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455A -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 Google Patents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455A
KR20120137455A KR1020110056572A KR20110056572A KR20120137455A KR 20120137455 A KR20120137455 A KR 20120137455A KR 1020110056572 A KR1020110056572 A KR 1020110056572A KR 20110056572 A KR20110056572 A KR 20110056572A KR 20120137455 A KR20120137455 A KR 20120137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ngle
pillow
human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김종돈
Original Assignee
김형태
김종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김종돈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1005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455A/ko
Publication of KR2012013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각도와 높낮이를 조절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3차원 촬영한 데이터를 모델링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상하 좌우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 소정의 인체 지지부분과 나사 잭(Jack Screw), 인체의 최대 접지 곡면을 확보하는 케이스로 체결되며, 나사 봉과 체결되는 손잡이를 사용자 또는 가이드로 하여금 회전하여 수면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며 그 어떤 재질과 형태의 베개에도 이동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면 무호흡(코곪)예방 완화할 수 있으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일자(거북) 목, 좌우 측만 경추, 목 디스크의 예방과 교정할 수 있고, 근육과 피부를 압박하지 않음으로써 혈액과 신경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며, 인체의 접지 곡면을 최대 확보하고 최저 높이를 유지하고, 베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베개의 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Add custom pillows angle and height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수면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개인의 다양한 체형을 3차원 스캐너로 촬영 사용자의 1:1 형상표면정보를 설계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이미지를 인체의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자와 ∩자 모양으로 역 설계한 데이터를 자동화 제어기기(C.N.C)전송 소정의 소재를 장착 가공하여 인체지지부분을 마련되고 인체 지지부분은 한 쌍의 좌우 내외부축의 내측 축은 흰지(Hinge)의 너트로 체결되며, 두 쌍의 상 하부 암(Arm)은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로서 밀착하고
내외부축을 관통하는 볼트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와 손잡이를 체결되며, 한 쌍의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으로 인체지지부분을, 또 다른 한 쌍의 관절 암(Arm)은 하부지지대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안착 곡면에 상응하는 케이스를 두 쌍의 관절 암(Arm)과 볼트로서 체결되는 나사 잭(Jack screws)으로 완성되며.
사용자 또는 가이드에 의해 나사 잭(Jack screw)의 손잡이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외부축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경사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알 맞는 수면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부가장치이다.
베개는 일반적으로 호흡, 혈액과 신경의 흐름, 경추에 장애를 주어서는 되지 않는 필수도구로서 인체가 균형을 이룰 수 있는 각도와 높이가 될 기준점(축)이 선정하고, 머리와 경추부의 곡면에서 가해지는 압력 완충하고 지지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곡면지지부분과, 잠자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높이와 생리적 특징에서 발생하는 수면 무호흡(코곪)을 예방하기 위한 수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에게 알 맞는 수면 각도와 높이가 될 기준점(축)을 선정할 수 없으므로 목 디스크, 일자(거북) 목, 측만 또는 전후만 경추를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없었으며. 곡면의 형상이 배제된 가운데 베개 몸체 전체를 높고 낮음을 전자 감응 장치, 공기의 팽창 장치, 또는 스프링의 장력과 쿠션으로 완충한다 할지라도 최저 높이를 유지할 수 없고 사용자에게 알 맞는 수면각도를 선정할 수 없으므로 수면 무호흡(코곪)을 예방할 수 없는 등 베개의 기능과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종래의 베개로서 공개번호 20-2007-0038949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한 베개) 공개번호 10-2010-0047686(풍선과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베개) 공개번호 2002-0039282 (패드에 의한 높이와 경추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20-0390847-0000 (높이 자동변환 탄성 장치가 내장된 베개)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머리와 경추부의 곡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상응한 곡면의 지지부분이 마련되지 않음으로, 최저 높이를 유지할 수 없고, 올바로 누웠을 때에는 뒤통수의 돌출부와 흉추1~2번간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경추의 곡면이 들떠있는 공간이 나타나며, 옆으로 누웠을 때는 안면부의 좌우 옆 머리돌기(광대뼈)와 어깨 끝 부분간 공간차이로 경추와 흉추는 수평을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존 베개에 이동하여 장착할 수 없어 새로운 베개를 구입해야 하는 등 경제적 부담이 수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개인의 다양한 체형을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사용자의 1:1 형상 표면정보를 설계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형상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설계시스템으로 불러와서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하고 인체의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 ∪자 모양과 ∩자 모양의 인체지지부분을 소재를 선정 자동화제어기기(C.N.C)에 장착 가공하여 마련되며,
한 쌍의 내외부축에서 일단의 내측 축은 흰지(Hinge)의 너트로 체결되며, 두 쌍의 상 하부 암(Arm)은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로서 밀착되고, 양단의 내, 외부 축을 관통하는 나사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와 손잡이를 체결하고 한 쌍의 관절 암(Arm)은 리벳(Rivet)으로 인체지지부분을, 또 다른 한 쌍의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으로 하부지지부분과 사용자가 누웠을 때 안착 곡면에 상응하는 케이스를, 두 쌍의 관절 암(Arm)과 볼트로서 각각 체결하여, 나사 잭(Jack screws)이 마련되고
사용자 또는 가이드에 의해 나사 잭(Jack screws)의 손잡이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외부축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경사각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알 맞는 수면 각도와 높이 조절장치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잠잘 때 이용하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베개에 이동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알 맞는 수면각도와 높이를 선정할 수 있어 경추의 불균형을 예방하고 수면 무호흡(코곪)을 완화하고 교정하며, 혈액과 신경의 흐름, 피부와 근육에 장애를 주지 않는 가운데, 목 디스크 보호대를 대체할 수 있는 맞춤베개의 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사용자로부터 얻어지는 1:1형상의 표면정보를 설계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형상의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설계시스템으로 불러와서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하고 코곪과 수면 무호흡을 예방하기 위하여 경추의 단면에 상응하는 ∩자 모양의 곡면지지부분을, 전후 또는 좌우 측만 목등뼈와 목 디스크, 일자(거북) 목을 교정하는데 있어서 ∪자 모양의 곡면지지부분의 설계 데이터를 각각 마련, 자동제어기기(C.N.C)로 전송 대상물을 장착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진 ∩자 모양과 ∪자 모양의 곡면지지부분의 배면에는 두 쌍의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의 체결 홀이 마련되고 곡면지지 부분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목재, 비철금속의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한 쌍의 내외부축에서 일단의 내측 축은 휜 지(Hinge)의 너트로 체결되며, 두 쌍의 상 하부 암(Arm)은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로서 밀착되고, 양단의 내, 외부 축을 관통하는 나사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와 손잡이를 체결하고 한 쌍의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으로 인체지지부분을, 또 다른 한 쌍의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으로 하부지지부분과 사용자가 누웠을 때 최대 안착 곡면에 상응하는 케이스와 체결하여, 나사 잭(Jack screws)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또는 가이드에 의해 나사 잭(Jack screws)의 손잡이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내외부축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경사각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알 맞는 수면 각도와 높이 조절장치로서 사용자가 잠잘 때 이용하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베개에 이동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최대 안착 곡면에 상응하는 곡면케이스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비철금속의 소재 형성된 인체지지부분과 내부 암(Arm), 관절 암(Arm), 나사와 나사 봉이 이동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체형에 알 맞는 수면 높이와 각도 조절장치는 경추의 불균형을 예방하고 사용자 또는 가이드로 하여금 수면 무호흡(코곪)을 완화와 교정할 수 있고, 혈액과 신경의 흐름, 피부와 근육에 장애를 주지 않는 가운데, 목 디스크 보호대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접지 곡면을 최대 확보함으로써 베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체형 변화에 따른 수면각도와 높이를 조절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베개에도 장착하는 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하고 인체의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 ∪자 모양의 인체 곡면 지지부분으로 배면에는 관절 암(Arm)이 결합할 홈이 마련되어 있는 측면도, 평면도, 단면도, 배면도 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같이 인체의 접지 곡면의 단면에 상응하는 ∩자 모양의 인체 곡면지지부분으로 배면에는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으로 결합할 홈이 마련되어 있는 평면, 상하, 좌우측면도, 사시도, 단면도 배면도 이다.
도 3은 인체 곡면을 지지하고 이동키 위한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양단의 내부 축으로서 좌측 내부 축 중심부는 휜 지(Hinge)의 너트가 결합하고, 축의 일단에는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에 의해 밀착되며, 상하 부의 내부 관절 암(Arm)이 체결된 평면도, 상세도, 사시도 이다.
도 4는 금속 파이프로서 형성된 양단의 외부 축으로 우측의 외부 축 중심부에는 휜 지(Hinge)가 결합하고 축의 일단에는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에 의해 밀착되며 상하 부의 외부 관절 암(Arm)과 인체지지부분의 배면 홀에 체결될 관절 암(Arm)과 리벳(Rivet)이 체결된 평면도, 사시도, 상세도이다.
도 5는 양단의 내, 외부 중심축을 관통하는 볼트와 나사 봉, 조절손잡이, 봉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관절 암(Arm)과 조절 손잡이가 체결된 저 면도이다.
도 6은 도 4를 하부지지부분으로 두 쌍의 관절 암(Arm)이 납작 볼트로 체결된 저 면도, 평면도, 사시도, 상세도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최대 접지 곡면에 상응한 곡면으로 구성되고, 도1과 도2, 도4, 도5가 이동할 수 있는 홀과 도6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케이스로서 상면 도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의 잭(Jack)과 케이스를 체결 실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을 맞춤 베개에 장착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8과 체결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 또는 가이드에 의해 조절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수면 각도와 높이가 변화하는 바를 나타내는 실시 상면 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9의 부품 분해상황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은 각 개인의 다양한 체형을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사용자의 1:1 형상표면정보를 설계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이미지를 모델링 하여 경추만곡점을 중심 축(10)으로 하고 최대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자 모양(12)의 곡면지지부분으로 배면에는 관절 암(Arm)이 체결될 홀(14)을 설계한 데이터에 의해 소정의 두께(13)를 갖는 실리콘, 고무, 목재,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의 소재를 자동화제어기기(C.N.C)에 장착 가공되며, 이는 경추의 불균형과 목 디스크를 교정하기 위한 곡면지지부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 곡면의 종단면(25)에 상응하는 ∩자 모양(20)의 곡면지지부분으로 배면에는 관절 암(Arm)과 체결될 홀(26)을 설계한 데이터에 의해 소정의 두께(25)를 갖는 고무, 목재,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의 소재를 자동화제어기기(C.N.C)에 장착 가공되며 이는 수면 무호흡(코곪)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곡면지지부분이다.
도 3은 곡면지지부분을 이동키 위한 금속파이프로 형성된 좌우내부 축(30)으로서 좌측 내부 축 중심부에는 흰지(Hinge)의 너트가 결합(31)하고 축의 일단은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에 의해 외부 축과 밀착(32)되며 하부지지부분은 상하 외부 암(Arm)과 관절 암이(35), (61) 체결된다.
도 4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좌우외부 축으로서 외부 축(40)의 중심부에는 휜 지(Hinge)가 체결(44)되며 축의 일단에는 코킹 스토퍼(Caulking )에 의해 내부 축(42)이 밀착되고 상하 내부 암(Arm)과 (41) 인체의 곡면지지부분의 배면 홀에 관절 암(Arm)을 끼워 체결(43)된다.
도 5는 내외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볼트(50)와 나사 봉(51), 조절손잡이(53), 봉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관절 암(Arm)이 체결(52)된다.
도 6은 접지 곡면에 대응하여 도 4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부분(60)과 두 쌍의 관절 암(Arm)이 체결(61)되며 관절 암(Arm)은 하부지지부분의 배면을 천공하여 납작 볼트(62)로서 체결된다.
도 7은 사용자의 최대 접지 곡면에 상응한 곡면 커버(70)로서 도 1 내지 도 5가 이동할 수 있는 홀과 도 6을 체결할 수 있는 홈(71)이 마련되고 실리콘, 목재, 합성수지 또는 비철금속 소재로서 자동제어기기(C.N.C)와 몰드(Mold)로서 가공한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을 체결한 그림(80)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7을 실리콘 맞춤 베개(90)와 결합한 그림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8을 결합(100) 사용자 또는 가이드로 하여금 조절손잡이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53)하여 내외부축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도 1과 도 2의 높이를 도 3 내지 5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알 맞는 수면 각도와 높이가 조절되는 (102), (103) 각각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의 각 부품을 분해한 상황을 나타낸 그림이다.
10. 경추만곡점 20. 곡면지지부분 30 흰지 너트 40. 파이프 중심축
50. 관절암 60. 나사 봉 70. 하부지지부분 80. 곡면케이스

Claims (5)

  1. 각 개인의 다양한 체형을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사용자의 1:1 형상표면정보를 설계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이미지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이미지를 모델링 하여 경추만곡점을 중심축으로 하고 인체의 최대 접지 곡면에 상응하는∪자 모양과 ∩자 모양의 인체 곡면 지지부분은 별도의 소재로서 자동화제어기기(C.N.C)에 장착 가공하고,
    한 쌍의 좌우 내외부축의 내측 축은 휜 지(Hinge)의 너트로 체결되며, 두 쌍의 상 하부 암(Arm)은 코킹 스토퍼(Caulking Stopper)로서 밀착되고, 내외부축을 관통하는 볼트와 연결되는 작동 로드와 손잡이가 체결되며, 한 쌍의 관절 암(Arm)으로 인체지지부분을, 또 다른 한 쌍의 관절 암(Arm)은 하부지지부분과 사용자가 누웠을 때 안착 곡면에 상응하는 곡면 케이스가 체결되고 인체지지 부분과 내부 암, 나사 봉의 작동 로드가 비어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케이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목재, 비철금속의 소재로서 자동화제어기기(C.N.C) 또는 몰드(Mold)로서 가공되며, 사용자 또는 가이드에 의해 손잡이를 회전하여 정, 역방향으로 내외부축의 간격을 늘려주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경사각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알 맞는 수면 각도와 높이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경추의 불균형을 예방하고 교정을 위한 인체 곡면지지부분과 배면 일 측에 관절 암(Arm)이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원활한 호흡을 위한 인체지지 부분과 배면 일 측에 관절 암(Arm)이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 홀이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체의 최대접지 곡면에 상응하는 케이스의 하부 고정판에 관절 암(Arm)이 볼트로서 체결되며 내부 축을 관통하는 나사 봉과 내, 외부 암(Arm), 곡면지지부분과 작동하는 로드의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베개에 이동 장착할 수 있는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KR1020110056572A 2011-06-12 2011-06-12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KR20120137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72A KR20120137455A (ko) 2011-06-12 2011-06-12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72A KR20120137455A (ko) 2011-06-12 2011-06-12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455A true KR20120137455A (ko) 2012-12-21

Family

ID=4790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572A KR20120137455A (ko) 2011-06-12 2011-06-12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4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04B1 (ko) * 2013-12-06 2014-02-18 김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WO2018128405A1 (ko) * 2017-01-05 2018-07-12 신혜정 베개
CN114983212A (zh) * 2022-05-07 2022-09-02 山东福泰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颈椎养护枕头及其加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04B1 (ko) * 2013-12-06 2014-02-18 김문식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WO2018128405A1 (ko) * 2017-01-05 2018-07-12 신혜정 베개
GB2572513A (en) * 2017-01-05 2019-10-02 Jeong Shin Hye Pillow
CN114983212A (zh) * 2022-05-07 2022-09-02 山东福泰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颈椎养护枕头及其加工方法
CN114983212B (zh) * 2022-05-07 2024-02-02 山东福泰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颈椎养护枕头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3250C (en) Arm protector head rest
US8528980B1 (en) Seat back unit
KR20110117193A (ko) 자세를 역학적으로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202266A1 (zh) 垫体和垫体的控制方法
CN105283100A (zh) 功能性枕头
CN201332902Y (zh) 可调式颈椎防护枕
JP3201160U (ja)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20120137455A (ko) 맞춤베개의 각도와 높이조절 부가장치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CN205814099U (zh) 角度与高度可调头枕
KR101561513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헤드레스트
US11413181B2 (en) Modular device for dorsal protection
KR20110122608A (ko) 회동부를 가지는 베개
CN110114042B (zh) 颈椎牵引装置
CN207912449U (zh) 一种通风可调腰椎垫
KR20120117589A (ko)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베개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KR20210040530A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CN208339639U (zh) 一种脊柱侧弯矫正器
CN206414044U (zh) 坐姿矫正椅
CN201814155U (zh) 一种矫正坐姿的椅子
CN208725227U (zh) 一种平衡养生腰垫
CN209236664U (zh) 一种新型内科护理枕
CN204764678U (zh) 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