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906A -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906A
KR20130001906A KR1020110062825A KR20110062825A KR20130001906A KR 20130001906 A KR20130001906 A KR 20130001906A KR 1020110062825 A KR1020110062825 A KR 1020110062825A KR 20110062825 A KR20110062825 A KR 20110062825A KR 20130001906 A KR20130001906 A KR 2013000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network terminal
data
network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736B1 (ko
Inventor
송추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은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의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 사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가정 내 전자식 기기나 설비의 제어와 감시에 인터넷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일고 있다. 물론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에도 외부에서 전화벨 소리의 개수에 의해 각종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홈 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로 인해 활발하게 전개되지 못했다. 그러나 전력선통신이나 무선통신 등 각종 유무선 통신 기술이 활발히 보급되면서 홈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는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내의 조명, 냉난방 및 가전기기의 제어 및 자동화를 위한 제어용 네트워크로 1Mbps 이하의 저속으로 동작되며, 서로 다른 장비들 간에 상호 동작성을 보장하여야 하는 동시에 저가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인터넷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웹 서버가 내장된 홈 게이트웨이 및 제어 대상 기기의 네트워크화가 요구된다. 가정용 조명기기, 난방기기, 가전 제품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있는 것이 상례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호
스트 컴퓨터용 RS-232C 직렬통신 포트를 대부분 지원하므로 이를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는 것은 쉽게 가능해 졌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을 통해 무선랜 환경하에 있는 제어대상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직접제어대상 기기의 설정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고정 IP와 사용할 포트(Port)를 설정한 후, 유무선 공유기(AP)의 설정 프로그램에 접속해서 제어대상 기기에서 설정한 고정 IP와 사용할 포트(Port)로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최소의 포트 포워딩 실행을 통해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은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재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목록을 갱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수행하는 공유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포트 포워딩이 수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공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요청 및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목록을 갱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공유장치를 통해 할당된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요청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목록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선택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와 포트 포워딩이 미수행된 단말장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이미지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이 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공유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100#1), 제 2 네트워크 단말장치(100#2) 및 제 N 네트워크 단말장치(100#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 카메라, 인터넷 전화기, 웹하드, 카드 리더기 등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며, 향후 개발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네트워크 카메라가 아닌 상기 기재된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다른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공유장치(200)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으며,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분류된다.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은 단말장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지 못한 단말장치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공유장치(200)와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 장치이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200)와 포트 포워딩을 미실행한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후술한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만,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할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만이 상기 공유장치(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직접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나머지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공유장치(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자신이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이요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
공유장치(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이 1개의 아이피 주소를 공유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공유장치(2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의 외부 접속을 허용해주기 위해서, 아이피 공유기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사용하는 통신 포트 번호를 포트 포워딩해주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사설 아이피 주소로 193.168.1.10을 사용하고, 통신 포트 번호가 7070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유장치(200) 설정 메뉴의 포트 포워딩 기능에서 다음가 같이 포트 포워딩을 할 수 있다.
Port Forwarding
192.168.1.10 port: 7070
상기와 같이,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면, 상기 공유 장치(200)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내에 네트워크 단말장치(100)가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도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에 접속이 가능하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포트 포워딩은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서 실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서만 실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현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된 장치에 대해서만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100)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장치로써,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장치라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일반 전화기, 다른 네트워크 장치, 영상 전화기 및 인터넷 전화기 등을 포함하는 전화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PDA,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전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 ADSL, VDSL 등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은 포트 포워딩이 실행되지 않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의 데이터를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특정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일 수 있지만,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임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01), 이미지 인코더(102), 저장부(103), 제 1 통신부(105), 제 2 통신부(105)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01)는 영상 정보를 입력받으며, 그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변환한다.
이미지 인코더(102)는 상기 이미지 센서(101)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정보를 압축한다.
저장부(103)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동작중에 발생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03)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의 목록을 저장한다.
제 1 통신부(104)는 포트 포워딩 실행 과정에서 상기 공유장치(200)로부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 2 통신부(105)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6)는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6)는 상기 포트 포워딩 과정에서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포트 포워딩이 미실행된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가 요청되면, 상기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획득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6)는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장치들을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색한 네트워크 장치들을 목록으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구성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제 2 통신부(105)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어부(106)는 상기 제 2 통신부(105)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단말장치(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트 단말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포트 포워딩이 미실행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상에 제 1 내지 6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존재하고, 이 중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되어 포트 포워딩이 실행됐을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된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이후,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접속에 따라 주위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 즉 제 2 내지 6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해준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중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이 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트 포워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공유장치(200)는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100)를 확인한다(410단계).
이때,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카메라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카메라가 아닌 다른 기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100)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설정한다(420단계).
이때,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공유장치(200) 자체에서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지정되면,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포트 포워딩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아이피 어드레스를 할당한다(430단계).
이후, 상기 공유장치(2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설정한다(440단계).
즉,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설정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포트 포워딩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와 같이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한다(510단계).
즉,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상기 제공받은 목록상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는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특정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확인한다(520단계).
상기 판단결과(520단계), 상기 요청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이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자신이 획득한 데이터, 다시 말해서 자신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530단계).
또한, 상기 판단결과(520단계), 상기 요청신호가 자신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현재 자신의 주위에 위치한 다른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들을 확인한다(540단계).
이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확인한 서브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50단계).
즉,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560단계).
또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가 상기 확인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570단계).
이후,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요청 신호에 의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재전송한다(580,590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네트워크 단말장치
200: 공유 장치
300: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18)

  1.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상기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재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한 목록을 갱신시키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8.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해 아이피 어드레스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수행하는 공유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포트 포워딩이 수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공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카메라이며,
    상기 요청 및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사용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일정 주기마다 상기 목록을 갱신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공유장치를 통해 할당된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부;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요청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검색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상기 목록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네트워크 단말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목록상에서 선택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에 위치한 다른 네트워크 단말장치는 상기 공유장치와 포트 포워딩이 미수행된 단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이미지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단말장치.
KR1020110062825A 2011-06-28 2011-06-28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124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25A KR101241736B1 (ko) 2011-06-28 2011-06-28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25A KR101241736B1 (ko) 2011-06-28 2011-06-28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06A true KR20130001906A (ko) 2013-01-07
KR101241736B1 KR101241736B1 (ko) 2013-03-11

Family

ID=4783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25A KR101241736B1 (ko) 2011-06-28 2011-06-28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93U (ko)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라이브존 공유기 포트 포워딩 자동 설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222B1 (ko) 2015-05-22 2015-12-08 주식회사 비밥소프트웨어 Ip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비스 제공자 장치, 서비스 이용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91302A3 (en) * 2005-03-01 2008-02-27 OMRON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Japa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93U (ko)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라이브존 공유기 포트 포워딩 자동 설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736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474B1 (ko) 유무선 네트워크의 포트 포워딩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176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networked appliances using an intermediate server
WO2015064812A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WO20110530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N102763373B (zh) 基于远程访问使用本地网络装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KR101701158B1 (ko) 홈 네트워크의 장치에 대한 원격 접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8500A (ko) 홈 네트워크 내에서의 취합된 사용자 프레즌스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40111496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nd/or deleting home appliances
CN104426951A (zh) 一种智能机顶盒远程网络实时监控系统及其方法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2753B1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단말 및 방법
CN101594384B (zh) 一种利用实时讯息控制远程设备的方法及控制装置
JP6385254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サーバ及び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904050B1 (ko) 프록시 a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2004289816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および被遠隔制御装置
JP6577546B2 (ja) 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4779328B2 (ja) 画像配信システム
JP2006031097A (ja) 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認証情報管理方法、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録媒体
EP1892928B1 (en) Remot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P address
JP5721184B2 (ja)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10098411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5907669B2 (ja) 家電管理システム
JP6602493B2 (ja) 情報収集装置
WO2006129839A2 (en) Time division address management device and time division rou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200422914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