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127A - 질내 양수 포집기 - Google Patents

질내 양수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127A
KR20120136127A KR1020110055155A KR20110055155A KR20120136127A KR 20120136127 A KR20120136127 A KR 20120136127A KR 1020110055155 A KR1020110055155 A KR 1020110055155A KR 20110055155 A KR20110055155 A KR 20110055155A KR 20120136127 A KR20120136127 A KR 20120136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mniotic fluid
intravaginal
vaginal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명
Original Assignee
(주)오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메드 filed Critical (주)오비메드
Priority to KR102011005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127A/ko
Publication of KR2012013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48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amniotic flui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2010/0074Vaginal or cervical secre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질내 양수 포집기는,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 및 상기 포집부재를 상기 산모의 질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산모의 자궁으로부터의 상기 양수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산모의 통증과 심적 불안감 및 합병증 발생 위험성을 없애면서, 산모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질내 양수 포집기{Apparatus for collecting intravaginal amniotic fluid}
본 발명은 질내 양수 포집기로서, 산모의 통증과 심적 불안감 및 합병증 발생 위험성을 없애면서, 산모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질내 양수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인 산모의 자궁 속에는 크게 태아와 양수가 존재한다.
그리고, 임신 주기에 따라 산모 및 태아에 대한 여러가지 다양한 의료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특히, 산모의 조산, 양수염증 및 감염, 태아 염증 및 감염, 태아 손상, 태아성숙도, 태아질환 및 기형아 검사, 양수성분검사 등을 위해 산모의 복부에 양수 포집용 주사기를 직접적으로 주입하여 자궁으로부터 양수를 채취하게 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상기와 같은 시술방법을 써야만 하며 병명(病名)이 명확한 경우 이외에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주사기 주입시 산모의 통증 및 심적 불안감 등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검사로 인한 합병증 발생 위험성 및 자칫 의료사고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산모의 통증과 심적 불안감 및 합병증 발생 위험성을 없애면서, 산모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질내 양수 포집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내 양수 포집기는,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 및 상기 포집부재를 상기 산모의 질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산모의 자궁으로부터의 상기 양수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포집부재는, 산모의 질 내에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양수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깔때기형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질 내면을 압박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를 위치고정시키는 팽창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팽창부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팽창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부 개구부의 맞은편으로 연장되며, 타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주입재가 공급되는 공급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공급튜브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포집튜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튜브는 타단부가 분기되어 제1 튜브와 제2 튜브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튜브는 상기 포집튜브만이 연통되고, 상기 제2 튜브로는 상기 주입재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튜브는 일단부로부터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튜브는 일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팽창부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진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공급튜브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입재는 에어 또는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질내 양수 포집기는,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와, 상기 포집부재를 산모의 질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산모의 통증과 심적 불안감 및 합병증 발생 위험성을 없애면서, 산모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여성의 생식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내 양수 포집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질내 양수 포집기의 팽창부가 팽창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질내 양수 포집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5의 질내 양수 포집기의 팽창부가 팽창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산모의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의 생식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인 여성의 생식기(1)는 외생식기인 질입구(7), 내생식기인 질(6), 자궁(2), 나팔관(3) 및 난소(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난소(4)에서는 난자를 생산하고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며, 이러한 난소(4)에서 난자가 성숙하여 떨어져 나오는 배란이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양쪽 난소(4)에서 번갈아 2개월에 하나씩 난자를 배란하여 결과적으로 한 달에 한 번씩 난자가 나오게 된다.
또한, 배란 시 자궁(2) 내부가 두꺼워지는데 수정란이 착상되지 않으면 두꺼워진 조직이 탈락되어 월경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월경은 대체로 한 달에 한 번 정도 있으나 초경 후 1, 2년은 물론 결혼 전까지 규칙적이지 못한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난소(4)는 자궁(2) 후면 상부 양쪽에 각각 1개씩 있는 기관으로 남성의 고환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즉, 난자를 생성하고 발육시켜 배출시키고 여성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러한 난소(4)의 크기는 연령에 따라 다르나 성인의 경우 살구크기 정도이고 폐경기 후에는 현저하게 작아져서 작은 콩보다 약간 큰 정도가 된다.
한편, 상기 자궁(2)은 두꺼운 막으로 된 근육기관이다. 임신 말기까지 태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팽창이 잘되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궁(2)은 서양 배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다양하다.
이와 같은 자궁(2)의 중요한 기능은 월경을 하게 하고, 수정란을 자궁(2) 내막에 착상시켜 임신을 유지시키며 임신에서 분만까지 태아를 자라게 해준다.
아울러, 자궁(2)은 안이 비어있으며, 전방에는 방광이 있고, 후방에는 직장이 있다.
상기 질(6)은 외음에서 자궁(2)까지 통하는 하나의 근육관으로 질(6)의 전방에는 요도와 방광이 위치하고, 후방에는 직장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질(6)은 상측으로 자궁경부(5)가 이어지며, 길이는 약 7?2cm정도 되고 자궁(2)의 분비물과 월경을 밖으로 나가게 하는 배설기관인 동시에 성교기관이다.
아울러, 질(6)은 분만 시에 태아가 통과하는 산도의 역할을 한다. 질의 내부 공간인 질강은 항상 습한데, 이는 자궁(2)의 점막이나 자궁경부(5)의 내부 입구(5a) 및 외부 입구(5b)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과 질강 내에서 나오는 점액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질의 점액은 산성을 유지하여 병균의 침입을 막아주고 일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해주는 작용을 한다.
한편, 소음순(미도시)은 대음순(미도시) 안쪽에 위치하며 지방조직과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모낭이 없고 성적 흥분 시 붉어지는 기관이다. 상단부에는 음핵 포피로 둘러싸여 있다.
이와 같은 여성의 생식기에서 질 내에 삽입하여 양수를 포집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질내 양수 포집기를, 도 2 내지 도 7를 통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내 양수 포집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질내 양수 포집기의 팽창부가 팽창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질내 양수 포집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도 5의 질내 양수 포집기의 팽창부가 팽창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20)와, 상기 포집부재(2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재(20)는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수용부(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22)는 산모의 질 내에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에 개구부(22a)를 가지며 내부에 양수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2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2)는 상광하협된 구조로서, 개구부(22a)를 가진 상부가 질 상단의 가장자리, 즉 자궁경부 하단의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최대한 넓게 펼쳐진 구조를 지니며, 하부는 상측으로부터 내려오는 양수를 모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구조는 아울러, 수용부(22)가 질 내에 삽입되는데 원활하도록, 상부는 횡방향으로 적당한 크기이며, 하부는 상부로부터 연장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부보다 작은 크기이다.
일례로서, 수용부(22)는 산모의 질 내에서 양수가 흘러내리기 용이한 구조로서, 양수가 용이하게 수집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용부(22)는 산모의 질 내에 거치되므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는 포집부를 산모의 질 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팽창가능한 팽창부(42)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42)는 수용부(2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질 내면을 압박하면서 고정되어 수용부(22)를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팽창부(42)는, 내부에 주입되는 주입재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팽창됨에 따라 질 내면을 압박함으로써, 약한 질 내면부위에 상처가 없이 수용부(22)가 위치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팽창부(42)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진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주입재는 에어 또는 물이 활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된 팽창부(42)는 수용부(22)의 개구부(22a)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일체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팽창부(42)와 수용부(22)는 서로가 연결된 일체형으로서 만들어지는 금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포집장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나아가, 본원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형으로서 금형으로 제조하여 대량생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는 일단부가 팽창부(42)와 연통되어 수용부(22) 개구부(22a)의 맞은편으로 연장되며, 타단부 측으로부터 주입재가 공급되는 공급튜브(44)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급튜브(44)를 통해 주입재가 팽창부(42)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튜브(44)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부재(20)는 수용부(22)로부터 연통되어 공급튜브(44)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포집튜브(24)를 구비한다.
상기 포집튜브(24)를 통해 수용부(22)에 수용되는 양수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일정 용기에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튜브(44)는 타단부가 분기되어 제1 튜브(52)와 제2 튜브(54)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1 튜브(52)는 포집튜브(24)만이 연통되고, 제2 튜브(54)로는 주입재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튜브(52)는 포집튜브(24)를 통해 양수가 흐르는 유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때 제1 튜브(52)에는 양수를 수용 및 저장하는 수용용기가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튜브(54)는 공급튜브(44) 내를 따라 팽창부(42)재 내로 주입재가 이동되도록 주입재만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튜브(54)는 공급튜브(44) 내의 포집튜브(24)와는 연통되지 않고 공급튜브(44)와만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며, 이때 제2 튜브(54)는 외부에서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해 주사기와 같은 주입부재가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상술된 상기 제1 튜브(52)와 제2 튜브(54)는, 일례로서 제1 튜브(52)가 일단부로부터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튜브(54)가 일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급튜브(44)에 연결된 제1 튜브(52)와 제2 튜브(54)의 구성은, 포집된 양수의 수집과, 주입재의 주입이 분리되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수의 수집과 주입재의 주입이 용이하면서도 편리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20)와, 상기 포집부재(20)를 산모의 질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를 마련함으로써, 산모의 통증과 심적 불안감 및 합병증 발생 위험성을 없애면서, 산모 자궁으로부터의 양수를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포집부재 22 : 수용부
22a : 개구부 22b : 수용홈
24 : 포집튜브 40 : 고정부재
42 : 팽창부 44 : 공급튜브
52 : 제1 튜브 54 : 제2 튜브

Claims (10)

  1. 산모의 자궁으로부터 양수가 포집되는 포집부재; 및
    상기 포집부재를 상기 산모의 질 내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산모의 자궁으로부터의 상기 양수를 안정적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재는,
    산모의 질 내에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양수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깔때기형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질 내면을 압박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를 위치고정시키는 팽창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팽창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부 개구부의 맞은편으로 연장되며, 타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주입재가 공급되는 공급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공급튜브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포집튜브;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튜브는 타단부가 분기되어 제1 튜브와 제2 튜브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튜브는 상기 포집튜브만이 연통되고, 상기 제2 튜브로는 상기 주입재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는 일단부로부터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튜브는 일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진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튜브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재는 에어 또는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내 양수 포집기.
KR1020110055155A 2011-06-08 2011-06-08 질내 양수 포집기 KR20120136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55A KR20120136127A (ko) 2011-06-08 2011-06-08 질내 양수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55A KR20120136127A (ko) 2011-06-08 2011-06-08 질내 양수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27A true KR20120136127A (ko) 2012-12-18

Family

ID=4790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55A KR20120136127A (ko) 2011-06-08 2011-06-08 질내 양수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1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444A (en)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 using direct vision
KR101170053B1 (ko) 양수 포집기
KR100789849B1 (ko) 자궁으로부터의 양수 포집을 위한 기구
Van Kets et al. IUD expulsion solved with implant technology
Brand et al. Superovulation and non-surgical embryo recovery in the lactating dairy cow
CN101366650A (zh) 避孕宫吸受精卵吸出装置
CN203329172U (zh) 防止和治疗宫腔、宫颈粘连的装置
McLafferty et al. Male and female reproductive systems and associated conditions
KR20120136127A (ko) 질내 양수 포집기
CN201692487U (zh) 一种双囊宫颈扩张管
CN204410942U (zh) 一种人工助孕装置
CN203724193U (zh) 环扎术用羊膜推入器
Marieb et al. The reproductive system
Soichet Ypsilon: a new silicone-covered stainless steel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CN211555290U (zh) 一种用于女性妇科综合检查及训练的模型
Garrigues A Text-book of the Science and Art of Obstetrics
O’Grady The reproductive systems
Durkin The Reproductive System
HUMAN The reproductive system
CN204394603U (zh) 宫颈压迫止血器
US20110226258A1 (en) Uterus Implant
Bahirat et al. A review of Stree sharira from classical Ayurvedic literature
Schneiderman et al. New Exclusive Innovation Model of Obstetrical Pessary by Dr. Schneiderman: Preventtion and Treatment of Cervical Insufficiency and Habitual Abortion
CN115501036A (zh) 一种填充型充气式子宫托及其充气方法
Cehelsky et al. Anterior sacculation of pregnant uterus at te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