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47A -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47A
KR20130000047A KR1020110060497A KR20110060497A KR20130000047A KR 20130000047 A KR20130000047 A KR 20130000047A KR 1020110060497 A KR1020110060497 A KR 1020110060497A KR 20110060497 A KR20110060497 A KR 20110060497A KR 20130000047 A KR20130000047 A KR 2013000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guide member
blow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836B1 (ko
Inventor
이현칠
Original Assignee
이현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칠 filed Critical 이현칠
Priority to KR102011006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8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송풍챔버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면서도 송풍안내장치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마련된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A AIR GUIDE MEMBER AND AIR GUIED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입구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공기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토출구 전체에 걸쳐 고르게 토출되도록 송풍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송풍안내장치 중에는 챔버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챔버에 형성된 공기토출구 전체에 걸쳐 고르게 토출되도록 해야 하는 것이 있다.
일례로 도 1에는 2차전지의 기초 재료가 되는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양극와 음극 물질이 도포된 필름(f)을 건조시킬 때 사용되는 종래 송풍안내장치(1)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러한 송풍안내장치(1)는 마주보도록 설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 송풍안내장치(1) 사이에는 양극과 음극 물질이 도포된 필름(f)이 일방향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각 송풍안내장치(1)는 송풍챔버(1a)를 구비한다. 송풍챔버(1a) 한 쪽으로는 송풍팬(2)에 의해 강제 송풍된 건조공기가 송풍챔버(1a)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1b)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b) 반대 쪽 송풍챔버(1a)의 타측에는 공기유입구(1b)로 유입된 건조공기를 이송 중인 필름(f) 표면으로 토출시키는 공기토출구(1c)가 형성되며, 공기토출구에(1c)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공(1e)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된 토출플레이트(1d)가 결합된다.
공기유입구(1b)를 통해 송풍챔버(1a)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송풍챔버(1a) 내에서 확산된 후 공기토출구(1c)를 통해 안정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1c)는 통상 공기유입구(1b)보다 통상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마련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공기토출구(1c)가 공기유입구(1b)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된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구(1b)로부터 공기토출구(1c)로 안내되는 공기가 공기토출구(1c)에 있어서 공기유입구(1b)와 대향되는 부위로 집중되기 때문에, 공기토출구(1c) 전체에 걸쳐 고른 공기 토출동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송풍안내장치에 있어서, 공기유입구(1b)와 공기토출구(1c) 사이의 송풍챔버(1a) 내부에는 송풍안내수단(3)이 마련된다.
종래 송풍안내수단(3)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a)로 구성되며, 각 블레이드(3a)는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3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인접한 블레이드(3a) 사이를 통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b)의 중심에 대응하는 블레이드(3a) 사이의 간격은 좁게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b)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블레이드(3a)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도록 송풍안내수단(3)을 조절할 경우, 상기 공기유입구(1b)를 통해 송풍챔버(1a)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는 송풍안내수단(3)을 통해 공기토출구(1c)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고, 이에 따라 토출블레이드(1d)를 통해서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건조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송풍안내수단(3)에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블레이드(3a)의 회전동작을 제한하도록 마련된 별도의 회전제한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레이드(3a)를 설치하고, 별도의 회전제한장치(미도시)를 구비하도록 마련된 종래 송풍안내수단(3)의 경우 구조가 복잡한 관계로 송풍안내장치(1)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각 블레이드(3a)의 각도를 하나하나 셋팅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시에도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챔버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면서도 송풍안내장치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마련된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재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보다 단면적이 큰 공기토출구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챔버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송풍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직부와, 복수개의 제2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부 둘레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쪽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방사형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기통과공은 제2공기통과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방사형 경사부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개방된 중공의 정각뿔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방사형 경사부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경사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경사판부 별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장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보다 단면적이 큰 공기토출구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챔버와,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 사이의 상기 송풍챔버 내부에 마련된 송풍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송풍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직부와, 복수개의 제2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부 둘레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쪽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방사형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와 수직부의 중심은 일치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공기통과공은 제2공기통과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1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개방된 중공의 정각뿔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수직부의 중심은 일치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심은 상기 공기유입구 및 수직부의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방사형 경사부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경사판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부 중 상기 공기토출구 중심의 편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판부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는 나머지 다른 상기 경사판부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보다 작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부 중 상기 공기토출구 중심의 편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판부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다른 상기 경사판부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토출구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공이 형성된 토출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토출플레이트에는 상기 송풍챔버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끝단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공은 상기 각 측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재는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 형태로 마련되면서도 표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나 간격을 통해 송풍챔버의 공기토출구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는 송풍챔버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면서도 송풍안내장치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송풍안내장치 한 쌍이 필름 건조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장치 한 쌍이 필름 건조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나의 송풍안내장치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 및 송풍안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 및 송풍안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10)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A)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장치(A)는 2차전지의 기초 재료가 되는 필름(f)의 제조 공정 중 양극와 음극 물질이 도포된 필름(f)을 건조시킬 때 사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 송풍안내장치(A) 사이에는 양극과 음극 물질이 도포된 필름(f)이 일방향으로 자동 이송되도록 설치되며, 필름(f)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되지 않은 롤러에 감기는 방식을 통해 한 쌍의 송풍안내장치(A) 사이를 통과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각 송풍안내장치(A)는 송풍챔버(20)를 구비한다. 송풍챔버(20) 한 쪽으로는 송풍팬(30)에 의해 강제 송풍된 건조공기가 송풍챔버(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 반대 쪽 송풍챔버(20)의 타측에는 공기유입구(21)로 유입된 건조공기를 이송 중인 필름(f) 표면으로 토출시키는 공기토출구(22)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유입구(21)와 공기토출구(22)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송풍챔버(20)의 공기토출구(22)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공()이 형성된 토출플레이트(40)가 결합되며, 토출플레이트(40)는 볼팅이나 용접을 통해 공기토출구(22)를 덮도록 송풍챔버(20)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를 통해 송풍챔버(20)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송풍챔버(20) 내에서 확산된 후 공기토출구(22)를 통해 안정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22)는 공기유입구(21)보다 통상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필름(f)의 이송과정에서 한 쌍의 송풍안내장치(A)가 구동되면, 각 송풍안내장치(A)의 토출플레이트(40)에 형성된 공기토출공(42)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챔버(20)의 건조공기가 이송 중인 필름(f)의 양면으로 토출되어 필름(f)의 양면을 동시에 건조시키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송풍안내장치(A)는 2차전지의 기초재료가 되는 필름(f)의 건조용으로 이용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송풍안내장치는 하나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건조공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된 필름 건조용은 물론 냉기송풍용이나 일반 공기송풍용 등 다양한 용도에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재와 송풍안내장치는 도면에 기재된 필름 건조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기토출구(22)가 공기유입구(21)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된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구(21)로부터 공기토출구(22)로 안내되는 공기가 공기토출구(22)에 있어서 공기유입구(21)와 대향되는 부위에 집중되기 때문에, 공기토출구(22) 전체에 걸쳐 공기가 고르게 토출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유입구(21)와 공기토출구(22) 사이의 송풍챔버(20) 내부에는 송풍안내부재(10)가 마련되며, 송풍안내부재(10)는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공(11a)을 구비하여 공기유입구(21)를 통해 상기 송풍챔버(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직부(11)와, 복수개의 제2공기통과공(12a)을 구비하여 수직부(11) 둘레로부터 공기토출구(22) 쪽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방사형 경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송풍안내부재(10)의 구조에서는 공기유입구(21)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와 수직을 이루게 되는 수직부(11)의 경우 공기저항이 커지게 되는 반면, 공기유입구(21)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와 경사를 이루는 방사형 경사부(12)의 경우 공기저항이 작아지게 되므로, 공기유입구(21)로부터 공기토출구(22)로 안내되는 공기가 공기토출구(22)에 있어서 공기유입구(21)와 대향되는 부위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공기토출구(22)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플레이트(40)에는 송풍챔버(20)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부(41)가 상기 공기토출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각 돌출부(41)는 수직부(11)와 평행하도록 상기 돌출부(41)의 돌출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41a)와, 돌출부(41)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끝단부(41a)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41b,41c)를 포함하고, 공기토출공(42)은 각 돌출부(41)의 양 측면부(41b,41c)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송풍안내장치(A)의 구조에서는 토출플레이트(40)를 통과하여 필름(f) 쪽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각 돌출부(41)에서 필름(f)의 이송방향 양측방향으로 분사되는 형태로 필름(f) 표면으로 공급되어 필름(f)의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송풍안내부재(10)는 공기토출구(22) 쪽으로 개방된 중공의 정사각뿔대 형태로 마련되어 방사형 경사부(12)와 송풍챔버(20) 내벽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23)를 통해 송풍챔버(20) 내부에 고정된다. 연결대(23)의 경우 건조공기의 송풍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능한 얇은 강선으로 구성되어 송풍안내부재(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방사형 경사부(12)는 동일한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11)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된 4개의 경사판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송풍안내부재(10)는 동일한 형태로 절단되고 동일한 사이즈로 펀칭가공된 동일한 수의 제2공기통과공(12a)을 구비하는 경사판부(13)를 상호 용접시켜 연결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방사형 경사부(12)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송풍안내부재(10)는 다른 다각형 모양의 정각뿔대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복수개의 곡면판을 연결하여 방사형 경사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송풍안내부재는 원뿔대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 송풍안내부재(10)는 공기유입구(21)와 공기토출구(22)의 중심이 일치된 송풍챔버(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수직부(11) 중심이 공기유입구(21) 및 공기토출구(22)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마련되며, 제1 및 제2공기통과공(11a,12a)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마련되고, 제1공기통과공(11a) 사이의 간격도 제2공기통과공(12a) 사이의 견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50) 및 송풍안내장치(B)의 구조가 도시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송풍안내부재(50)는 수직부(51)에 마련된 제1공기통과공(51a)의 사이즈가 방사형 경사부(52)의 경사판부(53)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52a)의 사이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되고, 제1공기통과공(51a) 사이의 간격은 제2공기통과공(52a)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송풍안내부재(50)의 구조에서는 제1실시예에 비해 수직부(51) 쪽에서 형성되는 공기저항과 방사형 경사부(52)에서 형성되는 공기저항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고, 수직부(51)의 제1공기통과공(51a) 사이에 충돌되는 건조공기가 방사형 가이드(52) 쪽으로 안내되는 작용이 더욱 활발해져 공기토출구(22) 외곽 쪽으로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소통될 수 있게 되므로, 공기토출구(22)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건조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수직부(51)에 마련된 제1공기통과공(51a)의 사이즈가 경사판부(53)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52a)의 사이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제1공기통과공(51a) 사이의 간격이 제2공기통과공(52a)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상태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수직부(51) 쪽 공기저항은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되는 반면, 방사형 경사부(52) 쪽 공기저항은 상대적으로 더 작아지게 되므로, 송풍안내부재(50)를 통해 공기토출구(22)의 중심 쪽의 집중되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토출구(22)의 외곽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공기통과공(51a,52a)의 사이즈와 간격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송풍안내장치의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공기토출구의 중심이 공기유입구의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어 송풍챔버가 일측으로 폭이 넓게 연장된 비대칭형으로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공기유입구에 대한 공기토출구 중심의 편심방향 외곽 쪽으로 건조공기가 제대로 공급될 수 없게 되는데,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60)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C)로써, 이러한 경우를 대비한 구조가 도시된다.
이때 상기 송풍안내부재(60)는 구조적으로 큰 변화가 없도록 제 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부재(10,50)와 같이 정사각뿔대 형태로 구성되어 수직부(61) 중심이 공기유입구(2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공기유입구(21)와 공기토출구(22)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 상태에서도 공기토출구(22)를 통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르게 건조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제1공기통과공(61a)의 사이즈는 제2공기통과공(63a,64a)의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되고, 제1공기통과공(61a) 사이의 간격은 제2공기통과공(63a,64a)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다.
또 송풍안내부재(60)에 있어서, 방사형 경사부(62)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경사판부(63,64) 중 공기토출구(22) 중심의 편심방향에 대응하는 경사판부(63)의 제2공기통과공(63a)의 사이즈는 나머지 다른 경사판부(64)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64a)의 사이즈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판부(63)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63a) 사이의 간격은 다른 경사판부(64)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64a)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안내장치(C)의 경우 방사형 경사부(62) 보다는 수직부(61)에서의 공기저항이 더 커지고, 방사형 경사부(62) 중에서는 공기유입구(21)에 대한 공기토출구(22) 중심의 편심 방향에 대응하는 경사판(63) 쪽에서의 공기저항이 나머지 다른 경사판(64) 쪽에서의 공기저항보다 더 커지게 되므로, 송풍안내부재(60)를 통해 공기유입구(21)에 대한 공기토출구(22)의 편심 방향 쪽 외곽으로 보다 멀리까지 건조공기를 원활하게 송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 B, C: 송풍안내장치 10: 송풍안내부
20: 송풍챔버 21: 공기유입구
22: 공기토출구 40: 토출플레이트
11: 수직부 11a: 제1공기통과공
12: 방사형 경사부 12a: 제2공기통과공
13: 경사판부

Claims (9)

  1.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보다 단면적이 큰 공기토출구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챔버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송풍안내부재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송풍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직부와, 복수개의 제2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부 둘레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쪽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방사형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통과공은 제2공기통과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방사형 경사부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개방된 중공의 정각뿔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방사형 경사부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경사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경사판부 별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부재.
  6.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보다 단면적이 큰 공기토출구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 송풍챔버와,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토출구 사이의 상기 송풍챔버 내부에 마련된 송풍안내부재를 구비하는 송풍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송풍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 수직부와, 복수개의 제2공기통과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부 둘레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 쪽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방사형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와 수직부의 중심은 일치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공기통과공은 제2공기통과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1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부재는 상기 공기토출구 쪽으로 개방된 중공의 정각뿔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수직부의 중심은 일치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심은 상기 공기유입구 및 수직부의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방사형 경사부는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부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경사판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부 중 상기 공기토출구 중심의 편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판부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는 나머지 다른 상기 경사판부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의 사이즈보다 작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경사판부 중 상기 공기토출구 중심의 편심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경사판부에 마련된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은 다른 상기 경사판부에 형성된 제2공기통과공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공이 형성된 토출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토출플레이트에는 상기 송풍챔버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되며,(공기토출구 길이방향 명확히 기재. 한정)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 끝단에 마련된 끝단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끝단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토출공은 상기 각 측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안내장치.
KR1020110060497A 2011-06-22 2011-06-22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KR10123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97A KR101237836B1 (ko) 2011-06-22 2011-06-22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97A KR101237836B1 (ko) 2011-06-22 2011-06-22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47A true KR20130000047A (ko) 2013-01-02
KR101237836B1 KR101237836B1 (ko) 2013-02-27

Family

ID=4783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97A KR101237836B1 (ko) 2011-06-22 2011-06-22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5244A (zh) * 2018-11-27 2019-03-01 广东省安全生产科学技术研究院 一种厂房均压送风装置
RU2716291C1 (ru) * 2019-08-07 2020-03-11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Ковал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4041U (ko) 1984-10-19 1986-05-19
US5192348A (en) * 1991-08-21 1993-03-09 Brod & Mcclung-Pace Co. Directional air diffuser panel for clean room ventilation system
JP4286944B2 (ja) 1999-01-12 2009-07-01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ユニット用の気流制御板
JP2008096052A (ja) 2006-10-13 2008-04-24 Taisei Oncho Kk 室内冷暖房パネル及び室内冷暖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5244A (zh) * 2018-11-27 2019-03-01 广东省安全生产科学技术研究院 一种厂房均压送风装置
RU2716291C1 (ru) * 2019-08-07 2020-03-11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Ковал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ачи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836B1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401B2 (en) Bell-shaped fan cooling holes for turbine airfoil
CA2966053C (en) Mixed flow fan
EP3318766A1 (en) Blower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JP2006207586A (ja) タービン翼形部の高効率ファン冷却孔
KR101237836B1 (ko) 송풍안내부재 및 이를 갖춘 송풍안내장치
JP2008209043A (ja) ファンの風向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風向制御装置の製造方法
US20170175770A1 (en) Magnetic fluid heating and impelling apparatus
CN115475727A (zh) 双面涂布机
CN214199502U (zh) 一种双面烘干保护膜设备翻转装置
US4957066A (en) Fan assembly for an egg incubator enclosure or a hatching enclosure
EP3823069A1 (en) Drying method of fuel cell and drying apparatus of fuel cell
CN218433934U (zh) 气浮支撑装置
KR20120059050A (ko) 배터리모듈 냉각 시스템
CN218423806U (zh) 双面涂布机
CN210198047U (zh) 一种导向型多孔板及其组件
CN212744474U (zh) 离心风轮和具有其的空气处理设备
CN115465696A (zh) 气浮支撑装置
WO2019072006A1 (zh) 风管及风机
CN218820435U (zh) 一种焚烧装置
CN107994461A (zh) 离子风发生装置及空调室内机
CN219880475U (zh) 涂布烘箱及涂布设备
CN210150354U (zh) 一种用于电缆料的输送装置
CN211640681U (zh) 一种送风均匀装置
CN115477166A (zh) 气浮装置
JP2017040440A (ja) 高温排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