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91A -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91A
KR20130000591A KR1020110061203A KR20110061203A KR20130000591A KR 20130000591 A KR20130000591 A KR 20130000591A KR 1020110061203 A KR1020110061203 A KR 1020110061203A KR 20110061203 A KR20110061203 A KR 20110061203A KR 20130000591 A KR20130000591 A KR 2013000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hull
marine structure
ship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523B1 (ko
Inventor
박주신
서용석
전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5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34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of offshor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은, 해상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해상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U자형 쌍동선형 선수부를 갖는 선체; 및 선수부에 마련되어 선체를 해상구조물에 고정하는 접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A SHIP FOR REPAIRING MARITIM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해상구조물에 선박을 신속, 정확 및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발전 형태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및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른 공해유발의 문제와 함께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원자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유리하지만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막대한 시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며, 나아가 폐기물처리도 쉽지 않고, 사소한 사고라할지라도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 등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
해상 풍력발전은 원형 기둥형상의 해상구조물을 축조하고 일정위치에 발전기를 설치하고, 발전기에 연결된 블레이드가 풍력을 받으면 발전기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해상 풍력발전장치의 설치와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바지선을 해상구조물에 근접시키고 앵커를 이용하여 바지선을 정박시킨 후, 바지선을 해상구조물에 접안시킨다.
그러나, 해상구조물이 원형 기둥형상을 가지므로 바지선을 해상구조물에 접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별도의 접안시설이 있어도 바람이 세게 불거나 새벽과 일몰 후 등과 같이 해양조건이 나쁜 경우에 해상구조물의 정확한 위치에 바지선을 신속하게 접안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폭풍우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시에는 해상구조물에 접안이 불가능하여 발전설비의 유지보수 작업이 원활치 않아 풍력발전장치를 가동하지 못하는 사태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상구조물에 선박을 접안하기 위해 해상구조물에 앵커링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실제로 작업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안정성도 부족하고, 해상 날씨가 예측과는 달리 갑작스런 변하는 경우에 선박과 해상구조물간의 접안과 이안시 접촉과 충돌로 인하여 선박이 파손되거나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체의 선수부를 쌍동선형으로 제작하고 선체의 선수부에 선체를 해상구조물에 고정하는 접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해상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해상구조물에 선박을 신속, 정확 및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해상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U자형 쌍동선형 선수부를 갖는 선체; 및 상기 선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를 상기 해상구조물에 고정하는 접안장치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안장치는, 상기 해상구조물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제1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시키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해상구조물에 밀착하는 면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안장치는, 상기 제1 고정유닛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해상구조물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제2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시키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2 간격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수부에는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하기 위한 크레인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상구조물이 삽입되도록 선체의 선수부를 쌍동선형으로 제작하고, 선체를 선수부에 삽입된 해상구조물에 고정하는 접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해상구조물에 선박을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접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선박의 접안시 충돌로 의한 선박 및 해상구조물의 손상 방지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에 선박이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에 선박이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유닛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풍속이 강한 연안지역에 설치된다.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는 바람의 힘을 받는 블레이드(110)와, 블레이드(110)와 결합되어 블레이드(110)가 바람의 힘을 받으면 회전하는 로터(120)와, 로터(120)의 회전축을 이루고 로터(12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130)과, 로터(120)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기(14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blade,110)는 바람의 힘을 받는 장치이다. 블레이드(110)는 바람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3개의 날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11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양방향 타입의 블레이드(110)가 설치되며, 특히 낮에는 육지쪽으로, 밤에는 바다쪽으로 부는 바람을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로터(120)는 블레이드(110)가 결합되는 장치로서 블레이드(110)에 의해 바람의 힘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30)은 로터(120)의 회전축을 이루고 로터(12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는 장치이다.
풍력발전기(140)는 로터(12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블레이드(110), 로터(120), 구동축(130) 및 풍력발전기(140)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는 해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해상구조물(150)에 의해 지지된다.
해상구조물(150)은 블레이드(110), 로터(120), 구동축(130) 및 풍력발전기(140)를 해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해상구조물(150)은 원형 기둥형태 또는 풍력을 고려하여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해상구조물(150)은 하부가 해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해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는 해수면의 상부에 설치된 블레이드(110)에 바람의 운동에너지가 전달되면 블레이드(110), 로터(120) 및 구동축(130)이 회전하게 되고, 풍력발전기(14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풍력발전기(140)는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는 해상구조물(150)을 통해 안전하게 배선된 다수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집전장치(미도시)로 이송된다.
이러한 해상 풍력발전장치(100)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상구조물(150)에 선박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안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은, 쌍동선형 선수부(210)를 갖는 선체(200)와, 선체(200)의 선수부(210)에 마련되어 선체(200)를 해상 풍력발전장치(100)가 설치된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하는 접안장치(300)와, 선체(200)의 갑판(250)에 설치되어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크레인(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체(200)는 선수가 위치하며 길이방향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선수부(210)와, 선미가 위치하며 길이방향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선미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수부(210)는 해상 풍력발전장치(100)가 설치된 원형 기둥형상을 갖는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쌍동선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U자형 홈부(215)를 갖도록 쌍동선형 선수부를 제작하고, 해상구조물(150)을 U자형 홈부(215)에 삽입한 후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쌍동선형으로 선수부(210)를 제작하는 경우에 해상구조물(150)을 U자형의 선수부(210)에 안착되게 삽입할 수 있어 선체(200)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상구조물(150)에 접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선수부(210)가 쌍동선형인 선체(200)를 제작하는 경우에 선체(200)의 폭 방향 길이가 길어져 넓은 갑판(250)을 가지게 되어 작업공간이 크게 증대되며, 복원 모멘트가 증가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선체(200)의 갑판(250)이 넓어짐에 따라 선체(200)의 갑판(250)에는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하기 위한 크레인(crane,400)이 후술할 접안장치(300)에 인접되게 선수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400)은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를 유지, 수리 및 보수하기 위해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또는 해상 풍력발전장치(100) 내에 설치된 기계적 및 전기적 시스템의 고장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안장치(300)는 해상구조물(150)이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삽입된 경우에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접안장치(300)는, 선체(200)의 선수부(210)에 마련되어 해상구조물(150)이 U자형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삽입된 경우에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유닛(310)과, 제1 고정유닛(310)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해상구조물(150)이 U자형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삽입된 경우에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유닛(33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유닛(310)은, 선체(200)의 선수부(210), 즉 쌍동선형 U자형 홈부(215)가 형성된 선수부(2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1 프레임부(311)와, 선체(200)의 선수부(210)에 설치되어 제1 프레임부(311)와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부(313)와, 제1 프레임부(311)의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는 면에 설치된 완충부재(315)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311)는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된 경우에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어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프레임부(311)는 선수부(210)의 내측면에서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1 프레임부(311)는 선체(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선수부(210)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프레임부(311)는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하여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부(311)의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는 면은 해상구조물(15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해상구조물(150)이 원형 기둥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1 프레임부(311)의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는 면은 해상구조물(150)의 원형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간격조절부(313)는 제1 프레임부(311)가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도록 왕복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간격조절부(313)는 일단부가 선수부(2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프레임부(3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 간격조절부(313)는 선체(200)의 선수부(210) 및 제1 프레임부(311)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프레임부(311)를 왕복운동하게 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제1 간격조절부(313)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1 간격조절부(313)를 구성하는 유압실린더는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되기 전에는 수축되어 제1 프레임부(311)를 선수부(2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는, 해상구조물(150)이 선체(200)의 선수부(2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프레임부(311)에 의한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상구조물(150)이 제1 프레임부(311)와 충돌되어 해상구조물(150) 및 제1 프레임부(3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된 경우에 유압실린더는 신장되고,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제1 프레임부(311)가 밀착되게 압착하여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한다.
완충부재(315)는 제1 프레임부(311)를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압착하는 경우에 압착과정에서 해상구조물(150)의 외부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1 프레임부(311)와 해상구조물(150)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로 인한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315)는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311)의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311)가 선수부(210)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 복수의 제1 프레임부(311)의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면에 완충부재(315)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유닛(330)은, 선체(200)의 갑판(250)에 설치된 승강부(331)와, 승강부(331)에 결합되어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부(333)와, 선체(200)의 갑판(250)에 마련되고 승강부(331)를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프레임부(333)와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부(337)를 포함한다.
승강부(331)는 선체(200)의 갑판(250)에 마련되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되어 후술할 제2 프레임부(333)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부(333)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승강부(331)는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331)는 선체(200)의 갑판(250)에 설치되어 높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프레임부(333)를 높이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프레임부(333)는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된 경우에 해상구조물(150)에 밀착되어 제1 프레임부(311)와 함께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해상구조물(150)을 상하 간격을 두고 두 지점에서 제1 프레임부(311)와 제2 프레임부(333)로 고정함으로써 안정되게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고정할 수 있다.
승강부(331)가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경우, 제2 프레임부(333)는 해상구조물(15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하여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해상조건에 따라 해상구조물(150)이 선체(200)의 선수부(210)로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333)는 해상구조물(150)의 양측면을 밀착한다.
그리고, 제2 간격조절부(337)는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승강부(331)를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2 프레임부(333)와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제2 간격조절부(337)는 복수의 승강부(331)를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승강부(331)의 하부에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설치하여 복수의 승강부(331)를 선체(20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간격조절부(337)의 작동을 설명하면, 쌍동선형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되기 전에는 제2 간격조절부(337)를 이용하여 복수의 승강부(331) 사이의 간격을 크게하여 해상구조물(150)이 선수부(2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2 프레임부(333)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선수부(210)에 해상구조물(150)이 삽입되고 일차로 제1 고정유닛(310)의 제1 프레임부(311)가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된 경우에 제2 간격조절부(337)를 작동시켜 복수의 승강부(331) 사이의 간격을 줄여가면서 제2 프레임부(333)를 해상구조물(15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상 풍력발전장치(100)를 설치 및 수리보수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 고정유닛(310) 및 제2 고정유닛(330)으로 구성된 접안장치(300)를 이용함으로써 해상조건이 갑작스럽게 변하는 경우에도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정확하고 신속하며 안정되게 접안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200)를 해상구조물(150)에 접안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150) 및 선박의 파손과 인명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해상 풍력발전장치 110: 블레이드
120: 로터 130: 구동축
140: 풍력발전기 150: 해상구조물
200: 선체 210: 선수부
230: 선미부 250: 갑판
300: 접안장치 310: 제1 고정유닛
311: 제1 프레임부 313: 제1 간격조절부
315: 완충부재 330: 제2 고정유닛
331: 승강부 333: 제2 프레임부
337: 제2 간격조절부 400: 크레인

Claims (8)

  1. 해상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해상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U자형 쌍동선형 선수부를 갖는 선체; 및
    상기 선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를 상기 해상구조물에 고정하는 접안장치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장치는,
    상기 해상구조물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제1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시키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해상구조물에 밀착하는 면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장치는,
    상기 제1 고정유닛보다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해상구조물이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제2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을 양방향에서 밀착시키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2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2 간격조절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프레임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에는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하기 위한 크레인이 더 설치되는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KR1020110061203A 2011-06-23 2011-06-23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KR10128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03A KR101280523B1 (ko) 2011-06-23 2011-06-23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03A KR101280523B1 (ko) 2011-06-23 2011-06-23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91A true KR20130000591A (ko) 2013-01-03
KR101280523B1 KR101280523B1 (ko) 2013-07-01

Family

ID=4783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203A KR101280523B1 (ko) 2011-06-23 2011-06-23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4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KR20200009909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EP3647178A1 (en) * 2018-10-29 2020-05-06 Ørsted Wind Power A/S A ship with a bow fen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522A1 (ko) * 2013-10-07 2015-04-16 이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보조장치
KR101400988B1 (ko) * 2013-10-07 2014-05-28 이레엔지니어링(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보조장치
KR102003049B1 (ko) 2019-01-22 2019-07-23 최재도 동요 감쇠형 접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804A (ko) * 2010-04-20 2011-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4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WO2015160119A1 (ko) * 2014-04-15 2015-10-22 (주)케이렘 선박용 해상 풍력발전기 접안장치
KR20200009909A (ko) * 2018-07-20 2020-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EP3647178A1 (en) * 2018-10-29 2020-05-06 Ørsted Wind Power A/S A ship with a bow fender
WO2020089034A1 (en) * 2018-10-29 2020-05-07 Ørsted Wind Power A/S A ship with a bow fender
US11851145B2 (en) 2018-10-29 2023-12-26 Ørsted Wind Power A/S Ship with a bow f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523B1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523B1 (ko) 해상구조물 수리용 선박
EP2461028A2 (en) A floating offshore wind farm, a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and a method for positioning a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CN111042978B (zh) 一种漂浮式风能-波浪能联合发电装置及其控制方法
US10633063B2 (en) Renewable energy barge
WO2010021655A2 (en)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nd method of deep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assembly,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Fraenkel Practical tidal turbine design considerations: a review of technical alternatives and key design decision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eaGen 1.2 MW tidal turbine
EP2302205A1 (en) Floating power plant comprising water turbine and wind turbine
DK2721288T3 (en) Alternativ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cept for offshore wind farms
KR20160042678A (ko) 조류 순응형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CN203035439U (zh) 双浮力体摆式双向透平波浪能发电装置
NO20150133A1 (no) Flytende vindkraftverk
GB2542548A (en) System and method
CN215672545U (zh) 一种偏航系统和漂浮式海上风力发电机
KR20110121075A (ko) 파고를 이용한 파력발전시스템
KR101583771B1 (ko) 수차를 구비한 수위 조절 발전시스템
KR101179682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JP2019515193A (ja) 潮流発電機
Tillenburg Technical challenges of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An overview
CN112855423B (zh) 一种波浪能潮流能联合发电装置
KR20030050835A (ko) 교량부착식 해류발전 시스템
Orme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support structure concepts for tidal stream turbines
US20240102441A1 (en) A power generation and/or storage apparatus
KR101000805B1 (ko) 파일고정식 해류발전의 방향전환장치
KR101238400B1 (ko)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2016319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