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63U - Reading stand - Google Patents

Reading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63U
KR20130000663U KR2020110006550U KR20110006550U KR20130000663U KR 20130000663 U KR20130000663 U KR 20130000663U KR 2020110006550 U KR2020110006550 U KR 2020110006550U KR 20110006550 U KR20110006550 U KR 20110006550U KR 20130000663 U KR20130000663 U KR 20130000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plate
fixing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5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환
Original Assignee
김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환 filed Critical 김이환
Priority to KR2020110006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663U/en
Publication of KR20130000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6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할 때에 책을 펼쳐놓고 독서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고 배면에 고정부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제 2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좌식받침대로 구성되어 책상이나 탁자 위, 방바닥(거실바닥) 등 어디에나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이나 소파, 각종 의자 등 어디에 앉아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외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that can open and read a book when reading, and in detail, a support plate formed to form a pedestal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a fixed portion on the back to put the book on or unfold conveniently and; A first elevating support having an upper support plate fixing rod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support and fix the angl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support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and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A support plate formed of a fixed support into which a lifting support is lowered and formed so as to facilitate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xed support and consists of a seating base which is formed so as to be stably seated on a desk or a table or a floor (living floor), and can be used anywhere on a desk or table, a floor (living floor), and a floor (living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lateral reading table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such as a sofa, various chairs, and the like.

Description

외발 독서대{Reading stand} Reading stand {Reading stand}

본 고안은 독서할 때에 책을 펼쳐놓고 독서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고,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고정부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제 2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승강지지대의 길이조절로 상기 받침판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좌식받침대로 구성되어 책상이나 탁자 위, 방바닥(거실바닥) 등 어디에나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이나 소파, 각종 의자 등 어디에 앉아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외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that can open a book when reading, and more specifically, a pedestal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rectangular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and slightly lower portion of the back center ( A support plat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so as to conveniently place or spread the book; A first elevating support having an upper support plate fixing rod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support and fix the angl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support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and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A support plate composed of a fixed support into which a lower support of the elevating support is inserted and formed so as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supports;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lower part of the fixed support and consists of a seating base formed to be stably seated on a desk or table or a floor (living room floor), and can be used anywhere on a desk or table, a floor (living room floor),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lateral reading table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such as a room floor, a living room, a sofa, and various chairs.

우리나라 사람들의 독서 실태를 분석해 보면 학생들의 경우에는 거의 책상이 준비되어 있어 책상 위에 책을 펼쳐놓고 의자나 방바닥에 앉아서 독서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어른들의 경우에는 별도로 서재가 준비되어 있거나 자기 몫의 컴퓨터라도 설치(컴퓨터가 놓인 책상이 설치된 것을 의미함)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책상이 없이 생활하고 있으며, 또한 집안에서 일을 하거나 휴식을 할 때에도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 하는 것이 습관화되어서 독서를 할 때에도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 하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여 방이나 거실에 탁자가 놓여있는 경우에는 탁자 위에 책을 올려놓고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 독서를 하고, 탁자를 놓아두지 않은 가정에서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끼면서도 방이나 거실에 접이식 탁자를 가져다 놓고 독서를 하고 독서를 마친 다음에는 다시 접어서 제자리에 가져다 놓기를 반복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책상이나 탁자는 모두 바닥면이 수평상태라서 독서를 하려면 자연이 목이나 등을 굽혀야 하고, 이와 같이 목이나 등을 굽힌 상태로 독서를 하는 경우에는 쉬 피로해져 집중력이 떨어지고 장기화 되면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ading situation of Korean people, students are almost ready to have a desk, and most of them read books on the desk and sit on the chair or on the floor. Most people live without desks, except when they are installed (meaning that a desk with a computer is installed) .Also, it is customary to sit on the floor (living room) when working or relaxing in the house. Even when reading, it is comfortable to sit on the floor (living room), so if you have a table in the room or living room, place a book on the table, sit on the floor (living room), and read the book. Have a folding table in your room or living room while feeling bother and inconvenience Place After reading and completing the reading is a situation that is quite a few people who repeatedly folded back drop brings into place. However, all desks and tables have a flat bottom, so you need to bend your neck or back in order to read. If you are reading with your neck or back bent, you may get tired easily and lose concentration and prolong your health. It has no effect.

또한, 서구화의 영향으로 가정에서도 소파나 각종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으로 소파나 각종 의자에 앉아서 편히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의 개발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In add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Westernizati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sitting on the sofa or various chairs at home is gradually increasing, so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reading tabl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on the sofa or various chairs.

그래서 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독서대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를 대분해 보면 책상이나 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와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로 나눌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는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 사용하는 것과 소파나 각종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독서대의 문제점은 책상이나 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도록 개발된 독서대는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하기에 곤란한 구조이고,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하도록 개발된 독서대는 책상이나 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 곤란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독서대의 경우에도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독서 중에 다리를 뻗쳤다 오므렸다하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책을 펼쳐놓는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도 받침판을 지지해 주는 받침판지지대가 좌우양측에 설치된 것은 좌우양측 받침판지지대의 높이를 같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번거롭고,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받침판지지대가 하나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대개 높낮이조절 수단이 2단 형태로 구성되어 3단으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받침판의 높이를 더 높게 조절하거나 더 낮게 조절하기가 곤란하여 독서자가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소파나 각종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은 등 사용상의 호환성이 취약하며, 또한 방바닥(거실바닥)에 놓아두고 사용하도록 형성된 독서대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도 무거워서 방과 방, 방과 거실 등으로 이리저리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휴대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할 뿐 아니라 사용치 않을 때 별도로 거치해 두는데도 적지 않게 자리를 차지하므로 불편함이 있다는 것이다.    Therefore, many inventors have developed various kinds of reading stands, but if you look at them, you can divide the reading stand that can be placed on the desk or table and the reading stand that can be placed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and the floor (living room floor). The reading stand that can be used on the floor can be divided into sitting on the floor (living room) and sitting on a sofa or chair. However, the problem with the various reading stands developed in the past is that the reading stand developed for use on a desk or table is difficult to use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and the reading stand developed for use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Ha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use on a desk or table, and a reading stand designed to be used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can be used for sitting on a desk with legs crossed or legs stretched out while reading. It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he support plate support that supports the support plate is also difficult to use becaus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If the supporting plate support is one In general,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composed of two stages,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higher or lower than that of the three stages, so that the reader can use it on the floor of the room (living room). The compatibility with the use is weak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sit on the chair, and the reading stand is designed to be placed and used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in general and is bulky and heavy, so it can be moved or used around the room and the room, the room and the living room. It is not only difficult to use, but also uncomfortable because it takes up a lot of space even when not in us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책을 펼쳐놓는 받침판의 각도조절과 높낮이조절이 간편하고,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책상이나 탁자 위, 방바닥(거실바닥)등 어디에나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이나 소파, 각종 의자 등 어디에 앉아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방과 방, 방과 거실 등으로 이곳저곳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휴대하여 사용하기에도 편리하고, 사용치 않을 때 거치해 두기에도 간편한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과 같은 독서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supporting plate on which the book is opened, and the overall volume is small and the weight is light, so it can be used anywhere on the desk or table or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I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such as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sofa, or various chairs.It is convenient to move around to the room or the room, the room and the living room, or to carry it, and to mount it when not in use.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stand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with a simple structure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고,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고정부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제 2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승강지지대의 길이조절로 상기 받침판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좌식받침대로 구성하되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상부바깥둘레에는 스프링받침턱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에 상부가 밀착되도록 스프링을 추가 설치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각도조절이 간편하게 되며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책상이나 탁자 위, 방바닥(거실바닥) 등 어디에나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이나 소파, 각종 의자 등 어디에 앉아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방과 방, 방과 거실 등으로 이리저리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사용치 않을 때 별도로 거치해 두기에도 간편한 구조로 형성된 외발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form a pedestal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and slightly below the center of the back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A support plat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to form a fixing part so as to conveniently place or unfold a book; A first elevating support having an upper support plate fixing rod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support and fix the angl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support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and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A support plate composed of a fixed support into which a lower support of the elevating support is inserted and formed so as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supports;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and consists of a seating support formed on the desk or table or on the floor (living floor) stably, but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spring support jaw i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spring so that the upp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art,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overall volume is small and the weight is light, so that it can be used anywhere on a desk or table or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It can be used anywhere sitting on the floor (living floor), sofa, chairs, etc., and it is convenient to move around to room or room, room and living roo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nilateral reading table formed b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고,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고정부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고정부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제 2승강지지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승강지지대의 길이조절로 상기 받침판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좌식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edestal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and slightly lower portion (the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of the rear center. A support plat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and configured to be convenient for placing or spreading a book; A first elevating support having an upper support plate fixing rod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support and fix the angl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support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and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A support plate composed of a fixed support into which a lower support of the elevating support is inserted and formed so as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supports;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ated support base formed to be stably seated on the desk or table or the floor (living floo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전면과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고정판의 전면 좌우양측가외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날개벽과, 양 상기 날개벽의 내측면상부와 상기 고정판의 전면상부를 연결시키는 상판이 구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wing wall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lat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formed in a flat surface, and an upper plate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upper portions of the wing walls to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fixing plate. It is done.

또한, 상기 받침판고정봉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분의 상부전면을 50도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상부부분의 아래 부분을 원주형의 막대 모양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50-degree inclined sur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또한,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상부바깥둘레에는 스프링받침턱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에 상부가 밀착되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질 때 그 것에 눌려서 더욱 수축되어지나 수축된 만큼 원상회복되려는 성질에서 발현되는 탄발력이 도리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의 하부를 강하게 떠받쳐 움직이기 곤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받침판의 각도조절에 보조적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jaw and the upp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dges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fixing portion when both the lower edge is moved to the front and rear to be further contracted by it The spring is configured to serve as an auxiliary action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by acting to fix the elasticity that is expressed in the property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as much as it is contrac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by hol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dge. It features.

또한, 상기 제 1승강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상부를 높이조절부로 연결하고, 상기 제 2승강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상부를 상기 높이조절부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측에 삽입구를 갖는 상부받침판과, 상기 상부받침판과 마주하여 형성된 하부받침판과 연결된 지지부의 바깥둘레에서 회동되고 일측에 걸림턱을 갖으며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지고 일측에 개방부를 형성한 중심공을 갖는 회동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with a height adjusting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the upper side A pivot having an upper support pl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 the center and a central hole having a locking jaw on one side, a predetermined angle being inclined, and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being rota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formed to face the upper support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xture.

본 고안에 따른 외발 독서대는 받침판지지대가 3단(제 1,2승강지지대와 고정지지대)으로 구성되어 1단이나 2단인 것에 비해 받침판의 높이를 보다 높이 보다 낮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방법도 간편하다. The unilateral read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first and the second lifting support and the fixed suppor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can be adjust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is lower than the first or second stage and the adjustment method is also easy.

또한, 받침판의 하부를 손으로 잡고 위로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원터치 방식으로 받침판의 각도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in a one-touch manner by holding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by pushing up or down.

또한, 책상이나 탁자 위, 방바닥(거실바닥) 등 어디에나 놓아두고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거실바닥)이나 소파, 각종 의자 등 어디에 앉아서나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nywhere on a desk or table,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and can be used anywhere sitting on the floor (living room floor), sofa, or various chairs.

또한, 받침판지지대가 하나(외발)로 형성되어 방바닥(거실바닥)에 앉아서 독서를 하는 경우에 책상다리를 하거나 다리를 뻗고 오므리는 것이 자유로워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base plate support is formed in one (outside) to sit on the floor (living floor) to read the desk legs or legs stretched out and free to use more convenient to use.

또한, 독서대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무게도 가벼워 이리저리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휴대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사용치 않을 때 별도로 거치해 두기에도 간편하다.In addition, the overall volume of the reading stand is small and light, so it is convenient to move around and use it, or to use it when not in use.

또한, 목이나 등을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독서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독서를 하더라도 피로가 덜하고, 독서의 집중력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you can read in a comfortable posture without bending the neck or back, even if you read for a long time, less fatigue,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reading.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사시도.
Figure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nother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other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nother front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b Another rear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외발 독서대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If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ose shown in Figures 1 to 4 unilateral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발 독서대(100)는 받침판(10)과, 받침판지지대(30)와, 좌식받침대(50)로 구성된다.The unilateral reading table 100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10, a support plate support 30, and a leg rest 50.

상기 받침판(10)은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11)를 형성하고,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고정부(20)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 plate 10 forms a pedestal 11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and slightly below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The fixed portion 20 is configured to be conveniently placed on or unfold the book.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 하단부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된다.The pedestal 11 is fixed by adhesive bonding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받침판(10)에 올려놓은 책이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The pedestal 11 is formed to prevent the book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0 to flow down.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 하단부에 상기 받침대(11)의 두께만한 넓이와 상기 직사각형 통판 두께의 절반 깊이로 홈(미도시)를 파고 접착시켜 상기 받침대(11)의 배면과 상면의 후방이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상기 홈(미도시)에 맞물려 설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destal 11 is formed by digging and adhering a groove (not shown)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by half the depth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the width as large as the thickness of the base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ide is engaged with the groove (not shown) of the rectangular plate.

또한, 상기 받침대(11)의 가로 길이는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세로 폭은 두꺼운 책도 올려놓기에 적합한 넓이로 형성하되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edestal 11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the vertical width is formed to a width suitable for placing a thick book, but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in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또한, 상기 받침대(11)의 전면 좌우양측의 가외부에 각각 책갈피고정구 (12)가 설치된다. In addition, bookmark holders 12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extra portions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11.

상기 책갈피고정구(12)는 나사못(12a)으로 고정되어 좌우로 회동되어지며 독서할 때에 상기 받침판(10)에 펼쳐놓은 책의 책갈피가 임의로 젖혀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The bookmark fixture 12 is fixed to the screw (12a)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configured to serve to fix the bookmark of the book unfolded on the support plate 10 is not flipped at random when reading.

상기 책갈피고정구(12)는 강직하면서도 탄성을 지닌 경량철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okmark fixture 12 is preferably formed of a lightweight steel with a rigid and elastic.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20 is configured in a slightly lower portion of the rear center of the rectangular plate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전면과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고정판(20a)의 전면 좌우양측가외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날개벽(20b)과, 양 상기 날개벽(20b)의 내측면상부와 상기 고정판(20a)의 전면상부를 연결시키는 상판(20c)이 구성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0 is a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xing plate (20a) formed in a plane protruding forward to the wing wall (20b), both the inner surface upper portion of the wing wall (20b) and the fixing plate ( The upper plate 20c for connecting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20a is configured and formed.

상기 양 날개벽(20b)에는 볼트삽입공(20d)이 구성된다.Both wing walls 20b are provided with bolt insertion holes 20d.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배면에 상기 고정판(20a)의 배면이 접착되어 고정된다.The fixing part 2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0a by b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상기 고정부(20)는 접착제로 접착된다.The fixing part 20 is bonded with an adhesive.

상기 고정부(20)를 상기 직사각형 통판의 배면 중앙부보다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 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구성하는 것은 상기 받침판(10)에 책을 올려놓았을 때 무게 중심의 불균형으로 인해 독서대가 앞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fixing part 20 is formed slightly below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when the book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0. This is to prevent the reading stand from falling forward due to the unbalance of the center.

상기 고정부(2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art 20 is preferably formed of wood or synthetic resin.

상기 받침판지지대(30)는 상기 고정부(20)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21)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31)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가 입출되는 제 2승강지지대(32)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33)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 승강지지대(31,32)의 길이 조절로 상기 받침판(10)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support 3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 by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having a support plate fixing rod 21 on the support fix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nd a second lifting support 32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enters and a fixed support 33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enters and exit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31, 32) is formed to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10).

상기 제 1,2승강지지대(31,32)와, 상기 고정지지대(33)는 모두 통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입출구(미도시)가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lifting supports 31 and 32 and the fixed support 33 are all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entrance and exit port (not shown) is formed thereon.

또한, 상기 제1승강지지대(31)는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상부에 구성된 입출구(미도시)로 입출되도록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통체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는 상기 고정지지대(33)의 상부에 구성된 입출구(미도시)로 입출되도록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통체 내부에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is configur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not shown) configur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The support 32 is configured inside the cylinder of the fixed support 33 so that the support 32 enters and exits at an entrance and exit port (not shown) configur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33.

상기 받침판지지대(30)는 경량화 및 미관을 위해 제 1,2승강지지대31,32)와 상기 고정지지대(33)를 모두 알루미늄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2승강지지대(31,32)는 알루미늄재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대(33)는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support 30 is formed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supports 31 and 32 and the fixed support 33 in the aluminum material, or the first and second elevating supports (31 and 32) for light weight and aesthetics Is formed of aluminum and the fixing support 33 is preferably formed of wood.

또한,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상부바깥둘레와, 상기 고정지지대(33)의 상부바깥둘레에는 각각 보호캡(34)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support 33, respectively, the protective cap 34 is configured.

상기 보호캡(34)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cap 34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상기 고정부(20)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late fixing bar 21 is configured to act as a support fix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10 by being coupled with the fixing portion 20.

또한,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분의 상부전면을 50도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상부부분의 아래 부분을 원주형의 막대 모양으로 구성하여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formed by forming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inclined surface of 50 degre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formed in a columnar rod shape.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부분의 상부전면을 50도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을 할 때에 상기 받침판(10)이 50도 각도 이상 후방으로 젖혀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판(10)이 50각도 후방으로 젖혀지면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의 경사면이 상기 고정부(20)의 고정판(20a)에 맞닿아 더 이상 후방으로 젖혀지지 않고 50도 각도 이내에서만 전,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forming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is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50 degree angle when the support plate 10 is tilted backwards by 50 degrees or more when the angle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10 When the support plate 10 is flipped backward by 50 degre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late 20a of the fixing part 20 and is no longer flipped backward. This is to tilt forward and backward only within a 50 degree angle.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총길이의 3분의 1이 상부부분으로 구성되고 상부부분의 아래 부분이 3분의 2가 되도록 구성된다.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third of the total length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two thirds.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의 상부부분에는 볼트삽입공(21a)이 구성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21a).

상기 받침판고정봉(21)에 구성되는 볼트삽입공(21a)은 상기 고정부(20)의 양 날개벽(20b)에 형성된 상기 볼트삽입공(20d)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bolt insertion hole 21a formed in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20d formed at both wing walls 20b of the fixing part 20.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상부부분이 상기 고정부(20)의 양 상기 날개벽(20b)사이에 삽입되어 양 상기 날개벽(20b)의 볼트삽입공(20d)과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의 볼트삽입공(21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2)에 의해 상기 고정부(20)와 함께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부부분을 제외한 아래 부분이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상부 삽입구(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has an upper portion inserted between both wing walls 20b of the fixing portion 20 so that the bolt insertion hole 20d of the wing wall 20b and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are formed. The lower part except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 by a bolt 22 fasten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21a,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is inserted (not shown). C)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상기 볼트(22)를 체결함에 있어 상기 볼트(22)의 말단부에는 너트(23)가 결합되며, 상기 볼트(22)의 내측과 상기 너트(23)의 내측에는 각각 와셔(24)가 삽입된다.In the fastening of the bolt 22, a nut 23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bolt 22, and a washer 24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ide of the bolt 22 and the inside of the nut 23.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상기 고정부(20)와 함께 상기 볼트(22)로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을 든든하게 지지하게 될 뿐 아니라 상기 고정부(20)의 양 날개벽(20b)과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을 함께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상기 볼트(22)의 조임 강도 때문에 상기 받침판(10)은 임의적으로 움직여 지지 않고 압력이 가해 질 때만 압력이 가해진 만큼 기울어지게 되므로 각도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fixed to the bolt 22 together with the fixing portion 20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 10 as well as both wing walls 20b of the fixing portion 20. Because of the tightening strength of the bolt (22) for holding and fixing the support plate fixing bar 21 together, the support plate 10 is inclined as much as the pressure is applied only when pressure is applied without being moved arbitrarily.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상부바깥둘레에는 스프링받침턱(31a)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20)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에 상부가 밀착되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질 때 그 것에 눌려서 수축되어지나 수축된 만큼 원상회복되려는 성질에서 발현되는 탄발력이 도리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의 하부를 강하게 떠받쳐 움직이기 곤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에 보조적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스프링(26)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jaw (31a)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portion 2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lower edg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en it is pressed, it is contracted by the contraction, but the elastic force expressed in the property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ity as much as it is contracted, rather than hol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dge strongly serves to fix the difficult to move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0) A spring 26 is arranged which is configured to assist in the actuation.

상기 스프링(26)은 상기 고정부(20)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에 상부가 밀착되어 약간 수축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26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of the fixing part 20 slightly contracted.

상기 스프링(26)을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것은 상기 고정부(20)와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을 함께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상기 볼트(22)의 조임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지만 상기 볼트(22)를 너무 강하게 조이면 상기 받침판(10)이 움직여 지지 않아 각도조절을 하기가 곤란하게 되고 약간 약하게 조이면 상기 받침판(10)에 올려놓은 책이 좀 무거울 경우 그 하중 때문에 상기 받침판(10)이 전방으로 기우러져 책을 올려놓기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26)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의 하부를 강하게 떠받쳐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볼트(22)가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을 중간에 두고 상기 고정부(20)의 좌우 날개벽(20b)을 조여 주는 힘과 상기 스프링(26)이 상기 고정부(20)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를 떠받쳐 주는 힘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받침판(10)에 올려놓는 책의 무게 때문에 상기 받침판(10)이 전방으로 기우러지는 일은 없게 됨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불식시키고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을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spring 26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tightening strength of the bolt 22 which fixes and couples the fixing part 20 and the supporting plate fixing rod 21 together to the angle of the supporting plate 10. If the bolt 22 is too tightly adjusted, the support plate 10 is not mov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ngle, and if it is slightly weakened, the book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0 is heavy because of its load. Since the support plate 10 is inclined forward, it is difficult to place a book. By using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26, the support plate 10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lower edges of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of the fixing part 20.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bolt 22 tightens the left and right wing walls 20b of the fixing part 20 with the support plate fixing bar 21 in the middle. And the support plate 10 tilts forward because of the weight of the book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0 by the interaction of the spring 26 with the force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of the fixing part 20. By eliminating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completely eliminates the above problems and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0 in a one-touch manner.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 방법은 한 손으로 상기 받침판지지대(30)를 잡은 다음 다른 손으로 상기 받침판(10)의 하부를 잡고 위로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림으로서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0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holding the support plate support 30 with one hand and then hol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 with the other hand and pushing up or down.

상기 스프링받침턱(31a)은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바깥둘레상부에접착제로 접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받침턱(31a)의 바깥둘레 일 측에는 상기 스프링받침턱(31a)과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를 뚫고 들어가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나사못(25)이 구비된다.The spring support jaw 31a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by an adhesive agent, and the spring support jaw 31a and the first side of the spring support jaw 31a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1 is provided with a screw 25 for penetrating the lifting support 31 to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상기 스프링받침턱(31a)의 바깥둘레 일 측에는 상기 나사못(25)의 머리가 들어갈 홈(미도시)이 구성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pring support jaw 31a is formed a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head of the screw 25 enters.

상기 스프링받침턱(31a)에 상기 홈(미도시)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나사못(25)을 고정시켰을 때 외부로 들어나지 않게 함으로서 거리적 거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The groove (not shown) is configured in the spring support jaw 31a so as not to enter the outside when the screw 25 is fixed.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에서 분리 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fixing bar 21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상기 스프링받침턱(31a)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bearing jaw 31a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상부를 높이조절부(40)로 연결하고,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와 상기 고정지지대(33)의 상부를 상기 높이조절부(40)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측에 삽입구(41)를 갖는 상부받침판(42)과, 상기 상부받침판(42)과 마주하여 형성된 하부받침판(43)과 연결된 지지부(44)의 바깥둘레에서 회동되고 일측에 걸림턱(45)을 갖으며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지고 일측에 개방부(46)를 형성한 중심공(47)을 갖는 회동고정구(48)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are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40,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and the fixed support 33 )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40,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40 is an upper support plate 42 having an insertion hole 41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support plate formed facing the upper support plate 42 Rotating fixture having a central hole 47 which is rota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44 connected to the 43 and has a locking jaw 45 at one side, the predetermined angle is inclined, and an opening 46 is formed at one side. It consists of 48.

상기 삽입구(41)는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 및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상, 하부받침판(42,43)과 그 사이의 상기 지지부(44)에서 좌우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고정구(48)는 모두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상부 내측과 상기 고정지지대(33)의 상부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구성된다.The insertion hole 4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lates 42 and 43 and the supporting portion 44 therebetween. Rotating fixture 48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fixing support 33, respectively.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part 40 is formed in plura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respectively.

상기 받침판지지대(30)로 상기 받침판(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를 한 손으로 잡은 다음 다른 손으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를 잡고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돌려서 고정 상태를 푼 다음 위로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려서 적당한 높이로 맞춘 다음 다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를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상기 회동고정구(48)는 중심축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돌리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4)의 외주연을 가압하고, 상기 회동고정구(48)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45)과 상기 개방부(46)의 수축으로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내측을 가압하여 고정되어 진다.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0 with the support plate support 30, first hold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with one hand, and then hold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with the other hand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loosen the fixed state and then push up or down to adjust the height to the appropriate height, and then turn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gain, it is rotated inside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Since the pivoting fixture 48 is inclined at the center axi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44 is urged in a turning direction, and the locking jaw 45 and the opening 46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ivoting fixture 48. By pressing the inside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by the contraction of the) is fixed.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조절로 상기 받침판(10)의 높이를 조절하였음에도 상기 받침판(10)의 높이를 더 높게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로 조절하게 되는데 그 때는 먼저 상기 고정지지대(33)를 한 쪽 손으로 잡은 다음 다른 손으로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를 잡고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돌려서 고정 상태를 푼 다음 위로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내려서 적당한 높이로 맞춘 다음 다시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를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고정지지대(33)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상기 회동고정구(48)는 중심축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돌리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4)의 외주연을 가압하고, 상기 회동고정구(48)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45)과 상기 개방부(46)의 수축으로 상기 고정지지대(33)의 내측을 가압하여 고정되어진다.When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0 is required to be higher even though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is additionally adjusted. When first holding the fixing support 33 with one hand, and then holding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with the other hand to turn left or right to loosen the fixed state and then push up or down to adjust to the appropriate height Next, when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he pivoting fixture 48 rotated inside the fixed support 33 has a central axis inclined so that the support 44 is rotated. Press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d fixed by pressing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support 33 by the contraction of the locking jaw 45 and the opening 46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otation fixing tool (48) It is.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진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나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를 풀려면 고정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되었던 것이 풀려진다.When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or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which is fix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xing, the fixed lifting unit is released.

상기 받침판(10)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상술한 바는 편의상 먼저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후에 제 2승강지지대(3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나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순서는 어느 것을 먼저 하든 상관이 없다.In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0, the above-described bar is first described as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and t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The order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31 or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does not matter which one is used first.

상기 좌식받침대(50)는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The seat 5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under the fixed support 33 and is formed to be stably seated on a desk or table or a floor (living floor).

상기 좌식받침대(5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하부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홈부(51)가 구성된다.A central portion of the seating support 5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51 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support 33 is screwed.

상기 고정홈부(51)에는 암나사산(51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하부바깥둘레에는 하부보호캡(35)이 구성되며 상기 하부보호캡(35)의 바깥둘레하부에는 숫나사산(35b)이 형성된다. A female thread 51b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51, and a lower protective cap 35 is formed at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fixing support 33, and a male thread is formed at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rotective cap 35. 35b is formed.

또한, 상기 하부보호캡(35)의 하면중앙에는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통체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공(35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vent hole 35b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fixing support 3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ective cap 35.

상기 좌식받침대(50)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t rest 5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r rectangular.

10: 받침판 11: 받침대
12: 책갈피고정구 12a: 나사못
20: 고정부 20a: 고정판
20b: 날개벽 20c: 상판
20d: 볼트삽입공 21: 받침판고정봉
21a: 볼트삽입공 22: 볼트
23: 너트 24: 와셔
25: 나사못 26: 스프링
30: 받침판지지대 31: 제 1승강지지대
31a: 스프링받침턱 32: 제 2승강지지대
33: 고정지지대 34: 보호캡
35: 하부보호캡 35a: 숫나사산
35b: 통기공 40: 높이조절부
41: 삽입구 42: 상부받침판
43: 하부받침판 44: 지지부
45: 걸림턱 46: 개방부
47: 중심공 48: 회동고정구
50: 좌식받침대 51: 고정홈부
51a: 암나사산 100: 외발 독서대
10: base plate 11: base
12: Bookmark fastener 12a: Screw
20: fixed part 20a: fixed plate
20b: wing wall 20c: top plate
20d: bolt insertion hole 21: support plate fixing rod
21a: bolt insertion hole 22: bolt
23: nut 24: washer
25: screw 26: spring
30: base plate support 31: first lifting support
31a: spring rest 32: second lifting support
33: fixed support 34: protective cap
35: lower protective cap 35a: male thread
35b: vent 40: height adjustment part
41: insertion hole 42: upper support plate
43: lower support plate 44: support portion
45: engaging jaw 46: opening
47: central hole 48: Hoedong-dong
50: seat support 51: fixing groove
51a: female thread 100: unicycle

Claims (5)

세로 길이보다 가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통판의 전면하단부에 받침대(11)를 형성하고, 배면중앙의 약간 아래 부분(세로 넓이의 5분의 3에 해당하는 하부부분의 중앙)에 고정부(20)를 구성하여 책을 올려놓거나 펼쳐놓기에 편리하도록 형성된 받침판(10)과;
상기 고정부(20)와 결합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의 지지 고정 및 각도조절 작용을 하는 받침판고정봉(21)을 상부에 구비한 제 1승강지지대(31)와,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가 입출 되는 제 2승강지지대(32)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가 입출되는 고정지지대(33)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승강지지대(31,32)의 길이 조절로 상기 받침판(10)의 높낮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판지지대(30)와;
상기 고정지지대(33)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책상 또는 탁자 위나 방바닥(거실바닥)에 안전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좌식받침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독서대.
A pedestal 11 is form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plate formed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and the fixing portion 20 is formed at a slightly lower portion of the rear center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ree-fifths of the vertical width). A support plate 10 formed to be convenient to place or spread the book by constructing a);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and the first lifting support 31 having a support plate fixing rod 21 on the upper side by being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 to support the fix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 second lifting support 32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is inputted, and a fixed support 33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fting support 32 is inputted and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supports 31 and 32. A support plate support 30 formed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0 by adjustmen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33) detachable and the unilateral rea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ating support (50) formed to be securely seated on the desk or table or the floor (living fl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전면과 배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고정판(20a)의 전면 좌우양측가외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날개벽(20b)과, 양 상기 날개벽(20b)의 내측면상부와 상기 고정판(20a)의 전면상부를 연결시키는 상판(20c)이 구성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20 includes a wing wall 20b protruding forward and outside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late 20a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in a flat surface, and upper inner side portions of the wing wall 20b and the fixing plate 20a. The unilateral rea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late (20c) for connecting the front upper portio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고정봉(21)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분의 상부전면을 50도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상부부분의 아래 부분을 원주형의 막대 모양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late fixing rod 21 is a unilateral rea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n inclined surface at an angle of 50 degre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상부바깥둘레에는 스프링받침턱(31a)에 하부가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20)의 좌우양측 하부모서리에 상부가 밀착되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질 때 그 것에 눌려서 더욱 수축되어지나 수축된 만큼 원상회복되려는 성질에서 발현되는 탄발력이 도리어 양 상기 하부모서리의 하부를 강하게 떠받쳐 움직이기 곤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받침판(10)의 각도조절에 보조적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스프링(2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is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support jaw (31a)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part 2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lower edge i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that is pushed on the contraction is further contracted, but the elastic force expressed in the property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much as the contraction acts to firm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dge so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hereb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upport plate 10. A unilateral rea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26 is configured to perform an auxiliary a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승강지지대(31)의 하부와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상부를 높이조절부(40)로 연결하고, 상기 제 2승강지지대(32)의 하부와 상기 고정지지대(33)의 상부를 상기 높이조절부(40)로 연결하며,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측에 삽입구(41)를 갖는 상부받침판(42)과, 상기 상부받침판(42)과 마주하여 형성된 하부받침판(43)과 연결된 지지부(44)의 바깥둘레에서 회동되고 일측에 걸림턱(45)을 갖으며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지고 일측에 개방부(46)를 형성한 중심공(47)을 갖는 회동고정구(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발 독서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support 3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are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levating support 32 and the fixed support 33 An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40 has an upper support plate 42 having an insertion opening 41 thereon, and a lower support plate 43 formed to face the upper support plate 42. Rotating fixture 48 having a central hole 47 which is rota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44 connected to the support 44 and has a locking jaw 45 at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angle is inclined, and an opening 46 is formed at one side. A unilateral reading tabl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KR2020110006550U 2011-07-20 2011-07-20 Reading stand KR2013000066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50U KR20130000663U (en) 2011-07-20 2011-07-20 Reading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50U KR20130000663U (en) 2011-07-20 2011-07-20 Reading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63U true KR20130000663U (en) 2013-01-30

Family

ID=5242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550U KR20130000663U (en) 2011-07-20 2011-07-20 Reading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66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235352U (en) Portable adjustable table system
CA2560306A1 (en) Student desk
USD557529S1 (en) Furniture support
US20110181079A1 (en) Reconfigurable seating device with integral document shelf
KR100795661B1 (en) Reading unit and notebook computer with large combination stand
US7434276B2 (en) Portable toilet and bathing chair
KR101226741B1 (en) An apparatus for supporting feet
KR101365153B1 (en) Table ransformed into chair
KR200407154Y1 (en) The reading desk
KR20130000663U (en) Reading stand
KR101069902B1 (en) Chair with separable footrest
USD549973S1 (en) Seat with side arms for beauty salon chair
KR200340269Y1 (en) Tilting structure for student chair
US20050264070A1 (en) Electric erecting chair
USD565871S1 (en) Beauty salon chair with tubular arms
KR101560292B1 (en) Functional table
KR100938827B1 (en) A reading desk
KR20120008126A (en) The bench that can changet to a table
KR200265908Y1 (en) Desk and chair unevenness control-device
USD503548S1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KR200494798Y1 (en) Height adjustment stand for furniture
KR200292584Y1 (en) A Folder Style Bed
KR20090007006U (en) Highness control device of desk and chair's
CN2909945Y (en) Portable 4-person folding table/chair
JPS5840915Y2 (en) Improved lean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