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702U - Apparatus for t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702U
KR20130000702U KR2020110006622U KR20110006622U KR20130000702U KR 20130000702 U KR20130000702 U KR 20130000702U KR 2020110006622 U KR2020110006622 U KR 2020110006622U KR 20110006622 U KR20110006622 U KR 20110006622U KR 20130000702 U KR20130000702 U KR 20130000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uide rails
lower table
present
uppe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6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수정
Original Assignee
손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수정 filed Critical 손수정
Priority to KR2020110006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702U/en
Publication of KR20130000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0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테이블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테이블, 하부 테이블의 하부에서 하부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면에 음식물이 적재되고, 하면에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테이블을 포함한다.A table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device includes a lower table having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t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and food being loa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table on which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are formed that ar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Figure P2020110006622
Figure P2020110006622

Description

테이블 장치{APPARATUS FOR TABLE}Table device {APPARATUS FOR TABLE}

본 고안의 실시예는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상을 차리거나 치우는데 사용되는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abl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apparatus used to set or remove food.

일반적으로 식당에서는 종업원들이 주방에서 음식이 들어 있는 많은 종류의 그릇 및 접시들을 쟁반 등에 담아 손님이 자리잡은 테이블로 이동한 후, 각 그릇과 접시들을 일일이 테이블로 옮겨 놓게 된다. 그리고, 손님이 음식을 다 먹은 후에는 테이블에 놓여 있는 빈 그릇과 접시들을 다시 쟁반에 담은 후 주방으로 옮겨 이동하게 된다. In a restaurant, employees usually put many kinds of dishes and dishes in the kitchen on trays and move them to the table where the guests are seated, and then move each bowl and dishes to the table. After the customer has finished eating, the empty bowls and dishes on the table are put back on the tray and moved to the kitchen.

이 경우, 종업원이 각 그릇 및 접시들을 일일이 쟁반에서 테이블로(또는 테이블에서 쟁반으로) 옮겨 놓아야 하기 때문에 상 차리는데(또는 상을 치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반찬 가지수가 많이 나오는 한정식 같은 경우에는 한 쟁반 내에 그릇 및 접시들을 담을 수 없어 주방과 테이블 사이를 여러 번 이동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을 차리거나 치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In this case, it takes a lot of time to set up (or clear the table) because the employee has to move each bowl and dish from tray to table (or table to tray) one by on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Korean-style meal with a large number of side dishes, it is not possible to hold dishes and dishes in one tray, so it is necessary to move many times between the kitchen and the table.

그리고, 쟁반에서 테이블로 음식이 든 그릇 및 접시를 옮겨 놓는 과정에서 종업원의 실수로 음식을 테이블에 쏟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음식이 뜨거우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고, 손님이 입고 있는 옷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 손님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worker may accidentally spill food on the table while moving food from a tray to a table, which may cause burns if the food is hot. Not only can it pollute, but it can also cause discomfort to guests.

또한, 종업원의 입장에서도 상을 차리거나 치우는 일에 많은 노력이 들어가 육체적으로 피곤한 상태에 있게 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from the employee's point of view to put a lot of effort to put away or put away a physically tir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falls.

본 고안의 실시예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음식을 차리고 치울 수 있는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device that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set up and remove foo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테이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면에 음식물이 적재되고,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테이블을 포함한다.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guide rai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table below the lower table; And an upper table on which food is loa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which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on a lower surface thereof.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식물이 차려진 상부 테이블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부 테이블과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한 번에 음식물을 차리거나 치울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을 차리거나 치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이 든 그릇 및 접시를 일일이 옮길 필요가 없으므로 그릇 및 접시를 옮기는 과정에서 음식을 쏟을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캐리어를 통해 주방과 하부 테이블 사이에서 상부 테이블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종업원들이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or separating the upper table with the food on the lower table in a slide manner, the food can be set or removed at once,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set or remove the table. Will b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bowls and dishes containing the food one by one, there is no fear of spilling foo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owls and dishes. In addition, the carrier can easily transport the upper table between the kitchen and the lower table, thereby allowing employees to work comfortably and improv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테이블 및 하부 테이블에 코팅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테이블 및 하부 테이블에 롤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테이블을 캐리어를 통해 하부 테이블로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 portion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is formed on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table is carried to the lower table through a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테이블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tabl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on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AA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테이블 장치(100)는 지지부(102), 하부 테이블(104), 및 상부 테이블(106)를 포함한다.1 to 3, the table apparatus 100 includes a support 102, a lower table 104, and an upper table 106.

지지부(102)는 하부 테이블(10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02)는 예를 들어, 베이스(111), 다리부(114), 및 받침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1)는 다리부(114)와 결합되어 다리부(114)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리부(114)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114)를 한 개로 형성하는 경우, 다리부(114)는 하부 테이블(104)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114)를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각 다리부(114)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 테이블(104)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열된다. 이때, 각 다리부(114)의 일단은 베이스(111)에 고정되고, 각 다리부(114)의 타단은 받침부(117)에 고정됨으로써, 하부 테이블(104)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받침부(117)는 접착제 등을 통해 하부 테이블(104)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부(117)는 결합 부재(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하부 테이블(104)의 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support 102 serves to support the lower table 104. The support 102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e 111, a leg 114, and a support 117. Here, the base 111 is coupled to the leg 114 serves to firmly fix the leg 114. One or more leg 114 may be formed. In the case of forming one leg 114, the leg 114 may have a large enough area to stably support the lower table 104. When two or more leg portions 114 are formed, each leg portion 114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arranged at positions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lower table 104. At this time, one end of each leg 114 is fixed to the base 111, and the other end of each leg 114 is fixed to the support 117, thereby supporting the lower table 104. The supporting part 117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table 104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117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table 104 through a coupling member (eg, a bolt and a nut).

한편, 여기서는 지지부(102)가 베이스(111), 다리부(114), 및 받침부(11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02)는 베이스(111) 없이 다리부(114) 및 받침부(117)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베이스(111) 및 받침부(117) 없이 다리부(114)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다리부(114)는 하부 테이블(10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support part 102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base 111, the leg part 114, and the support part 117,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art 102 is the leg part without the base 111. It may be composed of the 114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7, or may be made of only the leg portion 114 without the base 111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7. In this case, the leg 11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table 104.

하부 테이블(104)은 지지부(102) 상에 형성되며, 지지부(102)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테이블(104)의 상면에는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이 형성된다. The lower table 104 is formed on the support 102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10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104, a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부 테이블(106)은 접시 및 그릇 등이 놓여지는 곳으로, 상부 테이블(106)은 하부 테이블(104)의 상부에서 하부 테이블(104)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 예를 들어, 상을 차리는 경우에는 상부 테이블(106)이 하부 테이블(104)과 결합되고, 상을 치우는 경우에는 상부 테이블(106)이 하부 테이블(104)과 분리된다. 상부 테이블(106)의 저면에는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형성된다. The upper table 106 is a place where dishes, dishes, etc. are placed, and the upper table 106 is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lower table 10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104. For example, the upper table 106 is coupled with the lower table 104 when the table is set up, and the upper table 106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able 104 when the table is removed.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able 106.

여기서,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은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결합 또는 분리되게 된다. 즉,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Here,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are coupled to or separated by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slide inward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That is,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are combined or separated in a slide manner.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이 하부 테이블(104)의 상면에서 하부 테이블(104)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상부 테이블(106)의 양측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은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결합 또는 분리된다.For example, a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lower table 10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104, and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are formed on the upper table 106. In the case where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dges of the inner edge of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may be formed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Slid inwards to engage or separate.

여기서,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될 때,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슬라이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종업원이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갑작스럽게 힘을 가하면 상부 테이블(106)에 놓인 접시나 그릇들이 흔들려 내용물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Here, when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slide inward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the slide is not smoothly performed due to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You may not. In this case, if an employee applies excessive force or sudden force in the process of combining or separating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the dishes or bowls placed on the upper table 106 may be shaken out of the contents. Will be.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 간의 슬라이드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의 상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과 접촉하는 상부 테이블(106)의 하면,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의 하면,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과 접촉하는 하부 테이블(104)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코팅층(1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코팅층(140)은 예를 들어, 테프론 코팅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될 때,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 간의 마찰력을 줄여 주어 슬라이드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the pair of the first surface so that the slide between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is made smoothly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106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21,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104 in contact with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The coating layer 14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m. Here, the coating layer 140, for example, may use a Teflon coating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reducing frictional force other than that. In this case, when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131 slide inward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121, the slide is smoothly reduced by reduc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Can be done.

그리고, 상부 테이블(106)과 하부 테이블(104)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121)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131) 중 적어도 하나에 롤러(150)를 형성할 수도 있다.And,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upper table 106 and the lower table 104, as shown in Figure 5,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 121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 131 The roller 150 may be formed in one.

또한, 상부 테이블(106)을 하부 테이블(104)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때, 상부 테이블(106)의 후단이 하부 테이블(104)을 지나쳐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테이블(106)이 슬라이드 운동을 할 때, 상부 테이블(106)의 후단이 하부 테이블(104)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부 테이블(106)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In addition, when sliding the upper table 106 to the lower table 104, the rear end of the upper table 106 may pass beyond the lower table 104. Therefore, when the upper table 106 makes a slide movement, it is necessary to stop the upper table 106 so that the rear end of the upper table 106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ear end of the lower table 104.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테이블(104)의 후단에 걸림턱(124)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부 테이블(106)을 하부 테이블(104)에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상부 테이블(106)의 후단이 걸림턱(124)에 걸려 상부 테이블(106)의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며, 상부 테이블(106)의 후단과 하부 테이블(104)의 후단이 동일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ep 12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table 104. In this case, when the upper table 106 is slide-bonded to the lower table 104, the rear end of the upper table 106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124 and the slide movement of the upper table 106 is stopped, and the upper table 106 is stopped.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table 104 can be aligned at the same position.

또한, 상부 테이블(106)이 하부 테이블(104)과 슬라이드 결합된 후, 상부 테이블(106)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부 테이블(106)을 하부 테이블(104)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upper table 106 is slide-coupled with the lower table 104, it is necessary to fix the upper table 106 to the lower table 104 so that the upper table 106 does not move.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테이블(104)의 전단에 제1 관통홀(127)을 형성하고, 상부 테이블(106)의 전단에 제1 관통홀(127)과 대응하여 제2 관통홀(134)을 각각 형성한 후, 상부 테이블(106)이 하부 테이블(104)과 슬라이드 결합되면, 고정 부재(137)를 제2 관통홀(134) 및 제1 관통홀(127)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부 테이블(106)을 하부 테이블(104)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 부재(137)는 예를 들어, 제1 관통홀(127) 및 제2 관통홀(134)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식당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젓가락이나 수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테이블(106)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이외의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 hole 127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table 10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27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table 106. After each of the 134 is formed, when the upper table 106 is slid with the lower table 104, the fixing member 1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34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7. Then, the upper table 106 can be fixed to the lower table 104. The fixing member 137 may use, for example, a cylindrical member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through hole 127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4, but it may be a chopstick or a cutlery that can be easily seen in a restaurant. Can also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means may be used to fix the upper table 106.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식물이 차려진 상부 테이블(106)을 하부 테이블(104)과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한 번에 많은 음식물을 차리거나 치울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을 차리거나 치우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이 든 그릇 및 접시를 일일이 옮길 필요가 없으므로 그릇 및 접시를 옮기는 과정에서 음식을 쏟을 염려가 없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or separating the upper table 106, which is provided with food, with the lower table 104,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set or removed at one time, thereby reducing or removing the image. You can save tim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bowls and dishes containing the food one by one, there is no fear of spilling foo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owls and dishes.

한편, 종업원들이 상부 테이블(106)을 들고 주방에서 하부 테이블(104) 사이를 이동할 수도 있지만, 상부 테이블(106)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캐리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60)에 상부 테이블(106)을 올려 놓은 후, 캐리어(160)를 통해 상부 테이블(10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리어(160)에는 종업원이 캐리어(160)를 쉽게 조작하도록 손잡이(1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과 하부 테이블(104) 사이에서 상부 테이블(106)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종업원들이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employees may move between the lower table 104 in the kitchen with the upper table 106, but may use a separate carrier for the movement of the upper table 106.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fter placing the upper table 106 on the carrier 160, the upper table 106 may be moved through the carrier 160. In this case, a handle 161 may be formed in the carrier 160 so that an employee easily manipulates the carrier 160. In this case, the upper table 106 can be easily transported between the kitchen and the lower table 104, thereby enabling employees to work comfortably and improve work efficiency.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102 : 지지부 104 : 하부 테이블
106 : 상부 테이블 111 : 베이스
114 : 다리부 117 : 받침부
121 :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 124 : 걸림턱
127 : 제1 관통홀 131 :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
134 : 제2 관통홀 137 : 고정 부재
140 : 코팅층 150 : 롤러
160 : 캐리어 161 : 손잡이
102: support portion 104: lower table
106: upper table 111: base
114: leg portion 117: support portion
121: a pair of first guide rail 124: locking jaw
127: first through hole 131: a pair of second guide rail
134: second through hole 137: fixing member
140: coating layer 150: roller
160: carrier 161: handle

Claims (7)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이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테이블;
상기 하부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면에 음식물이 적재되고, 하면에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상부 테이블을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A lower table having a pair of first guide rail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table below the lower table; And
And an upper table on which a food is loa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guide rails slide-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의 상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상부 테이블의 하면,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의 하면, 및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상기 하부 테이블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device,
An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abl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a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and contact with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The tab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device,
And a roller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이블은,
상기 하부 테이블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table,
And a locking jaw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장치는,
상기 상부 테이블을 운반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device,
And a carrier for carrying said top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블과 상기 하부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이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table,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rails slides inside the pair of first guide rails so as to be coupled or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장치는,
상기 하부 테이블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상부 테이블에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상부 테이블이 상기 하부 테이블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devic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table;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table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nd a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when the upper table is coupled to the lower table.



KR2020110006622U 2011-07-21 2011-07-21 Apparatus for table KR2013000070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22U KR20130000702U (en) 2011-07-21 2011-07-21 Apparatus for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22U KR20130000702U (en) 2011-07-21 2011-07-21 Apparatus for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02U true KR20130000702U (en) 2013-01-30

Family

ID=5242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622U KR20130000702U (en) 2011-07-21 2011-07-21 Apparatus for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70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527B1 (en) * 2022-04-26 2023-01-19 비전세미콘(주) Serving system and method for unmanned sto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527B1 (en) * 2022-04-26 2023-01-19 비전세미콘(주) Serving system and method for unmanned store
WO2023211012A1 (en) * 2022-04-26 2023-11-02 비전세미콘 주식회사 Unmanned store serv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973A (en) Smooth surface fixing setter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20160157676A1 (en) Chafing dish with fitted food pan carrier ring
US20130098923A1 (en) Cup and Plate Combination Dish
KR20130000702U (en) Apparatus for table
US9675190B1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CN105193207A (en) Food passing tray
KR101333501B1 (en) Detachable dining table
TWM549005U (en) Dining box structure
KR200480444Y1 (en) A table having multipurpose storage box
KR200250145Y1 (en) Table having a sliding supporter
KR20130006657U (en) Dish
KR20120139197A (en) Table
CN210354214U (en) Combined tableware
KR20140109357A (en) water purifier containing tray or table
KR101241419B1 (en) a earthen bowl support
KR200467639Y1 (en) Kitchen table with multi-function
KR20170104854A (en) Easily Exchangeable Table
CN210902723U (en) Chopping board
KR200302962Y1 (en) A table
CN204617584U (en) Kitchen utility chair
CN104799598A (en) Multipurpose chair for kitchen
KR20230000576U (en) Tray for serving
KR20100007424U (en) A dining table device
KR20100007423U (en) A dining 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