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026A - 빗물 저금통 - Google Patents

빗물 저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026A
KR20130001026A KR1020110061890A KR20110061890A KR20130001026A KR 20130001026 A KR20130001026 A KR 20130001026A KR 1020110061890 A KR1020110061890 A KR 1020110061890A KR 20110061890 A KR20110061890 A KR 20110061890A KR 20130001026 A KR20130001026 A KR 2013000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
storage tank
case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마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마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마린이엔씨
Priority to KR102011006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026A/ko
Publication of KR2013000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은, 보다 깨끗한 빗물을 저장하고, 소독까지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빗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외에 음용수로도 이용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빗물 저장탱크 외부에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되어 그 내측에 여러 구성물이 구비되어 보다 미려한 주변 환경을 조성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빗물 저금통{Rainwater reservoirs system}
본 발명은 가정, 공장, 학교, 공공 시설물 등에서 빗물을 모아 이용하는 빗물 저금통에 관한 것이다.
빗물은 모든 수자원의 근원으로서, 수량(水量) 확보를 위한 첫 시작점인 만큼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빗물 이용은 홍수나 가뭄의 자연 피해 예방은 물론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자원 재활용(에너지 절감) 등의 관점에서 더욱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에는 빗물 이용을 위해 여러 종류의 빗물 이용 시설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빗물 저금통은 건축물이나 건축물 주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지붕이나 옥상으로 떨어진 물을 모아 뒀다가 조경용수, 청소용수, 생활용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빗물 저금통은 단순히 빗물을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을 음용수 등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빗물 저금통은 대부분 단일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외관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을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저금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가 구비되어 보다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빗물 저금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은, 육면체형 박스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탱크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에서 분기된 다음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빗물 저장탱크에 빗물을 공급하되, 빗물 저장탱크 내의 끝단부는 빗물 저장탱크의 하측부에 위치되게 이루어진 유입부와; 취수관 및 취수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 저장탱크 내의 빗물을 취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취수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취수구는 부력체에 의해 항상 수면 아래 일정 깊이에서 빗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취수부와; 상기 취수부의 취수관 끝단부에 연결되어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의 양 또는 빗물의 수질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저장탱크는 그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최하단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배수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 저장탱크는 빗물 소독을 위한 UV 램프,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분석기,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배수관과 분기되는 부분에 여과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구와 연결된 빗물 저장탱크 내의 취수관은 부력체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하나의 구획된 실로 구성되고, 구획된 실 앞부분에는 케이스의 외부면과 일치하는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구획된 실내에는 상기 취수관 끝단부에 연결된 유출 꼭지가 구비되고, 이 유출 꼭지 아래에는 개수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은, 보다 깨끗한 빗물을 저장하고, 소독까지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빗물을 조경용수, 청소용수 외에 음용수로도 이용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은, 빗물 저장탱크 외부에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되어 그 내측에 여러 구성물이 구비되기 때문에 보다 미려한 주변 환경을 조성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개략적인 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개수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추가 빗물 탱크의 연결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금통(1)은, 크게 케이스(10), 유입부(20), 빗물 저장탱크(30), 취수부(40), 유출부(50)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1)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10)는 육면체형 박스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빗물 저금통(1)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충분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합성수지판,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면을 비롯하여 일부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상부를 통해서 내부 구성 부품을 점검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케이스(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 개방된 부분에 상부 커버(11)가 힌지 등으로 케이스 쪽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의 개폐 가능 구조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 부분을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도 3 참조), 한 쪽 측면(도면에서 오른쪽) 쪽에 빗물 저장탱크(30)가 위치되고, 다른 쪽 측면에 취수 펌프(45) 및 취수부(40),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취수부(40)의 상부 쪽에 디스플레이(60)가 위치된다.
케이스(10)에서 빗물 저장탱크(30)가 위치된 쪽의 측면 또는 전면의 일측에는 빗물 저장탱크(30)의 빗물 저장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구성될 수 있다. 투명창의 크기 및 위치는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0)는 케이스(10)의 다른 쪽 상부에 구비되어 빗물 저장탱크(30)의 물 저장 상태, 수질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디스플레이(60) 는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제어 컴퓨터)(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원활한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60)는 7인치 정도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본 발명의 빗물 저금통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 입력된 상태에서, 케이스(10) 내의 각종 센서(또는 감지수단)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입력 신호에 의해 각종 정보를 계산하고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60)의 하부 쪽에 위치되는 취수부(4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케이스(10)의 상면 또는 측면 등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패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은 통상의 태양전지로 구성되며, 태양광을 수광할 있도록 케이스의 외벽 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패널을 통해서 생성된 전기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축전지(미도시)에 저장된 후에, 상기 제어부, 디스플레이(60), 각종 센서, 아래에서 설명될 취수 펌프(45) 등 본 발명의 빗물 저금통에 구비되는 모든 전기 필요 요소에 제공된다.
다음, 유입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입부(20)는 배수관(5)으로부터 상기한 케이스(10) 내의 빗물 저장탱크(30) 내부로 빗물을 유입시키는 부분으로서, 배수관(5)에서 분기되어 빗물 저장탱크(30) 안쪽으로 연결되는 유입관(21)이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관(5)은 지붕 또는 옥상 등으로부터 빗물이 배출되는 관이다.
배수관(5)에서 유입관(21)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유입관(21) 쪽으로 각종 부유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장치(23)인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장치(23)는 실시 조건에 따라 공지의 필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여과장치(23)가 설치된 부분에는 오염 정도가 심한 초기 우수는 배수관(5)으로 그대로 배출하고, 배수가 어느 정도 진행된 다음의 깨끗한 우수가 유입관(21) 쪽으로 유입되도록 삼방 밸브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삼방 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의 양 또는 빗물이 배출되는 시간 등을 체크하여 삼발 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21)은 끝단부(22)는 빗물 저장탱크(30)의 하부 쪽에 위치되어 빗물이 빗물 저장탱크(30)의 하부 쪽으로 자연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빗물 저장탱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빗물 저장탱크(30)는, 케이스(10) 내의 대부분의 공간(예를 들면 전체 공간의 2/3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대형 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 저장탱크(30)는 전체적로는 육면체형 구조로 형성되나, 하부(31)는 물 배출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또는 역피라미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최하단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배수구(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수구(33)는 필요시 개폐할 수 있도록 배수 밸브 또는 배수 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빗물 저장탱크(30) 내부 일측에는 우수 소독을 위한 UV 램프(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UV 램프(35)를 빗물 저장탱크(30) 내에서 수직으로 길게 배치하여 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물속에서 물을 살균 소독하는 UV 램프(35)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빗물 저장탱크(30)에는 UV 램프(3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 지지 구조물에는 UV 램프(35)에 전기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회로 구조물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UV 램프(35)는 케이스(10)의 상부 커버(11)를 통해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빗물 저장탱크(30)에는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질 분석기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질 분석기는 빗물 저장탱크(30) 내에 저장된 물의 pH, DO, 탁도, 대장균 및 세균의 수치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입력하고, 디스플레이(6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 저장탱크(30)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위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빗물 저장탱크(30)에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수위계를 이용하거나 플로팅 밸브 또는 수위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빗물 저장탱크(30) 내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예를 들면 제어부에서 삼방 밸브 작동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취수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수부(40)는 물이 유입되는 취수구(41), 취수된 물이 유동하는 취수관(44), 취수 펌프(45) 등으로 구성된다.
취수구(41)는 빗물 저장탱크(30) 내에서 취수관(44) 끝부분에 구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부력체(42)에 의해 수면 바로 아래에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구(41)와 부력체(42)로 이루어진 부표형 흡입장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수면에서부터 일정 깊이만큼 아래 부분(예를 들면 수면에서 10cm 정도 깊이)에서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빗물은 빗물 저장탱크(30)의 하부에 위치된 유입관 끝단부(22)로 유입된다.
취수구(41)와 연결된 빗물 저장탱크(30) 내의 취수관(44)은 부력체(42)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관(44)은 취수구(41)에서 물을 사용하는 유출부(50)까지 연결되는데, 취수관(44) 상에는 취수 펌프(45)가 구비된다.
이때 취수 펌프(45)는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펌프를 사용하여 물의 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용수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고, 펌프는 대략 0.8 마력을 갖는 모터를 사용하여 강력한 유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취수 펌프(45)의 하단에는 케이스(10) 내에 지지되는 방진 지지구조물(46)을 설치하여 펌프의 진동 및 소음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10)에는 취수 펌프(45)의 방열 및 내부 온도 배출을 위해 그레이팅 구조물(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유출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출부(50)는 최종적으로 빗물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는 구성 부분으로서, 개수부(51)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개수부(51)는 취수관(44) 끝단부에 유출 꼭지(52)가 구비되고, 유출 꼭지(52) 아래에는 개수대(53)가 위치된다.
유출 꼭지(52)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이 나오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꼭지 구조물(수전 설비)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유출 꼭지(52)를 작동시키면 취수 펌프(45)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유출량을 조절하거나 꼭지를 개폐하도록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수대(53)는 그 하부에 유출 꼭지(52)에서 배출된 물을 케이스(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5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수부(51)는 케이스(10)의 전면 쪽에 하나의 구획된 실(55) 형태로 구비되고, 이 구획된 실(55) 내부에 유출 꼭지(52) 및 개수대(53)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획된 실(55)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하나의 박스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앞쪽에는 도어(56)가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닫아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출부(50)는 수전 및 개수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빗물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유출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출 꼭지(52), 또는 배수구(33) 등에 호스 연결부를 구성하여 케이스(10) 외부에서 외부 호스를 연결하여, 빗물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빗물을 조경 용수, 청소 용수 등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금통의 추가 빗물 탱크 연결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케이스(10) 내에 구비되는 빗물 저장탱크(30)의 저장 용량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 추가로 빗물 저장탱크(이하 '추가 탱크'라 함)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때, 추가 탱크(70)는 상기 케이스(10) 외부에서 빗물 저장탱크(30) 쪽에서 넘친 물을 저장한 후에 다시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빗물 저장탱크(30)의 물이 일정 이상 저장되면 오버 플로우 된 물이 추가 탱크(70)에 저장되고, 빗물 저장탱크(30)의 물이 일정 이상으로 줄어들게 되면 추가 탱크(70)의 물이 빗물 저장탱크(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배관 및 밸브는 공지의 배관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케이스 후면 쪽에 연결 이음부를 빗물 저장탱크(30)와 추가 탱크(7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이음부(75)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추가 탱크(70)의 후면에도 케이스(10) 후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 이음부(75)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추가 탱크(70)도 상기한 케이스(10) 구조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진 추가 케이스 내에 설치되게 구성할 수 있고, 내부에는 UV 램프(35), 수질 분석기, 수위계 등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육면체형 박스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탱크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관에서 분기된 다음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빗물 저장탱크에 빗물을 공급하되, 빗물 저장탱크 내의 끝단부는 빗물 저장탱크의 하측부에 위치되게 이루어진 유입부와;
    취수관 및 취수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빗물 저장탱크 내의 빗물을 취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취수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취수구는 부력체에 의해 항상 수면 아래 일정 깊이에서 빗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취수부와;
    상기 취수부의 취수관 끝단부에 연결되어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빗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의 양 또는 빗물의 수질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탱크는 그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최하단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배수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탱크는 빗물 소독을 위한 UV 램프, 수질 측정을 위한 수질 분석기, 물의 수량을 측정하는 수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배수관과 분기되는 부분에 여과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와 연결된 빗물 저장탱크 내의 취수관은 부력체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하나의 구획된 실로 구성되고, 구획된 실 앞부분에는 케이스의 외부면과 일치하는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구획된 실내에는 상기 취수관 끝단부에 연결된 유출 꼭지가 구비되고, 이 유출 꼭지 아래에는 개수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금통.
KR1020110061890A 2011-06-24 2011-06-24 빗물 저금통 KR2013000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90A KR20130001026A (ko) 2011-06-24 2011-06-24 빗물 저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90A KR20130001026A (ko) 2011-06-24 2011-06-24 빗물 저금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26A true KR20130001026A (ko) 2013-01-03

Family

ID=4783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890A KR20130001026A (ko) 2011-06-24 2011-06-24 빗물 저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0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76B1 (ko) * 2013-12-06 2014-08-25 롯데건설 주식회사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20160121741A (ko) 2015-04-10 2016-10-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76B1 (ko) * 2013-12-06 2014-08-25 롯데건설 주식회사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20160121741A (ko) 2015-04-10 2016-10-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집수 설비와 이동식 빗물 저장탱크 및 빗물 수상 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20130180928A1 (en) Personal Water Conservation System
US20140262998A1 (en) Water System
TW201503819A (zh) 植物栽培單元及具有其的立體綠化牆
JP2010535956A (ja) 家庭内等設置用節水システム
KR101942067B1 (ko) 태양광 발전과 빗물 집수탱크 일체식 단위 모듈
CN203687336U (zh) 带有水垢检测、报警和自动清洗功能的电热水器
KR101920773B1 (ko)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KR102104757B1 (ko) 관로의 관리 및 제어시스템
KR20130001026A (ko) 빗물 저금통
CN201538992U (zh) 一种楼内、楼外清洁废水整体循环系统
CN108842900A (zh) 智能化注水(补水)地漏
CN105908810A (zh) 一种船用生活污水处理系统
CN213901627U (zh) 新型的制冷设备循环水智能处理设备
CN202007437U (zh) 一种简易型家用流动保鲜储水装置
KR200465235Y1 (ko) 급수 설비용 종합 절수 장치
CN205803217U (zh) 免安装即热纯水机
CN208830450U (zh) 智能化注水地漏
KR20130002812A (ko) 빗물을 이용한 음수대
CN205296370U (zh) 一种两用途的防臭地漏
JPH061990Y2 (ja) 浴室・脱衣室ユニット
CN110127878A (zh) 一种居民住宅楼直饮水装置
CN2813738Y (zh) 废水冲厕装置
CN202298790U (zh) 一种楼房节水系统的水箱、楼房节水系统及楼房
CN102486035A (zh) 一种污水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