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931A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931A
KR20120134931A KR1020110054163A KR20110054163A KR20120134931A KR 20120134931 A KR20120134931 A KR 20120134931A KR 1020110054163 A KR1020110054163 A KR 1020110054163A KR 20110054163 A KR20110054163 A KR 20110054163A KR 20120134931 A KR20120134931 A KR 2012013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operation mode
control unit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근
권태연
이경구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931A/ko
Publication of KR2012013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방식을 조절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단말기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휴대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이 다양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보다 많이 조작하게 되는데, 이는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제조사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기(TA; Travel Adapter)를 휴대단말기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충전기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을 청취하게 되면, DMB 방송 데이터의 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은 배터리를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충전하게 되면 높은 레벨의 충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데, 휴대단말기 내부의 충전제어회로가 높은 충전 전류 값을 처리하면서 스위칭 노이즈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제어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인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충전 전류 값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가 휴대용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게 될 경우 통상적으로 최대 2 A(암페어)의 충전 전류 값이 휴대단말기로 입력되는데, 휴대단말기 내의 충전제어회로는 소정의 단자(IDC)로 입력되는 저항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충전전류 값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경우 통상적으로 휴대용 충전기로부터 최대 2A의 충전 전류 값이 입력되면, 저항측정단자(예를 들어, IDC 단자)로 입력되는 저항값(R746//R747)을 확인하고, 확인된 저항값에 대응되게 충전 전류 값을 휴대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한 1.6A의 레벨로 조절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이렇게 1.6A의 충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DMB 방송을 청취하게 되면, 1.6A의 높은 충전 전류 값을 처리하게 되어 충전제어회로에서는 스위칭 노이즈 등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어, 이는 DMB 방송의 수신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면서도 휴대단말기를 사용(예를 들어, DMB 방송 시청)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는 발명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더라도,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인지 확인하여 제어부에 통보하는 충전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도록 상기 충전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경된 충전 전류 값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사용(예를 들어, DMB 방송 시청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할 경우, 휴대단말기 사용의 지장없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제어회로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제어부의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으며, 도2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표시화면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250)는 키입력부(2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27)를 통해, 사용자는 배터리가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가 소정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DMB 방송 모드)로 진입을 요청한 후에 배터리의 충전전류 값을 낮추도록 요청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2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표시화면(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260)는 휴대용 충전기(TA; Travel Adapter,미도시) 또는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예를 들어, 충전전류 값)을 통해 배터리(270)를 충전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27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원을 휴대단말기의 각 구성부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부(260)는 배터리(270)의 충전 상태 및 온도 등의 정보를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부(260)는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부(260)는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270)의 충전이 수행중임을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충전이 수행되고 있음은 휴대용 충전기(TA)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 값의 크기를 확인하거나, 휴대용 충전기(TA)의 단자가 휴대단말기에 인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충전기(TA)를 이용한 충전은 500 mA 이상(예를 들어, 최대 2 A의 충전전류 값을 가질 수 있음)의 충전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고 USB를 이용한 충전은 최대 500mA의 충전전류만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충전제어부(260)는 입력되는 충전 전류 값의 크기 확인을 통해 휴대용 충전기(TA)로 배터리를 충전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27) 또는 표시부(2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된 것이 확인되면, 충전제어부(260)로 활성화 신호(enable 신호)를 인가하고, 이를 통해 충전전류 값을 결정하는 저항값을 증가시켜 충전제어부(260)가 충전 전류 값을 조절(예를 들어, 낮은 값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을 감지하는데, 터치표시화면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는 회전하는 휴대단말기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관찰하는데, 가속도 센서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의 6축, 즉, 상하, 좌우, 전후방, x축, y축 및 z축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영상의 촬영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촬영된 영상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수행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DMB 수신기를 이용한 DMB 방송 모드로 진입하게 될 경우, DMB 방송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나, 이는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해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WiFi 모듈을 포함할 때,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충전하면서 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 WiFi 모듈의 방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해소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제어부의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301-S302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중인 상태에서 휴대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270)의 충전이 수행중임을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충전제어부(260)로부터 제공받은 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된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정해진(또는 설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라 함은 휴대용 충전기(TA)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동작 모드로 진입하였을 경우, 진입된 동작 모드에서의 휴대단말기 성능이 저하되는 동작 모드(또는 기능)를 의미한다.
동작 모드의 성능 저하는 휴대용 충전기(TA)로 배터리를 충전함으로 인해 높은 충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어 발생되는 노이즈(예를 들어, 스위칭 노이즈)에 기인하는 것으로, 휴대용 충전기(TA)로 배터리(270)을 충전하는 도중에 진입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동작 모드는 안테나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받는 동작 모드로도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는, 무선송수신부(223)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 모드(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Wi-Fi, Zigbee 등)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동작 모드(예를 들어, Peer to Peer 통신), DMB 수신기를 이용한 동작 모드(예를 들어, DMB 방송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을 재생하게 되면 휴대단말기가 뜨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까지 진행하게 되면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여 휴대단말기 발열의 원인이 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경우에는, 낮은 충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요청함으로써 휴대단말기 및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전 단계를 통해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휴대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면, S303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충전제어부(260)를 제어하여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휴대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로 진입한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 충전 전류 값이 변경되는데, 이때 충전 전류 값의 변경은 소프트웨어적 방법 또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의 경우, 제어부(210)가 충전제어부(260)로 배터리(270)의 충전 전류 값을 낮추도록 하는 신호를 인가하면, 충전제어부(260)가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270)의 충전 전류 값을 소정 레벨로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통해서 배터리(270)의 충전 전류 값을 소정 레벨로 낮추도록 제어할 경우에 해당하는 충전제어부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410 내지 430의 구성의 추가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휴대용 충전기(TA)를 통해 배터리(270)을 충전중인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된 것이 확인되면, 활성화 신호(enable 신호)를 충전 제어부(260)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활성환 신호가 인가되면 충전 제어부(260)는 스위치(410)를 온(On)시키고, 이에 따라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자(예를 들어, IDC 단자)를 통해 측정되는 저항값이 R746//R747의 병렬 저항값에 R1의 저항값을 더한 저항값이 되게 된다.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자(예를 들어, IDC 단자)가 R746//R747의 저항값보다 증가한 것이 확인되면, 충전 제어부(260)는 저항값 증가 이전보다 충전 전류 값을 낮추도록(예를 들어, 1.6 A에서 1.2 A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R746//R747의 저항값일 때 충전 전류 값이 1.6 A라고 가정할 경우 이 상태에서 DMB 방송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충전 제어부(26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해 DMB 방송 데이터의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나, R746//R747의 저항값에 R1의 저항값이 추가되어 충전 전류 값이 1.2 A로 낮아지면 충전 제어부(26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경감되어 DMB 방송 데이터가 원활하게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430의 R2 저항은 NC(Not Connected)로서, 추후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충전제어부(260)는 필요에 따라 배터리(270)의 충전 속도(예를 들어, 충전 전류 값)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활성환 신호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충전전류 값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이 변경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전류 값의 변경 이전에는 1.6 A가 배터리(270)로 입력되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이라면, 충전 전류 값이 변경된 이후에는 1.2 A의 전류 값이 배터리(270)을 충전할 수 있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0)는 최대 1.2 A 이내의 충전 전류 값을 통해 배터리(270)을 충전하도록 충전제어부(260)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4)

  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되는 충전 전류 값은 변경 이전보다 그 값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진입하면 진입된 동작 모드에서의 휴대단말기 성능이 저하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방송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배터리가 TA(Travel Adapter)를 통해 충전 중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8.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가 배터리를 충전 중인지 확인하여 제어부에 통보하는 충전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 중일 때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의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도록 상기 충전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경된 충전 전류 값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되는 충전 전류 값은 변경 이전보다 그 값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진입하면 진입된 동작 모드에서의 휴대단말기 성능이 저하되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방송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TA(Travel Adapter)를 통해 충전 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을 변경하도록 상기 충전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110054163A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20134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63A KR20120134931A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63A KR20120134931A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31A true KR20120134931A (ko) 2012-12-12

Family

ID=4790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163A KR20120134931A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3652A (zh) * 2019-10-23 2020-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池充电方法、电池充电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3652A (zh) * 2019-10-23 2020-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池充电方法、电池充电装置及存储介质
CN110783652B (zh) * 2019-10-23 2021-06-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池充电方法、电池充电装置及存储介质
US11411422B2 (en) 2019-10-23 2022-08-0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attery charging method,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723B1 (ko) 휴대단말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N111698672B (zh) 无线耳机的音频同步方法及无线耳机
KR101665835B1 (ko) 전자장치, 배터리 보호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2067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439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2424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7678989B (zh) Uart与usb复用电路以及移动终端
WO2018166204A1 (zh)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19052291A1 (en) UNLOCKING METHODS AND RELATED PRODUCTS
CN106936516B (zh) 显示屏显示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US201700977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rt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 and mobile terminal
WO2018039881A1 (zh)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KR20150065339A (ko) 액세스 포인트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CN108834013B (zh) 一种可穿戴设备电量均衡方法及相关产品
US20140254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al modes in a bluetooth earphone
CN111373726A (zh) 一种音频业务的参数调整方法和终端
US9578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t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iod
US11006475B2 (en) Direct mode ope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CN113296664A (zh) 屏幕分辨率调整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837319B (zh) 一种可视角度调节方法及电子设备
CN106375554A (zh) 一种音频输出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20134931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WO2017035794A1 (zh)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CN106210951A (zh) 一种蓝牙耳机的适配方法、装置和终端
JP2018139384A (ja) 音声を出力する方法、ワイヤレスデバイス、ワイヤレススピーカ、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