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227A -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 Google Patents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227A
KR20130002227A KR1020110063304A KR20110063304A KR20130002227A KR 20130002227 A KR20130002227 A KR 20130002227A KR 1020110063304 A KR1020110063304 A KR 1020110063304A KR 20110063304 A KR20110063304 A KR 20110063304A KR 20130002227 A KR20130002227 A KR 2013000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el sheet
hot press
less
pres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9219B1 (en
Inventor
손일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219B1/en
Priority to US14/127,350 priority patent/US9314997B2/en
Priority to EP12804542.4A priority patent/EP2728032A4/en
Priority to JP2014518800A priority patent/JP5860959B2/en
Priority to CN201280039619.2A priority patent/CN103764866B/en
Priority to PCT/KR2012/005130 priority patent/WO2013002575A2/en
Publication of KR2013000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Abstract

PURPOSE: A plated steel sheet with the excellent stability of a plating layer for a hot press molding is provided to form an oxide layer by moving Al, which is included in a compound layer, to a surface layer in heating, thereby preventing the volatilization of Zn, which is included in the plating layer, and the growth of the oxide so that the Zn content inside an alloy layer is controlled in an optimal range. CONSTITUTION: A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molding comprises a steel substrate, an Al thickening layer, and a galvanized plating layer. The Al thickening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substrate, of which the Al content is more than 30 wt%. The galvanized p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Al thickening layer. Among the particles which form the Al thickening layer, the average number of particles of which the size is more than 500 nanometers or less than 15 per 100 square micrometers. The occupied area rate by the Al thickening layer is more than 88%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ubstrate and the galvanized plat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Al thickening layer is 0.1 to 1.0 micrometer. The surface diffusion layer of a metal is included within the depth of one micrometer from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Gibbs free energy decrement per one mole of oxygen of the metal is less than that of Cr.

Description

도금층의 안정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molding with excellent plating layer stability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본 발명은 도금층의 안정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프레스 성형시 도금층에 포함된 아연 농화 영역에 의한 액상 금속 취화(Liquid Metal Embrittlement, 간략히 LME) 현상이 억제된 도금층의 안정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용 도금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excellent in the stability of the plated layer, and more particularly, liquid metal embrittlement (LME) phenomenon is suppressed by the zinc enriched region included in the plated layer during hot press 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plated steel sheet for excellent stability of the plating layer.

최근 환경 규제에 따른 자동차 연비 감소를 목적으로 고강도 강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자동차 강판이 고강도화 됨에 따라 프레스 성형시 마모, 파단 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복잡한 제품 성형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판을 가열하여 열간 상태에서 성형 가공하는 열간 프레스 공정에 의한 제품 생산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demand for high strength steel sheet is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fuel consumption of automobiles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As automobile steel sheet is strengthened, wear, fracture, etc. occur easily during press molding, and complicated product molding is difficul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duction of products by the hot press process of forming a steel sheet in a hot state by heating the steel sheet has been greatly increased.

열간 프레스 강판은 통상 850~930℃로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을 거치게 되는데 가열시 강판 표면이 산화되어 스케일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품 성형후 스케일을 제거하는 쇼트 브라스트와 같은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제품의 내식성 또한 도금재에 비하여 열위하게 된다.
Hot press steel sheet is usually subjected to press working in a state heated to 850 ~ 930 ℃, when heating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oxidized to generate a scale. Therefore, a separate process such as a short blast to remove the scale after forming the product is required,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roduct is also inferior to the plating material.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국등록특허 US6296805호에서와 같이 강판 표면에 Al계 도금을 실시하여 가열로에서 도금층이 유지되면서 강판 표면의 산화 반응을 억제하고 Al의 부동태 피막 형성을 이용하여 내식성을 증대시키는 제품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l-based pl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s in the US Patent US Pat. No. 6,296,805, while maintaining the plating layer in the heating furnace, it suppresses the oxidation reaction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by using the passivation film formation of Al. Increasing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그러나, 상기 Al 도금재의 경우 고온에서의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희생 양극 방식의 Zn 도금에 비하여 내식성이 열위하며, 또한 제조 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Al plating material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but is inferior to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to the sacrificial anode type Zn plating,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그러나, Zn의 경우 Al에 비하여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크게 열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Zn 도금강판은 850~930℃의 고온에서 Zn층의 합금화 및 고온 산화로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도금층중 Zn의 비율이 20% 미만으로 하향되어 내부식성 측면에서 도금재로서의 기능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Zn, Zn plated steel sheet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is inferior to Al in heat resistance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plating layer is non-uniformly formed by alloying and high temperature oxidation of the Zn layer at a high temperature of 850 to 930 ° C. The ratio of is lowered to less than 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as a plating material is reduced in terms of corrosion resistance.

뿐만 아니라, 가열후 열간에서 프레스 하는 동안 도금층내 Zn 비율이 높은 합금상이 액상으로 존재하여 열간 프레스를 시행 할 때, 도금층내 액상이 소지 강판과 접촉하여 강표면을 취약하는 소위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을 유발하고 그 결과 크랙 발생등 강판 손상의 원인으로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hot press after heating, an alloy phase having a high Zn ratio in the plating layer is present in the liquid phase, and when performing a hot press, the liquid phase in the plating lay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se steel sheet, causing a so-called liquid metal embrittlement phenomenon, which weakens the steel surface. As a result, steel sheet damage may occur, such as crack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이 방지되고 아연 도금층의 합금화 및 고온 안정성이 향상된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molding to prevent the liquid metal embrittlement phenomenon and to improve the alloying and high temperature stability of the galvanized layer.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측면에 따른 도금강판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부에 형성된 Al이 30중량% 이상 포함된 Al 농화층; 및 상기 Al 농화층 위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 중 입도가 500nm 이상인 입자의 개수가 100㎛2 당 평균 15개 이내이며, 상기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계면에서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이 8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one aspect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sheet; An Al thickening layer containing 30 wt% or more of Al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a zinc plating layer formed on the Al thickening layer, wherein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more among the particles constituting the Al thickening layer is an average of 15 or less per 100 μm 2 , and Al thickening at an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zinc plating layer. The occupancy area of the layer is characterized by being 88% or more.

이때, 상기 Al 농화층은 그 두께가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Al thickened layer is 0.1-1.0 micrometer.

또한, 상기 소지강판은 표면으로부터 깊이 1㎛ 이내에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표면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Al 농화층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base steel sheet is advantageous to form a preferred Al thicken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rface diffusion layer of a metal less than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within 1㎛ depth from the surface.

이때,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은 Ni, Fe, Co, Cu, Sn 및 Sb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mount of metal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s preferabl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Ni, Fe, Co, Cu, Sn and Sb.

그리고, 상기 소지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소둔산화물의 두께가 150nm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And,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advantageously 150nm or less.

또한, 상기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계면에서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이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ccupied area ratio of the Al thickened laye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zinc plated layer is 95% or more.

또한, 상기 아연도금층은 15.0 중량% 이하의 F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alvanized layer preferably contains 15.0 wt% or less of Fe.

그리고, 상기 아연도금층은 Fe: 15.0중량% 이하,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 2.0중량% 이내,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zinc plated layer is Fe: less than 15.0% by weight,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less than Cr: less than 2.0% by weight, the remainder is effective to have a composition containing Zn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

또한, 상기 소지 강판은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강판에 사용되는 조성은 모두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중량%로 C: 0.1~0.4%, Si: 2.0% 이하(0%는 제외), Mn: 0.1~4.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ase steel sheet may be used in any of the compositions used in the steel sheet for hot press mold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C: 0.1 to 0.4%, Si: 2.0% or less (excluding 0%), Mn: 0.1 to 4.0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the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remainder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또한, 상기 소지 강판은 N: 0.001~0.02%, B: 0.0001~0.01%, Ti: 0.001~0.1%, Nb: 0.001~0.1%, V: 0.001~0.1%, Cr: 0.001~1.0%, Mo: 0.001~1.0%, Sb: 0.001~0.1% 및 W: 0.001~0.3%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경우 보다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eel sheet is N: 0.001-0.02%, B: 0.0001-0.01%, Ti: 0.001-0.1%, Nb: 0.001-0.1%, V: 0.001-0.1%, Cr: 0.001-1.0%, Mo: If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0.001 ~ 1.0%, Sb: 0.001 ~ 0.1% and W: 0.001 ~ 0.3% can obtain excellent properties.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 강판은 표면의 화합물 층의 입도를 균일하고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열간 프레스 성형을 위한 가열시 도금층 전체를 균일하게 합금화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아연의 농도가 높은 액상의 아연 농화(Zn 40중량% 이상인 Zn-rich)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시 액상 금속 취화에 따른 강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finely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compound layer on the surface, thereby uniformly alloying the entire plating layer upon heating for hot press forming, and thus the concentration of zinc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high liquid zinc concentration (Zn-rich) of more than 40% by weight Zn to prevent the steel sheet damage due to liquid metal embrittlement during hot press molding.

또한, 상기 화합물 층에 포함된 알루미늄이 가열시 쉽게 분해되어 표층으로 이동하여 산화물 층을 형성함으로써 도금층에 포함된 아연성분의 휘발 및 산화물 성장을 방지하여 합금 층 내의 아연 함량을 적정 범위로 제어할 수 있어 프레스 성형된 부품의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uminum contained in the compound layer is easily decomposed upon heating to move to the surface layer to form an oxide layer, thereby preventing volatilization and oxide growth of the zinc component included in the plating layer to control the zinc content in the alloy layer to an appropriate rang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ress-molded parts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예2에 의해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강판과 아연도금층 사이에 존재하는 Al 농화층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비교예1에 의해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강판과 아연도금층 사이에 존재하는 Al 농화층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발명예2에 의해 열간 프레스 성형된 강판(부품)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
도 4는 비교예1에 의해 열간 프레스 성형된 강판(부품)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사진,
도 5는 비교예1의 열간 프레스 성형된 부품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6은 발명예1에 따라 제조된 열간프레스 성형부품의 단면 및 각 지점에서의 성분을 EDS로 분석한 결과,
도 7은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열간프레스 성형부품의 단면 및 각 지점에서의 성분을 EDS로 분석한 결과, 그리고
도 8은 비교예3에 따라 제조된 열간프레스 성형부품의 단면 및 각 지점에서의 성분을 EDS로 분석한 결과 이다.
1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bserving the Al thickening layer existing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zinc plated layer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prepared by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observing the Al thickening layer existing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zinc plated layer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3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part) hot press-formed according to Inventive Example 2 with an electron microscope;
4 is a photograph observing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part) hot press-formed by Comparative Example 1 with an electron microscope,
5 is a photograph of the hot press-formed par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6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oss section and the components at each point of the hot press molded parts manufactured according to Inventive Example 1,
7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oss section and the components at each point of the hot press molded parts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by EDS, and
8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oss section and the components at each point of the hot press molded parts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3 by EDS.

이하, 본 발명의 강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eel plat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을 대상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아연도금강판이라 함은 아연이 주성분(예를 들면 Zn ≥ 50중량%)으로 포함된 도금층을 가지는 강판으로서, 아연이 가지는 희생양극효과에 의해 강판의 내식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galvanized steel sheet. In general, a galvanized steel sheet is a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layer containing zinc as a main component (for example, Zn ≧ 50% by weight),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sheet may be greatly improved by the sacrificial anode effect of zinc.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연계 도금강판으로서 강판과 아연의 계면에 Al이 30중량% 이상 포함된 Al 농화층이 특히 균일하게 형성될 경우 도금층 중의 아연의 휘발을 억제하고 산화물 성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합금층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도금강판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부에 형성된 Al이 30중량% 이상 포함된 Al 농화층; 및 상기 Al 농화층 위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volatilization of zinc in the plating layer and prevent oxide growth when the Al-based thickening layer including Al is more than 30% by weigh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zinc as a zinc-based plated steel sheet. The discovery that one alloy layer could be obtained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la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sheet; An Al thickening layer containing 30 wt% or more of Al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a galvanized layer formed on the Al thickening layer.

상기 Al 농화층은 향후 열간 프레스를 위한 가열시 도금층 표면으로 Al이 확산하여 도금층 표면으로 이동하여 선택산화함으로써 Al2O3가 주성분(예를 들면, Al2O3 함량이 90중량% 이상)인 치밀하고 얇은 산화물 층을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열간 프레스 성형시 도금층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 층은 아연의 휘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가열에 의한 합금화 진행시 합금층내 아연이 충분히 존재하여 희생양극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Al 농화층이 열간 프레스를 위한 가열 과정에서 균일하게 분해 됨으로서 합금화의 진행 역시 신속하고,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는데, 그 결과 도금층내 Zn 농도의 불균일에 의한 부분적인 액상화로 열간 프레스시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Al 농화층은 Fe와 금속간 화합물의 화학양론비에 가까운 비율로 결합하여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Fe2Al5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좋다
The Al thickening layer is Al 2 O 3 is the main component (for example, Al 2 O 3 content of 90% by weight or more) by Al diffused to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to move to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and selectively oxidized when heating for hot press in the future It serves to form a dense and thin oxide layer. The oxid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during hot press molding serves to prevent the volatilization of zinc so that zinc in the alloy layer is sufficiently present during the alloying process by heating to faithfully serve as a sacrificial anode. In addition, since the Al thickened layer is uniformly decomposed during the heating process for hot press, the progress of alloying may also occur quickly and uniformly. As a result, the liquid phase during hot press may be caused by partial liquefaction due to non-uniformity of Zn concentration in the plating layer. The occurrence of metal embrittlemen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e Al thickening layer is preferably present in combination with a ratio close to the stoichiometric ratio of Fe and the intermetallic compound, for example, in the form of Fe 2 Al 5 .

상기 농화층에는 Zn이 일부 포함될 수는 있으나 그 함량은 10 중량%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Zn 함량이 10중량% 이상일 경우 Al 농화층의 형상이 불균일하여 짐에 따라 상기 균일 합금화의 효과가 반감된다.
The concentrated layer may include some Zn, but the content is preferably limited to within 10% by weight. When the Zn content is 10% by weight or more, the shape of the Al thickened layer becomes nonuniform, thereby reducing the effect of the homogeneous alloying.

이때, 상기 Al 농화층은 미세한 입자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강판과 도금층 계면에서 상기 Al 농화층이 점유하는 면적률이 8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률이 낮을 경우에는 합금화가 불균일하게 일어나 열간 프레스 가공시 액상 취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 뿐더러 도금층 표면에 산화물 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여 아연의 휘발 방지가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Al thickening layer has a form in which fine particl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ratio occupied by the Al thickening laye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plating layer is preferably 8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5% or more. . When the occupied area ratio of the Al enriched layer is low, alloying may occur unevenly, so that liquid embrittlement may occur during hot press working, and an oxide layer may not be sufficient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thereby preventing sufficient volatilization of zinc.

또한, 상기 Al 농화층을 구성하는 입자는 그 입도(입도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해당 입자를 평균화 하였을 때의 직경으로 정함)가 500nm 이하인 입자가 다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도 500nm 이하인 미세 입자의 비율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상기 Al 농화층이 향후 프레스 성형을 위한 가열시 용이하게 분해되어야 신속히 도금층 표면부로 이동하여 산화물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금층 내로 Fe의 신속하고 균일한 합금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미세한 입자들이 다량 분포할수록 계면이 증가하여 화합물 입자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 grains which comprise the said Al thickening layer have many particle | grains whose particle size (The method of defining particle size is various, but this invention sets it as the diameter when the particle | grain is averaged) is 500 nm or less. The reason why the ratio of the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less should be high is that the Al thickening layer must be easily decomposed upon heating for press molding in order to quickly move to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to form an oxide layer, and the rapid and uniformity of Fe into the plating layer. This is because alloying can be induced. In other words, as the fine particles are distributed in a large amount, the interface is increased and the compound particles are thermodynamically unstable, and thus can be easily decomposed.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와 같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을 때, 입도가 500nm 이상인 입자의 개수가 100㎛2 당 평균 15개 이내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도가 500nm 이상인 입자의 개수가 이보다 높으며, 전체적으로 입도가 불균일함을 나타내며, 상술한 농화층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아 아연의 휘발방지 및 열간 프레스시 액상 취화 방지에 덜 유리하다.
For this purpose, when observ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such as an image analyz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more is present within an average of 15 particles per 100 μm 2 .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more is higher than this, indicating that the particle size is not uniform as a whole, and the above-described concentration layer is not easily decomposed, which is less favorable for preventing volatilization of zinc and liquid embrittlement during hot pressing.

따라서, 본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원의 도금강판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부에 형성된 Al이 30중량% 이상 포함된 Al 농화층; 및 상기 Al 농화층 위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 중 입도가 500nm 이상인 입자의 개수가 100㎛2 당 평균 15개 이내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농화층은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계면에서 8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점유면적율로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ated steel sheet of the holding steel sheet; An Al thickening layer containing 30 wt% or more of Al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a zinc plating layer formed on the Al thickening layer, wherein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more among the particles constituting the Al thickening layer is preferably present in an average of 15 or less per 100 μm 2 , and the thickening layer is a steel sheet It is preferable to distribute at an area of 88% or more, more preferably 95% or more, at the interface of the zinc plated layer.

소지강판 표면위에 형성된 Al 농화층을 분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Al 농화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과의 계면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아연도금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면적분포를 확인하기 곤란하다. 즉, 단면 절단법으로는 단면상의 층분포는 확인할 수 있으나 입도분포는 확인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입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Al 농화층을 손상 시키지 않으면서 그 위의 Zn 도금층을 화학적으로 용해한 후에, Al 농화층을 분석하게 할 필요가 있다. Zn 도금층을 용해하기 위한 일례로서 HNO3+CrO3+ZnSO4 용액으로 녹이며 Zn 도금층이 녹고 Al 농화층만 남게 된다. 이렇게 남겨진 Al 농화층에 대하여 20,000 ~ 50,000 배의 배율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하여 사진 분석을 통하여 Al 농화층의 면적율 및 Al농화층의 입도를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100㎛2 당 입도 500nm 이상의 입자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예를 들어 5,000~10,000㎛2 의 면적당 존재하는 입도 500nm 이상의 입자의 개수를 측정한 후 이를 100㎛2 당의 평균 개수로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대면적에서 입도를 관찰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여러 번 관찰한 후 그 면적과 관찰된 500㎛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의 개수를 모두 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ethod of analyzing the Al thicken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s as follows. That is, since the Al thickening layer exist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galvanized layer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rea distribution unless the galvanized layer is removed. That is, the cross-sectional cutting method can confirm the layer distribution on the cross section, bu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difficult to confirm. Therefore, in order to confirm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l thickened layer after chemically dissolving the Zn plating layer thereon without damaging the Al thicken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s an example for dissolving the Zn plating layer, it is dissolved in a HNO 3 + CrO 3 + ZnSO 4 solution, and the Zn plating layer is melted, leaving only an Al enriched lay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is taken at 20,000 to 50,000 times magnification of the Al enriched layer, and the area ratio of the Al enriched layer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Al enriched layer are analyzed through photo analysis. Here but may be a method of measuring the particle size more than 500nm per 100㎛ 2 are a number of, for example, as the average number per this 100㎛ 2 after measuring the number of the particle size or more present per unit area of 5,000 ~ 500nm particle 10,000㎛ 2 Representa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method of obtaining. In this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observe the particle size in one large area,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of observing several times and then adding both the area and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n observed particle size of 500 μm or more.

또한, 면적율 촬영된 20,000~50,000배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에 대하여 ASTM E 562-08의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Fraction by Systematic Manual Point Count 방법에 준하여 Al 농화층의 표면 점유율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Al 농화층의 입도 측정은 상기 촬영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Image Analyze 기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평면상에서 나타나는 입자의 경계를 화상처리하여 측정하게 된다. 일례로 본원에서 사용한 방법은 영상분석기 LEICA Q 550(LEICA사)를 이용하여 입도를 측정하였다.
Also, the surface occupancy ratio of the Al enriched layer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Fraction by Systematic Manual Point Count method of ASTM E 562-08 for 20,000 to 50,000 times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measurement of the Al enriched layer is measured by image processing the boundary of the particles appearing on the plane observed by using the imag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using Image Analyze technique. As an example, the method used herein measured particle size using an image analyzer LEICA Q 550 (LEICA).

상술한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의 입도 분포를 조절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독립청구항에서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만, 몇가지 예를 든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확산방지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소둔시 이슬점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강판내에 고용된 원소들이 내부산화하도록 함으로써 표면까지 확산하여 산화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상기 입도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는 소둔시 강판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의 평균 두께가 150n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re may be a variety of methods for adjust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forming the Al enriched layer, the independ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particularly limit it.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diffusion barrier layer is formed as described below or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controlled during annealing, the elements dissolved in the steel sheet are internally oxidized to prevent the diffusion and oxidation to the surface to prevent oxidation. Can be obtained. For this purpose,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oxi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during annealing is preferably within 150nm.

이때, 상기 Al 농화층은 그 두께가 0.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Al 농화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상기 산화피막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에 그 양이 너무 부족하고, 상기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상기 산화피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0.1~1.0㎛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l thickening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1.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Al thickened layer is less than 0.1 μm, the amount is too short to form the oxide film continuously. If the thickness exceeds 1.0 μm,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may be too thick. It is preferable to limit it to -1.0 micrometer.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지강판은 표면으로부터 깊이 1㎛ 이내에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표면확산층(이하, 간략히 '표면확산층'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확산층은 열간 성형을 위한 가열시 Fe-Zn 상내에 고용됨으로써 소지강판에 고용된 성분이 도금층으로 과도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아연 도금층의 Zn이 소지강판으로 과도하게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연 도금층의 Zn이 소지강판으로 과도하게 확산될 경우에는 소지강판으로 확산되어 버린 Zn은 강판 성분에 비하여 그 비율이 낮아 강판의 내식성 향상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렇게 소모되어 버리는 Zn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강판의 내식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Zn을 다량 확보(예를 들면 25~35중량%)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eel sheet is a metal surface diffusion lay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urface diffusion layer') of the metal less than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per mol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within 1㎛ depth from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urface diffusion layer is dissolved in the Fe-Zn phase during heating for hot forming to prevent excessive diffusion of the components dissolved in the steel sheet into the plating layer, and to suppress excessive diffusion of Zn in the zinc plating layer into the steel sheet. can do. When Zn of the zinc plated layer is excessively diffused into the base steel sheet, Zn diffused into the base steel sheet has a lower ratio than the steel sheet component, and thus hard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sheet. Thus, the amount of Zn consumed is reduc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amount (for example, 25 to 35% by weight) of Z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sheet.

뿐만 아니라, 상기 표면확산층이 존재할 경우 강판으로부터 Fe 성분이 균일하게 확산하여 합금화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역할로 인하여 도금층에는 열간 프레스 성형 온도(예를 들면 780~950℃)에서도 액상 금속이 존재하지 않아 액상 금속 취화(LME)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확산층은 본 발명의 Al 농화층이 보다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가 동시다발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의 입도분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ce of the surface diffusion layer, the Fe component is uniformly diffused from the steel sheet to assist alloying. Due to this role, the plating layer has a liquid metal even at a hot press forming temperature (for example, 780 to 950 ° C). It is not present so that liquid metal embrittlement (LM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diffusion layer allows the Al thicken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re easily formed, the surface diffusion layer serves to simultaneously generate the particles forming the Al thickening layer, and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onditions of the particles forming the preferred Al thickened layer can be satisfied.

이를 위해서는 상기 표면 확산층에 포함된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속은 코팅후 소둔 열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모재로 확산되어 표면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연구결과 표면으로부터 깊이 1㎛이내에 상기 금속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되어야 아연도금시 도금욕 중의 Al을 상기 금속과 반응시켜 더 많은 양의 Al을 상기 표면확산층 위에 농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금속의 함유량은 30%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함유량이 30%를 초과하게 되면 합금화 초기에서 지나치게 빠른 합금화가 진행되어 도금층내 합금화 균일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금속의 코팅으로 아연도금층이 고온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연도금층의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판 표면으로부터 1㎛이내에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이 0.1 중량% 이상 존재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아연도금층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이 되면 더욱 우수하게 아연도금층의 내열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metal having a Gibbs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less than Cr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ncluded in the surface diffusion layer is 0.1 wt% or more. That is, the metal is diffused into the base material during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after coating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e.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metal content is 0.1 wt% or more within 1 μm from the surface, the Al in the plating bath should be This is because the higher amount of Al can be concentrated on the surface diffusion layer by reacting with the metal.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metal is preferably limited to 30% or less. This is because if the metal content exceeds 30%, too fast alloying may proceed in the initial stage of alloying, which may inhibit alloying uniformity in the plating laye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galvanized layer from being decomposed at a high temperature by coating the metal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cure the heat resistance of the galvanized layer, a metal having a Gib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per mole of oxygen less than Cr is less than 0.1 when oxidized within 1 μm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t should be present in the weight% or more, preferably included in more than 1.0% by weight can effectively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galvanized layer, more preferably more than 3.0% by weight can contribute to ensure the heat resistance of the galvanized layer more excellently. .

또한, 만일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표면확산층이 포함되거나 아연도금층에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이 포함될 경우에는 상기 Al 농화층에는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Al 농화층 전체의 5중량%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은 강판으로부터도 유래할 수 있다.
Further, if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in the oxidation reaction is less than Cr includes a surface diffusion layer or the zinc-plated layer includes a metal in which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s less than Cr is Al The concentrated layer may further include a metal having a reduced amount of Gibbs free energy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less than Cr, the content of which may be 5 wt% or less of the entire Al enriched layer, and more preferably 0.1 to 5 wt%. Can be Metals having a reduced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may be derived from a steel sheet.

특히, 상기와 같은 표면확산층이 형성되면 Al이 계면반응을 통해 상기 표면확산층 위에 더 많은 Al이 농화되기 때문에, 상기 표면확산층은 이러한 Al 농화층이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EPMA 분석시 상기 Al 농화층과 상기 표면확산층 중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함량이 5중량% 이상인 부분이 겹치는 면적이 전체 표면확산층 및 Al 농화층에 대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겹쳐지는 부분은 상기 금속과 Al이 합금반응을 일으켜 합금상을 형성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Al이 상기 금속과 합금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프레스 가열시 도금층 표면으로 확산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합금상태로 존재하는 부분이 많게 되면 상기 Al2O3 연속적인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Al의 양이 실질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EPMA 분석으로 볼 때, 상기 겹치는 부분이 10% 이하가 되어야 합금상태로 존재하지 않는 Al이 상기 농화층에 충분히 위치하게 되어 Al2O3 산화피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surface diffusion layer is formed, Al is more concentrated on the surface diffusion layer through the interfacial reaction, so that the surface diffusion layer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Al concentration layer. At this time, the area where the Al content of the Al-concentrated layer and the surface-diffusion layer in which the amount of reduction of Gibbs free energy per one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s less than 5% by weight of the metal content of Cr is overlapped in the entire surface diffusion layer and the Al concentration layer. It is preferably less than 10%,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means that the metal and Al have alloyed to form an alloy phase. When Al is present in the alloy state with the metal, it is not easy to diffuse to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during press heating.2O3 The amount of Al which can contribute to forming a continuous oxide film is substantially reduced. Therefore, in the EPMA analysis, when the overlapping portion is 10% or less, Al that does not exist in the alloy state is sufficiently located in the thickened layer.2O3 The oxide film is effectively formed.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Ni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Fe, Co, Cu, Sn, S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Ni는 산소 친화력이 Fe에 비하여 적은 원소로 Ni 표면확산층이 강판 표면에 피복하고 있는 경우, 코팅 후 소둔과정에서 산화가 되지 않고 강판 표면의 친산화성 원소인 Mn, Si 등의 산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Fe, Co, Cu, Sn, Sb도 금속 표면에 피복되면 유사한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이때, Fe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Ni 등과 합금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metals having a reduced Gibbs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may include Ni, and in addition, Fe, Co, Cu, Sn, and Sb may be applied. Ni is an element with less oxygen affinity than Fe, and when Ni surface diffusion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steel sheet, Ni does not oxidize during the annealing process after coating and inhibits oxidation of Mn, Si, etc. Done. Fe, Co, Cu, Sn, Sb also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when coated on the metal surface. At this time, Fe is more preferably used in an alloy state with Ni and the like than using alone.

그리고, 본 발명의 아연도금층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용융아연도금, 전기아연도금, 플라즈마에 의한 건식아연도금, 고온 액상Zn 스프레이에 의한 아연도금층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ype of zinc pl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both hot dip galvanization, electro zinc plating, dry zinc plating by plasma, and zinc plating layer by high temperature liquid Zn spray.

상기 아연도금층에는 Fe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Fe가 아연도금층으로 충분히 확산되어 Fe-Zn 합금상을 형성시킴으로써 Zn의 융점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열성 확보를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에 해당한다. 다만, 도금층내 Fe는 주로 도금 과정에서 소지 강판으로 확산되어 형성되는 것인데, F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도금층은 델타 혹은 감마상이 됨에 따라 도금층이 취성을 가지게 되므로, 따라서 도금층내 Fe의 함량은 그 상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 상한을 15.0 중량%으로 제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Fe가 5.0 중량% 이하로 첨가될 경우 도금층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 크랙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Fe is preferably added to the galvanized layer. This is to increase the melting point of Zn by Fe is sufficiently diffused into the galvanized layer to form a Fe-Zn alloy phase, which corresponds to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for securing heat resistance. However, Fe in the plating layer is mainly formed by diffusion into the steel sheet during the plating process, the plating layer becomes brittle as the plating layer becomes delta or gamma phase as the Fe content increases, so the content of Fe in the plating layer is the upper limit. It is preferable to hav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15.0% by weight. More preferably, when Fe is added in an amount of 5.0 wt% or less, fine cracks that may occur in the plating layer may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 아연 도금층은 Fe: 15.0중량% 이하,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 2.0중량% 이내,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아연도금층에 포함된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은 열간 프레스 가열시 도금층 내로 확산되어 도금층에 포함되게 되며, 특히 열간 프레스 가열시 Fe-Zn에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이 고용되어 3원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스 가열시에 소지철의 Fe 등이 도금층 내로 확산되는 것을 저감시킴으로써, 이에 따라 아연도금층이 분해되지 않고 단일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스 가열시 도금층에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3원상이 충분히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금층 및 Al 농화층을 합한 전체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이 0.01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성 차원에서 상한은 2.0 중량%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zinc plating layer is Fe: 15.0% by weight or less,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less than Cr: less than 2.0% by weight, the remainder preferably contains Zn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In the oxidation reaction included in the hot dip galvanized layer, a metal having a Gib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per mole of oxygen less than Cr is diffused into the plating layer during hot press heating to be included in the plating layer, and in particular, when the oxidation reaction is performed on Fe-Zn during hot press heating. Metals having a smaller Gi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are dissolved to form a ternary phase, thereby reducing the diffusion of Fe, etc., of the ferrous iron into the plating layer during press heating, thereby not decomposing the galvanized layer. It plays a key role in forming a single plating layer.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hree-phase phase is sufficiently formed to impart heat resistance to the plating layer during press heat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Gibbs free energy per mole of oxygen is 0.01 wt% or more during the total oxidation reaction of the plating layer and the Al concentration layer. It is necessary to include, an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to 2.0% by weight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는 Al 농화층을 이루는 Al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 도금층으로부터 제공하고자 한다면 도금층은 Al을 0.05~0.5중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l의 함량이 0.05% 미만에서는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기 쉽고, Al의 함량이 0.5%를 초과해서는 Zn 도금층의 계면에 인히비션(inhibition)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열간 프레스 가열로에서의 반응 초기에 Zn층내로의 Fe, Mn 등의 확산 속도가 저하되어 가열로 내에서의 합금화가 지연되기 때문에 Al량을 0.5% 이하로 제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합금화 지연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In addition, Al constituting the Al thickening lay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in a variety of ways, but if you want to provide from the plating layer, the plating layer more preferably contains 0.05 to 0.5% by weight of Al. If the Al content is less than 0.05%, the plating layer is easily formed non-uniformly, and if the Al content is more than 0.5%, an activation layer is formed thickly at the interface of the Zn plating layer, and thus the reaction is initiated in a hot press heating furnace. Since the diffusion rate of Fe, Mn, etc. into the Zn layer decreases and the alloying in the heating furnace is delayed, the amount of Al is limited to 0.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25% or less. More effective.

또한, 상기 아연도금층의 두께는 3㎛ 이상이 되어야 고온에서의 내열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만약 상기 두께가 3㎛에 미달하면 도금층 두께의 불균일이 나타나거나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도금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내식성 확보에 유리하지만, 30㎛ 정도이면 충분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고, 경제성 측면에서 아연도금층의 두께 상한은 30㎛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금층 두께를 15㎛ 이내로 제어하여 열간 프레스 공정후 도금층내 Fe가 60중량% 이상이 되는 합금상의 비율을 높게 확보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시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LME에 의한 크랙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galvanized layer should be 3㎛ or more to ensure the heat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3㎛ may cause uneven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or lower the corrosion resistance, more preferably It is effective that is 5 micrometers or more. In addition, the thicker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the better the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if the thickness is about 30 μm,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may be obtain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racks due to LME that may occur on the surface at the time of press working as much as possible by controlling within 15 μm to ensure a high proportion of the alloy phase in which the Fe becomes 60 wt% or more in the plating layer after the hot pressing process.

또한, 도금강판의 종류에 따라 소둔 열처리를 수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강판의 표면에 소둔산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둔 산화물은 상기 표면확산층 위에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게 되고, 일부는 Al 농화층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소둔 산화물은 상기 용융아연 도금층과 강판의 구성원소인 Fe, Mn 등의 합금화를 막는 확산 장벽으로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입자 분포를 가지는 Al 농화층이 균일 형성되는데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급적 얇게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둔 산화물의 두께를 150㎚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용융아연도금층의 합금화를 촉진하여 내열성 및 프레스 성형 후의 도금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lated steel sheet. At this time, the annealing oxid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he annealing oxide is discontinuous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diffusion layer, and a part of the annealing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Al thickening layer. By the way, the annealing oxide not only acts as a diffusion barrier to prevent alloying of Fe, Mn, etc., which are members of the hot dip galvanized layer and the steel sheet, but also adversely affects uniformly forming an Al enriched layer having a particle distribution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not to be formed as thin a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is 150 nm or less, thereby facilitating alloying of the hot dip galvanized layer, improving heat resistance and plating adhesion after press molding, and suppressing liquid metal embrittlement.

즉, 상기 소둔 산화물의 두께가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둔 산화물의 영향으로 Al 합금화 층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미도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Al 합금화층의 형성에 있어서 입자의 불균일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간 프레스 가열 초기에 도금층의 합금화가 지연되어 고온 가열시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소둔 산화물의 두께는 소지강판의 Si, Mn 등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소둔 산화물의 두께가 150nm 이하가 되어야 도금성 및 내열성 확보가 가능하며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의 억제가 가능하다.
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exceeds 150nm, the Al alloying layer may not be formed well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nnealing oxide, and thus an unplating phenomenon may occur, resulting in unevenness of particles in forming the Al alloying layer. Can be. In this case, alloying of the plating layer is delayed at the beginning of hot press heating, and thus sufficient heat resistance cannot be secured at high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Si, Mn, etc. of the steel sheet,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is 150nm or less to secure the plating property and heat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iquid metal embrittlement phenomen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둔 산화물의 평균 두께를 100nm 이하로 제어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둔 산화물의 평균 두께를 50nm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도금성 및 내열성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may be controlled to 10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he plating thickness,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may be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to 50 nm or less.

이때, 상기 소둔 산화물을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균일한 합금화를 촉진시키고 내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Al 농화층의 입자 분포를 얻기 위해 상기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는 700~900℃이하의 온도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둔 열처리 온도가 700℃에 미달하면 소둔온도가 너무 낮아 강의 재질특성 확보가 어렵고, 상기 온도가 900℃를 초과하게 되면, 산화물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본 발명에서 강판과 용융아연도금층 사이에 얇은 산화피막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만일 열연 강판이거나 이미 재결정 열처리를 수행한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소둔 열처리 온도는 500~700℃가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00 to 900 ° C. in order to promote uniform alloying and secure heat resistance by not forming the annealing oxide, and at the same time to obtain a particle distribution of the Al enriched layer. Do. When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ess than 700 ℃ annealing temperature is too low to secure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teel,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900 ℃, the growth rate of the oxide is faster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 dip galvanized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thin oxide film. If a hot rolled steel sheet or a steel sheet which has already undergone recrystallization heat treatment is used, the anneal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500 to 700 ° C.

또한, 상기 소둔분위기의 이슬점 온도는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가스는 수소(H2)가스의 비율은 3~15 부피%이고, 나머지는 질소(N2)가스인 혼합가스가 바람직하다. H2의 비율이 3% 미만에서는 분위기 가스의 환원력이 저하되어 산화물의 생성이 용이하고 H2의 비율이 15%를 초과하는 경우, 환원력은 좋아지지만 환원력의 증가대비, 제조 비용의 증가로 너무 과다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annealing atmosphere is more preferably -10 ° C or lower. The mixed gas is a hydrogen (H 2 ) gas is a ratio of 3 to 15% by volume, the balance is a nitrogen (N 2 ) gas is preferably a mixed gas. If the ratio of H 2 is less than 3%, the reducing power of the atmosphere gas is reduced, and the production of oxides is easy. If the ratio of H 2 is more than 15%, the reducing power is improved, but it is too much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increase in reducing power.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또한, 상기 소지강판은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강판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열연강판이나 냉연강판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강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그 특성으로서 오스테나이트 영역으로 가열한 후 물이나 기름 혹은 냉각된 프레스 금형로 퀀칭(quenching)하였을 때, 인장강도가 140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470MPa 이상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In addition, if the base steel sheet is used as a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ny type of hot rolled steel sheet or cold rolled steel sheet can be used as well as any kind, and the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is well known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as the property, when quenched with water, oil or a cooled press mold after heating to the austenite region, any one can be used as long as the tensile strength is 1400 MPa or more, preferably 1470 MPa or more.

다만, 한가지 예를 든다면 상기 소지강판은 중량%로 C: 0.1~0.4%, Si: 2.0% 이하(0%는 제외), Mn: 0.1~4.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본 발명의 본지에 보다 부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지는 않는다.
However, for example, the base steel sheet is made of weight% C: 0.1 to 0.4%, Si: 2.0% or less (excluding 0%), Mn: 0.1 to 4.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It may be more consistent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소지강판의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모두 중량기준임을 미리 밝혀둔다.
Hereinafter, the composition of the base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is noted that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described below is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C: 0.1~0.4%C: 0.1 to 0.4%

C는 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핵심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경질상을 생성시킨다. C의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에서는 오스테 나이트 단상역에서 열간 프레스를 행하더라도 목표로 하는 강도 확보가 어려우므로, C의 함량을 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의 함량이 0.4%를 초과하게 되면 인성 및 용접성의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서 소둔 및 도금 공정에서 통판성을 저해하는 등 제조공정에서 불리한 점이 있으므로 C의 상한은 0.4% 이하로 제한한다.
C is a key element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steel sheet, and produces a hard phase of austenite and martensite.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C is less than 0.1%, even if hot pressing is performed in the austenitic single-phase zon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arget strength,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d the content of C at least 0.1%. If the content of C exceeds 0.4%, the likelihood of deterioration of toughness and weldability is increased, and the strength is excessively high, so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impairing the flowability in the annealing and plating process, so the upper limit of C is 0.4% or less. Limited to

Mn: 0.1~4.0%Mn: 0.1 ~ 4.0%

Mn은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도 상승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로 변태를 지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n의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 변태온도(Ae3)가 높아져서 강판을 오스테아니트 단상에서 프레스 가공하기 위하여는 그만큼 높은 열처리 온도가 필요하다. 반면, Mn의 함량이 4.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 열간 압연성 등이 열화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Mn에 의한 페라이트 변태 온도 (Ae3)의 저감 및 소입성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는 Mn의 함량을 0.5%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n, a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not only contributes greatly to the strength increase, bu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laying the transformation from austenite to ferrite. If the Mn content is less than 0.1%, the ferr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e3) is increased in austenite, so that a high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required to press-process the steel sheet on the austenite single ph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Mn exceeds 4.0%, weldability, hot rolling property and the like may deteriorate, which is not preferable. At this time, the content of Mn is more preferably 0.5% or more in order to sufficiently reduce the ferrite transformation temperature (Ae3) and hardenability due to Mn.

Si: 2% 이하(0%는 제외)Si: 2% or less (except 0%)

Si는 탈산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상기 Si의 함량이 2%를 초과하면 열연판의 산세가 곤란하여 열연강판 미산세 및 미산세된 산화물에 의한 스케일성 표면 결함을 유발할 수 있을 뿐더러 소둔시 강 표면에 SiO2 산화물이 생성되어 미도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Si의 상한은 2%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넘게 첨가할 경우 탈산 작용을 극대화하기에 더욱 효과적이다.
Si is a component added for the purpose of deoxidation. If the content of Si exceeds 2%, it is difficult to pickle the hot rolled sheet, which may cause scale surface defects due to hot pickled sheet and unpickled oxide. Since SiO 2 oxide may be generated on the steel surface and unplating may occur, the upper limit of Si is preferably limited to 2%. More preferably, the addition of more than 0.3% is more effective to maximize the deoxidation action.

또한, 본 발명의 강에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이 일부 포함될 수 있며, 상기 불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확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 불순물의 한가지 예로서 Al을 들 수 있는데 상기 Al이 많아 지면 제강성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첨가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서는 0.05%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불순물에는 P.S 등이 있을 수 있으면 그 외에도 철강분야에서 통상적인 불순물을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ome unavoidable impurities, which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uritie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ne example of the impurity is Al, but if the amount of Al increases, steelmaking cracks may occur, so it is not add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manage it at 0.05% or less. Other impurities may include PS, but do not exclude impurities common in the steel field.

또한, 상기 소지강판은 N: 0.001~0.02%, B: 0.0001~0.01%, Ti: 0.001~0.1%, Nb: 0.001~0.1%, V: 0.001~0.1%, Cr: 0.001~1.0%, Mo: 0.001~1.0%, Sb: 0.001~0.1% 및 W: 0.001~0.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eel sheet is N: 0.001-0.02%, B: 0.0001-0.01%, Ti: 0.001-0.1%, Nb: 0.001-0.1%, V: 0.001-0.1%, Cr: 0.001-1.0%, Mo: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tain 0.001 to 1.0%, Sb: 0.001 to 0.1% and W: 0.001 to 0.3%.

N: 0.001~0.02%N: 0.001 to 0.02%

N는 0.001% 미만시 제강과정에서 N를 제어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하한을 0.001%로 한다. N 함유량이 0.02% 초과하게 되면, 제조 공정상 강판을 용해 및 연주를 하기 어려워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AlN에 의한 슬라브 균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2%로 한다.
If the N is less than 0.001%, the manufacturing cost for controlling N in the steelmaking process can significantly increase, so the lower limit is set to 0.001%. When the N content is more than 0.02%, it is difficult to dissolve and perform the steel shee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and slab cracking due to AlN is likely to occur, so the upper limit thereof is made 0.02%.

B: 0.0001~0.01%B: 0.0001 to 0.01%

B는 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 변태를 지연시키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001%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어렵고, B의 함량이 0.01% 초과시에는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열간 가공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is an element that delays ferrite transformation in austenite, and its content is difficult to achieve sufficiently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1%, and when the content of B is more than 0.01%, the effect is not only saturated but also degrades hot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upper limit to 0.01%.

Ti, Nb 또는 V: 0.001~0.1%Ti, Nb or V: 0.001 to 0.1%

Ti, Nb 및 V은 강판의 강도 상승, 입경 미세화 및 열처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함량이 0.001% 미만에서는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0.1% 초과시에는 제조비용 상승 및 과다한 탄,질화물 생성으로 원하는 강도 및 항복강도 상승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상한을 0.1%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Nb and V are effective elements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miniaturizing the grain size and improving heat treatment properties.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the above effect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If the content exceeds 0.1%, the effect of the desired strength and yield strength increase cannot be expected due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excessive carbon and nitride production. Therefore,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0.1%. desirable.

Cr 또는 Mo: 0.001~1.0%Cr or Mo: 0.001-1.0%

Cr과 Mo은 경화능을 크게 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형 강판의 인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높은 충돌에너지 특징이 요구되는 강판에 첨가하면 그 효과가 더욱 크고, 상기 함량이 0.001% 미만에서는 상기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1.0% 초과에서는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Cr and Mo not only increase the hardenability but also increase the toughness of the heat-treated steel sheet, the effect is greater when added to a steel sheet that requires high impact energy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is lower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upper limit to 1.0% because it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and the effect is saturated not only in 1.0%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Sb: 0.001~0.1%Sb: 0.001-0.1%

Sb는 열간압연시 입계의 선택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스케일의 생성이 균일해지고, 열간압연재 산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소이다. Sb 함량이 0.001%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Sb 함량이 0.1% 초과시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열간 가공시 취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b is an element which plays a role of making the generation of scale uniform by suppressing selective oxidation of grain boundaries during hot rolling and improving pickling properties of hot rolled materials. If the Sb content is less than 0.001%, the effect is difficult to achieve, and if the Sb content is more than 0.1%, the effect is not only saturated, but the manufacturing cost may be increased and brittleness may occur during hot working, so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0.1%. desirable.

W: 0.001~0.3%W: 0.001 to 0.3%

W은 강판의 열처리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원소임과 동시에, W 함유 석출물이 강도 확보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01%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함량이 0.3%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함량은 0.001~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 is an element that improves the heat treatment hardenability of the steel sheet and at the same time, W-containing precipitates are advantageous for securing strength,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001%, the above effect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and the content is 0.3% When exceeded, the effect is not only saturated, but also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the content is preferably limited to 0.001 ~ 0.3%.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matters reasonably inferred therefrom.

(실시예)(Example)

먼저,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가진 강재를 냉간 압연한 강판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First, the steel plate which cold-rolled the steel material which has a composition of Table 1 was tested.

구분(중량%)Category (% by weight) CC SiSi MnMn PP SS AlAl 강1River 1 0.230.23 0.0350.035 2.22.2 0.0080.008 0.00150.0015 0.0350.035 강2River 2 0.220.22 0.80.8 1.71.7 0.0070.007 0.0010.001 0.030.03

그리고, 소둔전 강판의 표면에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한가지 종류로서 표 2에 기재한 종류의 소정의 금속(표 2에서 별도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을 도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함)을 200nm 이내로 도포한 후 785℃의 온도에서 소둔처리를 수행하고 0.21중량% Al이 함유된 Zn 도금욕에서 도금 처리를 하여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도금욕중 Fe는 소지 강판에서 용해된 소량의 Fe가 존재하지만 도금욕내 드로스가 발생하여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에서는 특별히 제어하지 않는다.
When the oxidation reaction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before annealing, one of the metals whose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is smaller than Cr is a predetermined metal of the type shown in Table 2 (when not otherwise described in Table 2,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is not applied to the metal less than Cr), and the anneal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85 ° C, and the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in a Zn plating bath containing 0.21% by weight of Al. To obtain a plated steel sheet. At this time, Fe in the plating bath has a small amount of Fe dissolved in the steel sheet, but is not particularly controlled unless dross occurs in the plating bath,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일부에 대한 시편을 채취한 후 GOEDS분석을 통해 상기 금속 도포층의 두께, 표면으로부터 1㎛ 깊이까지 농화된 금속량 및 Zn 도금층 두께 등을 측정하였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편 단면의 SEM, TEM 관찰, 습식분석 및 전자분광 화학 분석법(ESCA)에 의하여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Al 농화층의 입도분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도금강판의 일부를 채취한 후 산용액 (HNO3+CrO3+ZnSO4)으로 도금층만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부식성 평가 결과의 기준으로서 우수는 표면 부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양호는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였으나, 간헐적으로 발생되었으며, 부식 깊이도 100㎛ 이하인 경우, 불량은 부식이 전면적으로 발생되었거나 부식깊이가 100 ㎛를 초과하는 지점이 발견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포금속 함량은 GDS 프로파일로부터 환산한 결과를 의미한다.After taking a specimen of a part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the thickness of the metal coating layer, the amount of metal concentrated to the depth of 1 μm from the surface, and the thickness of the Zn plating layer were measured by GOEDS analysi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ata. Comparison was verified by SEM, TEM observation, wet analysis and electrospectrochemical analysis (ESCA) of the cross sections. In addition, in order to observ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Al thickening lay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galvanized layer, a part of the plated steel sheet was taken, and only the plated layer was selectively removed with an acid solution (HNO 3 + CrO 3 + ZnSO 4 ).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observed using an analyz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as a criterion of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orrosion, when the surface corrosion hardly occurred, the surface of the good corrosion occurred, but intermittently occurred, when the corrosion depth is less than 100㎛, the failure occurs entirely corrosion Or a point where the corrosion depth exceeds 100 μm is found. In addition, a coating metal content means the result converted from GDS profile.

구분 division 강종 Steel grade 도포금속 Coating metal 확산층내 도포금속함량(중량%) Coated metal content in the diffusion layer (wt%) 표면 100㎛2당 직경 500nm를 넘는 Al농화층 입자수 Number of Al-enriched layer particles over 500 nm in diameter per 100 μm 2 of surface 표면 Al농화층의 점유율(%) Share of surface Al thickening layer (%) 아연도금층 두께(㎛) Galvanized layer thickness (㎛) 열간프레스 가열온도 (℃) Hot press heating temperature (℃) 열간 프레스 가열 시간(분) Hot press heating time (minutes) 열간프레스 가열시 표면 크랙 여부(액상 금속 취화 크랙) Surface cracks during hot press heating (liquid metal embrittlement cracks) 가공 시편에 대한 부식 평가 결과 (SST 480시간후) Corrosion evaluation results for processed specimens (after SST 480 hours) 발명예1 Inventory 1 강1 River 1 Ni Ni 1.71.7 6.5 6.5 91.5 91.5 8 8 900 900 5 5 크랙 미발생 No crack 우수 Great 발명예2 Inventive Example 2 강1 River 1 Ni Ni 3.03.0 5.1 5.1 94.3 94.3 8 8 910 910 5 5 상동 Homology 우수 Great 발명예3 Inventory 3 강2 River 2 Fe-Ni Fe-Ni 3.23.2 2.3 2.3 90.1 90.1 8 8 850 850 7 7 상동 Homology 우수 Great 발명예4 Honorable 4 강1 River 1 Cu Cu 3.53.5 3.5 3.5 90.5 90.5 10 10 930 930 5 5 상동 Homology 우수 Great 비교예1 Comparative Example 1 강1 River 1 - - - - 16 16 87 87 10 10 900 900 5 5 크랙 발생 Crack 양호 Good 비교예2 Comparative Example 2 강2 River 2 - - - - 21 21 75 75 10 10 880 880 5 5 상동 Homology 양호 Good 비교예3 Comparative Example 3 강2 River 2 - - - - 18 18 81 81 7 7 910 910 5 5 크랙미발생 No crack 열위 Inferior

상기 발명예1~4는 Al 농화층의 입도 분포를 본원에서 제한하는 범위로 제어하기 위하여 한가지 바람직한 방법인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을 도포한 경우를 나타내고, 비교예1~3는 입도 분포를 위한 특별한 조작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Inventive Examples 1 to 4 show a case in which a metal having a Gibbs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s applied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Al enriched layer to a range limi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less than Cr. Examples 1-3 show the case where the special operation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not performed.

발명예1~4의 경우는 열간 프레스 가공시 LME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5%NaCl 수 용액을 분무하는 부식 실험(SST)을 480시간 계속한 후 소지 강판의 부식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내식성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1 및 2의 경우 열간 프레스시 크랙이 발생하였으며, 비교예3의 경우 하기 도 8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도금층내 Zn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표면에 두꺼운 산화물이 발생하고, 또한 내부식성이 극히 열위하여 SST 시험 후에 강표면에 부식 깊이가 300㎛이상 발생하여 내부식성이 극히 열위하였다.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s 1 to 4, LME crack did not occur during hot press processing, and after corrosion test (SST) spraying 5% NaCl aqueous solution for 480 hour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sheet hardly occurred. Showed. 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racks were generated during hot pressing. In Comparative Example 3, as shown in FIG. 8, Zn content in the plating layer was rapidly decreased, resulting in a thick oxide on the surface, and also extremely poor corrosion resistance. For this reason, corrosion resistance was over 300㎛ on the steel surface after SST test,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was extremely inferior.

도금을 실시하고 나서,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에 대하여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열간 프레스 공정을 실시하였으며, 열간 프레스 가열로는 대기중에서 분위기 제어하였다. 열간 프레스 공정이 끝난 후 도금층은 표면을 XRD, GOEDS 분석을 통하여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과 도금층내 합금상을 분석하였다. 참고로, 상기 도금층의 두께는 도금층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도금층내 Zn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인 지점까지의 길이로 측정하였다.
After plating, the hot-dipped galvanized steel sheet was subjected to a hot press process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and the hot press heating furnace was controlled in the atmosphere in the air. After the hot pressing process, the plated layer was analyzed for oxides formed on the surface and alloy phases in the plated layer through XRD and GOEDS analysis. For reference,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was measured by the length from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to the point where the content of Zn in the plating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25% by weight or more.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에 의한 확산금속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Al 농화층 중 입자분포 조건이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는데 반하여 그렇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입자 분포조건이 본 발명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를 위하여 도 1과 도 2에 각각 발명예2와 비교예1에 의해 얻어진 Al 농화층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발명예2의 경우 Al 농화층은 미세하고 균일한 반면, 비교예1의 경우 Al 농화층이 불균일하고 직경 500nm 이상의 조대한 입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diffusion metal layer formed by the metal having a smaller amount of Gibbs free energy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was formed than the Cr, the particle distribution conditions in the Al enriched layer correspond to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le distribution conditions did not meet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show electron micrographs of the Al thickened layers obtained by Inven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example 2 Al concentration layer is fine and uniform,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Al concentration layer is non-uniform and includes a large number of coarse particles of 500nm or more in diameter.

상기와 같은 입자들의 입도 분포는 열간 프레스 성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 농화층이 조대한 입자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열간 프레스 성형시 액상 금속 취화 현상이 발생하여 강판에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uch particles has a great influence on hot press formability. That is, as shown in Table 2, when the Al thickening lay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coarse particles, the liquid metal embrittlement phenomenon occurs during hot press forming, causing cracks in the steel sheet.

또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보다 확실히 비교하기 위하여 발명예2와 비교예1에 의해 열간 프레스 성형된 강판(부품)의 절단면을 투과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은 열간 프레스시 가공이 집중된 부위로서 발명예2의 경우인 도 3의 경우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반면, 비교예1인 도 4의 경우는 LME에 의한 크랙이 소지 강판까지 침투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mpare the cause of such a phenomenon more reliably, the result of having observed the cut surface of the steel plate (part) hot-press-formed by Inven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by the trans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s shown in FIG. 3 and FIG. 4, respectively. . In the drawing, the cracks are not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vention as a concentrated portion during hot pressing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2, whereas in the case of FIG. It can be seen.

도 5는 상기 도 4의 소지 강판 크랙 부분에 침투한 아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서 소지 강판으로 침투한 크랙을 확대하여 크랙에 형성된 Zn 농화층을 EDS로 분석한 자료이다. 크랙의 중간 중간 Zn가 침투하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5 is an EDS analysis of the Zn enriched layer formed on the cracks by expanding the cracks penetrated into the steel sheet as a basis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f zinc penetrated into the steel sheet crack portion of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middle Zn of the crack penetrated.

이는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 균일한 합금화가 진행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는 Fe과도하게 합금화된 상과 Zn이 액상영역이 공존하였고, 액상의 Zn이 강판의 결정립계로 침투하여 취화현상을 초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t was judged that the uniform alloying did not proceed as the heating proceeded, so that the partially alloyed phase with Fe and the liquid phase coexisted with Zn, and the liquid Zn penetrated into the grain boundary of the steel sheet, causing embrittlement. .

또한, 상기 비교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발명예1에 따라 제조된 열간프레스 성형부품의 단면 및 각 지점에서의 성분을 EDS로 분석한 결과를 도 6 및 표 3에 나타내었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열간프레스 성형부품의 단면 및 각 지점에서의 성분을 EDS로 분석한 결과를 각각 도 7 및 8, 그리고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단지 여기서 EDS 분석의 특성상 함량이 0.5중량% 이내의 성분에 대하여는 실재 존재 값에 대하여 분석값이 불분명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EDS analysis of the cross section and components at each point of the hot press molded parts manufactured according to Inventive Example 1 are shown in FIG. 6 and Tab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EDS analysis of the cross sections and the components at each point of the hot press molded parts manufactured according to Example 3 are shown in FIGS. 7 and 8 and Tables 4 and 5, respective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nature of the EDS analysis, for the components with a content within 0.5% by weight, the analytical value may be unclear to the actual present value.

도 6 및 표 3에 의하면 발명예의 경우는 열간 프레스 후에 Fe 함량이 25~35% 범위의 안정된 도금 피막이 형성되며, 이 도금 피막은 소지 강판과 명확하게 구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강 도금 표면에는 두께 5㎛ 이내의 산화물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FIG. 6 and Table 3,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example, a stable plating film having a Fe content in the range of 25 to 35% is formed after hot pressing, and the plating film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base steel sheet. At this time, oxides within 5 μm in thickness are uniformly formed on the steel plating surface.

반면 도7 및 표4의 경우로 비교예1의 경우는 열간 프레스 후에 도금층내에 Zn 함량이 40%를 초과하는 Zn농화영역 (화살표 ②)가 존재하여 이 Zn 농화역이 가공시 LME 크랙율 유발하게 된다. 또한 표면 산화물의 형성이 불균일 하다. 도8 및 표5의 경우인 비교예 3의 경우는 열간 프레스 후에 표면에 5㎛를 초과하는 두꺼운 산화물이 형성되었으며 도금층과 금속 소지의 경계가 불명명 하다. 또한 도금층내 Zn의 함량은 20중량% 이내로 실질적으로 내식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도금층으로 볼 수 없어, 결국 아연도금층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소지강판의 일부로 확산되어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부품의 사용시 충분한 내부식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 7 and Table 4,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Zn concentration region (arrow ②) having a Zn content of more than 40% exists in the plating layer after hot pressing, so that the Zn concentration region causes LME crack rate during processing. do.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surface oxides is uneve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which is the case of FIG. 8 and Table 5, after hot pressing, a thick oxide of more than 5 μm wa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plating layer and the metal base is unknown. In addition, the content of Zn in the plating layer is not seen as a plating layer that can exhibit substantially corrosion resistance within 20% by weight, and thus, most of the galvanized layer may be lost and diffused into a portion of the steel sheet. In this case, sufficient corrosion resistance cannot be secured when using the parts.

구분(중량%) Category (% by weight) Mn Mn - - - - - - Si Si - - - - - - Fe Fe 68.6 68.6 69.8 69.8 73.4 73.4 Zn Zn 31.4 31.4 30.2 30.2 26.6 26.6

구분(중량%) Category (% by weight) Mn Mn - - - - 1.2 1.2 Si Si - - - - - - Fe Fe 67.9 67.9 27.4 27.4 67.7 67.7 Zn Zn 32.1 32.1 72.6 72.6 31.1 31.1

구분(중량%) Category (% by weight) Mn Mn - - - - 1.8 1.8 Si Si - - - - - - Fe Fe 81.5 81.5 84.4 84.4 96.1 96.1 Zn Zn 18.5 18.5 15.6 15.6 2.1 2.1

Claims (10)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상부에 형성된 Al이 30중량% 이상 포함된 Al 농화층; 및
상기 Al 농화층 위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Al 농화층을 이루는 입자 중 입도가 500nm 이상인 입자의 개수가 100㎛2 당 평균 15개 이내이며, 상기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계면에서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이 88% 이상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Steel plate;
An Al thickening layer containing 30 wt% or more of Al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And
It includes a galvanized layer formed on the Al thickening layer,
Among the particles forming the Al thickening layer, the number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500 nm or more is an average of 15 or less per 100 μm 2 , and the plating area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an area ratio of the Al thickening layer of 88% or mor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galvanized layer. Gr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 농화층은 그 두께가 0.1~1.0㎛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 thickening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1.0 µ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은 표면으로부터 깊이 1㎛ 이내에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의 표면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steel sheet further includes a surface diffusion layer of a metal having a Gibbs free energy reduction amount per mole of oxygen less than Cr when oxidizing within 1 μm of a surface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은 Ni, Fe, Co, Cu, Sn 및 Sb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is smaller than Cr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Ni, Fe, Co, Cu, Sn, and S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소둔산화물의 두께가 150nm 이하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nnealing oxi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is 150 n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과 아연도금층의 계면에서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이 95% 이상인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ratio of the Al thickened layer at an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zinc plated layer is 95%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층은 15.0 중량% 이하의 Fe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lvanized layer contains 15.0 wt% or less of F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층은 Fe: 15.0중량% 이하, 상기 산화반응시 산소 1몰당 깁스자유에너지 감소량이 Cr보다 작은 금속: 0.01~2.0중량%,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According to claim 3, The galvanized layer is Fe: less than 15.0% by weight, the amount of Gibbs free energy reduction per mole of oxygen during the oxidation reaction less than Cr: 0.01 to 2.0% by weight, the remainder containing Zn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 강판은 중량%로 C: 0.1~0.4%, Si: 2.0% 이하(0%는 제외), Mn: 0.1~4.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
The hot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steel sheet has a composition consisting of C: 0.1% to 0.4%, Si: 2.0% or less (excluding 0%), Mn: 0.1% to 4.0%,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Plated steel sheet for press form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 강판은 N: 0.001~0.02%, B: 0.0001~0.01%, Ti: 0.001~0.1%, Nb: 0.001~0.1%, V: 0.001~0.1%, Cr: 0.001~1.0%, Mo: 0.001~1.0%, Sb: 0.001~0.1% 및 W: 0.001~0.3%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용 도금강판.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teel sheet is N: 0.001 ~ 0.02%, B: 0.0001 ~ 0.01%, Ti: 0.001 ~ 0.1%, Nb: 0.001 ~ 0.1%, V: 0.001 ~ 0.1%, Cr: 0.001 ~ 1.0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 0.001 to 1.0%, Sb: 0.001 to 0.1%, and W: 0.001 to 0.3%.
KR1020110063304A 2011-06-28 2011-06-28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KR101289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04A KR101289219B1 (en) 2011-06-28 2011-06-28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US14/127,350 US9314997B2 (en) 2011-06-28 2012-06-28 Plated steel sheet having plated layer with excellent stability for hot press molding
EP12804542.4A EP2728032A4 (en) 2011-06-28 2012-06-28 Plated steel sheet having plated layer with excellent stability for hot press molding
JP2014518800A JP5860959B2 (en) 2011-06-28 2012-06-28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with excellent plating layer stability
CN201280039619.2A CN103764866B (en) 2011-06-28 2012-06-28 For the hot-forming Coated Steel with the coating of excellent stability
PCT/KR2012/005130 WO2013002575A2 (en) 2011-06-28 2012-06-28 Plated steel sheet having plated layer with excellent stability for hot press m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04A KR101289219B1 (en) 2011-06-28 2011-06-28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27A true KR20130002227A (en) 2013-01-07
KR101289219B1 KR101289219B1 (en) 2013-07-29

Family

ID=4783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304A KR101289219B1 (en) 2011-06-28 2011-06-28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2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91A1 (en) * 2017-06-01 2018-12-06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plating adhes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198272B2 (en) 2017-06-01 2021-12-14 Posco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coating adhe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7802A (en) * 1992-03-30 1995-09-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Surface treated steel strip with minimal plating defects and method for making
JPH0688187A (en) * 1992-09-03 1994-03-29 Nkk Corp Production of alloyed galvannealed steel sheet
JP4506128B2 (en) * 2003-08-29 2010-07-2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Hot press-form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91A1 (en) * 2017-06-01 2018-12-06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plating adhes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198272B2 (en) 2017-06-01 2021-12-14 Posco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coating adhe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1820103B2 (en) 2017-06-01 2023-11-21 Posco Co., Lt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coating adhe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219B1 (en)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959B2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with excellent plating layer stability
US11952652B2 (en) Zinc-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having outstanding surface characteristics, hot-pressed moulded parts obtained using the same,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TWI494442B (en) Alloyed molten galvaniz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669488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d steel sheet
KR10130462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press forming parts having different strengths by area
KR101359183B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good anti-lme property
KR101115816B1 (en) Zn-plated high-mn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KR100985285B1 (en) Extremely Low Carbon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with High Strength and Excellent Surfac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89219B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KR101115754B1 (en) Zn-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KR101289198B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superior stability of plating layer
KR20230069975A (en) Hot-pressed members and steel sheets for hot-pressing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101359161B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corrosion resistance
KR10127180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material having less crack
KR101197891B1 (en) Hot pressed parts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KR102453006B1 (en) High 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elent coa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15801B1 (en) Zn-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ed par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pressed parts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electro-painting properties
KR101115848B1 (en) Zn-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KR101171620B1 (en) Hot pressed parts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