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270U -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 Google Patents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270U KR20130002270U KR2020110008895U KR20110008895U KR20130002270U KR 20130002270 U KR20130002270 U KR 20130002270U KR 2020110008895 U KR2020110008895 U KR 2020110008895U KR 20110008895 U KR20110008895 U KR 20110008895U KR 20130002270 U KR20130002270 U KR 2013000227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lace
- knot
- shoe
- present
- ident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2—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provided with tags, buttons, or decorative tuf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4—Forming ends of laces of plastics, celluloid, rubber,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89—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means covering tip of lac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가 매듭지어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은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듭의 2개 고리부 영역 중에서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에 식별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을 통하여 착용자가 매듭을 짓거나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는 과정에서 선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신발끈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시킴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신발끈의 중앙을 인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식별부를 통하여 별도의 주의 없이도 신발의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의 잔여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편리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lace that is knotted at both ends after passing through the laces formed in the shoe, visually identify the portion to be pulled to tighten the knot of the shoelace or after the knot is made Disclosed shoelaces can b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of the two loop portion of the knot formed after binding the shoelace, the identification portion is present in the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end portion It provides a shoelace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ll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art in the process of tightening the knot or loosening the kno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expected situation that the shoelace is released again. That is, by recogniz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to be pulled in order to tighten the shoelace, it provides the convenience to fasten the shoelace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ditional convenience through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that can recognize the center of the shoelace, after passing through the shoelaces of the shoe without extra attention, the remaining lengths of both ends appear the same. It may be.
Description
본 고안은 매듭부를 형성하는 과정이나 결속 후에 느슨해진 매듭부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는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hat can easily tighten the knot loosened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or binding the knot.
운동화 및 구두를 포함한 대부분의 신발은 착용자에게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고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등 부분에 신발끈을 매어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으로는 섬유 재료로 짠 끈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납작한 스트립(strip)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string) 형상을 갖는다. Most shoes, including sneakers and sho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hoelace is attached to the instep of the foot to provide a stable fit to the wearer and prevent peeling. In general, shoelaces woven from fibrous materials are mainly used, and mainly have a flat strip shape or a string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신발을 세척하거나 수선을 할 때에는 신발끈의 매듭 부분을 풀어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수선자의 손이 신발의 내부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신발끈을 신발의 발등 대응 부분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속하고 양 단부를 매듭지은 후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When washing or repairing a shoe, the user's / repairer's hand can easily reach the inside of the shoe by loosening and removing the knots of the shoelace. Then, the user binds the shoelace to a hol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oot of the shoe, knots both ends, and then wears the shoe.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양 단부가 매듭지어진 신발끈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in which a general shoelace is tied, showing a shoelace in which both ends are knotted.
신발(10)에 신발끈(1)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에 형성된 구멍) 중 최하단의 2개의 끈 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 종단부를 인접한 끈구멍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최종적으로 신발끈(1)의 양 종단부를 매듭지음으로써 신발끈(1)의 결속이 종료된다. In order to tie the
한편, 일반적으로 신발끈(1)을 결속한 후, 신발끈(1)의 양 종단부에 형성된 매듭(1a)은 2개의 고리부(1b)와 2개의 선형부(1c; 잔여 종단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고리부(1b)는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 및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으로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ying the
신발끈(1)의 종단부를 매듭지은 후, 매듭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을 각각 잡고 신발(1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그러나, 매듭부(1a)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과 매듭(1a)의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After knotting the end of the
이러한 조건에서 착용자가 고리부(1b) 중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매듭(1a)이 풀어지게 되며, 따라서 신발끈(1)을 다시 매듭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Under these conditions, if the wearer grasps the
한편, 신발끈(1)이 결속된 상태에서 신발끈(1)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신발을 장시간 착용한 후 매듭(1a)이 자연스럽게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매듭(1a)이 느슨해질 경우, 착용감이 불안정하고 신발이 벗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는 신발끈(1)의 매듭(1a)을 조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느슨해진 매듭(1a)을 다시 조이는 경우에도 매듭(1a)으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어느 부분이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인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조건에서 별도의 궁리 없이 고리부를 잡아당기면 오히려 매듭이 풀어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Even when the loosened
본 고안은 신발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을 짓는 과정이나 느슨해진 매듭을 다시 조이는 과정에서 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통하여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신발끈이 다시 풀어질 위험성 없이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신발끈을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used by the shoelace, to provide a shoelace that can visually identify the part to be pulled in the process of knotting or re-tightening the loose kno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shoelaces conveniently and quickly without the risk of the shoelaces being released again in the process of binding the shoelaces.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각 종단부의 소정의 영역에 식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매듭을 지은 후, 매듭의 2개의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식별부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a knot by forming an identification part in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end part, the identification part is identified from the area of the two loop parts of the knot corresponding to the part inserted into the top end of the shoe. It provides a shoelac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여기서, 식별부는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 중 어느 한 면 또는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는 종단부 및 결속부와 색상 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dentifica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any one surface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end portion.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is preferably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end portion and the binding portion through the color or design.
한편,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를 형성하여 처음 신발끈을 매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n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in the center of the shoelace may provide additional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tying the first shoelac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은 처음 매듭을 조일 때 또는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매듭을 구성하는 고리부의 영역 중에서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잡고 신발 외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매듭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조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ly distinguish and confir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top hole of the shoe among the areas of the loop portion constituting the knot when tightening the knot for the first time or when tightening the loose knot. As a result, by grasping this part and pulling it out of the shoe, the knot can be tightened simply, conveniently and accurately.
또한, 부가적인 식별부를 추가하여 신발에 처음 결속할 때 착용자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 중 최하단 2개의 끈구멍 사이에 신발끈의 중앙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균형있는 매듭을 형성할 수 있는 용이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adding an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the first time the shoe is bound to the shoe, the wearer makes it easy to form a balanced knot by making sure that the center of the shoelace is located between the two lowest bottom hole formed in the shoe. You can also provide.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typical shoelace t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is tie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is tie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e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스트립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양 종단부(120 및 130)를 포함한다. The
양 종단부(120 및 130)는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선단에는 신발의 끈구멍을 원활히 통과시키기 위하여 경질의 부재로 감겨져 있는 압착부(121 및 131)가 형성되어 있다. Both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는 식별부(122 및 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색상 및/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즉, 식별부(122 및 132)는 양 종단부(120 및 130)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색상의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매듭의 2개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고안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사용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 및 착용자의 발등과 대응하는 부분에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끈구멍(11)을 갖는 신발(10)을 함께 도시하였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using the shoelace shown in FIG. 2, the
도 3에서는 신발(10)의 예로서 운동화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의 사용 대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은 구두, 전투화 등 신발끈이 통과하는 끈구멍이 형성된 모든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3 illustrates the sneaker as an example of the
신발(10)에 신발끈(100)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 중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다. In order to tie the
이후,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키며, 최상단의 2개의 끈구멍(11b)을 통과한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Thereafter, the wearer passes both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듭(100a)은 2개의 고리부(100b)와 2개의 선형부(100c; 잔여 종단부)로 이루어지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 및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으로 구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 각각 형성된 식별부(122 및 132)는 매듭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에 위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신발끈(100)을 매듭지은 후, 매듭(100a)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00b) 중 식별부(122 및 132)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100b-1)을 잡고 신발(10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여기서, 신발끈(10)의 전체 길이, 끈구멍(11)의 개수 및 신발끈(100) 중에서 끈구멍(11)에 대응하는 길이, 즉 체결부의 길이를 고려하여 식별부(122 및 13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즉,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이 매듭(100a)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100b-1)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Here,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100)이 신발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boun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ure 4, the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신발끈에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발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지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통하여, 별도의 행위 없이 간단하게 신발끈(100)의 양쪽 길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hoelace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othe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즉,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신발(10)의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후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부가적인 식별부(111)에 의하여 매듭이 지어지는 양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균형있는 신발끈(100)의 매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wearer passes both ends 120 and 130 of th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selected to present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understanding various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laims (5)
각 종단부의 소정의 영역에 식별부가 각각 형성되어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듭의 2개 고리부 영역 중에서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인식이 식별부를 통하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In the shoelace that both ends are knot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lace hole form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shoe,
The identification part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each end part, and the recognition part can recognize abou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 inserted in the string hole among the two loop part areas of the knot formed after binding the shoelace. Shoelac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en) | 2011-10-05 | 2011-10-05 |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
PCT/KR2012/008037 WO2013051857A1 (en) | 2011-10-05 | 2012-10-04 | Shoelace enabling easier lacing |
US14/350,163 US20140237781A1 (en) | 2011-10-05 | 2012-10-04 | Shoelace tightened with ease |
JP2014534472A JP5909741B2 (en) | 2011-10-05 | 2012-10-04 | Shoelace with improved ease of ty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en) | 2011-10-05 | 2011-10-05 |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270U true KR20130002270U (en) | 2013-04-15 |
KR200480700Y1 KR200480700Y1 (en) | 2016-06-27 |
Family
ID=480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en) | 2011-10-05 | 2011-10-05 |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37781A1 (en) |
JP (1) | JP5909741B2 (en) |
KR (1) | KR200480700Y1 (en) |
WO (1) | WO201305185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39266B2 (en) | 2020-06-08 | 2023-12-12 | BriTemp IP Holdco LLC |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
CN112656089A (en) * | 2021-01-26 | 2021-04-16 | 范玺 | Using method of shoelace capable of preventing loosen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62457A (en) * | 1995-06-21 | 1996-10-08 | Haslam; Shawn A. | Aid for teaching children to tie shoelaces |
KR20020086337A (en) * | 2002-09-02 | 2002-11-18 | 김성수 | Athletic shoes of a pattern in there |
US20050260550A1 (en) * | 2002-01-03 | 2005-11-24 | Wilk Kelly A | Instructional shoelaces system and method of use |
US20120009554A1 (en) * | 2010-07-08 | 2012-01-12 | Tarrus Johnson | Instructional shoelace ty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46630A (en) * | 1950-03-06 | 1953-07-28 | Miller Edna Barlow | Educational shoelace |
JP3525089B2 (en) * | 2000-03-14 | 2004-05-10 | 新道繊維工業株式会社 | String film |
JP3091879U (en) * | 2002-05-22 | 2003-02-21 | 孝夫 西川 | Color-coded string |
JP3109728U (en) * | 2004-11-29 | 2005-06-02 | 謙一 吉田 | Shoelace with mark |
TWM287068U (en) * | 2005-06-09 | 2006-02-11 | Asia Summit Innovation Corp | Non-slip shoelace |
US20070294868A1 (en) * | 2006-06-21 | 2007-12-27 | Gnatenko Vatalii I | Lace and method of forming knots |
KR20080017130A (en) * | 2006-08-21 | 2008-02-26 | 유종현 | A string for shoes |
-
2011
- 2011-10-05 KR KR2020110008895U patent/KR200480700Y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0-04 US US14/350,163 patent/US2014023778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0-04 JP JP2014534472A patent/JP59097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0-04 WO PCT/KR2012/008037 patent/WO201305185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62457A (en) * | 1995-06-21 | 1996-10-08 | Haslam; Shawn A. | Aid for teaching children to tie shoelaces |
US20050260550A1 (en) * | 2002-01-03 | 2005-11-24 | Wilk Kelly A | Instructional shoelaces system and method of use |
KR20020086337A (en) * | 2002-09-02 | 2002-11-18 | 김성수 | Athletic shoes of a pattern in there |
US20120009554A1 (en) * | 2010-07-08 | 2012-01-12 | Tarrus Johnson | Instructional shoelace ty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237781A1 (en) | 2014-08-28 |
JP5909741B2 (en) | 2016-06-01 |
KR200480700Y1 (en) | 2016-06-27 |
JP2014531943A (en) | 2014-12-04 |
WO2013051857A1 (en) | 2013-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75418B2 (en) |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7073279B2 (en) |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 |
JP6228673B2 (en) | Shoes, especially sports shoes | |
KR200480235Y1 (en) | Detachable lacing system for footwear | |
US20150026937A1 (en) | Lace Fitting Structure | |
US20100269373A1 (en) | Shoe tying aid and method | |
KR20110004249A (en) |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 |
US20170245595A1 (en) | Shoe lacing system | |
US20150143717A1 (en) | Shoelace retention devices | |
US20140041167A1 (en) |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 |
KR200467145Y1 (en) | Footwear-string type footwear | |
US20150059136A1 (en) | Shoestring Lock | |
KR20130002270U (en) | Shoe string having improved tying performance | |
KR102571594B1 (en) | The method of forming shoe strap bonds separated by up and down | |
US20060042056A1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US5997051A (en) | Shoelace tying system | |
JP2014531943A5 (en) | ||
US2015012838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 |
KR200270515Y1 (en) | Simple not untie footwear string | |
KR200246554Y1 (en) | A binding device of shoe-string which is fastened with one pulling | |
KR200292236Y1 (en) | The shoestring formed ornament lace in bar of undone | |
JP5462388B1 (en) | One-touch band for shoes | |
KR100829365B1 (en) | Shoe braid grapnel | |
KR200184587Y1 (en) | Quick tie footwear for footwear string | |
JP3189699U (en) | Shoe lace faste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