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918A -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918A
KR20130001918A KR1020110062845A KR20110062845A KR20130001918A KR 20130001918 A KR20130001918 A KR 20130001918A KR 1020110062845 A KR1020110062845 A KR 1020110062845A KR 20110062845 A KR20110062845 A KR 20110062845A KR 20130001918 A KR20130001918 A KR 2013000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device
specific
do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3578B1 (en
Inventor
이석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78B1/en
Publication of KR2013000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1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 H04M7/122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where the PSTN/ISDN access is used as an access to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providing a call-continuous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a cost increase caused by media board installation by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a DTMF signal. CONSTITUTION: A terminal device(100) generates a call by using a VCC service. The terminal device stores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domain switching. The terminal device performs function for selecting a domain to be used or switched. A call exchange device(200) processes a transmitting/receiving call in a CS domain. A call-continuous support device(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a specific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The call-continuous support device tries call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interface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a receiving terminal device(10). [Reference numerals] (100) Terminal device; (200) Call exchange device; (400) Call-continuous support device; (500) Call exchange device of an internet telephone

Description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continuous service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호 연속지원장치 및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tinuity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side a specific customer network (eg, a corporate network). In order to support DTMF by first using the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when inputting a call to a terminal device, it is first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then provides the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all continuity service that can solve the imperfection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media board which has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operation method of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and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It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기반의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 이하 "CS"라 한다.) 도메인에서 패킷 기반의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 이하 "PS"라 한다.) 도메인으로 진화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evolving from voice-based circuit switched (CS) domains to packet-based packet switched (PS) domains.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이 PS(Packet Switched) 및 WLAN 모뎀을 이용한 Data 접속을 하고 패킷을 주고 받는 것은 흔한 일이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의 Data 접속을 통하여 인터넷 상에서 많은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고, 이동통신의 가장 핵심 서비스였던 음성 통화도 저렴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되었다. 인터넷 관련하여 표준을 결정하는 IETF에서는 인터넷의 IP망 기반으로 음성/영상 session을 맺을 수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라는 프로토콜을 정의하였고 이는 현재의 070 인터넷 전화의 근간이 되었다. SIP 기반의 call/session control 프로토콜은 이동통신의 표준인 3GPP에도 IMS(IP Multimedia Sub-system)이라는 이름으로 차용되기에 이르렀다. WLAN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확대에 이르러 이동 통신 단말에서 CS call 뿐만 아니라 SIP call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이동통신 단말에서 WLAN을 통하여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 및 현상을 유무선통합, 즉 FMC(Fixed Mobile Convergence)라고 칭하게 되었다.In addition, it is comm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ke a data connection using a packet switched (PS) and a WLAN modem and to send and receive packets. Many services appeared on the Internet through the data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is for providing voice calls, which are the core ser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was provided through the cheap internet network. The IETF, which decides the standards related to the Internet, defined a protocol calle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hat can establish voice / video sessions based on the Internet's IP network. SIP-based call / session control protocol has been borrowed under the name of IMS (IP Multimedia Sub-system) in 3GPP, a 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of smartphones equipped with WLANs, an environment for making SIP calls as well as CS calls has been creat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wired / wireless integration of services and phenomena for making Internet calls through WLAN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amely It was called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고객들은 각 상황에 따라서 CS Call을 사용할 수도 있고 FMC Call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특히 비용 절감에 민감한 기업체에서는 구내에 FMC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가급적 임직원들에게 FMC Call을 사용하여 비용을 줄이도록 고심하고 있다. 이동성이 좋지만 비용이 비싼 CS call과 비용은 저렴하지만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FMC call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CS call과 FMC call을 끊기지 않고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VCC(Voice Call Continuity) 서비스가 개발 되었다.Customers can use CS Calls or FMC Call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especially for companies that are sensitive to cost savings, create an environment where FMC can be used on the premises and reduce the costs by using FMC Calls for employees. I'm strugg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CS call that is good in portability but expensive and the FMC call that is inexpensive but available only in limited places, a VCC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has been developed that can be used without switching between the CS call and the FMC call.

VCC 서비스는, 3G 통신인 WCDMA의 CS(Circuit Switched) Call 기능과 PS(Packet Switched) 접속이나 WLAN 접속 등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Call 기능을 동시에 갖춘 단말 즉 VCC단말이 CS call과 FMC call 서비스를 끊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CS 도메인(혹은 CS 네트워크라 칭함)과 IMS 도메인(혹은 IMS 네트워크라 칭함) 간의 도메인을 전환함으로써 음성 호(voice call)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이다. The VCC service is a terminal equipped with both a 3G communication WCDMA CS (Circuit Switched) call function and a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call function for making voice calls over the Internet through a PS (Packet Switched) connection or a WLAN connection. Continuity of voice call by switching VCS between CS domain (or CS network) and IMS domain (or IMS network) so that VCC terminal can use CS call and FMC call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To ensure the service.

이에, VCC 서비스에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호 경로 중간에 도메인 전환 기능(Domain Transfer Function, DTF)을 수행하는 VCC 서버(VCC Application Server, VCC AS)가 위치하게 된다. 즉, VCC 서비스를 지원하는 VCC 단말이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처음 호가 맺어질 때 VCC 서버를 거쳐야만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perform domain switching in a VCC service, a VCC server (VCC Application Server, VCC AS) performing a domain transfer function (DTF)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 call path. That is,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the VCC terminal supporting the VCC service must go through the VCC server when the first call is made.

이 때 VCC 서버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법인 고객사의 망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즉, 개인용 FMC 회선과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게 되며, IP-PBX와 연동이 필요한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을 위해서는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CC server may be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network, or may be inside the corporate customer's network. In other words, the VCC server exists inside the mobile carrier's network to provide personal FMC lines and VCC services, and the VCC server is installed inside the corporate client's network for interworking with corporate FMC lines that require interworking with IP-PBX. It will exist.

특히,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VCC 단말이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C 단말은 특정 착신단말로의 CS 발신 시 먼저 VCC 서버의 전화번호(VCTN - VCC CS Call Trigger Number)로 발신을 하고, 이에 VCC 단말과 VCC 서버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VCC 단말이 실제 착신단말장치에 해당되는 착신번호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로서 VCC 서버로 제공하게 되고, 이에 VCC 서버가 DTMF에 따라 실제 착신번호로 발신하여 통화 호를 연결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VCC server in the network of the corporate client company, the flow of the VCC terminal using the VCC ser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VCC terminal sends a CS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the VCC terminal first makes a call to the VCCN (VCTN-VCC CS Call Trigger Number), and when the VCC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CC server, the VCC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tual called terminal device. The called party number is provided to the VCC server as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and the VCC server sends the call to the actual called party number according to the DTMF.

이처럼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VCC 단말이 CS 발신 시 DTMF를 통해 착신번호를 VCC 서버로 제공해야만 하며, 이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DTMF는 Bypass 방식, RFC2833 방식, SIP/INFO방식 이렇게 3가지 종류가 존재한다.As such, when there is a VCC server in the corporate client network, the VCC terminal must provide the called number to the VCC server through DTMF when sending the CS. For this purpose, the DTMF used is Bypass, RFC2833, SIP / INFO. There are three kinds of methods.

헌데, 기업 고객사의 망 내부에 VCC 서버는 경우에 따라서 전술의 3가지 DTMF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Bypass 방식의 경우 VCC 서버가 추가로 별도의 미디어보드를 장착해야만 하는 코스트 상승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앞으로는 VCC 단말이 VCC 서버에 연결할 때 CS 발신이 필요한 경우 DTMF를 이용하는 방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In some cases, the VCC server may not support all of the above three DTMFs in the corporate client network, and in the case of the bypass system, the VCC server has a cost increase problem that requires additional media boards. . As such, in the future, when the VCC terminal needs to send CS when connecting to the VCC server, a method for resolving the imperfections using the DTMF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며, 이에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고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when a terminal device inputs a call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nd continues the call.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upporting device is confirmed, the receiv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provided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and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ing device receives the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a call continuous service and a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when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attempt attempt, The call continuity supporting device has to support the existing DTMF to receiv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receiving terminal device. This is to solve the imperfection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media board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상기 호송수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oy receiving unit supporting convoy / receiv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And a terminal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through the call receiving unit and providing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Provides a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o solve the imperfection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media board that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has to receive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terminal device by supporting the existing DTMF To provide an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된 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및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call originating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o receive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when connected with the terminal device. Call continuity that attempts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ll continuity interface betwe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after being connected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upporting device and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supports the existing DTMF, thus incomplete problem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media board installed i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o receive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receiving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resolving sex.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기존의 DTMF를 지원하여 실제 착신단말장치의 착신연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re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a call originating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call originating input is recognized,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caller and if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provides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Provi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mand to provide a message containing a message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o support the existing DTMF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o receiv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destination terminal device It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to solve the incompleteness such as the cost increase problem caused by the media board installation. 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를 포함한다.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nd corresponds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And when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attempting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message, and continuously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It includ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ransport receiver for suppor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And when the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based on a specific domain among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connect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define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to provide using the messaging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시도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 unit attempts to call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using a pre-registered specific device number and accordingly the call continuous support. When connected to the device,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to generate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MS and MMS including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input provid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can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ll inpu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all originating input to a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A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for attempting to originate a call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is recognized; A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ity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s recognized, provides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It includes a call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provide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연결정보제공부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providing the messaging service to request transmis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는,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ll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message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terminating termina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t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a call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단말연결부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unit, when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SMS and MMS message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recognizes a specific called terminal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nd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can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a domain switching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called terminal apparatus, domain switching that has been previously anch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which has requested domain switching.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omain switching unit that performs domain switching on the call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tinuation service, comprising: connecting, by a terminal device,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Providing, by the terminal devic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is confirmed;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attempting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is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 연결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 연결단계;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인터페이스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call terminal connecting step of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connecting with the terminal device; A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terminating terminal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o a specific terminat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a call interface step of interfacing a call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단말 연결단계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step, when receiving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MS and MMS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recognizes a specific called terminal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nd makes a call us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You can t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 전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response to a domain switching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called terminal apparatus, domain switching that has been previously anch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receiving terminal apparatus which has requested domain switchin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omain switching step of performing domain switching on the call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recognizing a call originating input to a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if the call originating input is recognized,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ttempting to make a call to a call, a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providing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receiving the call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And providing a message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mmand for execut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device number of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providing the messaging service to request transmission.

이에, 본 발명의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is a called terminal devi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built-in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 a specific customer network (for example, a corporate network).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when the call origination of the call is first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then to provide the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t is constructed to support DTMF. Incompleteness such as the cost increase caused by the media board installed i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can be solv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bas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tinua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all continuation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장치(100)와, 연결된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origination input to a specific incoming terminal device 10, connected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nd the incoming terminal device ( 10)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provid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onnection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and when a message including the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100, the incoming connection is based on this. Attempting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for interfacing the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설명에 앞서, 개인용 FMC(Fixed Mobile Convergence)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예 : 3G 코어망) 내부에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에 해당됨.)가 존재/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의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경우는, VCC 서버가 이동통신사업자 망의 내부 장치들과의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게 될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order to provide a VCC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personal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line, a VCC server (corresponding to a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exists within a mobile carrier's network (for example, a 3G core network). Done. In the case of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in this case, since the VCC server can communicate with internal devices of the mobile operator network, existing problem situations to be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re developed. Will not be.

여기서 VCC(Voice Call Continuity) 서비스는, 3G 통신인 WCDMA의 CS(Circuit Switched) Call 기능과 PS(Packet Switched) 접속이나 WLAN 접속 등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Call 기능을 동시에 갖춘 단말(VCC단말)이 CS call과 FMC call 서비스를 끊기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CS 도메인(혹은 CS 네트워크라 칭함)과 IMS 도메인(혹은 IMS 네트워크라 칭함) 간의 도메인을 전환함으로써 음성 호(voice call)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이다.Here, the VCC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is a fixed mobile convergence (FMC) call that makes voice calls through Internet connection through WCDMA's CS (Circuit Switched) Call function and PS (Packet Switched) connection or WLAN connection. Voices can be used by a terminal (VCC terminal) with simultaneous functions without interruption of CS call and FMC call services, that is, by switching a domain between a CS domain (or CS network) and an IMS domain (or IMS network). It is a service that guarantees continuity of voice call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는 환경, 즉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IP-PBX와의 연동이 필요한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에 해당됨.)가 존재/위치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CC service in conjunction with the corporate FMC line that requires the interworking with the IP-PBX as shown in Figure 1, that is, the existing problem situation to be impr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occurs It is preferable to target the case where a built-in VCC server (corresponding to a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exists / located inside a specific customer network (e.g.,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provide.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장치(10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 모두를 통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VCC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rminal device 100 is preferably a VCC terminal supporting voice calls through both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즉, 단말장치(100)는, 유효한 VCC 서브스크립션(Active VCC Subscription)을 가지는 VCC 지원(VCC Capable) UE로서, CS call 뿐만 아니라 유무선통합 즉 FMC 회선을 이용한 FMC call(또는 IMS call)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것이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VCC Capable UE having an active VCC subscription, and may use not only a CS call but also an FMC call (or IMS call) using wired or wireless integration, that is, an FMC line. It will be a terminal that can.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a call or stores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switching a domain using a VCC service, and applies the call when generating a call or generating a condition that requires a domain switching during a call. Or to select a domain to switch to.

이에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connects to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call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call terminal device 10 is received. Connec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if a specific calling condition for the call attempt is satisfied, such as a called terminal number is input by the user and a calling button is input, and the call originating input to the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recognized, By applying the 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use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e IMS domain. Here, the procedure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o select a doma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selecting a domain in a conventional VCC terminal.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s selected,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series of connection procedures for the call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Specifically, when a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Therefore,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rou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through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us to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eg, an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VCC server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existing inside the first is connected to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IP-PBX 650 connects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여기서, 호교환장치(20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에서 발신/착신 호를 처리하는 교환장치로서 MSC, VMS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는, 인터넷전화사업자에 의해 외부의 타 망과의 통화 호를 교환/인터페이스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하며 이는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에 속하는 구성일 것이다.Here, the call exchange apparatus 200 may include MSC, VMSC, etc. as an exchange apparatus that processes outgoing / incoming calls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n addition,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apparatus 5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that exchange / interface a call with an external network by an internet telephone provider, which may be a component belonging to a second domain, that is, an IMS domain.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장치(100)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CS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first attempts to call the CS call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o use the VCC service. CS call origina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via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via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and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such a connection The process will be the same /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that the existing VCC terminal attempts to call the specific VCC server first when the CS call is input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고객망(600)의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600)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a built-in VCC server existing inside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o provide a VCC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corporate FMC line of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as described above. desirable.

이러한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y forming a call path in response to the ~ call origin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단말장치(10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예 : SMS, MMS 등)를 이용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When the terminal device 100 confirms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n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eg, SMS, MMS, etc.) is provid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한다.Accordingly,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ttempts to make a call based on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based on the message.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formed.

그리고,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자신과 단말장치(100) 간에 연결된 통화 로 및 자신과 착신단말장치(10) 간에 연결된 통화 로를 통해,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In additio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all path connected between itself and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 path connected between itself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Interface call calls between users.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path through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enabled to make a call with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during a call and moves to an area where an FMC call (or IMS call) can be made (for example, a region covered by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 VCC service. Since it is a terminal to be used,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switch the domain from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S domain to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by applying a pre-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as before. Also, as described above, the procedure for switching the call path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CS domain to the IMS domain will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개선하고자 하는 기존의 문제 상황들이 발생되는 환경 즉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ll continu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fic customer network (eg, a corporate network) in order to provide a VCC service in connection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existing problem situations to be improved are generated, that is, a corporate FMC circuit. In an environment where a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side, the terminal device is first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to use the VCC service when the call is input to the caller device, and then the called device of the caller device. In providing the number by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mperfection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media board that the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ing device has to support the DTMF. .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110)와,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호송수신부(110)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12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receiving unit 110 for suppor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and the specific domain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On the basis of the call origination input to the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connected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hrough the call reception unit 110 and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It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120 using the defined messaging service.

호송수신부(11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The transport receiving unit 110 supports the transport / recep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즉, 호송수신부(110)는, 제1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을 통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고, 이에 단말장치(100)는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원하는 하나의 도메인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는 VCC 단말일 수 있다.That is, the transport receiving unit 11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voice calls through a first domain, that is, a CS domain, and a second domain, that is, an IMS domain, and thus the terminal apparatus 100 may select a desired one among the CS domain and the IMS domain. It may be a VCC terminal that can select one domain and use a voice call through it.

즉, 단말장치(100)는, CS call 뿐만 아니라 유무선통합 즉 FMC 회선을 이용한 FMC call(또는 IMS call)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것이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using not only a CS call but also a wired / wireless integration, that is, an FMC call (or an IMS call) using an FMC line.

단말제어부(120)는,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호송수신부(110)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하고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based on a specific domain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hrough the call reception unit 110. ) And provid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제어부(12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ontroller 120, when a call origination to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call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by using a specific device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to use the VCC service At least one of the SMS and the MMS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input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when the call is attempted and connected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ly. Produces a message of and provides it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즉,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120 generates a call using the VCC service or stores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domain switching, and applies it when a call is generated or a condition requiring domain switching during a call is generated. Select a domain to use or switch.

이에 단말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2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when a call originating terminal number is input by a user and a call origination button is input, such that a specific call condition for a call attempt is satisfied, and a call origination input to a specific call terminal device 10 is recognized, the stored information is stored. By applying the domain selection policy, it is possible to select which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namely, the CS domain and the IMS domain, is used. Here, the procedure of the terminal controller 120 to select a doma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selecting a domain in a conventional VCC terminal.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s selected, the terminal controller 120 performs a series of connection procedures for the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10 using the VCC service.

즉, 단말제어부(12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That is,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when a call origination to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call through the CS domain selected this time us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first Attempt to make a call.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Therefore,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rou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through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us to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eg, an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VCC server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existing inside the first is connected to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IP-PBX 650 connects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CS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first attempts to call the CS call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gistered to the user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CS call origina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via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via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and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such a connection The process will be the same /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that the existing VCC terminal attempts to call the specific VCC server first when the CS call is input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단말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Thus, the terminal controller 120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단말제어부(12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 즉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When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e incoming connection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oming terminal device 10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that is, the incoming terminal number, is included. SMS or MMS including the information in the user data area is provid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ttempts to make a call based on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based on the message. A call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formed, and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will be interfaced.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path through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nd thus, the terminal device 100 calls the call terminal device 10. Becomes possible.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단말제어부(120)는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during a call and moves to an area where an FMC call (or IMS call) can be made (for example, a region covered by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terminal device uses a VCC service. 120 may apply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switch the domain from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S domain to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by applying a previously selected domain selection policy as described above. Also, as described above, the procedure for converting the call path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CS domain to the IMS domain will be performed.

전술과 같은 단말제어부(120)는 VCC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의 VCC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2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VCC application having a function of executing a VCC servic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특히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130)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140)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를 포함한다.The application-based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input input unit 130 that recognizes a call origination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10, and a predetermined call sequence registered in advance 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is recognized.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140 that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support device 400, and when the connection is recognized with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call attempt attempt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Providing a call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to provide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발신입력인지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The call input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whether a call is sent to a specific call terminal device 10 when a specific call condition for a call attempt is satisfied, such as a call terminal number is input by a user and a call button is input. do.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한다.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is recognized by the call input recognition unit 130,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attempts to call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400.

다시 말해,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토대로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호발신처리부(14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all originating input unit 140 recognizes a call originating input,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generates a call using the VCC service or applies the call based on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domain switching in the current state. It is possible to select which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e IMS domain. Here, the procedure for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to select a doma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selecting a domain in a conventional VCC terminal.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호발신처리부(14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s selected, the call origination processor 140 performs a series of connection procedures for the call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즉, 호발신처리부(140)는, 발신입력인지부(130)에서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That is,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when the call originating input is recognized by the call originating input unit 130, first selected by us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Attempt to make a call through the domain.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Therefore,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rou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through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us to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eg, an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VCC server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existing inside the first is connected to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IP-PBX 650 connects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호발신처리부(14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CS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first attempts to call the CS call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gistered to itself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The CS call origina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via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via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and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such as The connection process will be the same /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VCC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VCC server when the CS call is input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호발신처리부(14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Thus, the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s recognized,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thereby pre-defined messaging. Through the service to provide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다시 말래,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10)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nclud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10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device number of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providing the messaging service to request transmission.

즉,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 및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착신연결정보제공부(150)는, 생성한 메시지요청정보를 통신모듈(미도시)로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메시지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That i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if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confirmed,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input and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Generates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 device number. In addition,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50 provides the generated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o transmit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To provide the SMS or MMS included in the user data area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ttempts to make a call based on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based on the message. A call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formed, and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will be interfaced.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path through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nd thus, the terminal device 100 calls the call terminal device 10. Becomes possible.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도메인전환요청부(160)는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during a call and moves to a region where an FMC call (or IMS call) can be made (for example, a region covered by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terminal uses a VCC service and thus a domain switching request. The unit 160 may request the call continuation support device 400 to switch the domain from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S domain to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by applying a pre-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procedure for converting the call path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CS domain to the IMS domain will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to describ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단말장치(100)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41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420)와,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430)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440)를 포함한다.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originating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y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and is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 message receiving unit 420 for receiving a message, a called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ting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a call interface unit 440 for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0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발신단말연결부(41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The call terminal connection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y forming a call path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on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is received.

메시지수신부(420)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메시지수신부(420)는,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예 : SMS, MMS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message receiver 420 receives a message provid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That is, the message receiver 420 may receive a message (eg, SMS, MMS, etc.) provided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착신단말연결부(430)는, 메시지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된다.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is connected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receiver 420.

즉, 착신단말연결부(430)는, 메시지수신부(420)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연결정보 다시 말해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인지된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 That is, when the receiving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receives at least one message of SMS and MMS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420, 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recognizes the specific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that is, the specific called terminal number, Attempt to make a call us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이에 착신단말연결부(430)의 호 발신 시도에 대응하여 착신단말장치(10)가 응답하게 되면 착신단말연결부(430)는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Wh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responds to the call originating attempt of the called terminal connecting unit 430, the called terminal connecting unit 430 forms a call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호인터페이스부(440)는,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The call interface unit 440 interfaces a call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0 connected according to a call origination attempt.

즉, 호인터페이스부(440)는, 발신단말연결부(410)에 의해 연결되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연결부(430)에 의해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이에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That is, the call interface unit 440 interfaces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connected by the calling terminal connection part 41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connected by the called terminal connecting part 430.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can be made.

더 나아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도메인전환부(450)를 더 포함한다.Furthermore,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further includes a domain switcher 450.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The domain switching unit 4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10 that requested domain switching according to a domain switching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10. In response to the pre-encrypted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omain switching control (anchoring) is performed.

즉,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단말장치(10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CS 도메인 -> IMS 도메인)이 요청되면, 발신단말연결부(410)에서 단말장치(10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domain switch unit 450 requests a domain switch (eg, CS domain-> IMS domain) from the terminal apparatus 100 while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called terminal apparatus 10, the domain switching unit 450 is requested. The cal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based on the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etc.) that is anchored when the calling terminal connection unit 410 is formed / connected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 a domain switch for the call.

물론, 도메인전환부(450)는,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단말장치(1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IMS 도메인 -> CS 도메인)이 요청되면, 착신단말연결부(430)에서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Of course, the domain switching unit 450 switches the domain from the terminating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while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erminating device device 10 (eg, IMS domain-> CS). When the domain) is requested, the called terminal device (430) based on the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e.g.,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etc.) that is anchored when the incoming terminal connection unit 430 forms / connects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Performs domain switching for the call call corresponding to 10).

여기서, 도메인전환부(450)가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의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서버에서 통화 중인 특정 VCC 단말에 대한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procedure for switching the domai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main switch request by the domain switcher 4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switching a domain for a specific VCC terminal in a call in a conventional VCC serv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is a called terminal devi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built-in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 a specific customer network (for example, a corporate network).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when entering a call to a call, first, it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then provides a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t can solve the incompleteness such as the cost increase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media boar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continua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 call contin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단말장치(100)가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한다.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nputs a call origination to a specific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the terminal device 100 connects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400.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저장하고, 통화 생성을 위한 호 발신 시 또는 통화 중 도메인 전환이 필요한 조건 발생 시 이를 적용하며 사용 또는 전환할 도메인을 선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a call using a VCC service or stores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domain switching, and applies it when a call is generated for a call generation or when a condition that requires domain switching during a call occurs. Select the domain to switch to.

이에 단말장치(100)는,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 시(S10)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S2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되면(S25),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S30).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attempts to send a call to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gistered in advance to use a VCC service when a call origination input is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10 (S20). When connected to the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S25),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S30).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if a specific calling condition for the call attempt is satisfied, such as a called terminal number is input by the user and a calling button is input, and the call originating input to the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recognized, By applying the 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use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e IMS domain. Here, the procedure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o select a doma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selecting a domain in a conventional VCC terminal.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s selected,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series of connection procedures for the call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00)는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면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한다(S20).Specifically, when a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first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 S2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Therefore,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rou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through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us to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eg, an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VCC server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existing inside the first is connected to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IP-PBX 650 connects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단말장치(100)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CS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first attempts to call the CS call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o use the VCC service. CS call origina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via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via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and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such a connection The process will be the same /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that the existing VCC terminal attempts to call the specific VCC server first when the CS call is input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S25).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S25).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고객망(600)의 법인용 FMC 회선과 연동하여 VC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고객망(600)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a built-in VCC server existing inside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o provide a VCC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corporate FMC line of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as described above. desirable.

이러한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When the call origin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s received,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forms a call path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in response thereto.

단말장치(100)는,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예 : SMS, MMS 등)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0를 통해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한다(S30).When the terminal device 100 confirms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n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eg, SMS, MMS and the like provides a service server (3000) through a service server (400) (S3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S40),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45).Accordingly,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ttempts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alled terminal number) based on this ( S40), and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10 is connected (S45).

그리고,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자신과 단말장치(100) 간에 연결된 통화 로 및 자신과 착신단말장치(10) 간에 연결된 통화 로를 통해,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S50).In additio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all path connected between itself and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 path connected between itself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Interface the call call between (S50).

이에 단말장치(100)는,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path through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enabled to make a call with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존과 같이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S60),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S70).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during a call and moves to an area where an FMC call (or IMS call) can be made (for example, a region covered by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 VCC service. Since it is a terminal to be used,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400 to switch the domain from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S domain to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by applying a pre-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as described above (S60). In operation S70, the call path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verted from the CS domain to the IMS domain as described above (S7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착신단말번호가 입력되고 발신 버튼이 입력되는 등 통화 시도를 위한 특정 발신 조건이 만족되어 특정 착신단말장치(10)로의 호 발신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인지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aller's call to a specific caller device 10 because the caller's call is input to the caller's device 10 by satisfying a specific call condition for a call attempt. Recognizes whether or not it is entered.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S100),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여 호 연속지원장치(400)와 연결된다(S110).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originating input is recognized (S100), an attempt is made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400, which is connected to the call support device 400. It becomes (S11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생성하거나 또는 도메인 전환을 위한 도메인 선택 정책을 토대로 적용하여 현 상태에서 제1도메인과 제2도메인 즉 CS 도메인과 IMS 도메인 중 어떤 도메인을 사용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단말에서 도메인을 선택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is recognize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all using the VCC service or may apply the call based on a domain selection policy for domain switching. You can choose whether to use a domain and a second domain, a CS domain or an IMS domain. Here, the procedure for selecting a doma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selecting a domain in a conventional VCC terminal.

이에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을 선택한 경우,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를 위한 일련의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is select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eries of connection procedures for the call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즉,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먼저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금번 선택된 CS 도메인을 통해 호 발신을 시도한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ttempts to make a call through the CS domain selected using the device number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previously registered to use the VCC service.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은, 제 1도메인 즉 CS 도메인 내의 호교환장치(200)를 거쳐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로 라우팅 되고 이에 특정 고객망(600, 예 : 기업 망) 내부에 존재하는 구축형의 VCC 서버(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되기 위해 우선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로 연결된다. 이에 IP-PBX(650)가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호 발신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연결하여 준다.Therefore,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rou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 device 500 through the call exchange device 200 in the first domain, that is, the CS domain, and thus to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eg, an enterprise network).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VCC server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existing inside the first is connected to the IP-PBX (650) of the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The IP-PBX 650 connects the call origination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처럼, 착신단말장치(10)로의 CS 호 발신이 입력되면,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자신에게 기 등록된 호 연속지원장치(400)로의 CS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러한 CS 호 발신이 호교환장치(200) 및 인터넷전화호교환장치(500)을 거쳐 특정 고객망(600)의 IP-PBX(650)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과정은 기존의 VCC 단말이 착신단말로 CS 호 발신 입력 시 먼저 특정 VCC 서버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연결되는 과정과 동일/대응될 것이다.As such, when the CS call origination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inpu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gistered to the first to use the VCC service CS call is attempted, and CS call is sent through the call exchanger 200 and the Internet telephone call exchanger 500 through the IP-PBX 650 of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400). This connection process will be the same /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VCC terminal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VCC server first when inputting a CS call to the called terminal.

이에,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연결 절차를 거쳐 호 연속지원장치(400)에 연결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S120).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nection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To provide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to a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S120).

다시 말래,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10)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ther terminal device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10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a device number may be generated, and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providing the messaging service to request transmission.

즉,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호 연속지원장치(40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연결정보 및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생성한 메시지요청정보를 통신모듈(미도시)로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300)로 메시지요청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착신연결정보를 user data 영역에 포함시킨 SMS 또는 MMS를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제공하도록 한다.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is confirmed,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input and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device number of 400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generated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provides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300 that provides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It is to transmit the SMS or MMS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n the user data area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이에, 호 연속지원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착신연결정보(예 : 착신단말번호)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를 형성하고,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ttempts to make a call based on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eg, called terminal number) based on the message. A call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is formed, and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will be interfaced.

이에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후 호 연속지원장치(400)를 통한 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가 연결되며,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S130).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of anoth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terminal device 10 and the call path is connected through the call interface throug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the terminal device 100 is called The call with the terminal device 10 can be made (S130).

더불어, 단말장치(100)가 통화 중에 이동하여 FMC call(또는 IMS call)이 가능한 지역(예 : 특정 고객망(600)이 커버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 도메인 전환 조건이 발생한 경우(S140), 본 발명에 다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므로 기 저장된 도메인 선택 정책을 적용하여 현 상태 즉 CS 도메인에서 제2도메인 즉 IMS 도메인으로의 도메인 전환을 호 연속지원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고(150), 호 연속지원장치(400) 역시 기존과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로를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moves during a call and moves to an area where an FMC call (or IMS call) can be made (for example, an area covered by a specific customer network 600), a domain switching condition occurs (S140). Sinc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using a VCC service, a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is configured to apply a pre-stored domain selection policy to switch the domain from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S domain to the second domain, that is, the IMS domain. 400), and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will also perform a procedure for converting the call path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CS domain to the IMS domain as befor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의 호 발신이 수신되면 이에 응답하여 단말장치(10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200).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100 is received, a call path is formed with the terminal apparatus 100 in response thereto (S200).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예 : SMS, MMS 등)을 수신할 수 있다.After tha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apparatus 100 (S210). 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message (eg, SMS, MMS, etc.) provided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10)와 연결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10 according to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message.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연결정보 다시 말해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S220), 인지된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대응하여 착신단말장치(10)가 응답하게 되면 착신단말장치(10)와 통화 로를 형성하여 연결된다(S230).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message of SMS and MMS is received, specific call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that is, recognizes a specific call terminal number (S220). ),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recognized called terminal number, and wh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responds in response, forms a call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and is connected (S2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및 단말장치(10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한다(S240).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faces a call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0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연결되는 단말장치(100) 및 연결되는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고, 이에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가 가능해 진다.That is,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call is interfac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to be connected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to be connected, and thus,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A call between the devices 10 becomes possibl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S250) 이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S260).Furthermo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omain switch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is received (S250) accordingly the domain switch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requested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called terminal apparatus 10, domain switching for a call is performed based on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that has been previously anchored (S26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단말장치(10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CS 도메인 -> IMS 도메인)이 요청되면, 단말장치(10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100 switches the domai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eg, CS domain) while interfacing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10. -> IMS domain) is requested, based on the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e.g.,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etc.) anchored when forming / connecting to a call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 a domain switch for the call.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지원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 및 착신단말장치(10)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중 VCC 서비스를 이용하는 착신단말장치(10)로부터 도메인 전환(예 : IMS 도메인 -> CS 도메인)이 요청되면, 착신단말장치(10)와의 통화 로 형성/연결 시 엥커링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예 :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등)를 토대로 착신단말장치(10)에 대응되는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한다.Of cour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all continuous suppor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main switching from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using the VCC service during the interface of the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device 10 (Eg, IMS domain-> CS domain) is requested, the called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e.g., Call ID, Public User Identity, etc.) anchored when forming / connecting to a call terminal 10 Domain switching for the call call corresponding to (10) is performed.

여기서,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의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종래의 VCC 서버에서 통화 중인 특정 VCC 단말에 대한 도메인을 전환하는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procedure for switching the domai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omain switching reque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procedure may be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switching a domain for a specific VCC terminal in a call in a conventional VCC serv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DTMF를 지원하기 위해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가 갖게 되는 미디어보드 장착으로 인한 코스트 상승 문제 등의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tinuit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terminal devi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 a specific customer network (for example, a corporate network). In order to use the VCC service when entering a call to a call, first, it is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then provides a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t can solve the incompleteness such as the cost increase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media board.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both. A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registers,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ROM,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such that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be included within an ASIC. The ASIC may be included in the terminal. In the alternative,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terminal.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특정 고객망(예 : 기업 망) 내부에 구축형의 호 연속지원장치(VCC 서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VCC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먼저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된 후 착신단말장치의 착신단말번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DTMF 신호 대신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VCC 서비스를 위한 장치의 코스트 절감 및 서비스 품질, 사용자 만족도 매우 큰 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호 연속지원장치 및 단말장치 및 이를 통한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n environment where a built-in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VCC server) exists in a specific customer network (eg, a corporate network), the call continuity support device is first used to use the VCC service when the terminal device sends a call to the called devic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essaging service instead of the existing DTMF signal in provi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devic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cost reduction and service quality of the device for the VCC service, User Satisfaction can produce very large results, and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terminal device and the service solution through it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 : 착신단말장치 100 : 단말장치
400 : 호 연속지원장치
10: incoming terminal device 100: terminal device
400: continuous call support device

Claims (14)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연결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연속지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terminal device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providing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nd
When a message including specific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terminal device, a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for attempting to originate a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provided. Call continuous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호 송/수신을 지원하는 호송수신부; 및
상기 제1도메인 및 제2도메인 중 특정 도메인을 기반으로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상기 호송수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A convoy receiving unit supporting convoy / receiv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And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based on a specific domain among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the call connection unit connects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hrough the call receiving unit and corresponds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control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시도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특정 장치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 연결되면,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control unit,
When a call origination attempt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input, an attempt is made to send a call to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by using a specific registered device number, and when connected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the predefined messaging Th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MS and MMS including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input to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발신입력인지부;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호발신처리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착신연결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An outgoing input recognizer for recognizing a call originating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A call origination processing unit for attempting to originate a call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when the call origination input is recognized; A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s recognized,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provided, and the message including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is defined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ll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provide a continuous call support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연결정보제공부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ing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device number of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providing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ssaging servic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by providing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연결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연결부;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An outgoing terminal connection unit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message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terminating termina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specific terminat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And a call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연결부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Receiving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MS and MMS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cognize a specific called terminal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nd attempts to call us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In response to a domain switching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based on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anch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requesting domain switching.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es a domain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a domain switch for the call.
단말장치가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 시,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연속지원장치가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 서비스 제공 방법.
Connecting, by the terminal device,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when a call origination is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Providing, by the terminal devic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by using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is confirmed;
When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attempting to make a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And when the call continuity suppor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nterfacing a call call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device.
특정 단말장치로부터의 호 발신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발신단말 연결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메시지에 따른 특정 착신연결정보를 토대로 호 발신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연결정보에 따른 특정 착신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착신단말 연결단계; 및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라 연결되는 상기 착신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 간의 통화 호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인터페이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An originating terminal connection step of receiving a call origin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apparatus and connect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terminating terminal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to a specific terminat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attempting to make a call based on the specific terminating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And a call interface step of interfacing a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 연결단계는,
상기 메시지수신부를 통해 SMS 및 MMS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착신단말번호를 인지하고 상기 착신단말번호를 이용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alled terminal connection step,
Receiving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MS and MMS through the message receiving unit, recognizes a specific called terminal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nd attempts to make a call us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How it works.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도메인 전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착신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기 엥커링(anchoring)된 도메인 전환 제어정보를 토대로 통화 호에 대한 도메인 전환을 수행하는 도메인 전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연속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In response to a domain switching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based on domain switching control information previously anchored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apparatus requesting domain switching. And a domain switching step of performing a domain switching for the call.
특정 착신단말장치로의 호 발신 입력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입력이 인지되면 기 등록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의 호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호 발신 시도에 따른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와의 연결이 인지되면 상기 착신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여, 기 정의된 메시징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Recognizing a call origination input to a specific called terminal device;
If the call originating input is recognized, attempting to make a call to a specific registered call support device;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call origination attempt is recognized,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erminal device is provided, and the message including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is defined through a predefined messaging service. And a command for execut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연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인지된 상기 호 발신 입력에 따른 착신단말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착신연결정보 및 상기 연결된 특정 호 연속지원장치의 장치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요청정보를 상기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장치로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3,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incoming connection information,
Generating messag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led terminal numb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call origination input and the device number of the connected specific call continuous support device, and providing the message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ssaging servic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a request for transmission by providing to a specific service device.
KR1020110062845A 2011-06-28 2011-06-28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KR101743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en) 2011-06-28 2011-06-28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en) 2011-06-28 2011-06-28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18A true KR20130001918A (en) 2013-01-07
KR101743578B1 KR101743578B1 (en) 2017-06-15

Family

ID=4783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45A KR101743578B1 (en) 2011-06-28 2011-06-28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7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578B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3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handoff between circuit switched and packet switched data wireless networks
EP2253162B1 (en) Client-based multimode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s
US80899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mmunications
KR101078676B1 (en) Call transfer method, system and device
US79530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ding-call anchoring of circuit switched domain
US8351393B2 (en) Switching of multimedia sessions from a mobile terminal
US200700492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mobile station call delivery
US8335201B2 (en) Call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s
KR101133199B1 (e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for changing status of packet switched domain
US8279832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verting session control signaling
JP2007142610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control server, method, and program
WO2012027939A1 (en) One-number-service calling method and service control point
KR20060113284A (en) Ip multimedia subsystem for supprting voice service and call setup method thereof
KR20160103092A (en) Call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services
KR20060090290A (en) Prevention of call forwarding loops in communication networks
EP2443850B1 (en) Methods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GB2439407A (en) Supplementary call services provided via a IP Multimedia Network
WO2006127417A1 (en) System to provide dual registration with an ip telephony network and a circuit-switched telephony network
EP2040508A1 (en) Method, apparatuses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IMS services when user is roaming in CS domain
KR20150038388A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ame number using srvcc
WO20120890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ng control information between access terminal in circuit switch domain and as
KR101743578B1 (en) Voice call continuity service providing systemn and method thereof
KR1015299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cessing call and method for servicing call waiting tone
KR2011001192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ircuit switching call service with wireless broadband terminal
KR20080037376A (en) Call conversion plus servi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