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389A -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389A
KR20120139389A KR1020110059173A KR20110059173A KR20120139389A KR 20120139389 A KR20120139389 A KR 20120139389A KR 1020110059173 A KR1020110059173 A KR 1020110059173A KR 20110059173 A KR20110059173 A KR 20110059173A KR 20120139389 A KR20120139389 A KR 2012013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rotation
lamp
control signal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9389A/ko
Publication of KR2012013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명상태의 변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transforming illuminating way}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상태 변환이 가능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 실내를 조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명기구가 사용된다. 실내의 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조명되어야 할 부분에 직접 조명하는 직접 조명 방식의 조명기구가 사용된다. 이 경우, 조명기구로부터 방사된 광선의 대부분을 실내의 조명에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조도보다는 실내의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 간접 조명 방식의 조명기구도 많이 사용된다. 간접 조명 방식의 조명기구는 조명기구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실내의 조명에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천정, 벽 등에 빛을 비춘 후, 천정, 벽 등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실내를 조명하는 방식이다. 간접 조명 방식의 경우 에너지 소비 효율은 낮지만,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이나 그늘짐이 적고, 조도분포가 균일하여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직접 또는 간접 조명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명모듈이 각각 회전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명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명상태의 변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램프는 발광다이오드소자,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 상기 조명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조명램프 및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조명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램프는 발광다이오드소자,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기구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이 회전함으로써, 직접 조명상태 및 간접 조명상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명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기구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이 회전함으로써, 조명기구의 조명상태의 변환에 필요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비한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전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지지프레임(10), 조명모듈(12) 및 제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은 조명모듈(12)이 그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조명모듈(12)을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료라면 목제, 금속제, 플라스틱 등 어떠한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모듈(12)은 조명램프(11)를 포함한다. 조명램프(11)는 발광다이오드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등 다양한 종류의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램프(11)가 발광다이오드소자인 경우, 백색 및/또는 빛의 삼원색을 표현하는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 조합의 발광다이오드소자일 수도 있다.
조명모듈(12)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조명모듈(12)의 회전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제어부(41)는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제어부(41)는 전력 제어를 통해 조명모듈(12)에 포함된 조명램프(11)의 디밍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1)는 조명모듈(1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모듈(12)의 회전 각도가 제어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실내의 어느 방향을 조명할 것인지 즉, 조명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정이나 벽 등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곳에 설치될 수 있지만, 실내의 바닥이나 바닥과 근접한 곳의 벽면 등 사용자의 신장보다 낮은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명모듈(12)은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실내의 특정 위치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천정 등 높은 곳에 설치된 경우, 실내의 바닥을 직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조명모듈(12)의 조명램프(11)가 실내의 바닥을 향해 빛을 비추어야 한다. 이 경우, 실내에서 조명이 필요한 부분에만 빛이 비춰지기 때문에 직사광에 의해 충분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천정 등 높은 곳에 설치된 경우, 실내를 간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조명모듈(12)을 회전시켜서 조명램프(11)가 천정이나 벽의 높은 부분을 향해 빛을 비추도록 해야 한다. 천정이나 벽의 높은 부분에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실내 조명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천정이나 벽 등의 반사체는 일반적으로 낮은 반사율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간접조명의 경우 실내의 조도를 일정 기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전력 손실이 수반된다. 그러나, 간접조명의 경우, 넓은 면적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이용한 조명을 통해, 은은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사물에 의해 발생하는 그늘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을 구비한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은 회전축(13-1 내지 13-4)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d2)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길이(w)보다 짧을 수 있다.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은 개별적인 회전축(13-1 내지 13-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모듈(12-1 내지 12-4)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도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복수의 조명모듈(12)을 포함하는 경우, 도 1에 따른 실시 예와 비교하여, 조명모듈(12)이 동일한 면적의 천정 영역에 설치되더라도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조명모듈(12) 각각의 회전에 필요한 최소 두께는 d2로서 도 1에 따른 실시 예에서의 두께인 d1보다 작다. 따라서,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복수의 조명모듈(12)을 포함하는 경우, 그 차지하는 부피를 d1과 d2 사이의 비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회전구동부(13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회전구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30)는 제어부(41)에 의하여 제어되며, 복수의 조명모듈(12)을 회전시킨다. 즉, 제어부(41)는 회전구동부(130)를 제어하는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회전구동부(130)로 전송하고, 회전구동부(130)는 수신한 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모듈(12)을 회전시킨다. 제어부(41)는 복수의 조명모듈(12) 각각에 대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회전구동부(130)는 각각의 회전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조명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회전구동부(130)는 복수의 조명모듈(12)을 동일한 회전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개별적인 회전 각도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1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모터나 직선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회전구동부(130)로부터 조명모듈(12)로의 회전구동력의 전달은 기어, 벨트, 체인, 벨트 및 풀리, 체인 및 풀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직선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나 액추에이터는 랙기어(rack gear) 및 풀리와 조합되어, 직선구동력을 회전구동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3에 일 예로 도시된 회전구동부(130)는 회전 모터(133)를 포함하고, 회전 모터(131)로부터 웜기에 의해 조명모듈(12)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조명모듈(12), 회전구동부(130), 제어부(41) 및 수신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42)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전력제어신호는 외부의 원격제어부(43)에 의해 생성된다. 수신부(42)는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를 제어부(41)로 전송한다. 제어부(41)는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전력제어신호에는 조명모듈(12)의 디밍을 제어하는 디밍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에 복수의 조명모듈(12)이 포함된 경우, 전력제어신호에는 복수의 조명모듈(12) 각각에 대한 디밍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42)와 원격제어부(43) 사이의 통신 방식이 무선 통신인 경우, 3G,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reless 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ZIGBEE, Bluetooth, UWB(Ultra 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42)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조명모듈(1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원격회전제어신호는 외부의 원격제어부(43)에 의해 생성된다. 수신부(42)는 수신된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제어부(41)로 전송한다. 제어부(41)는 수신된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회전구동부(130)로 전송한다. 회전구동부(130)는 수신된 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모듈(12)을 회전시킨다.
원격회전제어신호에는 조명모듈(12)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에 복수의 조명모듈(12)이 포함된 경우, 원격회전제어신호에는 복수의 조명모듈(12) 각각에 대한 회전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42)와 원격제어부(43) 사이의 통신 방식이 무선 통신인 경우, 3G, Wi-Fi, WiBro, HSDPA, Wireless lan, WiMAX, ZIGBEE, Bluetooth, UWB, IrDA 또는 SWAP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회전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 예들에서, 원격제어부(43)는 TV, PC, 오디오, 에어컨, 스마트폰 등 모든 전자기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또 다른 제어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부(43)가 TV이고 TV가 동작 시, TV는 이를 시청하기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전력제어신호 및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수신부(42)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42)는 수신된 전력제어신호 및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41)로 전송한다. 제어부(41)는 수신된 원격회전제어신호로부터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회전구동부(130)는 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TV 시청에 적합한 조명상태를 연출하도록 조명모듈(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TV 시청에 최적화된 조명상태를 연출할 수도 있다. TV 시청이 종료된 경우, TV는 동작 종료를 알리는 전력제어신호 및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수신부(42)로 전송할 수 있고,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TV 시청 이전의 조명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5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조명모듈(12), 회전구동부(130), 제어부(41) 및 센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4)는 조명모듈(12)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44)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41)로 전송된다. 제어부(41)는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내에서 채광이 잘 되는 창가와 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자연채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 사이에는 조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실내 전체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센서부(44)는 창가와 창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 사이의 조도 차이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센서부(44)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모듈(12)이 창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를 향하여 직접조명을 할 수 있도록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실내에 간접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위치의 조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44)는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센서부(44)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모듈(12)이 사용자의 위치를 향하도록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센서부(44)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조명램프(11)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재실 위치에 대해 적절한 조도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조명모듈(12), 회전구동부(130), 제어부(41) 및 저장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5)에는 조명모듈(12)의 회전 각도 및 조명램프(11)의 조도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 대해 최적화된 조명모듈(12)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정보 및 조명모듈(12)의 디밍을 제어하는 디밍제어정보가 저장부(45)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 발광다이오드소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씬을 연출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회전제어정보, 디밍제어정보 및 표현할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45)에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장부(45)에 저장된 회전제어정보 및 디밍제어정보를 로드하고, 이를 조명램프(11)에 적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실내의 다양한 조명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조명모듈(12), 회전구동부(130), 제어부(41), 센서부(44) 및 저장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45)에는 다양한 조명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회전제어정보 및 디밍제어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센서부(44)는 조명모듈(12)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41)는 센서부(44)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특정 이벤트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특정 이벤트 값과 감지신호가 동일하다면, 제어부(41)는 미리 설정된 룩업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특정 이벤트 값에 대응되는 회전제어정보 및 디밍제어정보를 저장부(45)로부터 로드한다. 제어부(41)는 저장부(45)로부터 로드한 회전제어정보 및 디밍제어정보에 따라 조명모듈(12)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이벤트에 맞는 다양한 조명 분위기 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취침에 적합한 조명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침 도중 화장실 또는 부엌으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부(44)는 사용자의 위치 변화를 통해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움직임을 보이는지를 판단한다. 취침 도중 조명상태의 변경이 필요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1)는 룩업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취침 도중 일어난 사용자의 활동에 필요한 조명상태를 로드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조명모듈(12), 회전구동부(130), 제어부(41) 및 수신부(42)를 포함하고, 제어부(41)는 센서부(44)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조명모듈(12)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구동부(13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명램프(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가 복수의 조명모듈(12)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조명모듈(12)은 회전축(13)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조명모듈(12)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d2)가 회전축(13) 방향의 길이(w)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회전구동부(130)는 복수의 조명모듈(12)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프레임 11: 조명램프 12: 조명모듈 13: 회전축
130: 회전구동부 41: 제어부 42: 수신부 43: 원격제어부
44: 센서부 45: 저장부

Claims (16)

  1. 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회전시킴으로써 조명상태의 변환이 가능한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 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조명모듈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회전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발광다이오드소자,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1. 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조명램프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모듈;
    상기 조명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조명램프 및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모듈 주변의 조도, 사용자의 재실 여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원격회전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와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전력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명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은 그 배열방향의 길이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발광다이오드소자,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KR1020110059173A 2011-06-17 2011-06-17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KR20120139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73A KR20120139389A (ko) 2011-06-17 2011-06-17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73A KR20120139389A (ko) 2011-06-17 2011-06-17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389A true KR20120139389A (ko) 2012-12-27

Family

ID=4790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173A KR20120139389A (ko) 2011-06-17 2011-06-17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93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33B1 (ko) * 2016-05-16 2016-09-30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조명효율이 개선된 엘이디 등기구
KR20200056600A (ko) * 2018-11-15 2020-05-25 정진영 경관 조명장치
KR20220082784A (ko) * 2020-10-23 2022-06-17 주식회사 엠티티 각도조절 반사갓과 이를 포함하는 조광 시스템 및 반사갓 각도 조절 방법
KR20220150074A (ko) * 2021-05-03 2022-11-10 박병기 Led 조명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33B1 (ko) * 2016-05-16 2016-09-30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조명효율이 개선된 엘이디 등기구
KR20200056600A (ko) * 2018-11-15 2020-05-25 정진영 경관 조명장치
KR20220082784A (ko) * 2020-10-23 2022-06-17 주식회사 엠티티 각도조절 반사갓과 이를 포함하는 조광 시스템 및 반사갓 각도 조절 방법
KR20220150074A (ko) * 2021-05-03 2022-11-10 박병기 Led 조명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581B2 (en)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three-way lamp socket
US11466828B2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US20130069538A1 (en) Automatic and manual dim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5934623B (zh) 用于提供向下照明和泛光照明效果的装置和方法
WO2014099987A2 (en) Light fixtures, systems for controlling light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ing control systems
JP2017520881A (ja) 検出された状態に基づく環境状態制御および関連方法
US20120134170A1 (en) Tubular skylight
RU2608537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включающаяся 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JP2012174548A (ja) 個別制御可能な屋内照明設備
KR20120139389A (ko) 조명상태 변환 조명기구
KR101698757B1 (ko)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JP2016535399A (ja) 空間方位に基づいて出力を調整可能な照明器具
JP6704193B2 (ja) 照明制御装置
JP2008016410A (ja) 室内照明用照明器具
CN113188076A (zh) 智能室内灯光控制系统
KR20180024597A (ko) 자동 조명 제어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스탠드
JP2010231924A (ja) タスク用照明器具による照明方法及びタスク用照明器具
CN104806989B (zh) Led遥控灯及其遥控方法
CN107396523B (zh) 窗帘灯具系统及其控制方法
JP4915662B2 (ja) 照明システム
JP5735840B2 (ja) 室内照明システム及び室内照明方法
KR102572611B1 (ko) Led 조명등 장치
JP5665168B2 (ja) 照明器具
US2024010764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tensity level and color of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a show
JP2008140594A (ja) 照明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