킨 이후 베젤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는 걸림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의 내구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작동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4 A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 상태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60)가 장착된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110)가 상호 슬라이드 결합하거나, 확장되어 적어도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을 소형화 내지는 대형화하여 휴대는 물론, 시인성 향상 및 조작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110)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20)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일 측면에 연장부(130)가 마련되고, 본체(120)와 연장부(130)는 슬라이더(170)를 통해 상호 중첩 내지는 확장 가능하게 구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PMP, 네비게이션, 테블릿PC 및 휴대폰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디스플레이(160)는 감압 내지는 정전압을 이용한 터치패널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10)는 제1디스플레이(161)가 구비된 본체(120)와, 슬라이더(170)를 통해 본체(120)와 중첩 내지는 양측으로 슬라이드 확장되고, 제2디스플레이(163) 내지는 제3디스플레이(165)가 구비된 연장부(130)로 크게 구성되며, 이때, 연장부(130)는 제2디스플레이(163)가 구비된 제1연장부(140)와, 제3디스플레이(165)가 구비된 제2연장부(150)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160)이 면적을 확장할 때, 서로 맞닿는 본체(120)의 양측과, 제1확장(140)부 및 2확장부(150)의 일측에 대한 베젤(200)이 삭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젤(bezel)은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그외 테두리 영역인 것이다.
이러한 베젤(200)의 삭제는 각 디스플레이(161,163,165)가 서로 맞닿을 시, 화면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즉, 각 디스플레이(161,163,165)의 사이 간격을 배제함으로써, 시인성은 물론, 화면의 양호한 연결상태를 위한 것이다.
본체(120)는 단말기(100)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메인보드, 중앙처리장치 및 기억장치 등의 모듈)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양측에는 연장부(130)를 지지하는 안착홈(121)이 형성된다.
이때, 하드웨어는 본체(120)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각 연장부(130)에 각각 분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 제작방식을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20)와 연장부(130)의 원활한 상호 중첩 및 확장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더(170)의 구성 중, 레일(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 상/하면에 음각의 형태로 마련된 레일(171)과, 레일(171)에 대응하는 확장부(130)에 마련된 양각의 가이드(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1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79)와 맞물리는 제1연장부(1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제1레일(173) 및 제2가이드(181)와 맞물리는 제2연장부(1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제2레일(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레일(173)과 제2레일(17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 직각의 형태로서, 확장부(1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수평의 영역과, 중첩되는 확장부(130)의 수직 이동을 위한 수직 영역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160)를 확장할 때, 각 디스플레이(161,163,165)의 평면적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수평영역은 확장부(13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서, 본체(120)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고, 수직영역은 중첩된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더(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연결상태는 물론, 확장부(130)가 본체(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계단 형태의 확장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71)의 내측 공간이 계단 형태로 확장되고, 이에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177)는 도 4의 상세도 D-1과 같이 직사각의 계단적 구조로서, 레일(171)과 가이드(177)가 서로 맞물려 본체(120)와 확장부간(13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호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확장부(130)에 마련된 각 디스플레이(163,165)는 본체(120)와 케이블(131)을 통해 연결되며, 본체(120)의 제어를 통해 온/오프(ON/OFF) 내지는 확대 및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케이블(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30)에 마련된 설치공(133)을 통해 본체(120) 하드웨어(예를 들어, 메인보드)와 연결되며, 이때, 설치공(133)은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가이드(177) 및 레일(171)을 관통하는 관로이다.
따라서 확장부(130)의 각 디스플레이(163,165)는 본체(120)의 케이블(131) 연결을 통해, 확장부(130)의 각 디스플레이(163,165) 제어는 물론, 화면의 온/오프(ON/OFF) 및 장치간의 인식과 제어와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확장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더(170)를 통해 결합되는 제1확장부(140)와 제2확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확장부(140)는 본체(120)의 일 측면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하면에는 제1가이드(179)가 마련된 제1커버부재(141)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제2디스플레이(163)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확장부(140)는 슬라이더(170)를 통해 본체(120)의 상/하부로 중접되거나, 또는 일 측면으로 확장되며, 본체(120)와 상/하 중첩될 경우, 본체(120)의 상부로 중첩되고, 이때, 제2디스플레이(163)는 비활성상태(오프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확장부(140)는 단말기(100)를 서로 중첩시킬 때, 제2확장부(150)에 마련된 제2가이드(18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홈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커버부재(141)는 제1가이드(179)가 설치되고, 본체(120)와의 제1확장부(140)의 중첩상태를 커버하여 제품의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제1확장부(140)와 일체형이거나, 또는 분리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개홈부(1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를 중첩하여 적어도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을 축소시킬 때, 제1확장부(140)에 마련된 제1커버부재(141)가 제2레일(175)을 소정 감싸게 되므로, 가려진 제2레일(175)을 외부로 노출시켜 제2확장부(15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영역이다.
한편, 제1확장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상태에서 안착홈(121)과 맞닿는 제1걸림턱(145)과, 제2확장부(15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걸림턱(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걸림턱(145)은 제1베젤(201)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안착홈(121)과 맞닿아, 도 6의 스토퍼(190)와 함께 제1확장부(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 특히, 삭제된 베젤(2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161)의 일면을 커버 하여 제1디스플레이(161)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걸림턱(147)은 제1베젤(20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확장부(150)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베젤(200) 삭제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3디스플레이(165)의 일면을 커버 하여 제3디스플레이(165)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확장부(150)는 본체(120)의 타 측면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하면에는 제2가이드(181)가 마련된 제2커버부재(151)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제3디스플레이(165)가 설치된다.
또한, 제2확장부(150)는 제2베젤(203)이 마련된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안착홈(121)과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제1디스플레이(161)의 타측을 커버 하는 제3걸림턱(167)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확장부(150)는 슬라이더(170)를 통해 제1확장부(140)의 상부로 중첩되거나, 또는 본체(120)의 타 측면으로 확장되며, 중첩될 시, 본체(120)의 제1디스플레이(161)는 비활성상태(오프상태)가 된다.
제2커버부재(151)는 제2가이드(181)가 설치되고, 제1확장부(140) 내지는 본체(120)와의 결합 및 중첩상태를 커버하여 제품의 심미감 저하를 방지하는 요소로서 존재하며, 이는 제2확장부(15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제2확장부(150)는 단말기(100)를 중첩 시, 제3디스플레이(165)가 전면으로 노출되는데, 이때,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내지는 터치 방식의 버튼부(15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말기(100)는 본체(120)와 확장부(130)의 중첩 내지는 확장 상태를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9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의 D-2를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90)는 가이드(177)에 마련된 탄성볼(191)과, 이에 대응하는 레일(173)에 마련된 음각의 수용홈(197)으로 구성된다.
탄성볼(191)은 탄성부재(193)와 볼(195)을 결합한 구성으로, 볼(195)의 탄력적인 움직임을 위한 것이며, 이때, 탄성부재(193)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홈(197)은 제2레일(173)에 마련된 음각의 홈으로서, 반원 내지는 볼에 대응하는 곡면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용홈(197)은 레일(17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70)의 확장된 영역과 중첩된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하게 형성된 한 쌍 이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스토퍼(190)는 슬라이더(170)의 각 제1레일(173)과 제2레일(175) 및 제1가이드(181)와 제2가이드(183)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단말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그 면적이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부호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도 7a와 같이 휴대가 용이한 상태로서, 최소의 면적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제1확장부(140)와 본체(120)의 디스플레이(161,163)는 중첩상태이므로, 화면이 비활성상태(오프 상태)이고, 외부로 노출된 제2확장부(150)의 제3디스플레이(165)는 활성상태(온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어도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때, 도 7b와 도 7c와 같이 제2확장부(150)와 제1확장부(140)를 본체(120)의 각 측면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후, 확장부(130)가 안착홈(121)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이 도 7d와 같이 확장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100)의 사용을 마치고 보관 및 휴대할 때에는 확장의 역순으로 하여, 적어도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을 축소시켜 휴대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를 접었을 때와 펼쳤을 때, 모두 완벽한 휴대용 단말기로서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단말기(100)를 펼쳤을 때, 단말기의 각 디스플레이(161,163,165)는 정확하게 맞물려 하나의 확장된 디스플레이(160)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단말기(100)는 휴대시 면적의 축소를 통해 휴대의 편의는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율 저하와, 파손될 경우에도, 기존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의 파손에 비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30)는 본체(120)의 양측으로 확장시킬 때, 선택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데, 이는 도 8을 참조하되, 부호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적 확장이 가능한 것으로, 최초의 축소된 면적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 확장부(140,150) 중 어느 하나만을 확장시켜 사용하거나, 양측 모두 확장시켜 디스플레이(160)의 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160)의 선택적 확장은,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표현되는 사진, 게임, 문서 등의 확대된 상태로 표시하거나, 해상도를 확대하여 넓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은 확장 전(중첩상태)의 상태로서, 본체(120)와 제1확장부(140)의 각 제1,제2디스플레이(161,163)는 비활성화되어 사용하지 않으며, 전면으로 노출된 제2확장부(150)의 제3디스플레이(165)만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60)를 우측과 같이 확장시키면, 중첩된 디스플레이(160)가 서로 평평하게 맞물리며, 각 디스플레이(161,163,165)가 모두 활성화되면서 하나의 디스플레이(160)를 구현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60)의 확장을 통해 최초 중첩상태에서 표현된 작은 화면이 도 8a와 같이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확대되어 출력되거나, 또는 8b와 같이 UI(user interface)와 해상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160)에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전의 단말기(제3디스플레이(165))에서 표시된 UI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도 8b와 같이 해상도를 확대 표시하여, 더욱 많은 픽셀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몸체
120 : 본체 121 : 안착홈
130 : 확장부 131 : 케이블
133 : 설치공 140 : 제1확장부
141 : 제1커버부재 143 : 절개홈부
145 : 제1걸림턱 147 : 제2걸럼턱
150 : 제2확장부 151 : 제2커버부재
153 : 버튼부 160 : 디스플레이
161 : 제1디스플레이 163 : 제2디스플레이
165 : 제3디스플레이 167 : 제3걸림턱
170 : 슬라이더 171 : 레일
173 : 제1레일 175 : 제2레일
177 : 가이드 181 : 제1가이드
183 : 제2가이드 190 : 스토퍼
191 : 탄성볼 193 : 탄성부재
195 : 볼 197 : 수용홈
200 : 베젤(bezel) 201 : 제1베젤
203 : 제2베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슬라이더를 통해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이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와, 상기 각 몸체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하드웨어가 실장되고, 전면에 제1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본체와 상/하 중첩 및 좌/우 확장되고, 전면에 적어도 제2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유도하는 음각의 레일; 및 상기 확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레일과 맞물려 상기 확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양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가이드가 마련된 제1커버부재와, 전면에 제2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을 통해 상기 본체 상층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확장부; 및 상기 가이드가 마련된 제2커버부재와, 전면에 제3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타 측면을 통해 상기 제1확장부 상층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면적을 확장할 때, 서로 맞닿는 상기 본체의 양측과,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일측에 대한 베젤이 삭제되어, 확장에 따른 화면의 단절을 방지하고, 확장된 일체형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1확장부는, 제1베젤의 저면이 돌출되고, 상기 안착홈과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걸림턱; 및 상기 제1베젤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3디스플레이의 일면을 감싸는 제2걸림턱;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확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수평의 영역과, 중첩된 상기 확장부의 수직 이동을 위한 수직 영역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를 확장할 때, 각 디스플레이의 평면적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 맞물리는 음양의 계단형 확장 구조로서,
    상기 레일은, 내측 공간이 계단 형태로 확장된 구조인 것이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레일의 형태에 대응하는 직사각의 계단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몸체의 중첩 및 확장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가이드 단부의 탄력적 돌출을 위한 탄성볼; 및
    상기 레일의 각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볼이 탄력적으로 안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하드웨어의 배치는 상기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거나, 상기 각 몸체에 분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통한 상기 단말기의 중첩 및 확장에 대응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된 화면이 확장 표시되거나, 해상도를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확장부의 확장상태를 지지하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고정하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장부는,
    제2베젤이 형성된 일면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맞닿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디스플레이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3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2020130000480U 2011-10-26 2013-01-18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2004713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0105 2011-10-26
KR1020110110105 2011-10-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42 Division 2011-10-26 201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708U true KR20130002708U (ko) 2013-05-06
KR200471339Y1 KR200471339Y1 (ko) 2014-02-17

Family

ID=5141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80U KR200471339Y1 (ko) 2011-10-26 2013-01-18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845A1 (en) * 2015-10-02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CN110047387A (zh) * 2019-05-06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KR20200101489A (ko) * 2019-01-29 2020-08-28 신상철 클라우드 운영체제 기반의 베젤 가변형 스마트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003B1 (ko) 2018-05-16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키 조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547A (ja) * 2008-03-05 2009-09-17 Seiko Epson Corp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28702A (ko) * 2009-05-29 201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두 개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845A1 (en) * 2015-10-02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US9877002B2 (en) 2015-10-02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KR20200101489A (ko) * 2019-01-29 2020-08-28 신상철 클라우드 운영체제 기반의 베젤 가변형 스마트 디바이스
CN110047387A (zh) * 2019-05-06 2019-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CN110047387B (zh) * 2019-05-06 2024-02-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体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339Y1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4441B2 (en) Mobile device having a protective user interface cover
KR200471339Y1 (ko)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US8229510B2 (en) Device having 2D and 3D image display functions for mobile phone
US8665589B2 (en) Peripheral input device
US20160018854A1 (en) Keyboard device
US20160037672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CN105103077B (zh) 双部件铰链组件
CN111258377B (zh) 键盘装置
TW201827980A (zh) 具有多個集成顯示器的膝上型電腦
KR20140136880A (ko) 화상 표시장치
US20190302847A1 (en) Display device
US9092193B2 (en) Electronic device
US8954123B2 (en) Connector cover and mobile type electronic device
US9256259B2 (en) Electronic apparatus
JP6107556B2 (ja) キーボード装置
US11822383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4423823A (zh) 终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3791202A (zh) 支撑装置
KR102012958B1 (ko) 태블릿 기기
WO2013062224A1 (ko) 면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N103793005A (zh) 具有键盘的保护壳
KR101224029B1 (ko) 듀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CN105630076A (zh) 双屏幕电子装置
KR101499010B1 (ko)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44688B1 (ko)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