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350A -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350A
KR20120140350A KR1020110060033A KR20110060033A KR20120140350A KR 20120140350 A KR20120140350 A KR 20120140350A KR 1020110060033 A KR1020110060033 A KR 1020110060033A KR 20110060033 A KR20110060033 A KR 20110060033A KR 20120140350 A KR20120140350 A KR 2012014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ant
terminal
unit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억
Original Assignee
박재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억 filed Critical 박재억
Priority to KR102011006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350A/ko
Publication of KR2012014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통학버스 도착 정보, 원생 생활 정보, 보육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유아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버; 및 웹 서버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웹 서버를 통해서 접속된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유아정보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유아정보관리서버는, 통학버스 도착 정보를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알려주는 통학버스도착알림부; 원생 생활 정보를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이미지 형태로 제공받아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원생정보제공부; 및 보육 관련 정보를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보육관련정보제공부를 포함하도록 한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육시설로부터 유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유아에게 필요한 부모의 도움이나 대처가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모와 선생님 간에 실시간 양방향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재해나 재난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 대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수기로 작성하던 출결사항 및 생활기록부 등의 감사자료를 전산화하여 편의성을 제공하고, 서버와 단말기에 동시 저장이 가능하여 분실 및 망실에 대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Chil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보육시설로부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유아에게 필요한 부모의 도움이나 대처가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재해나 재난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 대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며, 보육시설의 업무에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경우 어린이집, 유아원, 유치원, 학원 등의 보육시설을 통해서 육아와 교육을 제공받도록 하는데, 이 경우 부모의 입장에서 유아가 안전하면서도 정상적으로 교육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유아에 대한 정보의 대부분이 인쇄물과 수기로 작성되는 알림장에 의존하다 보니 맞벌이 부부의 경우 직장을 마치고 집에 들어와서 알림장을 일일이 챙겨 봐야만 하는 시간적, 공간적인 제한이 있어 상당한 불편함을 자주 느끼게 되고, 제공되는 정보도 어떤 기준이나 체계화가 되어있지 않아 정보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내용을 제공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실제로 궁금한 사항들은 알림장에 써서 단임 선생님에게 문의해야 하지만 오늘 일어난 일에 대해 문의하고 싶어 내용을 알림장에 적은 후 다음날 등원할 때 보내면, 그날 저녁 알림장을 받아 볼 때까지는 그 내용을 알 수가 없으며, 바로 답변을 받아야 하는 내용인 경우 전화를 걸어 확인을 하여야 하나, 직장에 있는 경우 업무시간에 전화를 걸어 물어보는 일도 다소 어렵고, 아이들이 보육시설에 있는 동안은 선생님들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고, 업무시간이 끝나고 전화를 거는 것도 늦은 시간이라 실례가 될 것 같아 망설여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교육과학 기술부에서 2009년 4월1일 기준으로 조사한 우리나라의 초?중?고등학교는 전체 11,160개가 있다. 이러한 초등학교 이상의 학교들은 각 지방 교육청을 통하여 어느 정도 위급사태 발생시 상황 전파에 대한 매뉴얼이 잡혀있지만 얼마전 방사능비에 대한 대처는 그다지 깔끔하게 처리되었다 볼 수 없다. 그러나 앞서 보았듯이 영유아 대상의 보육시설은 영어유치원 등의 학원시설을 제외하더라도 35,550여개, 일반 초?중?고등학교 수의 세배가 넘는다.
물론 보육시설 자체 대처 매뉴얼이 있긴 하지만 중앙정부의 위급사태에 대한 상황 전파가 필요할 때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만약 이러한 보육 시설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10초간 통화를 한다면 전체를 다 통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98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재해/재난 사태 발생시 중앙정부나 단체에서 일괄적으로 모든 영유아 보육시설에 경보나 대피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보육시설의 업무처리에 있어서 아직도 거의 대부분의 업무가 수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불편함을 알면서도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하기에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되어 개선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아의 보육시설로부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유아에게 필요한 부모의 도움이나 대처가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아에 대한 부모의 걱정을 덜도록 하며, 부모와 선생님 간에 실시간 양방향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육아를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재해나 재난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 대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육시설의 업무처리가 전산화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육아정보를 관리하고, 운영에 있어서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통학버스 도착 정보, 원생 생활 정보, 보육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상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웹 서버를 통해서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유아정보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통학버스 도착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알려주는 통학버스도착알림부; 상기 원생 생활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이미지 형태로 제공받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원생정보제공부; 및 상기 보육 관련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보육관련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보육관련정보제공부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보육시설의 시간표, 식단 및 메뉴, 그리고 공지 사항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시간표제공부, 식단및메뉴제공부, 그리고 공지사항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단및메뉴제공부는,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기간별 메뉴표와 해당 날짜에 대한 식단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가 대화를 나누도록 하는 대화서비스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재해나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재해나 재난 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재해/재난메시지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의 출석 상황을 정리하여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출결사항정리부와,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의 생활기록을 정리하여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생활기록부로 이루어지는 유아정보정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유아의 보육시설로부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유아에게 필요한 부모의 도움이나 대처가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아에 대한 부모의 걱정을 덜도록 하며, 부모와 선생님 간에 실시간 양방향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육아를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재해나 재난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 대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통한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전체적인 정보를 손쉽게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지로 작성하여 준비하던 출결사항 및 생활기록부 등의 감사자료를 전산화하여 보육시설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유아정보정리서버와 단말기에 동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분실 및 망실에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와, 유아정보관리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가 접속에 의해 통학버스 도착 정보, 원생 생활 정보, 보육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가 접속에 의해 유아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 예컨대 PC(11)나 스마트폰(12)이나,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 예컨대 PC(31), 휴대폰(32), 스마트폰(33) 또는 스마트TV(34)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아정보제공자는 유아의 보육시설, 예컨대, 유아원,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의 운영자나 선생님이 될 수 있고, 유아정보열람자는 보육시설에 유아를 맡긴 부모나 그 밖의 보호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와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는 그 밖에 태블릿PC나 PDA 등의 다양한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유아정보제공자 또는 유아정보열람자가 자신의 단말기(10,30)를 통해 접속시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하는 아이디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임을 확인하도록 하는 절차,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 공인인증서 확인 등의 절차를 요구할 수 있다.
유아정보관리서버(120)는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웹 서버(110)를 통해서 접속된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제공하도록 하는데, 통학버스 도착 정보를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알려주는 통학버스도착알림부(121)와, 원생 생활 정보를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를 통해서 이미지 형태로 제공받아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제공하는 원생정보제공부(123)와, 보육 관련 정보를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제공하는 보육관련정보제공부(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통학버스도착알림부(121)는 통학버스 도착 정보로서, 통학버스의 위치 정보와 도착 예상 시간을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를 통해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고, 날씨가 안 좋은 경우라도 통학버스의 도착 전에 미리 나가서 눈, 비 또는 황사를 맞고, 추위에 떨며 밖에서 기다리는 부모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통학버스도착알림부(121)는 통학버스의 위치 정보 및 도착 예상 시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학버스가 미리 지정된 코스를 따라 이동하여 정거장에 오게 되면, 모바일 기기로 제 위치에 도착했음을 수동으로 지도교사가 입력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로 제공할 수 있고, 현재 통학버스의 위치로부터 이동 예정지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통학버스의 위치 간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데이터를 통해서 산출하여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원생정보제공부(123)는 별도의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유아의 이미지를 PC(11)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고, 이 밖에도 스마트폰(12)을 통해 직접 획득한 유아의 이미지를 직접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번거로운 업로드 작업과 열람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부모들이 손쉽게 유아가 보육시설에서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를 이미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보육관련정보제공부(124)는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보육시설의 시간표, 식단 및 메뉴, 그리고 공지 사항을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시간표제공부(124a), 식단및메뉴제공부(124b), 그리고 공지사항알림부(124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표제공부(124a)에 의해 제공되는 보육시설에서의 시간표에 의해 자녀들의 준비물을 쉽게 준비하도록 하고, 유아나 부모가 매번 인쇄물을 들고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시간표를 통한 유아의 커리큘럼을 미리 확인하여 부모가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단및메뉴제공부(124b)는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로부터 기간별 메뉴표와 해당 날짜에 대한 식단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간별, 예컨대 매주, 매월 식단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의 화면에 띄워줄 수 있고, 해당 날짜를 클릭하면, 그날 나온 식단을 이미지를 통하여 부모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부모들이 자녀들의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소극적이거나, 단순히 식단표만을 제공하고 있어 다소 강제적으로 자녀들의 먹을거리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식단및메뉴제공부(124b)는 만일 해당 메뉴의 이미지가 나오지 않았을 시 오해의 소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이유에 대해서 유아정보제공자가 단말기(10)를 통해 작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지사항알림부(124c)는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중요 공지사항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유아정보관리서버(120)는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와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를 통해서 유아정보제공자와 유아정보열람자가 대화를 나누도록 하는 대화서비스제공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서비스제공부(122)는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와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 중에서 대화를 요청함과 아울러 대화를 허락한 단말기(10,30)간에 채팅창을 제공하여 단말기(10,30)간에 서로 입력된 문자를 채팅창에 나타나도록 하여 문자 대화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대신하거나, 이와 함께 음성 내지 영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10,30)간에 음성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정보관리서버(120)는 부모가 원장, 단임 선생님 그리고 등하교 지도 선생님 등 대화가 필요한 사람들 중 원하는 사람을 선택하여 1:1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대화도 가능하도록 한다.
유아정보관리서버(120)는 웹 서버(110)에 접속하여 재해나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정보제공단말기(20)로부터 제공되는 재해나 재난 메시지를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재해/재난메시지전달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나 기타 재해나 재난을 관리하는 외부 기관의 긴급정보제공단말기(20)로부터 제공되는 재해나 재난 메시지를 인터넷망에 의해 웹 서버(110)를 통해 제공받으면, 재해/재난메시지전달부(125)가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는 물론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30)에도 이러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각 보육시설이 파손되었을 때 아이들과 다른 안전한 곳으로 대피함으로써 부모에게 일괄적으로 연락할 수 없게 되더라도 부모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유아정보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정보정리서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아정보정리서버(130)는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유아의 출석 상황을 정리하여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에 요청이 있을 때마다 제공하도록 하는 출결사항정리부(131)와, 웹 서버(110)에 접속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유아의 수업태도, 건강상태 등의 생활기록을 정리하여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에 요청이 있을 때마다 제공하도록 하는 생활기록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출결사항정리부(131)와 생활기록부(132)는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자료를 정리함은 물론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유아의 보육시설로부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유아에게 필요한 부모의 도움이나 대처가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아에 대한 부모의 걱정을 덜도록 하며, 부모와 선생님 간에 실시간 양방향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육아를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재해나 재난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아에 대해 적절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통한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전체적인 정보를 손쉽게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유아정보정리서버(130)에 의해 보육시설의 업무처리를 전산화하여 좀 더 편리하게 유아 정보를 관리하고, 운영에 있어서 투명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웹서버 120 : 유아정보관리서버
121 : 통학버스도착알림부 122 : 대화서비스제공부
123 : 원생정보제공부 124 : 보육관련정보제공부
124a : 시간표제공부 124b : 식단및메뉴제공부
124c : 공지사항알림부 125 : 재해/재난메시지전달부
130 : 유아정보정리서버 131 : 출결사항정리부
132 : 생활기록부

Claims (5)

  1.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통학버스 도착 정보, 원생 생활 정보, 보육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유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가 접속에 의해 상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웹 서버를 통해서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유아정보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통학버스 도착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알려주는 통학버스도착알림부;
    상기 원생 생활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이미지 형태로 제공받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원생정보제공부; 및
    상기 보육 관련 정보를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보육관련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육관련정보제공부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보육시설의 시간표, 식단 및 메뉴, 그리고 공지 사항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시간표제공부, 식단및메뉴제공부, 그리고 공지사항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단및메뉴제공부는,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기간별 메뉴표와 해당 날짜에 대한 식단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가 대화를 나누도록 하는 대화서비스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정보관리서버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재해나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정보제공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재해나 재난 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와 상기 유아정보열람자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재해/재난메시지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의 출석 상황을 정리하여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출결사항정리부와, 상기 웹 서버에 접속된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유아의 생활기록을 정리하여 상기 유아정보제공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생활기록부로 이루어지는 유아정보정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KR1020110060033A 2011-06-21 2011-06-21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KR20120140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33A KR20120140350A (ko) 2011-06-21 2011-06-21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33A KR20120140350A (ko) 2011-06-21 2011-06-21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350A true KR20120140350A (ko) 2012-12-31

Family

ID=4790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33A KR20120140350A (ko) 2011-06-21 2011-06-21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35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5926A1 (ko) * 2013-01-28 2014-07-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를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4123275A1 (ko) * 2013-02-07 2014-08-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를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4077733A (zh) * 2013-03-29 2014-10-01 江苏北极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以智能手机为主要载体的综合教育信息系统
KR20150136419A (ko) 2014-05-27 2015-12-07 인터테크(주)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50136420A (ko) 2014-05-27 2015-12-07 인터테크(주) 단말, 그 제어 방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20115A (ko) 2014-08-13 2016-02-23 인터테크(주) 사용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989286B1 (ko) * 2018-12-04 2019-06-13 제일기술(주)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5926A1 (ko) * 2013-01-28 2014-07-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를 위한 스마트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4123275A1 (ko) * 2013-02-07 2014-08-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유아를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4077733A (zh) * 2013-03-29 2014-10-01 江苏北极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以智能手机为主要载体的综合教育信息系统
KR20150136419A (ko) 2014-05-27 2015-12-07 인터테크(주) 단말,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50136420A (ko) 2014-05-27 2015-12-07 인터테크(주) 단말, 그 제어 방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20115A (ko) 2014-08-13 2016-02-23 인터테크(주) 사용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989286B1 (ko) * 2018-12-04 2019-06-13 제일기술(주) 급식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rr et al. School crisi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KR20120140350A (ko) 유아 정보 전달 시스템
US11129010B2 (e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National Research Council et al. Public response to alerts and warnings on mobile devices: Summary of a workshop on current knowledge and research gaps
Mische et al. Disaster and contingency planning for scientific shared resource cores
Brandt et al. Calling in at work: acute care nursing cell phone policies
Neustaedter et al.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video calling for emergency situations
Adeoye et al. Implementing Surveillance and Outbreak Respons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SORMAS) for public health in west Africa-lessons learnt and future direction
Callejas et al. Rapid ethnographic assessment of pandemic restrictions in child welfare: Lessons from parent and provider experiences
Treadwell et al. Reflections from cris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Texas A&M bonfire collapse
Collins Healthy libraries develop healthy communities: Public libraries and their tremendous efforts to support the Affordable Care Act
Zamora et al. Remote reading and teaching of nuclear medicine in the era of COVID-19
Hassani et al. Rapi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virtual health training in a subspecialty hospital in British Columbia,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KR20090001724A (ko) 로봇을 이용한 유아교육 기관의 출결관리 시스템
Redlener et al. The 2008 American preparedness project: why parents may not heed evacuation orders and what emergency planners, families and schools need to know
KR102599834B1 (ko) 전자결제시스템
Smith Mass casualty events: Are you prepared?
Arnesen et al. Information and Readiness Build Resilience: The Role of the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Center
KR2019002818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린이집 예약방법
Casucci et al. Appy hour: Health sciences professionals learn about apps
Wang et al. Rapid virtual training and field deployment for COVID-19 surveillance officers: experiences from Ethiopia
Churchill et al. Getting it right in primary care: creating a child and young person friendly environment
Valdez A Child’s Perspective of the Foster Care System
McCaffrey Covid-19 Guidelines for student productions at FE/HE levels
Pepe et al. EMS physicians as public spokesper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