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427A - 종이 수납장용 서랍 - Google Patents

종이 수납장용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427A
KR20120139427A KR1020110059221A KR20110059221A KR20120139427A KR 20120139427 A KR20120139427 A KR 20120139427A KR 1020110059221 A KR1020110059221 A KR 1020110059221A KR 20110059221 A KR20110059221 A KR 20110059221A KR 20120139427 A KR20120139427 A KR 20120139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t
bending
draw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신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병철 filed Critical 신병철
Priority to KR102011005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9427A/ko
Publication of KR2012013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cardboard, textile, paper, or the like, e.g. with separate frame of othe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전체적으로 종이로 제조되어 가볍고 원가 절감을 구현하며 정면에는 장식용 목재판을 형성하여 손잡이 설치가 가능하면서 견고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이 수납장용 서랍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종이 수납장용 서랍{Drawer of paper storage closet}
본 발명은 종이 수납장용 서랍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종이로 제조되어 가볍고 원가 절감을 구현하며 정면에는 장식용 목재판을 형성하여 손잡이 설치가 가능하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이 수납장용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의류, 장난감, 사무용품을 포함하여 기타 생활에 필요한 물건 등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장이 구비되는 데, 대부분의 수납장은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수납장은 가격이 고가이고 중량이 많이 나가며 생산 설비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물론, 플라스틱 수납장의 경우에는 친환경적이지 않은 단점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이 있는 종이 수납장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종이 수납장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5-79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종이로 제작된 수납장은 통상 수납몸체와 수납몸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서랍으로 구성되며, 서랍 내에 물건을 보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납몸체와 서랍은 전체가 종이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이로 제작된 대부분의 수납장은 종이의 특성상 견고함이 떨어지고 디자인이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물건이 직접적으로 보관되고 사용자가 가장 많이 만지게 되고 눈으로 보게 되는 서랍을 개선하여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견고함으로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가장 많이 만지게 되고 눈으로 보게 되는 서랍의 정면부분을 미려하게 장식하고 견고하게 형성하여 수납장이 전체적으로 견고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갖도록 한 종이 수납장용 서랍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좌측판;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우측판; 상기 좌측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어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좌측절곡판; 상기 우측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어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우측절곡판;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되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안쪽면으로 접혀 후면판과 함께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감싸 지지하는 후면절곡판; 상기 바닥판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되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정면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노출공이 관통 형성된 정면판; 상기 정면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정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목재판; 및 상기 정면판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안쪽면으로 접혀 정면판과 함께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감싸 지지하는 정면절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수납장용 서랍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은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였을 때 단부가 서로 닿게 되며, 좌측절곡판에는 결합돌기가 우측절곡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우측절곡판에는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절곡한 후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끼워 넣으면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이 서로 결려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는 접었을 때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좌측판과 우측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커팅된 커팅부가 형성되고,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의 모서리부의 폭이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도록 커팅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을 접었을 때 모서리부가 눌리면서 좌측판과 우측판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재판의 중앙에는 손잡이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면절곡판에는 손잡이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판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측절곡판에는 손잡이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서로 접은 상태에서 관통공과 연통공과 손잡이결합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게 후방에서 와셔를 포함한 나사를 결합한 후 전방에서 나사에 손잡이를 체결하여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은 전체가 종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가볍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정면에 노출공을 형성하고 노출공의 후면에 목재판을 부착하여 다양한 색상 또는 무늬의 목재판을 통해 서랍의 정면을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연출할 수 있고, 서랍의 정면으로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목재판에 의해 서랍의 틀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견고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랍을 접을 때 바닥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좌측판과 우측판이 좌측절곡판의 결합돌기와 우측절곡판의 결합홈에 의한 결속으로 작업자가 좌측판과 우측판을 잡고 있지 않아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종이 수납장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종이 수납장은 종이만으로 제작된 수납몸체(10)와 종이로 제작되되 전방에 목재판(190)이 부착 형성된 서랍(20)으로 구성된다.
수납몸체(10)는 사각틀의 형상을 갖되, 내부에는 서랍(20)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내부공간(12)은 정면으로 개방되며 사방은 막혀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납몸체(10)의 후방에는 서랍(20)을 끼워 넣을 때 잘 들어갈 수 있도록 내부공간(12)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공(14)이 관통 형성되며, 수납몸체(10)의 상면, 하면, 측면에는 수납몸체(10)를 별도의 끈이나 나사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공(16)이 관통 형성된다.
서랍(20)은 수납몸체(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틀의 형상을 갖되, 상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공간(22)이 형성되고 정면에는 수납몸체(10)의 내부공간(12)이 쉽게 넣었다 뺄 수 있도록 손잡이(200)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20)은 후술하겠지만 도 3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제작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각형의 바닥판(100)을 갖되, 바닥판(100)의 좌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좌측판(110)이 형성되고, 바닥판(100)의 우측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우측판(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판(11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좌측절곡판(120)이 형성되고, 우측판(13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우측절곡판(140)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00)의 후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후면판(150)이 형성되고, 바닥판(100)의 선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정면판(170)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면판(150)은 절곡되었을 때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의 후방에 위치한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후면에 밀착되게 위치하게 되고, 정면판(170)은 절곡되었을 때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의 전방에 위치한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정면에 밀착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후면판(150)의 후단부에는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안쪽면으로 접혀 후면판(150)과 함께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감싸 지지하는 후면절곡판(160)이 형성되고, 정면판(170)의 선단부에는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안쪽면으로 접혀 정면판(170)과 함께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감싸 지지하는 정면절곡판(18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은 정면판(170)의 중앙에 노출공(172)이 관통 형성되고, 이 정면판(170)의 후면에는 노출공(172)을 통해 정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목재판(190)이 부착된다. 여기서, 목재판(190)은 정면판(170)에 전체적으로 면적이 동일한 것을 부착하여 목재판(190)이 서랍(20)의 정면 부분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목재판(190)은 정면에 시트지(192)가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시트지(192)를 통해 다양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시트지(192) 대신 페인트칠을 하여 무늬를 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은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였을 때 단부가 서로 닿게 구성되며, 좌측절곡판(120)에는 결합돌기(122)가 우측절곡판(14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우측절곡판(140)에는 결합돌기(122)와 대응되는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절곡한 후 결합돌기(122)를 결합홈(142)에 끼워 넣으면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이 서로 결려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돌기(122)는 외부로 갈수로 벌어지는 역삼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결합홈(142)은 결합돌기(1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면절곡판(180)과 후면절곡판(160)는 접었을 때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의 두께를 고려하여 두께만큼 커팅된 커팅부(162)(182)가 형성된다. 이때, 커팅부(162)(182)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면절곡판(180)과 후면절곡판(160)의 모서리부(164)(184)의 폭이 좌측판(110)과 우측판(130) 사이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도록 커팅부(162)(182)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정면절곡판(180)과 후면절곡판(160)을 접었을 때 모서리부(164)(184)가 눌리면서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바닥판(100), 좌측판(110), 좌측절곡판(120), 우측판(130), 우측절곡판(140), 후면판(150), 후면절곡판(160), 정면판(170), 정면절곡판(180)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연결된 부분은 절곡선(L)이 미리 형성되어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20)의 정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200)가 목재판(190)을 통해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목재판(190)의 중앙에는 손잡이결합공(H1)이 관통 형성되고, 좌측판(1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측절곡판(120)에는 손잡이결합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H2)이 형성되며, 정면절곡판(180)에는 손잡이결합공(H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공(H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정면판(170)에 목재판(190)을 부착한 상태에서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접고 정면절곡판(180)을 접어놓으면 손잡이결합공(H1), 관통공(H2), 연통공(H3)이 서로 일자로 관통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랍(20)을 접어놓은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설치할 때는 연통공(H3)과 관통공(H2)과 손잡이결합공(H1)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게 후방에서 와셔(220)를 포함한 나사(210)를 결합한 후 전방에서 나사(210)에 손잡이(200)를 체결하여 손잡이(200)가 설치되도록 하면 된다. 이처럼 목재판(190)을 통해 손잡이(200)를 설치하기 때문에 손잡이(200)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200)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판(190)의 디자인과 함께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수납장용 서랍을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개도가 펼쳐진 상태에서 정면판(170)의 후면에 목재판(190)을 부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바닥판(100)을 기준으로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을 수직으로 절곡한 후,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안쪽으로 접어놓는다. 이때, 좌측절곡판(120)의 결합돌기(122)가 우측절곡판(140)의 결합홈(142)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이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후면판(150)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후면절곡판(160)을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안쪽면으로 접어서 후면판(150)과 함께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면판(170)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정면절곡판(180)을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의 안쪽면으로 접어서 정면판(170)과 함께 좌측절곡판(120)과 우측절곡판(140)을 감싸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후면절곡판(160)과 정면절곡판(180)의 양측에 형성된 모서리부(164)(184)가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 가압하는 힘과 결합돌기(122)와 결합홈(142)에 의해 결속되려는 힘이 상반되게 작용하면서 좌측판(110)과 우측판(130)은 더욱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서랍(20)의 안쪽에서 좌측절곡판(120)의 관통공(H2)과 정면절곡판(180)의 연통공(H3)과 목재판(190)의 손잡이결합공(H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나사(210)를 끼워 넣는다. 물론, 나사(210)를 끼워 넣을 때는 나사(2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와셔(220)를 함께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사(210)를 결합한 후에는 전방에서 나사(210)에 손잡이(20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물론, 나사(210)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손잡이(200)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서랍(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수납몸체(10)와 함께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수납몸체 12: 내부공간
20: 서랍 22: 수용공간
100: 바닥판 110: 좌측판
120: 좌측절곡판 130: 우측판
140: 우측절곡판 150: 후면판
160: 후면절곡판 170: 정면판
180: 정면절곡판 190: 목재판
200: 손잡이 L: 절곡선

Claims (4)

  1. 사각형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측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좌측판;
    상기 바닥판의 우측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우측판;
    상기 좌측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어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좌측절곡판;
    상기 우측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되어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우측절곡판;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되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안쪽면으로 접혀 후면판과 함께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감싸 지지하는 후면절곡판;
    상기 바닥판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되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정면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노출공이 관통 형성된 정면판;
    상기 정면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정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목재판; 및
    상기 정면판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의 안쪽면으로 접혀 정면판과 함께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감싸 지지하는 정면절곡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수납장용 서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은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였을 때 단부가 서로 닿게 되며, 좌측절곡판에는 결합돌기가 우측절곡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우측절곡판에는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을 절곡한 후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끼워 넣으면 좌측절곡판과 우측절곡판이 서로 결려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수납장용 서랍.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는 접었을 때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좌측판과 우측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커팅된 커팅부가 형성되고,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의 모서리부의 폭이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도록 커팅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정면절곡판과 후면절곡판을 접었을 때 모서리부가 눌리면서 좌측판과 우측판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수납장용 서랍.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판의 중앙에는 손잡이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면절곡판에는 손잡이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판의 선단부에 형성된 좌측절곡판에는 손잡이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서로 접은 상태에서 관통공과 연통공과 손잡이결합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지게 후방에서 와셔를 포함한 나사를 결합한 후 전방에서 나사에 손잡이를 체결하여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수납장용 서랍.
KR1020110059221A 2011-06-17 2011-06-17 종이 수납장용 서랍 KR20120139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21A KR20120139427A (ko) 2011-06-17 2011-06-17 종이 수납장용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21A KR20120139427A (ko) 2011-06-17 2011-06-17 종이 수납장용 서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27A true KR20120139427A (ko) 2012-12-27

Family

ID=4790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21A KR20120139427A (ko) 2011-06-17 2011-06-17 종이 수납장용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94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6758A (zh) * 2015-12-04 2016-03-23 安徽三联木艺包装有限公司 具有透气功能的包装盒
KR102469593B1 (ko) * 2022-01-28 2022-11-22 심상열 친환경 장례용 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6758A (zh) * 2015-12-04 2016-03-23 安徽三联木艺包装有限公司 具有透气功能的包装盒
KR102469593B1 (ko) * 2022-01-28 2022-11-22 심상열 친환경 장례용 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1039S1 (en) Automatically timed locking pill box
USD536271S1 (en) Closed model 3000 thermostat
USD530633S1 (en) Opened model 1000 thermostat
USD534010S1 (en) Storage cabinet with two front doors
USD527499S1 (en) Washing machine
USD548070S1 (en) Box
CA119817S (en) Manikin lung with connecting piece
KR20120139427A (ko) 종이 수납장용 서랍
USD546516S1 (en) Ironing board
USD531527S1 (en) Closed model 2000 thermostat
USD531680S1 (en) Toy cabinet for kitchen
USD540783S1 (en) Speaker box
JP5193095B2 (ja) 天板と下部構造体の結合構造および収納容器
USD604965S1 (en) Foldable table
KR20150088053A (ko) 실내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는 조립식 수납가구
USD547750S1 (en) Speaker box
KR200443569Y1 (ko) 접철식 다목적 종이상자
USD547567S1 (en) Folding tray
KR200484543Y1 (ko) 헤드의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침대
CN220010398U (zh) 一种组合型折叠纸箱
CN206324476U (zh) 铝合金橱柜结构
USD569144S1 (en) Home and picnic utility paper towel rack
CN209331553U (zh) 一种动物造型收纳椅
CN204499948U (zh) 塑料储物柜
KR20190124590A (ko) 봉제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