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94A -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94A
KR20130000094A KR1020110060580A KR20110060580A KR20130000094A KR 20130000094 A KR20130000094 A KR 20130000094A KR 1020110060580 A KR1020110060580 A KR 1020110060580A KR 20110060580 A KR20110060580 A KR 20110060580A KR 20130000094 A KR20130000094 A KR 20130000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wheel
bicycle
saddle heigh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Original Assignee
김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철 filed Critical 김봉철
Priority to KR102011006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094A/ko
Publication of KR2013000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전거 바퀴에 회전가능케 밀착되는 밀착 회전부(110)와, 밀착 회전부를 바퀴에 밀착시키도록 밀착 회전부에 연결된 조작 케이블(120)과, 안장의 하측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 포스트(130)와,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승하강 포스트에 전달하는 전동수단(140)을 포함하고, 전동수단은 웜나사(14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구동원이 없이 자전거가 주행하는 중에 간단히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장이 하강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addle height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에 안장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안장은 주행시 페달이 하측에 위치할 때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어야 가장 힘이 적게 들고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다리를 펴 페달을 밟을 수 있는 정도가 되려면 안장이 높게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주행 중 신호 대기 등으로 잠시 정지하는 경우, 안장이 높게 위치하고 있으면 발이 바닥에 닿지 않아 몸을 옆으로 기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타고 내릴 때에도 안장이 높아 불편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자전거의 안장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주행 중에도 안장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안장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전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앞 측에는 조향핸들(14)에 연결된 앞바퀴(16)가 설치되고, 프레임(12)의 중간 하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동력이 가해지는 페달부(17)가 설치되며, 프레임(12)의 뒤 측에는 상기 페달부(17)에서 전동되는 힘을 받아 회전하는 뒷바퀴(18)가 설치되고, 프레임(12)의 중간 상측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20)이 설치되며, 안장(20)의 하측에는 상기 안장(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장높이 조절장치(30)가 설치된다.
안장높이 조절장치(30)는, 안장(20)에 연결된 승하강부재(31)가 유압실린더(32)에 의해 승하강하고, 유압실린더(32)는 케이블(33)을 통해 연결된 작동밸브(34)의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자전거의 안장에는 랙기어가 연결되고, 랙기어에 물리는 피니언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장높이 조절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안장에 연결된 승하강부재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시킴에 의해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안장높이 조절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는 별도의 유압원 및 유압조절장치가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들며, 랙기어/피니언을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는 손의 힘으로 피니언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조작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랙기어/피니언을 이용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는 특히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면 안장이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안장을 상승시킨 후에는 안장이 하강하지 않도록 별도의 안장하강 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추가 구동원이 없이 간단히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장이 하강하지 않게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에 구비된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로서, 밀착 회전부, 조작 케이블, 승하강 포스트, 전동수단을 포함한다. 밀착 회전부는 자전거의 바퀴에 회전가능케 밀착된다. 조작 케이블은 밀착 회전부를 바퀴에 밀착시키거나 바퀴에서 이격시키도록 밀착 회전부에 연결된다. 승하강 포스트는 안장의 하측에 고정되어 승하강한다. 전동수단은 바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상기 승하강 포스트에 전달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꾼다.
전동수단은 승하강 포스트를 상하로 직선운동 가능케 하는 웜나사를 포함하며, 웜나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승하강 포스트를 승하강시키는 웜 휠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웜나사는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밀착 회전부는 좌, 우 밀착봉과 좌, 우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좌, 우 밀착봉은 바퀴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고, 좌, 우 구동기어는 좌, 우 밀착봉에 각각 구비된다.
조작 케이블은 조작봉을 매개로 밀착 회전부에 연결되며, 조작봉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요동함에 따라 밀착 회전부를 바퀴에 밀착시킨다.
조작봉은 좌, 우 밀착봉에 각각 연결된 좌, 우 조작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구동원이 없이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안장의 높낮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비해 유압원 및 유압조절장치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적게 들며, 랙기어/피니언을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비해 조작하기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나사를 사용하여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장이 하강하지 않게 하므로, 랙기어/피니언을 이용하거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비해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안장하강 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장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전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프레임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이다.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입면도이다.
도 6는 도 4의 밀착 회전부와 조작봉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도 3 및 도 4의 제1지지판 내지 제3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도 3 및 도 4의 상판 및 하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서 안장을 상승시킬 때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서 안장을 하강시킬 때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서 웜나사와 웜 휠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조작 케이블은 생략한 상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전거의 뒷바퀴와 안장 사이에 설치되어 뒷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안장높이 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의 안장높이 조절장치는 자전거의 앞바퀴와 안장 사이에 설치되어 앞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50)의 후측에 설치된 바퀴(60)와 메인 프레임(50)의 상측에 설치된 안장(70) 사이에는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안장높이 조절장치(100)가 설치된다.
안장높이 조절장치(100)는 밀착 회전부(110), 조작 케이블(120, 120'), 승하강 포스트(130), 전동수단(140)을 포함한다. 밀착 회전부(110)는 바퀴(60)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바퀴(60)에 밀착되는 경우 바퀴(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조작 케이블(120, 120')은 밀착 회전부(110)에 연결되어, 밀착 회전부(110)를 바퀴(60)에 밀착시키거나 바퀴(60)에서 이격시킨다. 승하강 포스트(130)는 안장(70)의 하측에 고정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다. 승하강 포스트(130)의 이동에 의해 안장(70)이 승하강하게 된다. 전동수단(140)은 밀착 회전부(110)의 회전력을 승하강 포스트(130)에 전달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꾼다.
전동수단(140)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웜나사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축과 축방향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에 유용하며, 플렉시블 샤프트를 구비하는 구조일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2전동기어(142, 142')는 필요하지 않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회전부(110)는 바퀴(60)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는 밀착면이 형성된 좌, 우 밀착봉(111, 111')과, 좌, 우 밀착봉(111, 111')의 일측(안장 측) 외부에 구비된 좌, 우 구동기어(112, 112') 및 베어링(113, 113')으로 이루어진다.
조작 케이블(120, 120')은 좌, 우 조작봉(121, 121')을 매개로 좌, 우 밀착봉(111, 111')에 각각 연결된다. 좌, 우 조작봉(121, 121')은 좌, 우 밀착봉(111, 111')에 회전가능케 끼워져 스냅링(128, 128')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조작 케이블(120, 120')의 일단은 좌, 우 조작봉(121, 121')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 볼트(127, 127')에 의해 고정되며, 조작 케이블(120, 120')의 타단은 자전거의 조향 핸들에 결합된 좌, 우 조작 손잡이(126, 126')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 케이블(120, 120')은 보호관(122, 122')의 내부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좌, 우 조작 손잡이(126, 126')의 조작에 따라 견인되며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력을 가진다.
좌, 우 밀착봉(111, 111')은, 외부에 끼워진 베어링(113, 113')을 매개로 제1관통구멍(151a)이 형성된 제1지지판(151)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조작 케이블(120, 120')의 조작에 따라 바퀴(60)에 밀착하는 면적이 크도록 일단부가 원뿔대 형태로 되어 있다. 좌, 우 밀착봉(111, 111')은 바퀴의 림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퀴의 튜브에 밀착될 수도 있다.
좌, 우 밀착봉(111, 111')의 밀착면에는 마모를 줄이고 마찰력을 높이는 한편 마찰열을 줄이도록 라이닝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도 4의 밀착 회전부와 조작봉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 구동기어(112, 112')와 베어링(113, 113')은 좌, 우 밀착봉(111, 111')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좌, 우 구동기어(112, 112')는 좌, 우 밀착봉(111, 111')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퍼어 기어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좌, 우 조작봉(121, 121')은, 다단봉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좌, 우 밀착봉(111, 111')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2지지판(152)의 제2관통구멍(152a)을 관통한다. 조작 케이블(120, 120')은 좌, 우 조작봉(121, 121')의 타단부에 끼워져 고정 볼트(127, 127')로 고정된다. 그리고, 좌, 우 조작봉(121, 121')의 중간부에는 힌지축(123, 123')이 연결되어, 좌, 우 조작봉(121, 121')은 조작 케이블(120)의 조작(견인)에 따라 힌지축(123, 123')을 힌지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게 되어 있다. 좌, 우 조작봉(121, 121')의 중간부에는 걸림돌기(124, 124')가 자전거의 상, 하측방향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기(124, 124')에는 좌, 우 조작봉(121, 121')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스프링(125)이 걸려 있다.
승하강 포스트(130)는 메인 프레임(50)에 자전거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안내 포스트(1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장(70)과 함께 승하강하는 부재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 포스트(130)는 중량을 줄이도록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며, 그 외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131)가 형성되고, 그 외면 타측에는 승하강 포스트(130)가 회전하지 않게 안내 포스트(160)의 후술하는 안내 돌기띠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요입홈띠(132)가 형성된다.
승하강 포스트(130)와 안내 포스트(16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데, 사각 등의 각형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승하강 포스트와 안내 포스트가 각형 파이프 형태인 경우에는 안내 돌기띠와 요입홈띠가 필요하지 않다.
전동수단(140)은, 좌, 우 구동기어(112, 112')에 물리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전동기어(141)와, 제1전동기어(141)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회전축으로 회전축방향을 변경하는 한 쌍의 제2전동기어(142, 142')와, 제2전동기어(142')의 후술하는 제2전동축에 구비되어 밀착 회전부(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나사(143)와, 웜나사(14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승하강 포스트(130)를 승하강시키는 웜 휠(144)을 구비한다.
제1전동기어(141)는 스퍼어 기어로서, 제1전동축(145)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제1전동축(145)의 양단부는 제1지지판(151)과 제2지지판(152)의 중간에 각각 베어링 결합된다.
한 쌍의 제2전동기어(142, 142')는 한 쌍의 베벨기어로서, 하나의 제2전동기어(142)는 제1전동축(145)의 타측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제2전동기어(142')는 제2전동축(146)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제2전동축(146)은 웜나사(143)가 일체로 형성된 축으로서, 웜나사(143)은 제2전동축(146)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전동축(146)의 양단부는 후술하는 상판과 하판에 각각 베어링 결합된다.
웜나사(143)는 그 축방향이 자전거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게 배치된다.
웜 휠(144)은 제3전동축(147)의 중간에 고정되는데, 제3전동축(147)의 양단부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3지지판에 각각 베어링 결합된다. 웜 휠(144)은 승하강 포스트(130)의 랙기어(131)에 물린다.
도 8의 (a) 내지 (c)는 도 3 및 도 4의 제1지지판 내지 제3지지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지지판(151)은 제1전동축(145)의 일단부가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좌, 우 밀착봉(111, 111')이 제1관통구멍(151a)을 통하여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판이고, 제2지지판(152)은 제1전동축(145)의 타단부가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좌, 우 조작봉(121, 121')이 제2관통구멍(152a)을 통하여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판이다.
제1관통구멍(151a)과 제2관통구멍(152a)은 좌, 우 밀착봉(111, 111') 및 좌, 우 조작봉(121, 121')이 조작되어 힌지축(123, 123')을 회동중심으로 요동할 때 그 요동공간이 확보되도록 장공으로 되어 있다.
제1지지판(151)과 제2지지판(152)은, 상판(154)과 하판(155)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판(154)과 하판(155) 사이에는 제3전동축(147)이 회전가능케 설치되도록 제3관통구멍(153a)를 가진 한 쌍의 제3지지판(153, 153')이 설치된다. 제1지지판(151) 내지 제3지지판(153, 153')과 상판(154) 및 하판(155)은 안장높이 조절장치(100)의 프레임(150)을 이룬다. 프레임(150)은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50) 상에 고정된다.
도 9의 (a) 및 (b)는 도 3 및 도 4의 상판 및 하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판(154)과 하판(155)에는 힌지축(123, 123')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구멍(154a)(155a)이 형성되는 한편, 제2전동축(146)의 양단이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관통구멍(154b)(155b)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155)의 단부에는 안내 포스트(160)에 간섭되지 않도록 요입부(155c)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55)의 양측 상면에는 보호관(122, 122')이 설치되는 지지대(156, 156')가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포스트(160)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는데, 안내 포스트(160)의 길이방향 상측 일부에는 웜 휠(144)이 승하강 포스트(130)의 랙기어(131)에 물리도록 트인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포스트(160)의 내부에는 승하강 포스트(130)의 요입홈띠(132)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띠(162)가 형성된다. 또한, 안내 포스트(160)에는 승하강 포스트(130)가 원활하게 승하강하도록 승하강 포스트(130)의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볼 지지구(170)가 설치된다.
볼 지지구(170)는 승하강 포스트(130)의 외면을 지지하는 볼(171)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안내 포스트(160)를 관통하여 볼(171)이 안내 포스트(16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다.
볼 지지구(170)는 볼 캐스터, 볼 트랜스퍼 등 다양한 형태의 지지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서, 평상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 밀착봉(111, 111')이 바퀴(60)의 측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므로, 안장(70)은 소정의 조절높이에서 정위치한다. 이때, 좌, 우 구동기어(112, 112')는 제1전동기어(141)에 어느 정도 물려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바퀴(60)가 회전하는 중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 조작 손잡이(126)을 잡고 화살표 C방향으로 조작 케이블(120)을 견인하면, 좌 밀착봉(111)과 좌 조작봉(121)은 힌지축(123)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요동하여 좌 밀착봉(111)이 바퀴(60)의 좌측면에 밀착하고, 좌 구동기어(112)는 제1전동기어(141)에 정상적으로 물린다.
따라서, 바퀴(60)의 회전에 따라 좌 밀착봉(111)이 회전하고, 좌 밀착봉(111)의 회전력은 좌 구동기어(112), 제1전동기어(141), 제2전동기어(142, 142'), 웜나사 (143) 및 웜 휠(144)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승하강 포스트(130)의 랙기어(131)에 물린 웜 휠(144)은 도 1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승하강 포스트(130)를 상승시키므로, 안장(70 : 도 2참조)이 상승된다.
이때, 우 밀착봉(111')은 제1전동기어(141)의 회전에 따라 겉돌게 된다. 좌 조작 조잡이(126)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좌 밀착봉(111) 및 좌 조작봉(121)은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의 위치로 원위치하여 안장(70)은 상승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안장(70)이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중 등에 의해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승하강 포스트(130)의 랙기어(131)에 물린 웜 휠(144)은 웜나사(143)로 그 회전력의 전달이 어렵게 되어 안장(70)의 하강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상승된 안장(70)을 하강시킬 때에는 바퀴(60)가 회전하는 중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 조작 손잡이(126')를 잡고 화살표 D방향으로 조작 케이블(120')를 견인하면, 우 밀착봉(111')과 우 조작봉(121')은 힌지축(123')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요동하여 우 밀착봉(111')이 바퀴(60)의 우측면에 밀착하고, 우 구동기어(112')는 제1전동기어(141)에 정상적으로 물린다.
따라서, 바퀴(60)의 회전에 따라 우 밀착봉(111')이 회전하고, 우 밀착봉(111')의 회전력은 우 구동기어(112'), 제1전동기어(141), 제2전동기어(142, 142'), 웜나사(143) 및 웜 휠(144)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승하강 포스트(130)의 랙기어(131)에 물린 웜 휠(144)은 도 1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승하강 포스트(130)를 하강시키므로, 안장(70 : 도 2 참조)이 하강된다.
이때, 좌 밀착봉(111)은 제1전동기어(141)의 회전에 따라 겉돌게 된다. 우 조작 손잡이(126')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우 밀착봉(111') 및 우 조작봉(121')은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의 위치로 원위치하여 안장(70)은 하강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자전거가 주행하는 중에 즉, 바퀴가 회전하는 중에 좌, 우 조작 손잡이(126, 126')을 조작하여 안장을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승된 안장에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장이 쉽게 하강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안장하강 방지장치가 불필요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20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조작 케이블은 생략한 상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수단(240)이 밀착 회전부(210)의 회전력을 웜나사(243)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245)를 구비하는 구조로서, 전동수단(240)의 웜나사(243)가 승하강 포스트(230)에 직접 물려 전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50'), 바퀴(60') 및 안장(70'), 안장높이 조절장치의 밀착 회전부(210), 프레임(250) 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50 : 메인 프레임 60 : 바퀴
70 : 안장 100, 200 : 안장높이 조절장치
110, 210 : 밀착 회전부 111, 111' : 좌, 우 밀착봉
112, 112' : 좌, 우 구동기어 120, 120' : 조작 케이블
121, 121' : 좌, 우 조작봉 123, 123' : 힌지축
125 : 스프링 126, 126' : 좌, 우 조작 손잡이
130, 230 : 승하강 포스트 131 : 랙기어
132 : 요입홈띠 140, 240 : 전동수단
141 : 제1전동기어 142, 142' : 제2전동기어
143, 243 : 웜나사 144 : 웜 휠
150, 250 : 프레임 160 : 안내 포스트
161 : 트인부 162 : 안내돌기띠
170 : 볼 지지구

Claims (7)

  1. 자전거에 구비된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밀착 회전부와,
    상기 밀착 회전부를 상기 바퀴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바퀴에서 이격시키도록 상기 밀착 회전부에 연결된 조작 케이블과,
    상기 안장의 하측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는 승하강 포스트와,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상기 승하강 포스트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동수단은 상기 승하강 포스트를 직선운동 가능하게 하는 웜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나사와, 상기 웜나사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승하강 포스트를 승하강시키는 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 회전부는,
    상기 바퀴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는 좌, 우밀착봉과,
    상기 좌, 우 밀착봉에 각각 구비된 좌, 우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케이블은 조작봉을 매개로 상기 밀착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봉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요동함에 따라 상기 밀착 회전부를 상기 바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봉은 좌, 우 조작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밀착 회전부의 회전력을 웜나사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KR1020110060580A 2011-06-22 2011-06-22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KR20130000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80A KR20130000094A (ko) 2011-06-22 2011-06-22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80A KR20130000094A (ko) 2011-06-22 2011-06-22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4A true KR20130000094A (ko) 2013-01-02

Family

ID=4783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80A KR20130000094A (ko) 2011-06-22 2011-06-22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0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695A1 (en) * 2013-08-07 2016-07-07 Hee Dong Bae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fiber feed by using palm-processing by-products
CN106926922A (zh) * 2017-04-10 2017-07-07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可升降车座的单车、车座及单车的管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92695A1 (en) * 2013-08-07 2016-07-07 Hee Dong Bae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fiber feed by using palm-processing by-products
CN106926922A (zh) * 2017-04-10 2017-07-07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可升降车座的单车、车座及单车的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29B1 (ko) 모션 시뮬레이터
US9017224B1 (en) Ladder exerciser
US9707443B2 (en) Exercise device
EP2766100B1 (en) Exercise machine
US20160045383A1 (en) Rehabilitation Bed
KR101036096B1 (ko) 운동용 자전거
KR20100020337A (ko) 헬스 자전거
CN106394719A (zh) 一种辅助自动攀爬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60059919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icycle saddle angle in seated position while driving
PT2419363E (pt) Empilhador manual
KR101179804B1 (ko) 자동 핸드 카트
WO2010109466A1 (en) Wheelchair
US20050230930A1 (en) Scooter
JP2013517832A (ja) 競技用移動式バスケットボール台
KR20130000094A (ko)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WO2014189189A1 (ko)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3768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CN204889990U (zh) 磁共振扫描床底座
CN102614666B (zh) 一种可控座椅移动带语音及屏显功能可转动跷跷板
CN206918598U (zh) 一种网站建设信息展示发布装置
KR101854388B1 (ko)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CN109572953B (zh) 捕鱼游乐设备及其移动吊装装置
CN202158320U (zh) 移动底座装置
KR10177250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CN102059692B (zh) 机械驻足爬杆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