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695U -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 Google Patents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695U
KR20130002695U KR2020110009511U KR20110009511U KR20130002695U KR 20130002695 U KR20130002695 U KR 20130002695U KR 2020110009511 U KR2020110009511 U KR 2020110009511U KR 20110009511 U KR20110009511 U KR 20110009511U KR 20130002695 U KR20130002695 U KR 201300026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bar
crane
wire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5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695U/en
Publication of KR20130002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9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인 작업중 작업자의 실수 또는 중량물의 흔들림에 의해, 와이어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탈선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크레인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상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 양측으로 설치되고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 일측에 고정되고 와이어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탈선시 와이어로프와 접촉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와 와이어로프의 접촉시 터치바의 밀림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wire rope derailment of a cran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wire rope is derailed from a wire drum due to an operator's mistake or shaking of a heavy weight during crane work, by immediately detecting the wire rope, It relates to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that can prevent the wire rope is derailed.
To this end, the sup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top plate is formed flat on the upper surface;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a buffering function, a touch bar fixed to one side of the shock absorber and contacting the wire rope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in the wire drum, and detecting the touch bar when the touch bar is in contact with the wire rope. It provides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of a crane comprising a; sensing unit consisting of a limit switch to cut off the power.

Description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본 고안은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인 작업중 작업자의 실수 또는 중량물의 흔들림에 의해, 와이어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탈선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크레인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wire rope derailment of a crane. More specifically, when a wire rope is derailed from a wire drum by a mistake or a heavy weight of an operator during crane work, the crane immediately detects the wire rope and stops the crane operation. It relates to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that can prevent the wire rope is derailed.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인양하거나 하역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크레인이 사용된다.Generally, cranes are used to lift heavy loads or carry out unloading operations.

이러한 크레인은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드럼에 권선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통해 상하 운동에 의한 인양 및 하역작업이 수행된다.The crane is lifted and unloaded by vertical move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winding or releasing the wire rope wound on the wire drum by rotating the wire drum.

여기서 와이어드럼은 윈치, 크레인 등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를 감는 원통형상의 동체를 말하며, 원통 형상의 표면에는 와이어로프를 순서대로 감기 위해 물결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wire drum refers to a cylindrical body winding a wire rope used for winches, cranes, and the like, and a wavy groove is formed continuously on the cylindrical surface in order to wind the wire rope in order.

한편, 위와 같이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에 감길 때, 작업자의 실수 또는 중량물의 흔들림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출렁거리면서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상적으로 권선되지 못하고 와이어로프가 권선되는 한 라인에서 와이어로프가 겹쳐지거나 포개지는 이중 상태로 권선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rope is wound on the wire drum as described above, the wire rope is swayed by the operator's mistake or the shaking of the heavy weight, and the wire rope is not wound norm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re drum. Overlapping or overlapping wire ropes are wound in a double state.

이때, 와이어로프의 감김이 불량하여 꼬임이나 탈선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inding of the wire rope is poor, causing twisting or derailment.

나아가 이러한 꼬임 및 탈선된 상태에서 와이어드럼이 계속 회전하게 될 경우, 와이어로프의 파단은 물론, 과부하로 인해 크레인이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Furthermore, if the wire drum continues to rotate in such a twisted and derailed state, the wire rope is broken, as well as a problem that the crane is damaged due to overload.

또한, 중량물이 공중에 띄워진 상태에서 와이어로프가 엉켜 작업이 중단된 경우, 와이어드럼의 작동이 불가능하여 복구작업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wire rope is entang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objects float in the air, the operation is interrupted, the operation of the wire drum is impossible, a great difficulty in the recovery operation.

이로 인해, 와이어로프 탈선 사고발생시 이를 복구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복구작업중에는 크레인작업이 중지되어야 함으로써 인양 및 하역작업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s a result, when a wire rope derailment accident occurs, a costly and time-consuming problem for repairing the wire rope occurs, and the crane work must be stopped during the repair work, thus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lifting and unloading work is delayed.

종래에는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탈선 방지장치가 있었으나 물리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지고 오작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rope from being derailed from the wire drum, there was a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that is operated by using a laser sensor,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was lowered and the malfunction was severe compared to the physically operated devic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 및 하역 작업중,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에서 탈선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와이어드럼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더 이상 탈선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고, 이때, 와이어드럼은 역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하여 엉켜진 와이어로프를 용이하게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from the wire drum during the lifting and unloading operation by using a crane, by immediately detecting this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ire dru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a crane that prevents derailment from proceeding, and in this case, the wire drum is operated only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angled wire rope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상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 양측으로 설치되고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 일측에 고정되고 와이어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탈선시 와이어로프와 접촉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와 와이어로프의 접촉시 터치바의 밀림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support is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top plate is formed flat top;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a buffering function, a touch bar fixed to one side of the shock absorber and contacting the wire rope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in the wire drum, and detecting the touch bar when the touch bar is in contact with the wire rope. And a sensing unit formed of a limit switch for shutting off power.

이때,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 1 수직바; 상기 제 1 수직바의 경사면과 맞대도록 배치되고, 볼트공에 볼팅결합되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 1 경사바; 상기 제 1 경사바에 설치되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top, the inclined surface is a first vertical bar formed with a bolt hole; A first inclined bar dispos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installed to be inclined by bolting to the bolt hole;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is installed on the first inclined bar, the top plate formed in a flat surface.

또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 2 수직바; 상기 제 2 수직바의 볼트공에 볼팅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경사바; 상기 제 2 경사바에 설치되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the second vertical ba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the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on the side; A second inclined bar bolted to the bolt hole of the second vertical bar to be inclin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second inclined bar, formed of a flat surface.

여기서, 상기 리밋 스위치는 상승동작을 제어하는 캠 리밋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가 탈선시 리밋 스위치가 작동되어 접점이 끊기면, 캠 리밋 스위치의 접점도 끊기게 되면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승동작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limit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am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the rising operation, if the limit switch is operated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the contact is disconnected, the contact of the cam limit switch is also disconnecte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rising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opp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evice for preventing wire rope derailment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크레인으로 인양 및 하역작업을 수행중 와이어로프가 와이어드럼에서 탈선될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와이어드럼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이때, 역방향으로만 드럼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 탈선시 더 이상 탈선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며, 탈선이 진행되어 와이어로프가 엉켜진 상태에서 와이어드럼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꼬이거나 탈선된 와이어로프를 정상적인 상태로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from the wire drum during lifting and unloading by crane, it immediately detects this and cuts off the pow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ire drum. In this case, the drum is operated only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derailment, and the derailment proceeds to operate the wire drum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the wire rope is entangled so that the twisted or derailed wire rope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탈선에 따른 복구작업시간 및 복구비용을 줄이고, 복구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covery work time and the recovery cost due to wire rope derailment,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repair wor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must be constru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attach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크게,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부(100)와 와이어드럼(D)에서 와이어로프(R)가 탈선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the power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wire rope (R) in the support portion 100 and the wire drum (D) installed on the floor to pow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on unit 200 to block.

먼저, 지지부(100)는 지면에 설치되어, 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support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sensing unit 200.

이때, 와이어드럼(D)의 일측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it is install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one side of the wire drum (D).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 1 수직바(110)와 상기 제 1 수직바(110) 상부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 1 경사바(120)로 구성된다.Here, the support part 100 is composed of a first vertical bar 110 fixed to the ground vertically and the first inclined bar 12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on the first vertical bar 110.

먼저, 제 1 수직바(110)는 지면에 설치되는 부분이다.First, the first vertical bar 110 is a portion installed on the ground.

이때, 상기 제 1 수직바(110) 상부에는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111 is formed on the first vertical bar 110, the bolt hole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다음으로, 제 1 경사바(120)는 후술하는 감지부(2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Next, the first inclined bar 120 serves to seat the sens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1 경사바(120)는 제 1 수직바(110)의 경사면(111)에 맞대어진 상태로 볼팅결합된다.The first inclined bar 120 is bol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11 of the first vertical bar 110.

이에 따라, 제 1 경사바(120)는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룰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inclined bar 120 may achieve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 제 1 경사바(120) 일측에는 후술하는 감지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이 형성된 상판(130)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irst inclined bar 120 is formed with a top surface 130 having a flat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sens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ing hole 131 is formed on both sides.

다음으로, 감지부(200)는 와이어로프(R)의 탈선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detection unit 200 detects the derailment of the wire rope (R) to serve to cut off the power.

상기 감지부(200)는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기(210)와 와이어로프(R)가 탈선시 직접 접촉되는 터치바(220)와 상기 터치바(220)의 밀림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밋 스위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ing unit 200 detects a push of the touch bar 220 and the touch bar 220 that are directly contacted when the shock absorber 210 and the wire rope R derail when the wire is derailed and limit the power supply. 230.

먼저, 완충기(210)는 와이어로프(R)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First, the shock absorber 210 serves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wire rope R and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완충기(210)는 실린더(211)와 피스톤(212)과 실린더(211) 일측에 설치된 고정볼트(213)와 고정너트(214)와 실린더(211)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재(215)와 스프링(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hock absorber 210 may include a fixing bolt 213 and a fixing nut 21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211, a piston 212, and a cylinder 211, and a spring support member 215 installed on the cylinder 2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216).

여기서, 상기 완충기(210)는 실린더(211)를 중심으로 내부에 피스톤(212)이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211) 하부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볼트(213)가 형성된다.Here, the shock absorber 210 has a piston 212 is inserted into the center around the cylinder 211, the fixing bolt 213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211.

이때, 상기 고정볼트(213)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판(130)에 형성된 체결공(131)에 관통되어 고정너트(214)를 통해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bolt 213 is penetra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31 formed in the upper plate 130 of the support part 100 is fastened through the fixing nut 214.

또한, 상기 실린더(211) 일측으로 스프링 지지부재(215)가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215)에는 스프링(216)이 일정부분 삽입 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216)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pring support member 215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ylinder 211, and the spring support member 215 is installed to insert a portion of the spring 216. Accordingly, the spring 216 is stably fixed. It becomes possible.

다음으로, 터치바(220)는 와이어드럼(D)에서 와이어로프(R)가 탈선시 직접 와이어로프(R)와 접촉되어 그 충격을 후술하는 리밋 스위치(2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touch bar 2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ire rope (R) when the wire rope (R) is derailed in the wire drum (D) serves to transfer the impact to the limit switch 2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터치바(220)는 양측에 설치된 피스톤(212)에 고정 설치된다.The touch bar 220 is fixed to the piston 212 installed on both sides.

여기서, 상기 터치바(220)는 바(bar)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은 일정각도로 꺾어진 경사부(2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ouch bar 220 is formed in a bar (bar),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are formed inclined portion 221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때, 상기 경사부(221)를 형성하는 이유는, 와이어드럼(D) 양측에 와이어로프(R)를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클립(C)이 설치되어 있는데, 터치바(220)가 와이어드럼(D)이 회전시 돌출되어 있는 와이어클립(C)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221, the wire clip (C) is installed to fix the wire rope (R) on both sides of the wire drum (D), the touch bar 220 is a wire drum (D) ) Is to prevent the wire clip (C) from being protruded during rotation.

다음으로, 리밋 스위치(230)는 상기 터치바(220)로 부터 밀림에 의한 충격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캠 리밋 스위치(CS)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limit switch 230 receives the impact of the push from the touch bar 220 serves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am limit switch (C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리밋 스위치(230)는 지지부(100)의 상판(130)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하는 접점부(231)가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231)에는 터치바(220) 내측과 상시 접촉된 상태에서 접점부(231)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로드(232)가 설치된다.The limit switch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130 of the support unit 100, the contact portion 231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signal is formed on one side, the contact portion 231 inside the touch bar 220 The switch rod 232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231 is alway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tate.

이때, 상기 스위치로드(232)에는 터치바(220)가 안쪽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될 경우, 스위치로드(232)가 접점부(231)를 기준으로 터치바(220) 내측을 타고 원활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판(2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the touch bar 220 is moved inwardly to the switch rod 232, the switch rod 232 may be smoothly rotated on the inside of the touch bar 220 based on the contact portion 231.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ng plate 233 be installed.

이에 따라, 스위치로드(232)가 접점부(231)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접점이 전환되고 그 전기적인 신호를 캠 리밋 스위치(CS)로 전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act is switched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m limit switch CS by the switch rod 232 being contacted or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231.

여기서 상기 캠 리밋 스위치(CS)는 와이어드럼(D)을 작동시키거나 중지시키기 위한 것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cam limit switch CS is for operating or stopping the wire drum D.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will be described the action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우선 지지부(100)를 와이어드럼(D)에 가까운 위치의 지면에 설치한다.First, the support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near the wire drum (D).

이때, 터치바(220)와 와이어드럼(D) 간의 거리는 와이어로프(R)가 들어가지 못할 정도의 약 5mm 정도의 간극을 유지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bar 220 and the wire drum (D) is preferably installed to maintain a gap of about 5mm to the extent that the wire rope (R) does not enter.

그 다음, 크레인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와이어로프(R)가 탈선되거나 또는 이중으로 감기게 될 경우, 터치바(220) 외측면으로 와이어로프(R)가 접촉되고, 터치바(220)는 안쪽으로 밀리게 된다.Then, when the wire rope (R) is derailed or double wound during the crane operation, the wire rope (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bar 220, the touch bar 220 inward It is pushed.

이 경우, 터치바(220) 안쪽면에 상시 접촉되어 있는 스위치로드(232)는 터치바(220)의 밀림에 의해 접점부(231)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고, 접점부(231)가 작동됨에 따라 리밋 스위치(230)가 작동된다.In this case, the switch rod 232 which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ouch bar 220 is rotated based on the contact part 231 by the push of the touch bar 220, and the contact part 231 is operated. Accordingly, the limit switch 230 is operated.

리밋 스위치(230)가 작동되면 리밋 스위치(230)와 연결되어 있는 캠 리밋 스위치(CS)로 신호가 전달되고, 즉시 와이어드럼(D)의 회전은 멈출 수 있게 된다.When the limit switch 230 is activat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m limit switch CS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230, and the rotation of the wire drum D can be immediately stopped.

이때, 와이어드럼(D)은 상승운동을 하기 위한 방향으로는 회전이 중지되고, 하강운동만 가능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wire drum (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for the upward movement is stopped, it is configured to rotate so that only the downward movement.

와이어로프(R)가 탈선된 상태에서 와이어드럼(D)을 하강되도록 작동시켜 엉켜지거나 탈선된 와이어로프(R)를 탈선되기 전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By operating the wire drum D to descend while the wire rope R is derailed, the operation of restoring the tangled or derailed wire rope R to the state before derailing can be performed.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R) 탈선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더 이상 탈선되지 못하도록 하고, 즉시 원상태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wire rope (R) is derailed, it is immediately detected so that it can no longer be derailed, and immediate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한편, 와이어로프(R)를 교체할 경우 제 1 수직바(110)와 제 1 경사바(120)를 분리시켜 와이어로프(R)를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placing the wire rope (R)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rst vertical bar 110 and the first inclined bar 120 to replace the wire rope (R).

지금까지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에 있어, 지지부(100)는 제 1 수직바(110)에 형성된 경사면(111)에 제 1 경사바가 경사를 이루도록 맞대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I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wire rope derailment of a cra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inclined ba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111 formed on the first vertical bar 110. .

이와 다르게, 제 2 수직바(110')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에 제 2 경사바(120')가 볼팅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Unlike th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by bolting the second inclined bar 120 'to the bolt hol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bar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As shown in Figure 4,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지지부(100)는 지면에 설치되어, 감지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support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sensing unit 200.

이때, 와이어드럼(D)의 일측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it is install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one side of the wire drum (D).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 2 수직바(110')와 상기 제 2 수직바(110') 상부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 2 경사바(120')로 구성된다.Here, the support part 100 is composed of a second vertical bar 110 ′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second inclined bar 120 ′ installed to be inclined above the second vertical bar 110 ′. .

이때, 상기 제 2 경사바(120')가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제 2 수직바(110') 상부 측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공을 통해 상기 제 2 수직바(110')에 제 2 경사바(120')가 볼팅결합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ar 110 'so that the second inclined bar 120' may be inclined, and the second vertical bar 110 is formed through the bolt holes. ') The second inclined bar 120' is bolted.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100)은 제 2 수직바(110') 하측의 볼트만 해제 후 제 2 경사바(120')를 설치된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와이어로프(R)를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art 100 can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nclined bar 120 'is installed after releasing only the bolt below the second vertical bar 110', thereby easily replacing the wire rope R. Work can be done.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는 와이어로프(R)가 탈선될 경우 빠른 시간내에 원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어, 복구에 따른 복구작업시간 및 복구비용을 줄일 수 있고, 크레인작업을 즉시 재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ng device of the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within a short time when the wire rope (R) is derail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covery work time and recovery cost according to the recovery, crane work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resumed immediately.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지지부 110: 제 1 수직바
111: 경사면 110': 제 2 수직바
120: 제 1 경사바 120': 제 2 경사바
130: 상판 131: 체결공
200: 감지부 210: 완충기
211: 실린더 212: 피스톤
213: 고정볼트 214: 고정너트
215: 스프링 지지부재 216: 스프링
220: 터치바 221: 경사부
230: 리밋 스위치 231: 접점부
232: 스위치로드 233: 회전판
D: 와이어드럼 R: 와이어로프
C: 와이어클립 CS:캠 리밋 스위치
100: support 110: first vertical bar
111: slope 110 ': second vertical bar
120: first inclined bar 120 ': second inclined bar
130: top plate 131: fastener
200: detector 210: buffer
211: cylinder 212: piston
213: fixing bolt 214: fixing nut
215: spring support member 216: spring
220: touch bar 221: inclined portion
230: limit switch 231: contact portion
232: switch rod 233: rotating plate
D: Wire drum R: Wire rope
C: Wire clip CS: Cam limit switch

Claims (4)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상판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 양측으로 설치되고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 일측에 고정되고 와이어드럼에서 와이어로프가 탈선시 와이어로프와 접촉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와 와이어로프의 접촉시 터치바의 밀림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bottom an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 shock absorber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a buffering function, a touch bar fixed to one side of the shock absorber and contacting the wire rope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in the wire drum, and detecting the touch bar when the touch bar is in contact with the wire rope. Detecting device consisting of a limit switch to cut off the power;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of a cran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제 1 수직바;
상기 제 1 수직바의 경사면과 맞대도록 배치되고, 볼트공에 볼팅결합되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 1 경사바;
상기 제 1 경사바에 설치되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first vertical bar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top thereof, and having a bolt hole formed thereon;
A first inclined bar dispos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installed to be inclined by bolting to the bolt hole;
Installed on the first inclined bar, the upper plate formed in a flat surfac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on apparatus of the cran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 2 수직바;
상기 제 2 수직바의 볼트공에 볼팅결합되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경사바;
상기 제 2 경사바에 설치되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second vertical bar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loor and having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med at a side thereof;
A second inclined bar bolted to the bolt hole of the second vertical bar to be inclined;
The upper rope is installed on the second inclined bar, the upper plate formed in a flat surface;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on apparatus of the crane comprising a.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밋 스위치는 상승동작을 제어하는 캠 리밋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가 탈선시 리밋 스위치가 작동되어 접점이 끊기면, 캠 리밋 스위치의 접점도 끊기게 되면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승동작이 중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탈선 방지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imit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cam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the rising operation. When the wire rope is derailed, the limit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contact is disconnected. The contact of the cam limit switch is also disconnected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o stop the rising operation. Wire rope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of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KR2020110009511U 2011-10-26 2011-10-26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KR2013000269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11U KR20130002695U (en) 2011-10-26 2011-10-26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511U KR20130002695U (en) 2011-10-26 2011-10-26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95U true KR20130002695U (en) 2013-05-06

Family

ID=5242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511U KR20130002695U (en) 2011-10-26 2011-10-26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69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584A (en) * 2017-12-14 2018-04-13 中山市合信包装有限公司 A kind of rope lock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584A (en) * 2017-12-14 2018-04-13 中山市合信包装有限公司 A kind of rope lock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17118A (en) Falling prevention device of lifting body
CN111108058A (en) Method for lifting and/or lowering a load handling mechanism of a lift, in particular of a crane, and lift therefor
CN102791607A (en) Cable controlled container yoke
CN102730511A (en) Anti-drop protection device and lifter
CN202379552U (en) Elevator safety protection device
CN107758470A (en) For compensating the tensioning apparatus, compensation wheel and elevator of wheel
US9580275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afety device
JP6452857B2 (en) Car movement restriction device and elevator
WO2012117573A1 (en) Crane
CN202245793U (en) Steel wire rope jump prevention device
CN205527328U (en) Lifting hook anti -falling device
CN203158967U (en) Elevator safety protection device
KR20130002695U (en) Anti-derailment device of the crane wire rope
CN105073617A (en) Integrated catching device on overdrive brake devices
CN102514994A (en)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elevator
KR1019307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ane inspection
CN208181084U (en) A kind of anti roll device of rail battery truck
CN214828533U (en) Anticollision bank bridge
CN212608962U (en) Force-limiting compensation tank stabilizing device capable of safely avoiding
KR101370571B1 (en) Overhead crane hook device to prevent excessive traction
EP3080031B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208292456U (en) Elevator falling-proof safety device
JP4851870B2 (en) Upper limit position stop mechanism
KR200335390Y1 (en) Crane lifter balance limit for control of lifting up
JP2000272871A (en) Spreader for contain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