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655A -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655A
KR20120139655A KR1020127000632A KR20127000632A KR20120139655A KR 20120139655 A KR20120139655 A KR 20120139655A KR 1020127000632 A KR1020127000632 A KR 1020127000632A KR 20127000632 A KR20127000632 A KR 20127000632A KR 20120139655 A KR20120139655 A KR 2012013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heat
receive
cooled
mas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101B1 (ko
Inventor
앤드류 에프. 존케
더블유. 래리 루이스
엘. 돈 타일러
존 디. 윌킨슨
조 티. 린치
행크 엠. 허드슨
카일 티. 쿠엘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이. 프로덕츠 엘피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2912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396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2/750,862 external-priority patent/US8881549B2/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0/02933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44172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772,472 external-priority patent/US9933207B2/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0/03337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44186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0/03512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44217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2/781,259 external-priority patent/US9939195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048,315 external-priority patent/US9052136B2/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이. 프로덕츠 엘피,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스.엠.이. 프로덕츠 엘피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1/02887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123253A1/en
Publication of KR2012013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655A/ko
Publication of KR10171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feed stream
    • F25J3/0209Natural gas or substitute natural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00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 C10G5/06Recovery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gases, e.g. natural gas by cooling or comp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3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1 carbon atom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2 carbon atoms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4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3 carbon atom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25Natura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in a single pressure main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0Refluxing the column with a condensed part of the feed stream, i.e. fractionator top is stripped or self-rect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4Refluxing the colum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partially condensed overhea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8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using integrated mass and heat exchange, i.e. non-adiabatic rectification in a reflux exchanger or dephlegm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25J2205/0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in the feed line, i.e. upstream of the fractionation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10/0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other details of the feed stream
    • F25J2210/06Splitting of the feed stream, e.g. for treating or cooling in different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r for conveying of liquid process streams
    • F25J2235/6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r for conveying of liquid process streams the fluid being (a mixture of) 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expand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0/02Expansion of a process fluid in a work-extracting turbine (i.e. isentropic expansion), e.g. of the fee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70/00Refrigeration techniques used
    • F25J2270/02Internal refrigeration with liquid vaporising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70/00Refrigeration techniques used
    • F25J2270/12External refrigeration with liquid vaporising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70/00Refrigeration techniques used
    • F25J2270/60Closed external refrigeration cycle with single component refrigerant [SCR], e.g. C1-, C2- or C3-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40Vertical layout or arrangement of cold equipments within in the cold box, e.g. columns, condensers, heat exchangers e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42Modularity, pre-fabrication of modules, assembling and erection, horizontal layout, i.e. plot plan, and vertical arrangement of parts of the cryogenic unit, e.g. of the cold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탄화수소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C2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콤팩트한 공정 조립체를 위한 공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가스 스트림이 냉각되고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된다. 제1 스트림은 추가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최상단 피드로서 흡수 수단에 공급된다. 제2 스트림도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흡수 수단의 바닥으로 공급된다. 가스 스트림과 제1 스트림을 냉각시킴으로써 흡수 수단으로부터 나온 증류 증기 스트림이 가열된다. 상기 흡수 수단으로부터 나온 증류 액체 스트림은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공급되어 이를 가열하고 이의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가스 스트림을 냉각시킨다. 상기 흡수 수단과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상기공정 조립체에 내장되어 있다.

Description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HYDROCARBON GAS PROCESS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또는 더 무거운 탄화수소는 석탄, 원유, 나프타, 오일 쉐일, 타르 샌드, 및 갈탄과 같은 다른 탄화수소 재료로부터 수득한 천연 가스, 정제 가스, 및 합성 가스 스트림과 같은, 다양한 가스들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천연 가스는 통상적으로 메탄과 에탄 비율이 주가 되는데, 즉, 메탄과 에탄이 함께 천연 가스의 적어도 50 몰%를 구성한다. 천연 가스는 또한 프로판, 부탄, 펜탄 등과 같은 더 무거운 탄화수소뿐만 아니라 수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기타 가스들을 비교적 소량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처리할 가스 스트림의 통상적인 분석 결과 가스 스트림은 대략적인 몰%로, 90.0% 메탄, 4.0% 에탄 및 기타 C2 성분, 1.7% 프로판 및 기타 C3 성분, 0.3% 이소-부탄, 0.5% 노르말 부탄, 및 0.8% 펜탄 이상 물질(pentane plus)로 이루어지며, 나머지는 질소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다. 황을 함유하는 가스가 또한 때때로 존재한다.
천연 가스와 이의 천연 가스 액체(NGL) 구성분, 둘 모두의 가격은 역사적으로 주기적으로 변동됨으로 인하여 액체 생성물로서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및 더 무거운 성분의 추가적 가치는 때때로 감소되었다. 이로 인하여 이들 생성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공정들과 더 적은 투자금으로 효율적인 회수율을 제공할 수 있는 공정들이 요구되었다. 이들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정들은 가스의 냉각과 냉동, 오일 흡수, 및 냉각된 오일 흡수에 기초한 공정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력을 생산하는 경제적 장비의 가용성 때문에 처리되는 가스를 팽창시키고 동시에 가스로부터 열을 추출하는 초저온 공정들이 널리 보급되었다. 가스 공급원의 압력, 가스의 풍부함 (에탄, 에틸렌,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함량) 그리고 원하는 최종 생성물에 따라서, 이러한 공정들을 각각 또는 그 공정들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초저온 팽창 공정이 출발이 용이한 최대 단순성, 운전 유연성, 양호한 효율, 안전성 및 양호한 재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천연 가스 액체 회수를 위한 공정으로서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미국 특허 제3,292,380호; 제4,061,481호; 제4,140,504호; 제4,157,904호; 제4,171,964호; 제4,185,978호; 제4,251,249호; 제4,278,457호; 제4,519,824호; 제4,617,039호; 제4,687,499호; 제4,689,063호; 제4,690,702호; 제4,854,955호; 제4,869,740호; 제4,889,545호; 제5,275,005호; 제5,555,748호; 제5,566,554호; 제5,568,737호; 제5,771,712호; 제5,799,507호; 제5,881,569호; 제5,890,378호; 제5,983,664호; 제6,182,469호 제6,578,379호 제6,712,880호; 제6,915,662호; 제7,191,617호; 제7,219,513호; 재발행 미국 특허 제33,408호; 계류중인 특허원 제11/430,412호; 제11/839,693호; 제11,971,491호; 제12/206,230호; 제12/689,616호; 제12/717,394호 제12/750,862호; 제12/772,472호; 제12/781,259호; 제12/868,993호; 제12/869,007호; 제12/869,139호; 및 제12/979,563호에 관련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비록 일부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는 인용된 미국 특허에 설명된 것들과 상이한 공정 조건에 기초하지만).
통상적인 초저온 팽창 회수 공정에서는, 압력하에서 피드 가스 스트림은 프로판 압축-냉동 시스템과 같은 공정 및/또는 냉동 외부 공급원의 다른 스트림을 사용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가스가 냉각됨에 따라, 액체가 응축되어 원하는 C2+ 성분 중 일부를 함유하는 고압 액체로서 하나 이상의 분리기에서 수거된다. 가스의 풍부한 정도 및 형성된 액체의 양에 따라서, 고압 액체가 저압으로 팽창되어 분류될 수 있다. 액체의 팽창중에 발생하는 기화로 스트림이 추가로 냉각된다. 일부 조건하에서, 팽창으로 인한 온도를 더 낮추기 위하여 팽창 전에 고압 액체를 미리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액체와 증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팽창된 스트림이 증류 (탈메탄화기 또는 탈에탄화기) 컬럼에서 분류된다. 그 컬럼에서, 팽창 냉각된 스트림(들)이 증류되어 바닥 액체 생성물로서 원하는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으로부터 오버헤드 증기로서 잔류 메탄, 질소, 및 기타 휘발성 가스를 분리시키거나, 바닥 액체 생성물로서 원하는 C3 성분과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으로부터 오버헤드 증기로서 잔류하는 메탄, C2 성분, 질소, 및 기타 휘발성 가스를 분리시킨다.
피드 가스가 전체적으로 응축되지 않는 경우 (통상적으로 이는 응축되지 않는다), 부분적 응축으로부터 남게 되는 증기가 2개의 스트림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증기의 일부는 일 팽창기 또는 엔진, 또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여,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한 결과 추가의 액체가 응축된 더 낮은 압력에 도달된다. 팽창 후 압력은 본질적으로 증류 컬럼이 운전되는 압력과 동일하다. 상기 팽창으로부터 생성되는 결합된 증기-액체 상들은 피드로서 컬럼에 공급된다.
상기 증기의 잔여 부분은 다른 공정 스트림들과, 예를 들어, 냉 분류탑 오버헤드와 열 교환을 함으로써 냉각되어 실질적 응축이 이루어진다. 고압 액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냉각되기 전에 상기 증기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생성된 냉각된 스트림은 팽창 밸브와 같은 적절한 팽창 장치를 통하여 탈메탄화기가 작동하는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하는 동안, 액체의 일부가 증기화하여, 그 결과 전체 스트림을 냉각시킬 것이다. 그런 다음 플래쉬 팽창된 스트림이 최상단 피드로서 탈메탄화기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플래쉬 팽창된 스트림의 증기 부분과 탈메탄화기 오버헤드 증기는 분류탑의 상부 분리기 섹션에서 잔류 메탄 생성물 가스로서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증기와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각되고 팽창된 스트림이 분리기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는 분류탑 오버헤드와 결합되고 액체는 최상부 컬럼 피드로서 컬럼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단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 더 적은 수의 장비를 사용하는 신규한 수단을 이용한다. 이는 이전에 개별적인 장비 품목들이었던 것들을 하나의 일반적인 하우징 내에 합체함으로써 달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공정 플랜트에 필요한 대지 공간을 감소시키고 시설 자본 비용을 절감시킨다. 놀랍게도, 출원인들은 더 컴팩트한 배치(compact arrangement)가 일정한 회수율 수준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공정 효율성을 증가시키며 시설 작동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덧붙여, 더 컴팩트한 배치가 또한 종래 플랜트 디자인에서 개별 장비 제품들을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된 많은 배관을 제거하고, 또한 투자 비용을 감소시키며 관련 플랜지형 배관 접속부들을 제거한다. 배관 플랜지들은 탄화수소 (이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로서, 온실효과 가스에 기여하며 또한 대기 오존 형성의 전구체가 될 수 있다)에 대한 잠재적 누출 공급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플랜지들을 제거하면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대기 방출물들에 대한 잠재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88%가 넘게 C2를 회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C2 성분의 회수가 목적이 아닌 경우에, 93%가 넘는 C3 회수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회수율 수준을 유지하면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더 낮은 에너지 요구량으로 C2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성분들로부터 메탄 (또는 C2 성분) 및 더 가벼운 성분들을 본질적으로 100% 분리시킬 수 있다. 더 낮은 압력과 더 따뜻한 온도를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50 ℉[-46℃] 이하의 NGL 회수 컬럼 오버헤드 온도가 요구되는 조건하에서 400 내지 1500 psig [2,758 내지 10,342 kPa(a)] 이상 범위에서 피드 가스를 처리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하여, 다음 구현예들과 도면들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1은 미국 특허 제4,157,904호에 따르는 종래 기술의 천연 가스 처리의 흐름도(flow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가스 공정 플랜트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17은 천연 가스 스트림에 본 발명을 적용시키는 대안 수단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대한 아래 설명에서, 대표적인 공정 조건들에 대해 계산된 유량(flow rate)을 요약하는 표들이 제공되어 있다. 본원에 나타나 있는 표들에서, 유량에 대한 값들(시간당 몰수)은 편의를 위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되어 있다. 표들에 나타난 전체 스트림 속도들은 모두 비-탄화수소(non-hydrocarbon) 성분들을 포함하고 따라서 탄화수소 성분들을 위한 스트림 유량의 합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다. 표시된 온도들은 가장 가까운 정도로 반올림된 대략적인 값들이다. 또한, 주목해야 할 점은 도면들에 도시된 공정들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공정 디자인 계산은 주변환경에서 공정으로 또는 공정에서 주변환경으로 열 누출이 없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상업상 구매가능한 절연재료의 품질은 이러한 가정을 매우 타당한 가정으로 만들며 통상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가정이다.
편의상, 공정 파라미터들은 종래 영국 단위와 SI 단위를 모두 기재하고 있다. 이 표들에 주어진 몰 유량(molar flow rates)은 시간당 파운드 몰 또는 시간당 킬로그램 몰로 해석될 수 있다. 마력(HP) 및/또는 시간당 일천 영국열량단 위(MBTU/Hr)로서 기재된 에너지 소비율은 시간당 파운드 몰로서 정격 몰 유량에 대응한다. 킬로와트(kW)로서 기재된 에너지 소비율은 시간당 킬로그램 몰로서 정격 몰 유량에 대응한다.
종래 기술의 설명
도 1은 미국 특허 제4,157,904호에 따르는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천연 가스로부터 C2 + 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공정 플랜트의 디자인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공정의 이러한 시뮬레이션에서, 유입 가스는 스트림(31)으로서 101 ℉ [39 ℃] 및 915 psia[6,307 kPa(a)]에서 플랜트로 들어간다. 유입 가스가 생성물 스트림이 세부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일정 농도의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황 화합물은 피드 가스(미도시)를 적절하게 선처리하여 제거한다. 덧붙여, 피드 스트림은 초저온 조건하에서 수화물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상적으로 탈수된다. 이 용도로 고체 건조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피드 스트림(31)은 두 부분, 즉 스트림(32) 및 스트림(33)으로 분할된다. 스트림(32)은 열교환기(10)에서 냉 잔류 가스(스트림(41a))와의 열교환에 의해 -31 ℉ [-35 ℃]으로 냉각시키는 한편, 스트림(33)은 43 ℉[6 ℃]의 탈메탄화기 리보일러 액체(스트림(43))와 -47℉[-44 ℃]의 측면 리보일러 액체 (스트림(42))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교환기(11)에서 -37 ℉[-38 ℃]로 냉각시킨다. 스트림(32a)과 스트림(33a)이 재결합하여 스트림(31a)을 형성시키고, 이는 -33 ℉[-36 ℃] 및 893 psia[6,155 kPa(a)]에서 분리기(12)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증기(스트림(34))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5))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12)에서 나온 증기(스트림(34))는 2개의 스트림(36)과 스트림(39)으로 분할된다. 총 증기의 약 32%를 함유하는 스트림(36)은 분리기 액체(스트림(35))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스트림(38)은 냉 잔류 가스(스트림(41))와의 열교환 관계에 있는 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된다. 이어서, -131 ℉[-90 ℃]에서 생성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38a)은 팽창 밸브(14)를 통하여 분류탑(18)의 작동 압력(대략 410 psia[2,827 kPa(a)])으로 플래쉬 팽창된다. 팽창하는 동안에, 상기 스트림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전체 스트림을 냉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공정에서, 팽창 밸브(14)를 떠나는 상기 팽창된 스트림(38b)은 -137 ℉[-94 ℃]의 온도에 도달하고 분류탑(18)의 상부 영역에 있는 분리기 섹션(18a)으로 공급된다. 거기에서 분리된 액체는 탈메탄화 섹션(18b)으로 공급되는 최상단 피드(top feed)가 된다.
분리기(12)에서 나온 증기의 나머지 68%(스트림(39))는 일 팽창기(15)로 들어가는데 여기서 기계적 에너지는 고압 피드의 이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팽창기(15)는 상기 증기를 실질적으로 등엔트로피로 탑 작동 압력으로 팽창시키며, 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39a)을 약 -97 ℉[-72 ℃]의 온도로 냉각한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팽창제는 이상적인 등엔트로피 팽창에서 이론적으로 가용할 수 있는 일의 80 내지 85% 정도로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일은 원심압축기(예컨대 품목(16))를 구동시키는데 흔히 사용되며, 원심압축기는 예를 들어, 잔류 가스(스트림(41b))를 다시 압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된 스트림(39a)이 피드(feed)로서 중간-컬럼 공급점(mid-column feed point)에서 분류탑(18)에 공급된다.
분류탑(18)에 있는 탈메탄화기는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트레이들, 1개 이상의 충전층, 또는 트레이들과 충전의 일부 결합을 포함하는 종래의 증류 컬럼이다. 천연 가스 공정 플랜트에서 흔히 있는 경우와 같이, 분류탑은 2개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섹션(18a)은 부분적으로 증기화된 최상단 피드가 각각의 증기와 액체 부분으로 분할되는 분리기이며, 여기서 하부 증류 또는 탈메탄화 섹션(18b)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는 최상단 피드의 증기 부분과 결합하여 냉각 탈메탄화기 오버헤드 증기(스트림(41))를 형성하고, 이는 -136 ℉[-93 ℃]에서 분류탑의 최상부(top)에서 빠져나간다. 하부의 탈메탄화 섹션(18b)은 트레이들 및/또는 팩킹을 포함하며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액체와 위로 상승하는 증기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한다. 탈메탄화 섹션(18b)은 또한 리보일러 (예로서, 이전에 기재된 리보일러 및 사이드 리보일러)를 포함하며, 리보일러는 컬럼 아래로 흐르는 액체의 일부를 가열하여 증기화시켜 스트리핑 증기를 제공하고 스트리핑 증기는 컬럼 위로 유동되며 메탄과 더 가벼운 성분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44)을 스트리핑한다.
액체 생성물 스트림(44)은 바닥(bottom) 생성물에서 질량 기준으로 메탄 대 에탄 비가 0.010:1인 통상적인 사양에 근거한, 65 ℉[19 ℃]의 분류탑의 바닥에서 빠져나간다. 잔류 가스(탈메탄화기 오버헤드 증기 스트림(41))는 그 가스가 -44 ℉[-42 ℃](스트림(410a))로 가열되는 열교환기(13)에서 그리고 그 가스가 96 ℉[36 ℃](스트림(41b))로 가열되는 열교환기(10)에서 유입 피드 가스로 역류식으로 나아간다. 그 다음 잔류 가스는 2개 단계로 재압축된다. 제1 단계는 팽창기(15)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6)이다. 제2 단계는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20)로 이는 잔류 가스(스트림(41d))를 판매 라인 압력으로 압축시킨다. 배출 냉각기(21)에서 120 ℉[49 ℃]로 냉각시킨 후, 잔류 가스 생성물(스트림(41e))은 라인 요구조건(통상적으로 유입 압력 순으로)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915 psia[6,307 kPa(a)]의 판매 가스 배관으로 흘러간다.
도 1에 도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을 다음 표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설명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나타난 공정에서 고려된 피드 가스 조성과 조건들은 도 1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의 공정은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공정과 비교될 수 있다.
도 2의 공정의 시뮬레이션에서, 유입 가스는 스트림(31)으로서 플랜트로 들어가 2개의 부분으로, 즉, 스트림(32)과 스트림(33)으로 분할된다. 제1 부분 스트림(32)은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피드 냉각 섹션(118a)의 상부 영역에 있는 열교환 수단으로 들어간다. 상기 열교환 수단은 핀튜브형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평행류형 알루미늄 열교환기, 또는 다중-패스(multi-pass)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교환기들을 포함하여 기타 방식의 열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수단은 열교환 수단의 하나의 패스를 통하여 흐르는 스트림(32)과 피드 냉각 섹션(118a)의 하부 영역에 있는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된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b)으로부터 발생하는 증류 증기 스트림 사이에 열교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증류 증기 스트림을 추가로 가열하는 동안 스트림(32)은 냉각되고 스트림(32a)은 -26 ℉[-32 ℃]에서 열교환 수단을 떠난다.
제2 부분 스트림(33)은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탈메탄화 섹션(118d) 내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들어간다.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또한 핀튜브형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평행류형 알루미늄 열교환기, 또는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교환기를 포함한, 기타 유형의 열전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하나의 패스를 통하여 흐르는 스트림(33)과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흡수 섹션(118c)으로부터 아래로 흐르는 증류 액체 스트림 사이의 열 교환을 제공하여, 증류 액체 스트림을 가열하면서 스트림(33)이 냉각되고,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떠나기 전에 스트림(33a)을 -38 ℉[-32 ℃]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증류 액체 스트림이 가열됨에 따라, 이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스트리핑 증기를 형성하고 이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통하여 아래로 연속적으로 흐르는 나머지 액체로서 위로 상승한다.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스트리핑 증기와 증류 액체 스트림 사이에 연속적인 접촉을 제공하여 증기와 액체상 사이에 물질 전달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여, 메탄과 더 가벼운 성분의 액체 생성물 스트림(44)을 스트리핑한다.
스트림(32a)과 스트림(33a)은 재결합하여 스트림(31a)을 형성하고, 이는 -30 ℉[-34 ℃] 및 898 psia[6,189 kPa(a)]에서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e)으로 들어가게 되면, 여기서 증기(스트림(34))가 응축된 액체(스트림(35))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섹션(118e)은 내부 헤드 또는 탈메탄화 섹션(118d)으로부터 이를 분할하는 기타 수단을 갖고 있어,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상기 2개의 섹션은 상이한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다.
분리기 섹션(118e)으로부터의 증기(스트림(34))는 2개의 스트림, 스트림(36)과 스트림(39)으로 분할된다. 전체 증기의 약 32%를 함유하는 스트림(36)은 상기 분리된 액체(스트림(35), 스트림(37)을 경유)와 결합되고, 결합된 스트림(38)은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피드 냉각 섹션(118a)의 하부 영역 내 열교환 수단으로 들어간다. 상기 열교환 수단도 마찬가지로 핀튜브형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평행류형 알루미늄 열교환기, 또는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교환기를 포함한, 기타 타입의 열전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 수단은 열교환 수단의 하나의 패스를 통하여 흐르는 스트림(38)과 분리기 섹션(118b)으로부터 상승하는 증류 증기 스트림 사이에 열교환을 제공하여, 증류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면서 스트림(38)이 실질적으로 응축되어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130 ℉[-90 ℃]에서 생성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38a)은 팽창 밸브(14)를 통하여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흡수 섹션(118c)(흡수 수단)의 작동 압력(대략 415 psia[2,861 kPa(a)]으로 플래쉬 팽창된다. 팽창하는 동안, 상기 스트림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전체 스트림을 냉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공정에서, 팽창 밸브(14)를 떠나는 팽창된 스트림(38b)은 온도가 -136 ℉[-94 ℃]에 도달하고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b)으로 공급된다. 거기에서 분리된 액체는 흡수 섹션(118c)으로 향하게 되고, 나머지 증기는 흡수 섹션(118c)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와 결합하여 증류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이는 냉각 섹션(118a)에서 가열된다.
분리기 섹션(118e)으로부터 나온 증기의 나머지 68%(스트림(39))는 일 팽창기(15)로 들어가며, 여기서 기계적 에너지가 고압 피드의 이 부분으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팽창기(15)는 증기를 실질적으로 등엔트로피로 흡수 섹션(118c)의 공정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일 팽창은 팽창된 스트림(39a)을 대략 -94 ℉[-70 ℃]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후,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된 스트림(39a)은 피드로서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된다.
흡수 섹션(118c)은 다수의 수직으로 이격된 트레이, 1개 이상의 충전층, 또는 트레이와 충전의 일부 결합을 포함한다. 흡수 섹션(118c) 중의 트레이와 충전은 위로 상승하는 증기와 아래로 떨어지는 차가운 액체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한다. 팽창된 스트림(39a) 중 액체 부분은 흡수 섹션(118c)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액체와 결합하고, 결합된 액체는 탈메탄화 섹션(118d)으로 계속 떨어진다. 탈메탄화 섹션(118d)으로부터 상승하는 스트리핑 증기는 상기 팽창된 스트림(39a)의 증기 부분과 결합되고 흡수 섹션(118c)을 통하여 위로 상승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차가운 액체와 접촉하게 되어 이들 증기로부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성분을 응축시키고 흡수한다.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탈메탄화 섹션(118d) 중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증류 액체는 메탄과 더 가벼운 성분을 스트리핑한다. 생성된 액체 생성물(스트림(44))은 탈메탄화 섹션(118d)의 하부 영역으로 배출되어 67 ℉[20 ℃]에서 공정 조립체(118)를 떠난다. 분리기 섹션(118b)으로부터 상승하는 증류 증기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32)과 스트림(38)으로 냉각이 제공됨에 따라 피드 냉각 섹션(118a)에서 가열되고, 생성된 잔류 가스 스트림(41)은 96 ℉[36 ℃]에서 공정 조립체(118)를 떠난다. 그 다음 잔류 가스는 2개의 단계, 팽창기(15)로 구동되는 압축기(16)와 보조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20)에서 재압축된다. 배출 냉각기(21)에서 스트림(41b)을 120 ℉[49 ℃]로 냉각시킨 후, 잔류 가스 생성물(스트림(41)c)을 915 psia[6,307 kPa(a)]에서 판매용 가스 배관으로 흐르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공정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을 다음 표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I과 II의 비교는 본 발명이 종래 기술과 동일한 회수율을 본질적으로 유지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표 I과 II의 추가 비교는 종래 기술 보다 훨씬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생성물 수율이 달성됨을 나타낸다. 회수 효율(단위 전력당 회수된 에탄의 양으로 정의)면에서, 본 발명은 도 1 공정의 종래 기술보다 거의 7%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1의 종래 기술의 회수 효율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회수 효율의 개선은 주로 2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 피드 냉각 섹션(118a)에 있는 열교환 수단과 공정 조립체(118)의 탈메탄화 섹션(118d)에 있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콤팩트한 배치는 종래의 공정 플랜트에서 발견되는 상호접속용 배관에 의하여 부과된 압력 강하를 제거한다. 그 결과 팽창기(15)로 흐르는 피드 가스 부분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더 고압 상태에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팽창기(15)는 더 높은 유출 압력에서 전력을 종래 기술의 팽창기(15)가 더 낮은 유출 압력에서 생산할 수 있는 만큼이나 많이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 조립체(118)의 흡수 섹션(118c)은 동일한 회수율 수준을 유지하면서 종래 기술의 분류 컬럼(18) 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호접속용 배관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더 높은 작동 압력과 잔류 가스에 대한 압력 강하의 감소로 잔류 가스가 들어가는 압축기(20)에 대해 압력이 훨씬 더 높아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잔류 가스를 배관 압력으로 회수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이 감소된다.
둘째, 생성된 증기를 액체와 접촉시키고 이의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동시에 흡수 섹션(118c)을 떠나는 증류 액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탈메탄화 섹션(118d)에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외부의 리보일러가 있는 종래의 증류 컬럼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휘발성 성분을 액체로부터 연속적으로 스트리핑시켜, 스트리핑 증기의 휘발성 성분의 농도를 더욱 신속하게 감소시키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스트리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 외에도 종래 기술에 비해 2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의 공정 조립체(118)의 콤팩트한 배치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5개의 별도 장비(도 1에서 열교환기(10), 열교환기(11) 및 열교환기(13); 분리기(12); 및 분류탑(18))가 단일 장비(도 2에서 공정 조립체(118))로 대체된다. 이는 대지 공간 요구량을 감소시키고 상호접속용 배관을 제거하여, 종래 기술보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공정 플랜트의 자본 투자비를 절감시킨다. 둘째, 상호접속용 배관을 제거한다는 것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공정 플랜트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훨씬 더 적은 플랜지형 접속부를 갖기 때문에, 플랜트에서 잠재적인 누출 원인의 개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탄화수소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VOCs)이며, 이의 일부는 온실효과 가스로서 분류되며 또 이의 일부는 대기 오존 형성의 전구체가 될 수 있어, 이는 본 발명이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대기 방출의 잠재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구현예들
어떤 경우 공정 조립체(118)로부터 피드 냉각 섹션(118a)을 제거하는 것과, 피드 냉각을 위하여 공정 조립체에 외부의 열교환 수단, 예로서 도 10 내지 17에 나타낸 열교환기(10)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배치로 공정 조립체(118)를 더 작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플랜트 비용을 절감하고(하거나) 어떤 경우 조립 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열교환기(10)는 다수의 개별적인 열교환기 또는 단일의 다중-패스 열교환기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이의 조합임을 주의한다. 그러한 각각의 열교환기는 핀튜브형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평행류형 알루미늄 열교환기, 또는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교환기를 포함한, 기타 유형의 열전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 도 2, 4, 6, 8, 10, 12, 14, 및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림(40)을 통하여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직접 액체 스트림(35)을 공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적절한 팽창 장치(예로서 팽창 밸브(17))를 사용하여 액체를 흡수 섹션(118c)의 작동 압력으로 팽창시켜 생성된 팽창된 액체 스트림(40a)을 피드로서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한다(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경우, 액체 스트림(35)의 일부(스트림(37))를 스트림(36)의 증기(도 2, 6, 10, 및 14)와, 또는 냉각된 제2 부분(33a)(도 4, 8, 12, 및 16)과 결합시켜, 결합된 스트림(38)을 형성시키고 액체 스트림(35)의 나머지 부분을 스트림(40/40a)을 통하여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향하여 가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떤 경우, 팽창된 액체 스트림(40a)을 팽창된 스트림(39a)(도 2, 6, 10, 및 14) 또는 팽창된 스트림(34a)(도 4, 8, 12, 및 16)과 결합시킨 후 결합된 스트림을 단일 피드로서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피드 가스가 더 풍부할 경우, 스트림(35)에서 분리된 액체의 양은 도 3, 7, 11,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된 스트림(39a)과 팽창된 액체 스트림(40a) 사이에, 또는 도 5, 9, 13, 및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된 스트림(34a)과 팽창된 액체 스트림(40a) 사이의 탈메탄화 섹션(118d)에 추가의 물질 전달 영역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정도로 충분히 클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탈메탄화 섹션(118d)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팽창된 액체 스트림(40a)이 상기 두 부분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어떤 경우는 액체 스트림(35)의 일부(스트림(37))를 스트림(36)의 증기(도 3, 7, 11, 및 15)와 또는 냉각된 제2 부분(33a)(도 5, 9, 13, 및 17)과 결합시켜, 결합된 스트림(38)을 형성하면서, 액체 스트림(35)의 나머지 부분(스트림(40))이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스트림(40a)으로서 탈메탄화 섹션(118d)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떤 경우는 도 4, 5, 8, 9, 12, 13, 16, 및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된 제1 및 제2 부분(스트림(32a) 및 스트림(33a))을 결합시키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냉각된 제1 부분(32a)만이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e)(도 4, 5, 12, 및 13)으로, 또는 증기(스트림(34))가 응축된 액체(스트림(35))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12)(도 8, 9, 16, 및 17)로 향하게 된다. 증기 스트림(34)은 일 팽창기(15)로 들어가 실질적으로 등엔트로피로 흡수 섹션(118c)의 작동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때 팽창된 스트림(34a)은 피드로서 공정 조립체(118)내에 있는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된다. 냉각된 제2 부분(33a)은 상기 분리된 액체(스트림(35), 스트림(37)을 경유)와 결합되고, 결합된 스트림(38)은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피드 냉각 섹션(118a)의 하부 영역의 열교환 수단으로 향하게 되고,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된다.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38a)은 팽창 밸브(14)를 통하여 흡수 섹션(118c)의 작동 압력으로 플래쉬 팽창되고, 이때 팽창된 스트림(38b)은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b)으로 공급된다. 어떤 경우에는, 액체 스트림(35)의 일부(스트림(37))만 냉각된 제2 부분(33a)과 결합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스트림(40))은 팽창 밸브(17)를 통하여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된다. 다른 경우에는, 액체 스트림(35) 모두를 팽창 밸브(17)를 통하여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보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공정 조립체(118)에 분리기 섹션(118e)을 포함시키기 보다는 냉각된 피드 스트림(31a) 또는 냉각된 제1 부분(32a)을 분리시키기 위한 외부 분리기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6, 7, 14, 및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기(12)를 사용하여 냉각된 피드 스트림(31a)을 증기 스트림(34)과 액체 스트림(35)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 9, 16, 및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기(12)를 사용하여 냉각된 제1 부분(32a)을 증기 스트림(34)과 액체 스트림(35)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피드 가스 중에 더 무거운 탄화수소의 양과 피드 가스 압력에 따라서, 도 2, 3, 10, 및 11에서 분리기 섹션(118e) 또는 도 6, 7, 14, 및 15에서 분리기(12)로 들어가는 냉각된 피드 스트림(31a)(또는 도 4, 5, 12, 및 13에서 분리기 섹션(118e) 또는 도 8, 9, 16, 및 17에서 분리기(12)로 들어가는 냉각된 제1 부분(32a))이 어떠한 액체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이의 이슬점 이상이기 때문이거나, 또는 이의 최대응축압력(cricondenbar) 이상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 스트림(35)과 스트림(37)에 액체가 없으며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따라서 스트림(36)에서 분리기 섹션(118e)으로부터의 증기(도 2, 3, 10, 및 11), 스트림(36) 에서 분리기(12)로부터의 증기(도 6, 7, 14, 및 15), 또는 냉각된 제2 부분(33a) (도 4, 5, 8, 9, 12, 13, 16, 및 17)만이 스트림(38)으로 흘러 공정 조립체(118)의 분리기 섹션(118b)으로 공급되는, 팽창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38b)이 된다. 그러한 경우, 공정 조립체(118) 내에 있는 분리기 섹션(118e)(도 2 내지 5 및 10 내지 13), 또는 분리기(12)(도 6 내지 9 및 14 내지 17)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피드 가스 조건들, 플랜트 크기, 가용 장비, 또는 다른 요인들은 일 팽창기(15)의 제거, 또는 다른 팽창 장치(예컨대, 팽창 밸브)로 대체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개별 스트림 팽창이 특정 팽창 장치들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적합한 경우에 대체할 수 있는 팽창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들은 피드 스트림의 실질적으로 응축된 부분(스트림(38a))의 일 팽창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증류 증기 및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유입 가스로 이용될 수 있는 냉각을 보충하기 위하여 외부 냉동을, 특히 풍부한 유입 가스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2 내지 5 및 10 내지 1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분리기 섹션(118e)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냉각된 피드 스트림(31a) 또는 냉각된 제1 부분(32a)이 액체를 함유하는 않는 경우 가스 수집 수단), 도 6 내지 9 및 14 내지 17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분리기(1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핀튜브형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평행류형 알루미늄 열교환기, 또는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교환기를 포함한, 기타 유형의 열전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배치하여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하나의 패스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 스트림(예, 프로판)과 위로 흐르는 스트림(31a)(도 2, 3, 6, 7, 10, 11, 14, 및 15) 또는 스트림(32a)(도 4, 5, 8, 9, 12, 13, 16, 및 17)의 증기 부분 사이에 열교환을 제공하여, 냉매가 추가로 증기를 냉각시키고 추가의 액체를 응축시켜, 액체가 아래쪽으로 떨어져 스트림(35)에서 제거되는 액체의 일부가 된다. 대안적으로, 종래의 가스 냉동기(들)를 사용하여 스트림(31a)이 분리기 섹션(118e)(도 2, 3, 10, 및 11) 또는 분리기(12)(도 6, 7, 14, 및 15)로 들어가거나 스트림(32a)이 분리기 섹션(118e)(도 4, 5, 12, 및 13) 또는 분리기(12)(도 8, 9, 16, 또는 17)로 들어가기 전에 스트림(32a), 스트림(33a) 및/또는 스트림(31a)을 냉매로 냉각시킬 수 있다.
피드 가스의 온도 및 풍부성과 액체 생성물 스트림(44)에서 회수할 C2 성분의 양에 따라, 탈메탄화 섹션(118d)을 떠나는 액체가 제품 사양을 충족시킬 만큼 스트림(33)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열이 불충분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탈메탄화 섹션(118d)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도 2 내지 17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매체로 보충 가열을 제공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충 가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탈메탄화 섹션(118d)의 하부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거나, 탈메탄화 섹션(118d)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공급하기 전에 가열 매체로 스트림(33)을 가열할 수 있다.
피드 냉각 섹션(118a)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서 열교환 수단용으로 선택되는 열 전달 장치들의 유형에 따라서, 이들 열교환 수단을 단일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 전달 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다중-패스 및/또는 다중-서비스 열 전달 장치는 원하는 냉각 및 가열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트림(32), 스트림(38) 및 증류 증기 스트림을 분배, 분리 및 수집하는 적합된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탈메탄화 섹션(118d)의 상부 영역에 추가의 물질 전달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물질 전달 수단은 팽창된 스트림(39a)(도 2, 3, 6, 7, 10, 11, 14, 및 15) 또는 팽창된 스트림(34a)(도 4, 5, 8, 9, 12, 13, 16, 및 17)이 흡수 섹션(118c)의 하부 영역으로 들어가는 곳보다 아래에 그리고 냉각된 제2 부분(33a)가 탈메탄화 섹션(118d) 중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을 떠나는 곳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2, 3, 6, 7, 10, 11, 14, 및 15 구현예들을 위한 덜 바람직한 선택조건은 냉각된 제1 부분(32a)용 분리기 용기, 냉각된 제2 부분(33a)용 분리기 용기를 제공하고, 거기에서 분리된 증기 스트림을 결합시켜 증기 스트림(34)을 형성시키며, 거기에서 분리된 액체 스트림을 결합시켜 액체 스트림(35)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위한 덜 바람직한 다른 조건은 피드 냉각 섹션(118a) 내부의 별개의 열교환 수단에서 스트림(37)을 냉각시키고 (스트림(37)과 스트림(36) 또는 스트림(33a)을 결합시켜, 결합된 스트림(38)을 형성시키기보다는), 상기 냉각된 스트림을 별개의 팽창 장치에서 팽창시켜, 상기 팽창된 스트림을 흡수 섹션(118c)의 중간 영역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분리된 증기 피드의 각 지류에 있는 피드의 상대적인 양은 가스 압력, 피드 가스 조성, 피드로부터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열의 양 및 가용 마력(horsepower)의 양을 포함한, 몇몇 요인에 좌우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흡수 섹션(118c) 위로 피드가 더 많아지면 회수율이 증가될 수 있는 반면, 팽창기로부터 회수되는 전력이 감소되어 재압축 마력 요구량이 증가된다. 흡수 섹션(118c) 아래로 피드를 증가시키면 마력 소모량이 감소되지만 생성물 회수율도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정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비량당 C2 성분, C3 성분, 및 이보다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이보다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향상된 회수율을 제공한다. 공정을 운전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비량의 개선은 압축 또는 재압축을 위한 감소된 전력 요구량, 외부 냉동을 위한 감소된 전력 요구량, 보충 가열을 위한 감소된 에너지 요구량, 또는 이의 결합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설명하였는 바, 당해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다른 조건들, 피드 타입들 또는 다른 요구조건들에 적용하기 위해 아래의 청구범위에 규정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경 및 추가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38)

  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냉각되며;
    (3)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고;
    (4)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과 결합되어 냉각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며;
    (5) 상기 냉각된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6)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이를 실질적으로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저압으로 팽창되어, 이에 의하여 추가로 냉각되며;
    (7)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공정 조립체(processing assembly)에 내장되어 있는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top feed)로서 공급되고;
    (8)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바닥 피드(bottom feed)로서 공급되며;
    (9)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하여 단계 (2)와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그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0)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하여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1)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냉각되며;
    (3)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고;
    (4)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과 결합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며;
    (5)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고 거기서 분리되어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6) 상기 증기 스트림이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7)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이에 의해 추가로 냉각되고;
    (8)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로서 공급되며;
    (9)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제1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며;
    (11)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2) 및 단계 (7)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2)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3)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냉각되며;
    (3)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고;
    (4)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과 결합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며;
    (5)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고 거기서 분리되어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6) 상기 증기 스트림이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며;
    (7)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시키고;
    (8)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에 의하여 더 냉각되고;
    (9) 상기 팽창되고 냉각되고 결합된 스트림이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로서 공급되며;
    (10)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상기 흡수 수단에 제1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상기 흡수 수단에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12)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2) 및 단계 (8)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3)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4)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냉각되고 이후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며;
    (3)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부분이 공정 조립체(processing assembly)에 내장된 흡수 수단에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4)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에 의하여 더 냉각되며;
    (5)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부분이 상기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로서 공급되고;
    (6)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2) 및 단계 (4)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7)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8)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이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며;
    (3)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1 부분이 분리 수단에 공급되어 거기서 분리되어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4) 상기 증기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흡수 수단에 제1 바닥 피드(bottom feed)로서 공급되고;
    (5)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상기 흡수 수단에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6)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에 의하여 더 냉각되며;
    (7)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부분이 상기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로서 공급되고;
    (8)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2) 및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9)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0)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6.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이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되고;
    (2) 상기 제1 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이 제1 부분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며;
    (3)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1 부분이 분리 수단에 공급되어 거기서 분리되어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4) 상기 증기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흡수 수단에 제1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5) 상기 제2 부분이 냉각되고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어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시키고;
    (6)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모두 응축시키고 이후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에 의하여 이 스트림이 더 냉각되고;
    (7) 상기 팽창되고 냉각되고 결합된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에 최상단 피드로서 공급되며;
    (8)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어 상기 흡수 수단에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고;
    (9) 증류 증기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하나 이상의 열교환 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2) 및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0) 증류 액체 스트림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수집되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서 가열되고, 이에 의해 단계 (5)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이 더 큰 성분들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시키고;
    (11) 상기 흡수 수단으로 보내지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이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 중 대부분들이 회수되는,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팽창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정 조립체로 공급되어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들어가는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팽창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정 조립체로 공급되어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들어가는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팽창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정 조립체로 공급되어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들어가는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 및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팽창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정 조립체로 공급되어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들어가는 방법.
  11. 청구항 2, 3, 5, 6, 7, 8,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1)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2)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passes)을 포함하며;
    (3) 상기 냉각된 가스 스트림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공급되어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해 더 냉각되고;
    (4) 상기 더 냉각된 가스 스트림이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되는 방법.
  13. 청구항 4에 있어서,
    (1)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2)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며;
    (3)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공급되어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의 냉매에 의해 더 냉각되고;
    (4) 상기 더 냉각된 제1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되고 이후 상기 흡수 수단에 상기 바닥 피드로서 공급되는 방법.
  14. 청구항 2, 3, 5, 6, 7, 8, 9 또는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내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며;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추가의 응축물을 형성하고;
    (3) 상기 응축물은 거기에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일부가 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1)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내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며;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추가의 응축물을 형성하고;
    (3) 상기 응축물은 거기에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일부가 되는 방법.
  16.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2 또는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피드 가스에 의해 공급된 가열을 보충하는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피드 가스에 의해 공급된 가열을 보충하는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피드 가스에 의해 공급된 가열을 보충하는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피드 가스에 의해 공급된 가열을 보충하는 방법.
  20.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제1 분할 수단(dividing means);
    (2)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4) 상기 제1 열교환 수단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1 부분과 상기 냉각된 제2 부분을 수용하여 냉각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결합 수단(combining means);
    (5)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제2 분할 수단;
    (6)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7)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 팽창 수단;
    (8)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그의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9)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며,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그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 팽창 수단;
    (10)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11)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2)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3)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4)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시키고,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5)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제1 분할 수단;
    (2)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4) 상기 제1 열교환 수단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1 부분과 상기 냉각된 제2 부분을 수용하여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결합 수단;
    (5)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separating means);
    (6)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제2 분할 수단;
    (7)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8)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기는 제1 팽창 수단;
    (9)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그의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10)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며,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그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는 제2 팽창 수단;
    (11)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그의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3 팽창 수단;
    (12)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13)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7)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4)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5)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6)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7)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제1 분할 수단;
    (2)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4) 상기 제1 열교환 수단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1 부분과 상기 냉각된 제2 부분을 수용하여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제1 결합 수단;
    (5) 상기 제1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6)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제2 분할 수단;
    (7) 상기 제2 분할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제2 결합 수단;
    (8) 상기 제2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9)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되고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 팽창 수단;
    (10)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되고 결합된 스트림을 그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11) 상기 제2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며,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이에 제1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2 팽창 수단;
    (1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이에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3 팽창 수단;
    (13)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14)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8)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5)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6)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7)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8)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
    (2)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4)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추가로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5)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 팽창 수단;
    (6)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부분을 그의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7) 상기 제1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부분을 그의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2 팽창 수단;
    (8)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9)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4)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0)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1)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2)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3)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3)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
    (2)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상기 제1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
    (4)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5)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6)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 팽창 수단;
    (7)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부분을 그의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8)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그의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2 팽창 수단;
    (9)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그의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3 팽창 수단;
    (10)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11)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5)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2)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고,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3)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4)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4)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욱 휘발성인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5)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 또는 C3 성분 및 더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1) 상기 가스 스트림을 제1 및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
    (2)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수용하여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는 제1 열교환 수단;
    (3) 상기 제1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
    (4)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분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냉각시키는 열 및 물질 전달수단;
    (5)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시키는 결합 수단;
    (6)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충분하게 냉각시켜 이를 실질적으로 응축시키는 제2 열교환 수단;
    (7)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되고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 팽창 수단;
    (8)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되고 결합된 스트림을 그의 최상단 피드로서 수용하는 흡수 수단;
    (9)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그의 제1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2 팽창 수단;
    (10)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거기로의 제2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제3 팽창 수단;
    (11)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수집 수단;
    (12) 상기 증기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6)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상기 제2 열교환 수단;
    (13) 상기 제2 열교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추가로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2)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며, 이후 상기 추가로 가열된 증류 증기 스트림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제1 열교환 수단;
    (14)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어 상기 흡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수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는 액체 수집 수단;
    (15) 상기 액체 수집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가열하여, 이에 의해 단계 (4)의 냉각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면서 동시에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을 스트리핑하면서, 이후 상기 가열되고 스트리핑한 증류 액체 스트림을 상기 공정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으로서 배출하는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 및
    (16) 어떤 온도에서 상기 흡수 수단의 상기 상부 영역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작은 유분의 성분들의 대부분들이 회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 수단으로 향하는 상기 피드 스트림들의 양들과 온도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맞추어진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와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공정 조립체가 상기 제3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로 보내는 장치.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와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공정 조립체가 상기 제3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로 보내는 장치.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와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공정 조립체가 상기 제3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로 보내는 장치.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1)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부와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2) 상기 공정 조립체가 상기 제3 팽창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로 보내는 장치.
  30. 청구항 21, 22, 24, 25, 26, 27, 28 또는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된 장치.
  31. 청구항 20에 있어서,
    (1)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2)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 내에 포함되며,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고;
    (3) 상기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해 추가로 냉각되게 하고;
    (4) 상기 제2 분할 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맞추어져 상기 추가로 냉각된 가스 스트림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장치.
  32. 청구항 23에 있어서,
    (1)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공정 조립체에 내장되고;
    (2)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 내에 포함되며,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고;
    (3) 상기 가스 수집 수단이 상기 제1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해 추가로 냉각되게 하고;
    (4) 상기 제2 팽창 수단이 상기 가스 수집 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맞추어져 상기 추가로 냉각된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상기 더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키고,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흡수 수단에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추가로 냉각된 제1 부분을 그의 상기 바닥 피드로서 공급하는 장치.
  33. 청구항 21, 22, 24, 25, 26, 27, 28 또는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내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게 하여 추가의 응축물을 형성시키고;
    (3) 상기 응축물이 거기에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일부가 되게 하는 장치.
  34. 청구항 30에 있어서,
    (1)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 내에 포함되고,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은 외부 냉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은 상기 추가의 열 및 물질 전달수단으로 보내져 상기 외부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게 하여 추가의 응축물을 형성시키고;
    (3) 상기 응축물이 거기에서 분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일부가 되게 하는 장치.
  35. 청구항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1 또는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공급되는 열을 보충하기 위한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는 장치.
  36.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공급되는 열을 보충하기 위한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는 장치.
  37.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공급되는 열을 보충하기 위한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는 장치.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열 및 물질 전달수단이 상기 증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더 강한 휘발성 성분의 상기 스트리핑을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공급되는 열을 보충하기 위한 외부 가열 매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패스들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27000632A 2010-03-31 2011-03-17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KR101714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29331 WO2010144172A1 (en) 2009-06-11 2010-03-31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2/750,862 US8881549B2 (en) 2009-02-17 2010-03-31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PCT/US2010/029331 2010-03-31
US12/750,862 2010-03-31
US12/772,472 2010-05-03
PCT/US2010/033374 WO2010144186A1 (en) 2009-06-11 2010-05-03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2/772,472 US9933207B2 (en) 2009-02-17 2010-05-03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PCT/US2010/033374 2010-05-03
US12/781,259 US9939195B2 (en) 2009-02-17 2010-05-17 Hydrocarbon gas processing including a single equipment item processing assembly
WOPCT/US2010/035121 2010-05-17
PCT/US2010/035121 WO2010144217A1 (en) 2009-06-11 2010-05-17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2/781,259 2010-05-17
US13/048,315 2011-03-15
US13/048,315 US9052136B2 (en) 2010-03-31 2011-03-15 Hydrocarbon gas processing
PCT/US2011/028872 WO2011123253A1 (en) 2010-03-31 2011-03-17 Hydrocarbon gas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655A true KR20120139655A (ko) 2012-12-27
KR101714101B1 KR101714101B1 (ko) 2017-03-08

Family

ID=5629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632A KR101714101B1 (ko) 2010-03-31 2011-03-17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14101B1 (ko)
MX (1) MX341419B (ko)
PE (1) PE201109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882A (ko) * 2013-09-11 2016-05-20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탄화수소 가스 처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342A (en) * 1985-11-27 1988-05-24 Phillips Petroleum Company Recovery of NGL's and rejection of N2 from natural gas
US5568737A (en) * 1994-11-10 1996-10-2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JP2006523296A (ja) * 2003-03-07 2006-10-12 オートロフ・エンジニアーズ・リミテッド 低温天然ガス加工プラントにおけるlngの生産
JP2007534923A (ja) * 2004-04-26 2007-11-29 オートロフ・エンジニアーズ・リミテッド 天然ガスの液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342A (en) * 1985-11-27 1988-05-24 Phillips Petroleum Company Recovery of NGL's and rejection of N2 from natural gas
US5568737A (en) * 1994-11-10 1996-10-2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JP2006523296A (ja) * 2003-03-07 2006-10-12 オートロフ・エンジニアーズ・リミテッド 低温天然ガス加工プラントにおけるlngの生産
JP2007534923A (ja) * 2004-04-26 2007-11-29 オートロフ・エンジニアーズ・リミテッド 天然ガスの液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882A (ko) * 2013-09-11 2016-05-20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탄화수소 가스 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101B1 (ko) 2017-03-08
MX2011003364A (es) 2011-09-29
PE20110910A1 (es) 2011-12-29
MX341419B (es)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927B2 (ja) 炭化水素ガスの処理
JP4571934B2 (ja) 炭化水素ガス処理
KR20120026607A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KR101680923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방법
KR101714102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방법
EP2553365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AU2011233577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KR20130040764A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KR101676069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AU2010259245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KR101687851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KR101714101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JP5798180B2 (ja) 炭化水素ガス処理
KR101758395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WO2011123276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EP2553368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