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060A -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060A
KR20120136060A KR1020110055047A KR20110055047A KR20120136060A KR 20120136060 A KR20120136060 A KR 20120136060A KR 1020110055047 A KR1020110055047 A KR 1020110055047A KR 20110055047 A KR20110055047 A KR 20110055047A KR 20120136060 A KR20120136060 A KR 20120136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gmentation information
augmentation
imag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신우영
오병문
이상윤
주종필
김미나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060A/ko
Publication of KR2012013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가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로 요청하고 이에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파 방송 서비스 이외에도 케이블 방송 서비스,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이 보급되면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이 제작/방영되고 있다. 이처럼 영상물의 종류가 광범위해지고 그 보급이 다양해지면서, 이를 시청하는 사람들의 욕구 또한 매우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영상물에 등장하는 인물이 사용하는 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같은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라 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가 사용하는 제품이 무엇이고 어디서 구매할 수 있는지 궁금해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즉각적으로 해소시켜 주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증강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AR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가상의 증강정보 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영상물을 보는 사람들이 영상물에 등장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를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가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로 요청하고 이에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면, 상기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관련된 서비스서버(예 :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관련된 서비스서버(예 :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를 제공하는 증강정보제공장치; 및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 및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가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단계;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증강정보 표시단계; 및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접속단계는,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는 객체인지부;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증강정보획득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정보출력부;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택감지부; 및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접속지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획득부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획득부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지원부는, 상기 선택감지부를 통해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는 단계,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상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할 때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영상 위에 랜더링/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영상에서 특정 객체 또는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이에 따른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운용되는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운영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기반으로 운영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를 제공하는 증강정보제공장치(200)와,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하는 단말장치(100)를 포함한다.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를 저장/관리하며,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정보가 요청되면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요청된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기 가입한 다양한 제품판매자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와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객체 별 증강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태그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태그 별 증강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정보는, 각 객체 별로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는, 다양한 제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고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쇼핑몰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기능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통해 마케팅 하고자 하는 제품생산자는 사전에 자신의 제품에 승인된 객체 구체적인 예로는 태그를 부착할 것이다. 따라서,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등장하는 영상이 단말장치(100)에 입력/표시되는 경우라면,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 즉 태그를 인지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예 :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인지되면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A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태그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영상 표시 가능하며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폰단말 및 이동전화단말 및 노트북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특히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운용되는 단말장치(400)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를 제공하는 증강정보제공장치(200)와,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고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에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때, 증강정보제공장치(200) 및 서비스서버(300)는, 전술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해당 구성과 대응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장치(400)는, 전술의 단말장치(100)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 예를 들면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기능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4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 내장/탑재하거나 또는 특정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 설치하여 내장/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 중인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고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에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400)에서 증강정보가 결합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 중인 영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단말장치(400)의 통신인터페이스부(예 : 브라우져)로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400)가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120)와,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서비스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영상표시부(12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단말장치(100)는 특정 촬영구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영상표시부(120)로 제공하는 촬영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면 영상표시부(120)에는,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130)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을 통해 마케팅 하고자 하는 제품생산자는 사전에 자신의 제품에 승인된 객체(예 : 태그)를 부착할 것이다. 따라서,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등장하는 영상이 단말장치(100)에 입력/표시되는 경우라면, 서비스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 즉 태그를 인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서비스제어부(13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인지되면,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금번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에는 객체 별 증강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서비스제어부(13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즉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A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13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제어부(130)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한다.
즉, 서비스제어부(130)는, 각 객체에 대응하여 획득한 증강정보를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함에 있어서,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에서 해당 객체 즉 태그가 표시된 표시위치에 해당 증강정보를 렌더링하여 표시함으로써 영상 위에 각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상태로 특정 촬영구역(예 : 디스플레이장치(1)의 화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렌더링된 상태로 표시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에서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중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렌더링/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130)는,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태그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한다.
즉, 서비스제어부(130)는,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태그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태그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출력부(120)의 화면 상에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입력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영상출력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영상 + 렌더링된 증강정보)를 보면서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증강정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특정 증강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서비스제어부(130)는, 선택된 증강정보 내 포함된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객체 즉 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서비스제어부(130)는, 선택된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내 포함된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운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400)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는 객체인지부(430)와,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증강정보획득부(440)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정보출력부(450)와,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택감지부(460)와,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접속지원부(4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장치(40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의 영상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부(미도시)에는,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4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 내장/탑재하거나 또는 특정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 설치하여 내장/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400)에 탑재된 본 발명의 마케팅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객체인지부(430)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한다.
즉, 객체인지부(430)는, 영상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가 인지되면 인지된 객체(예 : 태그)를 나타내는 객체정보를 증강정보획득부(440)로 전달한다.
증강정보획득부(440)는,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
즉, 증강정보획득부(440)는, 객체인지부(430)로부터 전달되는 태그정보를 통해 영상 내에서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증강정보획득부(440)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증강정보획득부(440)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의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강정보출력부(450)는, 증강정보획득부(440)에서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증강정보출력부(450)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에 결합하고, 결합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표시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증강정보출력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 및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정보를 영상표시부(미도시)로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도록 영상표시부(미도시)에 명령할 수 있다..
이에, 영상표시부(미도시)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해당 객체 즉 태그가 표시된 표시위치에 해당 증강정보를 렌더링하여 표시함으로써 영상 위에 각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400)에서는 특정 촬영구역(예 : 디스플레이장치(1)의 화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렌더링된 상태로 표시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400)에서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중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렌더링/표시될 수 있다.
선택감지부(460)는,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부(미도시)의 화면 상에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입력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영상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는 영상(영상 + 렌더링된 증강정보)를 보면서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증강정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선택감지부(460)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접속지원부(470)는, 선택감지부(460)를 통해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단말장치(400)의 통신모듈(예 : 브라우져)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접속지원부(470)는, 선택감지부(460)를 통해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인지하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브라우져로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할 때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영상 위에 랜더링/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영상에서 특정 객체 또는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이에 따른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를 저장/관리한다(S1). 즉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기 가입한 다양한 제품판매자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와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객체 별 증강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정보는, 각 객체 별로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 요청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기능을 통해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즉 태그가 인지되면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 요청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S10), 입력/표시되는 영상에서 객체(예 :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S20)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인지되면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 요청한다(S30). 이에 증강정보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정보가 요청되면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요청된 객체 즉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35).
이에 단말장치(100)는,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제공장치(200)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S40).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A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S50), 선택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다(S60).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S11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TV장치와 같은 별도의 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출력하고 있는 방송 화면을 촬영함으로써 입력되는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을 통해 마케팅 하고자 하는 제품생산자는 사전에 자신의 제품에 승인된 객체(예 : 태그)를 부착할 것이다. 따라서, 객체 즉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등장하는 영상이 단말장치(100)에 입력/표시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에서 태그를 인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S100),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S110), 영상에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인지되면(S120),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금번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S1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경우(S100),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S110), 영상에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S120),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금번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즉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다(S130).
여기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A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S140).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객체 즉 태그에 대응하여 획득한 증강정보를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함에 있어서, 영상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에서 해당 태그가 표시된 표시위치에 해당 증강정보를 렌더링하여 표시함으로써 영상 위에 각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 마케팅 서비스기능이 실행된 상태로 특정 촬영구역(예 : 디스플레이장치(1)의 화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렌더링된 상태로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즉 태그 또는 획득/표시되는 특정 증강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S150), 선택된 태그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300)로 접속할 수 있다(S160).
예를 들면, 영상출력부(120)의 화면 상에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입력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영상출력부(120)에 표시되는 영상(영상 + 렌더링된 증강정보)를 보면서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즉 태그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증강정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특정 증강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증강정보 내 포함된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객체 즉 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내 포함된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운영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가 인지되면 인지된 객체(예 : 태그)를 나타내는 객체정보(예 : 태그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태그정보를 통해 영상 내에서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의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에 결합하고, 결합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표시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 및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정보를 영상표시부(미도시)로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도록 영상표시부(미도시)에 명령할 수 있다..
이에, 영상표시부(미도시)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해당 객체 즉 태그가 표시된 표시위치에 해당 증강정보를 렌더링하여 표시함으로써 영상 위에 각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에서는 특정 촬영구역(예 : 디스플레이장치(1)의 화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렌더링된 상태로 표시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할 때,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중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렌더링/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30).
예를 들면, 영상표시부(미도시)의 화면 상에는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입력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영상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는 영상(영상 + 렌더링된 증강정보)를 보면서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증강정보를 터치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한다(S24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단말장치의 통신모듈(예 : 브라우져)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S230단계를 통해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인지하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브라우져로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 기반으로 운영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표시되는 영상에서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정보)에 해당되는 객체정보(예 : 태그정보)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어 이에 대응되는 증강정보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이에 증강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한다(S31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의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접속주소정보(예 : URL)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전달한다(S32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요청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할 때, 전술과 같은 증강정보를 전달받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영상 내의 객체 즉 태그가 존재하는 표시위치에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 중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렌더링/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는지 판단하고(S330), 접속 요청되면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통신모듈(예 : 브라우져)로 제공할 수 있다(S3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주소정보(예 : URL)가 제공되어 접속 요청되면,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브라우져로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인지하고, 접속주소정보(예 : URL)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브라우져로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접속주소정보(예 : URL)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할 때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영상 위에 랜더링/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영상에서 특정 객체 또는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이에 따른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단말장치에서 영상을 입력받아 표시할 때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예 : 태그)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가상객체로서 영상 위에 랜더링/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영상에서 특정 객체 또는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이에 따른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궁금한 제품이 등장하는 특정 방송 화면 또는 특정 촬영구역의 영상을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증강현실 서비스 방식으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얻고 구매 가능한 쇼핑몰로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제품 홍보 및 판매 증진,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단말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 디스플레이장치 100,400 : 단말장치
200 : 증강정보제공장치 300 : 서비스서버

Claims (24)

  1.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를 제공하는 증강정보제공장치; 및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2.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부; 및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단말장치가 입력되는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를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증강정보제공장치가 기 등록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방법.
  9.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단계;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증강정보 표시단계; 및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서비스 접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인지되면,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는,
    해당하는 제품의 제품이미지정보, 제품가격정보, QR(Quick Response)코드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정보,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서비스서버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 및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단계는,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의 증강정보 또는 선택된 증강정보에 따른 브라우져 구동명령정보에 의해 브라우져기능을 구동시키고 접속주소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서비스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상기 영상 내 해당 객체의 표시위치에 렌더링(rendering)하여 가상객체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5.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는 객체인지부;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증강정보획득부;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정보출력부;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택감지부; 및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접속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지원부는,
    상기 선택감지부를 통해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7. 표시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지하는 단계,
    인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선택 감지된 특정 객체 또는 표시된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0. 제 17 항 내지 제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해당 증강정보 또는 선택 감지되는 특정 증강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1.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증강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한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특정 증강정보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기 저장된 객체 별 증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강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4. 제 21 항 내지 제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상기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증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져 구동명령을 제공하여 브라우져 기능을 구동시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따른 해당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10055047A 2011-06-08 2011-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6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47A KR20120136060A (ko) 2011-06-08 2011-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047A KR20120136060A (ko) 2011-06-08 2011-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41A Division KR20170066287A (ko) 2017-05-29 2017-05-29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060A true KR20120136060A (ko) 2012-12-18

Family

ID=4790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047A KR20120136060A (ko) 2011-06-08 2011-06-08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0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355A (ko) * 2014-01-09 2015-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37857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씨제이헬로 Vr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042419B2 (en) 2015-01-29 2018-08-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digital signage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using a ser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355A (ko) * 2014-01-09 2015-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042419B2 (en) 2015-01-29 2018-08-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digital signage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using a server
KR20180037857A (ko) * 2016-10-05 2018-04-13 주식회사 씨제이헬로 Vr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3668A1 (en) Personal Augmented Reality
US9171384B2 (en) Hands-free augmented re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12813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ntent based on gestures
KR101839927B1 (ko) 미디어 데이터에 있는 아이템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18324A1 (en) Facilitating placeshifting using matrix codes
US20120081529A1 (en) Method of generating and reproducing moving image data b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191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쿠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891106A (zh) 基于直播间的资源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2874405B1 (en) A client device, system and software for providing a defined view of an image on a client device
JP2021129286A (ja) 配信システム、ライブ配信装置、ライブ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13567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36060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5174953B (zh) 赛事虚拟直播方法、系统及赛事直播服务器
US100699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6628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1718B1 (ko)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캡처 이미지 상품 구매 방법
CN114827688B (zh) 内容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AU2015271902B2 (en) Personal augmented reality
JP6784988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TWI566111B (zh) 分享全景圖像至社群媒體之方法及其系統
TR201722263A2 (tr) Bi̇r mobi̇l ci̇haz
JP2002040931A (ja) 映像情報と連携した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地図情報提供方法,地図情報登録方法および地図情報提供の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50044521A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