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22A - Wireless switch - Google Patents

Wireless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22A
KR20130000622A KR1020110061260A KR20110061260A KR20130000622A KR 20130000622 A KR20130000622 A KR 20130000622A KR 1020110061260 A KR1020110061260 A KR 1020110061260A KR 20110061260 A KR20110061260 A KR 20110061260A KR 20130000622 A KR20130000622 A KR 20130000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c
receiver
gate
pow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5738B1 (en
Inventor
김승옥
Original Assignee
김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옥 filed Critical 김승옥
Priority to KR102011006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738B1/en
Publication of KR2013000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switch device is provided to simplify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receiver by extracting a fine current using a triac in a switch driving unit. CONSTITUTION: A receiver unit includes a wireless signal receiver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1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generates a load driving signal to supply or block power to or from a load. A triac(T1) outputs a fine current to a gate by connecting a gate to an anode. A first zener diode(ZD2) and a second zener diode(ZD3) convert the fine current outputted through a gate terminal of the triac to a constant current. A first switching transistor(Q3) and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Q4)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first photo coupler(U1) and a second photo coupler(U2).

Description

무선 스위치장치{Wireless switch}Wireless switch device {Wireless switch}

본 발명은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부 내부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얻기 위해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전원 추출부와 고가의 고압 콘덴서 및 고압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구동부 내의 트라이악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부의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고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triac in a switch driv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extractor, an expensive high voltage capacitor, and a high voltage resistor to obtain a DC power required in the recei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witch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a microcurrent, thereby simplify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nd minimizing size.

통상, 조명 점멸 장치에 있어서, 벽체에 구비된 스위치부를 통한 조명의 제어 방법은 분전반에서 들어오는 제 1 전원 라인은 조명부에 연결되며, 제2 전원 라인은 스위치부를 거쳐서 조명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in the lighting blinking device, the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through the switch unit provided in the wall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ower line coming from the distribution panel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and the second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via the switch unit.

스위치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도달 가능한 위치에 구비되므로 통상 건축물의 벽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원 라인은 벽체의 내부에 배선되고, 개별 조명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원 라인의 배선들이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형성된다.Since the switch unit is generally provided at a position reachable to the user, the switch unit is generally locat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ly, a power line applied to the switch unit is wired inside the wall and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switch unit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lights. Wires from the power lines are formed inside the walls of the building.

조명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경우, 사용자는 직접 스위치가 구비된 장소까지 이동한 후에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방식은 조작의 불편함이 있으며, 야간에 소등 후 주변이 어두워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까지 가는데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When the lighting is turned on or off, the user moves directly to a place equipped with a switch and then manually turns on or turns off the lighting by operating the switch, which is inconvenient to operate and is turned off at night. Afterwards, the surrounding area is dark, and you may feel uncomfortable going to where you want to go.

따라서 이러한 수동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좀 더 편리하게 조명을 점등 및 소등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무선 스위치 장치이다.Therefore, the wireless switch device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manual operation and to turn on and off the lighting more conveniently.

이러한 무선 스위치 장치는, 원격에서 사용자가 리모컨(송신부) 등을 조작하면, 리모컨(송신부)에서 조명 제어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되고, 벽체 등에 구비된 수신부에서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신호이면 구동부를 통해 스위치를 제어하여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을 하고, 소등 신호이면 상기 구동부를 통해 스위치를 제어하여 조명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In such a wireless switch device, when a user operates a remote controller (transmitter) or the like remotely,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ler (transmitter), and a receiver provided in a wall or the like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nalyzed and the lighting lighting signal is controlled, the switch is controlled through the driver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and if the lighting signal is turned off,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ing by controlling the switch through the driving unit.

이러한 무선 스위치 장치는 수신부에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배터리)를 구비시켜, 송신부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항상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 등을 내장하게 되므로 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고, 적절한 시기에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Such a wireless switch device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example, a battery) in the receiver, so that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can always be received. Therefore, since the wireless switch device has a built-in battery, the size of the device increases,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the battery at an appropriate time is accompanied.

이러한 무선 스위치 장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것이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이 상용 교류 전원 라인에서 직접 필요한 직류 전원(통상, DC 3.3V ~ 5V)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wireless switch device, a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 is a method of extracting and using a DC power source (usually, DC 3.3V to 5V) directly from a commercial AC power line as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스위치 장치의 수신부는, 상용 교류 전원 라인에 연결되어 전원을 추출하기 위한 고압 콘덴서(C) 및 고압 저항(R)과, 상기 고압 저항(R)을 통과한 전원을 정류하고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수신부 내부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공급해주는 전원 추출부(10)와, 상기 전원 추출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고, 송신부(리모컨)에서 송신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20)와, 상기 전원 추출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리모컨 수신부(20)에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부하(예를 들어, 조명)(3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40)와, 상기 전원 추출부(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0)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receiver of a conventional wireless switch device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line, and passes through a high voltage capacitor (C) and a high voltage resistor (R) for extracting power, and passes through the high voltage resistor (R). Rectifying the power supply 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to the power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the power inside the receiv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extraction unit 10, and operates from a power supply (remote control)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 and the power extraction unit 10 to receive the transmitted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 the load is analyzed (for example, Lighting) is op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extraction unit 10, the control genera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On signal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50 is configured to drive the switch 60 that supplies or cuts power to the lighting 30.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선 스위치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된 고압 콘덴서(C) 및 고압 저항(R)을 통해 항상 교류 전원을 입력받고, 트라이악, 정류회로, SCR, 제너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전원 추출부(10)에서 상기 고압 저항(R)을 통해 입력받은 전원을 정류하고, 일정 전압으로 만들어 구동부(50), 리모컨 수신부(20) 및 중앙처리장치(40)에 공급해준다.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witch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 power is always input through a high voltage capacitor (C) and a high voltage resistor (R)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line, and a power source including triac, rectifier circuit, SCR, zener diode, and the like. The extraction unit 10 rectifies the power input through the high voltage resistor R, makes a constant voltage,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driving unit 50, 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리모컨 수신부(20)는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송신부(리모컨)로부터 송신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신호처리한 후 디지털 신호로 중앙처리장치(40)에 전달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er 20 is driven by the supplied power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remote control), and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signal is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as a digital signal.

중앙처리장치(40)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인지 조명 소등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조명 점등 또는 조명 소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부(50)에 인가한다.When the CPU 4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the CPU 40 analyzes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lighting is turned on or off, and generates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for lighting on or turning off the lighting to the driver 5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구동부(5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60)를 구동시켜,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60)는 아날로그 스위치이거나 트라이악과 같은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하게 된다. 아날로그 스위치일 경우에는 릴레이 등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되고, 트라이악일 경우에는 게이트를 제어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50 drives the switch 60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thereby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0 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In this case, the switch 60 may be an analog switch or a semiconductor switch such as a triac. In the case of an analog switch, the switch may be operated by using a relay. In the case of a triac, the gate is controll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선 스위치 장치는, 수신부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고가의 고압 콘덴서와 고압 저항을 사용하고, 별도의 전원 추출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회로 구현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회로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다양한 회로 구성에 의해 장치(수신부)의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을 유발하였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wireless switch device uses expensive high voltage capacitors and high voltage resistors in order to supply power to a portion requiring power of a receiver, and uses a separate power extractor, which requires a lot of circuit implementation costs. In addition,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s well as the size of the device (receiver) is increased by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 스위치 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switch devi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신부 내부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얻기 위해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전원 추출부와 고가의 고압 콘덴서 및 고압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구동부 내의 트라이악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부의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고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the microcurrent using the triac in the switch drive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extractor, expensive high voltage capacitor and high voltage resistor as in the past to obtain the DC power required in the recei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switch device capable of simplify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receiver and minimizing siz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위치 장치"는,"Wireless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입력 상용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된 트라이악의 게이트와 애노드를 연결하는 라인에서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통해 미세전류를 추출하여 내부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수신부와;A receiver which extracts a microcurrent through the gate of the triac from the line connecting the gate of the triac and the anode connected to an input commercial AC power line and uses the internal current as a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수신부에 무선으로 부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벽 부착형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ll-typ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load control signal wirelessly to the receiver.

상기 수신부는,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송신부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기와;A wireless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load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상기 무선신호 수신기에서 수신한 부하 제어신호를 검색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부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load driving signal to search for a load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adio signal receive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load.

상기 수신부는,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상용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되어 부하(조명)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게이트와 애노드의 연결을 통해 미세전류를 게이트로 출력하는 상기 트라이악과;The triac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line to supply power to the load (light) or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and output a microcurrent to the gate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the gate and the anode;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단을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를 정전류로 만들어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And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o make a microcurrent output through the gate terminal to be a constant current.

상기 수신부는,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와;First and second photocouplers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load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configured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couplers;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따라 부하 구동용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와;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commercial AC power for driving a lo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공급 전압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순간 전압에 의해 회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충방전 콘덴서와;First and second charge / discharge capacitor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respectively, to gradually increase a supply voltage to prevent a circuit from being damaged by an instantaneous voltage; ;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상기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만드는 브릿지 다이오드와;A bridge diode rectifying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AC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to form a DC voltage;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콘덴서와;A smoothing capacitor for smooth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bridge diode;

상기 평활콘덴서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무선신호 수신기에 공급해주는 정전압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stant voltage diode for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moothing capacitor to a constant voltag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wireless signal receiver.

상기 송신부는,The transmitting unit,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만들어 송신하는 송신기를 내장한 벽스위치 케이스와;A wall switch case incorporat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load control signal to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An operation switch protruding from the wall switch case and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user;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벽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wall switch cas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부 내부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얻기 위해서 기존과 같이 별도의 전원 추출부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구동부 내의 트라이악을 이용하여 미세전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부의 회로 구성을 단순화하고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microcurrent by using the triac in the switch driv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extractor as in the past to obtain the DC power required inside the receiver, thereby simplify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and siz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부를 벽스위치 형태로 제작하고, 필요한 곳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신부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o make the transmitter in the form of a wall switch, and to be detachable where necessary, to prevent the loss of the transmitter and to facilitate the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간 전압을 방지하고 공급 전압이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점차 증가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 온시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램프가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램프 수명을 1.5 ~ 2배 연장, 램프는 대개 220V의 고압이 순간적으로 공급될 때 고장나며, 켜있거나 꺼있는 도중에 고장나는 경우는 거의 없음).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instantaneous voltage and supplying the supply voltag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low voltage to the high voltag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amp from being damaged by the instantaneously supplied voltage when the lamp is turned on (lamp Extending the life 1.5 to 2 times, the lamp usually breaks down when the 220V high voltage is applied instantaneously, rarely while it is on or off).

도 1은 종래 무선 스위치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위치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수신부의 실시 예를 보인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송신부의 사시도.
1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eless switch devic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reless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eiver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mitter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위치 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크게 부하(조명)(300), 구동용 수신부(100)와 송신부(200)로 구성된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argely composed of a load (lighting) 300, a driving receiver 100, and a transmitter 200.

수신부(100)는 입력 상용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된 트라이악의 게이트와 애노드를 연결하는 라인에서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통해 미세전류를 추출하여 내부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receiving unit 100 serves to extract a microcurrent through the gate of the triac from the line connecting the gate and the anode of the triac connected to the input commercial AC power line and use the internal driving power.

송신부(20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신부(100)에 무선으로 부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transmitter 200 transmits a load control signal wirelessly to the receiver 100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of a user.

상기 수신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부(200)에서 무선으로 전송된 부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기(110)와; 상기 무선신호 수신기(110)에서 수신한 부하 제어신호를 검색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부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receiver 100 includes a radio signal receiver 110 for receiving a load control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transmitter 200;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120 for generating a load driving signal to search for a load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adio signal receiver 110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load.

또한, 상기 수신부(100)는 상용교류 전원 라인(AC 220V)에 접속되어 부하(조명)(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게이트와 애노드의 연결을 통해 미세전류를 게이트로 출력하는 트라이악(T1)과; 상기 트라이악(T1)의 게이트 단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단을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를 정전류로 만들어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ZD2)(ZD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00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line (AC 220V) to supply power to the load (lighting) 300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the microcurrent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gate and the anode A triac T1 for outputting the gate to a gate; And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ZD2 and ZD3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1 to output a microcurrent outputted through the gate terminal as a constant current.

또한, 상기 수신부(10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U1)(U2)와; 상기 제1 및 제2 포토커플러(U1)(U2)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의 동작에 따라 부하 구동용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공급 전압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순간 전압에 의해 램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충방전 콘덴서(C7)(C8)와;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3)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상기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만드는 브릿지 다이오드(BD)와;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콘덴서(C2)와; 상기 평활콘덴서(C2)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와 무선신호 수신기(110)에 공급해주는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er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photocouplers U1 and U2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load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and Q4 which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couplers U1 and U2;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Q1) (Q2)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commercial AC power for driving a lo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Q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and Q4 and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Q1 and Q2, respectively, the lamp is damaged by the instantaneous voltage by gradually increasing the supply voltage. First and second charge and discharge capacitors (C7) (C8) for preventing them; A bridge diode (BD) for rectifying th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3) and the AC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Q1) and (Q2) to make a DC voltage; A smoothing capacitor C2 for smooth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bridge diode BD; It includes a constant voltage diode (ZD1) for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moothing capacitor (C2) to a constant volt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and the radio signal receiver (110).

한편, 상기 송신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만들어 송신하는 송신기를 내장한 벽스위치 케이스(201)와;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201)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202)와;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벽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203)를 구비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ransmitter 200 includes a wall switch case 201 having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load control signal as a radio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 operation switch 20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wall switch case 201 and operated by a user;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wall switch case 201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203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송신부(200)에 구비된 스위치(202)를 조작하지 않은 초기화 상태 즉, 부하(조명)(300)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트라이악(T1)의 게이트를 통해 미세전류가 추출된다.In the wireless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riac T1 in an initialization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switch 202 provided in the transmitter 200,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light) 300 is turned off. The microcurrent is extracted through the gate of.

여기서 트라이악(T1)은 그 특성상 게이트와 한쪽 애노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부하에 공급 전원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세전류가 게이트로 출력되는 특성이 있다. 이것은 트라이악 회로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다.Here, the triac T1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when the gate and one anod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icrocurrent is output to the gate even when the supply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load.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the triac circuit itself.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트라이악의 특성을 이용하여 조명(300)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트라이악(T1)의 게이트를 통해 미세 전류를 전원으로 추출하고,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ZD2)(ZD3)를 통해 정전류로 만들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 fine current as a power source through the gate of the triac T1 even when the lighting 300 is not turned 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ac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ZD2. It is made into constant current through (ZD3).

여기서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ZD2)(ZD3)의 방향을 달리하여 결합시킨 이유는, 입력 전압이 교류 전압이므로 +주기전압과 -주기전압을 모두 처리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ZD2 and ZD3 are combined in different directions is to process both the + periodic voltage and the -periodic voltage because the input voltage is an AC voltage.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ZD2)(ZD3)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는 저항(R8)을 거친 후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에 인가되는 데, 이때 송신부(200)로부터 무선 제어신호(점등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중앙처리장치(120)에서 출력되는 부하 구동신호가 없게 되어(로우상태) 제1 포토커플러(U1)도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에 연동하는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에 하이신호가 걸려 상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3)가 턴-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에 걸린 전압은 에미터 단을 통해 브릿지 다이오드(BD)에 전달된다.The currents out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ZD2 and ZD3 are appli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3 after passing through the resistor R8. Lighting signal) does not occur, so there is no load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low state), so that the first photocoupler U1 does not operate, and the first switching interlocked therewith. A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3, and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3 is turned on. Therefor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3 is transferred to the bridge diode BD through the emitter terminal.

브릿지 다이오드(BD)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게 되고, 이렇게 정류된 직류 전압은 평활 콘덴서(C2)를 통해 평활된 후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통해 일정 전압(예를 들어, 4V)이 된 후 무선신호 수신기(110) 및 중앙처리장치(120)에 구동용 전원(VCC)으로 공급된다.The bridge diode BD rectifies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The rectified DC voltage is smoothed through the smoothing capacitor C2 and then constant voltage (for example, 4V)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diode ZD1. After this is supplied to the driving signal (VCC) to the radio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따라서 무선신호 수신기(110) 및 중앙처리장치(120)는 별도의 전원 추출부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구동용 전원이 공급되며, 이로 인해 부하가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거나 상관없이 항상 동작하여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무선신호 수신에 따라 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부하 구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ar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extractor, and thus the radio is always op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load is driven or not driven and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e wireless signal reception standby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may be maintained, and a load driving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a load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radio signal may be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신호 수신기나 중앙처리장치 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추출하는 별도의 전원 추출부와 고가의 고압 콘덴서 및 고압 저항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적인 수신부의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수신부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수신부가 소형화되면 설치 관점에서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설치의 편의성이 증대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include a separate pow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power for driving a wireless signal receive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expensive high voltage capacitor, and a high voltage resistor, thereby simplify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overall receiving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st as well as downsizing the size of the receiver.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r is miniaturized, the utilization of space is increased from an installation point of view, and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is increased.

한편, 무선신호 수신기(110)에서 송신부(2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부하 제어(예를 들어, 조명 점등)를 위한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하여 중앙처리장치(120)에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radio signal receiver 110 waits for reception of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0, when a radio signal for load control (for example, lighting is turned on) is received, the radio signal receiver 110 receives the signal and processes the signal. The digital signal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중앙처리장치(120)는 전달되는 디지털 수신 신호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신호이면 부하 구동을 위한 부하 구동신호(예를 들어,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analyzes the transmitted digital received signal and outputs a load driving signal (for example, a high signal) for driving the load if the lighting is turned on.

중앙처리장치(120)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제1 및 제2 포토 커플러(U1)U2)의 포토 다이오드에 전류가 흘러 포토 다이오드에서 광신호가 발생하고, 포토트랜지스터가 발생한 광신호에 턴-온되어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 단을 저전위 상태로 만들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를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가 동작되기 시작하며 그 결과 트라이악(T1)도 스위칭 동작을 하여 부하(조명)(30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게 된다.When a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current flows through the photodiodes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 couplers U1 and U2 to generate an optical signal, and the phototransistor turns on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The base s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and Q4 are set to a low potential state to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and Q4.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Q1 and Q2 start to operate, and as a result, the triac T1 also switches to supply the driving power to the load 300.

즉,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Q3)Q4)가 턴-오프되면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의 게이트 단에 고 전위가 인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리콘 정류기(Q1)(Q2)가 동작을 하여, 교류 입력 단자(P1, P2)에 걸린 교류 전압을 주기에 따라 브릿지 다이오드(BD)에 인가하면, 트라이악(T1)의 게이트 전류가 대량 흐를 수 있는길이 열려 비로소 트라이악(T1)이 온되어 부하(조명)가 온이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Q3 and Q4 are turned off, high potentials ar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Q1 and Q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ilicon rectifiers ( When Q1) (Q2) operates and applies an alternating voltage applied to the AC input terminals P1 and P2 to the bridge diode BD in accordance with a cycle, there is a way for the gate current of the triac T1 to flow in large quantities. Finally, the triac T1 is turned on so that the load (lighting) is turned on.

이때 제1 및 제2 충방전 콘덴서(C7)(C8)는 오프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램프(조명)가 순간 전압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공급 전압을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점차 증가시키도록 완만한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first and second charge / discharge capacitors C7 and C8 are turned off momentarily,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lamp (light) may be damaged by the instantaneous voltage. Therefore, the supply voltag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low voltage to the high voltage. Slow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are performed.

브릿지 다이오드(BD)는 트라이악(T1)의 게이트 전류를 P1과 연결시키면서 또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게 되고, 이렇게 정류된 직류 전압은 평활 콘덴서(C2)를 통해 평활된 후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통해 일정 전압(예를 들어, 4V)이 된 후 무선신호 수신기(110) 및 중앙처리장치(120)에 구동용 전원(VCC)으로 공급된다.The bridge diode BD connects the gate current of the triac T1 with P1 and rectifies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The rectified DC voltage is smoothed through the smoothing capacitor C2 and then the constant voltage diode. After a predetermined voltage (for example, 4V) through ZD1, the wireless signal receiver 11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are supplied to the driving power supply VCC.

한편, 본 발명의 송신부(200)는 기존 무선 스위치 장치에서의 리모컨 송신기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하 제어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기존에는 송신기를 리모컨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부하 제어시마다 리모컨을 찾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스위치 모양으로 만들어 벽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함으로써, 송신기를 찾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되고, 조작의 편리함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transmitt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er in the existing wireless switch device,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for load contro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Here, conventionally,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finding a remote controller every load control because the transmitter was made in a remote control stat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inconvenience of looking for will be eliminated, an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will be provided.

송신부(200)는 일반적인 벽스위치와 유사하게 형성한 벽스위치 케이스(201)가 구비되고,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201)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조명 온 또는 조명 오프를 위한 조작 스위치(202)를 설치한다. 조작 스위치(202)는 조작의 편의를 위해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벽스위치 케이스(201)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임의로 벽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부착부(203)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착부(203)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송신부(200)를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transmitter 200 includes a wall switch case 201 formed similarly to a general wall switch, and an operation switch 202 for lighting on or lighting off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switch case 201. .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he operation switch 202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wall switch case 201, the attachment portion 203 is formed so that the wall switch case 201 can be arbitrarily attached to the wall. Therefore, the user is to attach the transmitter 200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attachment unit 203.

여기서 송신부(2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 스위치(202) 조작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송신기가 내장되는 데, 이러한 송신기는 기존 무선 스위치 장치에서 리모컨 송신기에 내장되는 송신기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transmitter 200 has a built-i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operation switch 202, such a transmitter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the transmitter embedded in the remote control transmitter in the existing wireless switch device ,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수신부
110… 무선신호 수신기
120… 중앙처리장치
T1… 트라이악
U1, U2… 제1 및 제2 포토 커플러
ZD2, ZD3… 제너 다이오드
200… 송신부
300… 부하(조명)
100... Receiver
110 ... Radio signal receiver
120 ... Central Processing Unit
T1... Triac
U1, U2... First and second photo coupler
ZD2, ZD3... Zener diode
200 ... Transmitter
300 ... Load (light)

Claims (4)

무선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입력 상용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된 트라이악의 게이트와 애노드를 연결하는 라인에서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통해 미세전류를 추출하여 내부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무선으로 부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벽 부착형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장치.
In the wireless switch device,
A receiver which extracts a microcurrent through the gate of the triac from the line connecting the gate of the triac and the anode connected to an input commercial AC power line and uses the internal current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a wall mounte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load control signal wirelessly to the recei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상용교류 전원 라인에 접속되어 부하(조명)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게이트와 애노드의 연결라인을 통해 미세전류를 게이트로 출력하는 상기 트라이악과;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단을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를 정전류로 만들어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The triac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line to supply power to the load (light) or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and output a microcurrent to the gate through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gate and the anode;
And a first and second zener diode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and outputting a microcurrent output through the gate terminal by making a constant curr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스위치 연결시 램프를 순간적으로 온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점차 온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램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Wireless swit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damage to the lamp by using a method of gradually turning on the lamp instead of the method of turning on the lamp instantaneous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부하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만들어 송신하는 송신기를 내장한 벽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상기 벽스위치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벽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unit,
A wall switch case incorporat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load control signal to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 operation switch protruding from the wall switch case and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user;
Wireless switch devi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switch case having an attachment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KR1020110061260A 2011-06-23 2011-06-23 Wireless switch KR101295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60A KR101295738B1 (en) 2011-06-23 2011-06-23 Wireless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60A KR101295738B1 (en) 2011-06-23 2011-06-23 Wireless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22A true KR20130000622A (en) 2013-01-03
KR101295738B1 KR101295738B1 (en) 2013-08-16

Family

ID=4783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260A KR101295738B1 (en) 2011-06-23 2011-06-23 Wireless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73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13B1 (en) * 2016-02-12 2017-03-15 (주)이젝스 Dc power supply
US10015862B1 (en) 2017-02-14 2018-07-03 Ezex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US11521517B2 (en) 2016-02-02 2022-12-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dular electro-mechanical ag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966A (en) * 1996-07-26 1998-02-20 Iseo Konishi Automatic battery charger
KR200246094Y1 (en) * 2001-03-19 2001-10-08 노현태 Power supply of remote switch
KR100728323B1 (en) * 2004-06-01 2007-06-13 주식회사 키트론 Apparatus for controlling lamp for visual protec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ocket including it
KR101015649B1 (en) * 2010-06-11 2011-02-22 임태환 Power supply apparatus for rf switch controller of lam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1517B2 (en) 2016-02-02 2022-12-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dular electro-mechanical agent
KR101717013B1 (en) * 2016-02-12 2017-03-15 (주)이젝스 Dc power supply
US10015862B1 (en) 2017-02-14 2018-07-03 Ezex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WO2018151362A1 (en) * 2017-02-14 2018-08-23 (주)이젝스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738B1 (en)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8636B1 (en) Dimm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0992294B1 (en) Automatically Power Cut-off Plug Socket
US11330690B2 (en) Switching device with auxiliary power unit and wireless receiver function, and lamp system using the same
KR101295738B1 (en) Wireless switch
EP3567990A1 (en) Wireless lamp driving device having independent power supply and lamp system thereof
US8653701B2 (en) Outdoor extension line socket enabling romote controlled timing power supply
CN109309991B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US10070494B1 (en) Dimming switch device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operation events thereof
KR102230302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onic Lamp Switch
CN205105437U (en) Device, ligthing paraphernalia and communication system light a lamp
CN107211510B (en)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system
US20090008228A1 (en) Power saving device for power source
CN109922585B (en) Light control circuit
KR20160032662A (en) Blocking System of Standby Powewr of Electronic Equipment
CN212752675U (en) Two-wire type dimming and color mixing control system for fan lamp
JP2012222991A (en) Power circuit
TWM502197U (en)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device
CN210469809U (en) Driver
CN209330428U (en) Wireless remote control toning or dimming drive power
CN210958906U (en) Switch control circuit and device
CN207766605U (en) A kind of passive light modulation toning romote-controlled driving device
CN105676794A (en) Control circuit and system for household appliances on the basis of WIFI communication
KR20210047161A (en) Power supply device for sensor lamp providing emergency lamp function
CN217406758U (en) Control circuit for gesture induction control of LED lamp
CN220910046U (en) Lamp fan control circuit and lamp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