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367A - 2축힌지 - Google Patents

2축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367A
KR20120134367A KR1020110053226A KR20110053226A KR20120134367A KR 20120134367 A KR20120134367 A KR 20120134367A KR 1020110053226 A KR1020110053226 A KR 1020110053226A KR 20110053226 A KR20110053226 A KR 20110053226A KR 20120134367 A KR20120134367 A KR 2012013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hinge
suppor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852B1 (ko
Inventor
조홍준
진용철
배상훈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85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도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2축힌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축힌지{Two-Way Hinge}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또는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의 총칭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있는 오물을 제거하게 되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수용공간에 연통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도어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일반적이었다.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축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하는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를 상기 캐비닛고정부에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때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서포터를 포함하는 2축힌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2축힌지는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서로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축힌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서포터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도어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서포터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한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서포터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삽입되어 구비된 착탈바디, 상기 착탈바디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돌기가 수용되는 다수의 돌기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착탈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바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서포터에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부 수용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는 소정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제1고정돌기, 상기 제1고정돌기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수용홈은 상기 제1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 상기 제2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서포터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캐비닛에 접촉하여 상기 도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축힌지는 상기 힌지서포터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된 때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상기 힌지서포터에 제공하는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투입구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축힌지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2축힌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2축힌지와 도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힌지부를 구성하는 2축힌지 및 제3힌지의 운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2축힌지 및 제3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어경사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도어고정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2축힌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로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수용공간(R)과 의류수용공간으로 의류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37)가 구비된 캐비닛(3),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돌 회전시키되 상기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힌지부(5, 6, 7)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37)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아우터패널(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공간(R)에 연통한다.
상기 아우터패널(33)에는 도어(4)에 구비된 잠금돌기(47)가 수용되는 잠금돌기 수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는 잠금돌기(47)가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돌기 수용부(39)에 수용됨으로써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3)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5, 6, 7)는 투입구(3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A)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축은 제1힌지(5)와 2축힌지(6)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2축힌지(6)와 제3힌지(7)를 통해 형성된다.
도 1은 제1회전축(A)이 캐비닛(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세로축),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가로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회전축의 위치 및 제2회전축의 위치를 도 1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한(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한) 캐비닛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 (b)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이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투입구(37)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전(틸팅, Tilting)하면 도어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의류 투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도어(4)는 아우터패널(33) 방향에 구비되는 인너프레임(43), 상기 인너프레임에 결합하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투입구(37)에 삽입되는 투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투과부(45)는 의류수용공간(R) 내부에 위치한 의류가 투입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사용자가 의류수용공간(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힌지부 및 도어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도어는 힌지부와 도어의 결합 구조의 설명을 위해 인너프레임(43), 투과부(45)가 생략된 형태이다.
상기 힌지부는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1축(51)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1힌지(5), 상기 제1축과 더불어 제1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이 구비된 2축힌지(6), 상기 제3축과 더불어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이 구비되되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3)에 착탈시키는 제3힌지(7)를 포함한다.
즉,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에 고정된 형태이나 상기 제1힌지(5)와 제3힌지(7)는 도어(4)를 캐비닛(3)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폐(도 1 (a))하거나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폐(도 1 (b)) 가능하다.
상기 제1힌지(5)는 캐비닛(3) 또는 도어(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축(51),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제1축이 착탈 가능한 제1축 착탈부(53)를 포함한다.
도 2는 캐비닛의 아우터패널(33)에 제1축(51)이 구비되고 도어에 상기 제1축 착탈부(5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축(51)은 아우터패널(33)의 우상단에 위치하여 제1회전축(A)을 구성한다.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제1축(51)이 수용되는 축수용홈(531), 축수용홈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홈개폐부(533), 상기 홈개폐부를 탄성지지하는 개폐부 탄성지지부(535)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한 경우(도 1 (b)상태)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면 도어에 구비된 제1축 착탈부(53)가 제1축(5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축은 제1축 착탈부의 축수용홈(531)에 삽입된다.
축수용홈(531)에 삽입된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축(51)은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D컷 처리된 원형단면 봉의 의미는 제1축의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단 또는 외주면 일단에 절삭면이 구비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축수용홈(531)은 제1축이 삽입되는 유입구가 상기 제1축(5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축은(51)은 축수용홈(531) 내부로 유입되나 제1축이 축수용홈에 삽입된 뒤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축 착탈부(53)에는 개폐부 탄성지지부(53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홈개폐부(5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한 경우 축수용홈(531)에 삽입된 제1축(51)이 축수용홈(53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제1힌지(5)의 제1축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제1회전축(A)을 형성하는 제2축(651)과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2축힌지(6)는 상기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이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는데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61), 상기 도어(4)에 고정되되 제3축(63)을 통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축(651)은 상기 도어고정부(65)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제1축(51)과 제2축(6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어고정부(65)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에 의해 상기 캐비닛고정부(61)에 연결된다.
상기 2축힌지(6)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고정부(65)에 연결된 힌지서포터(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여 투입구(37)를 개방할 경우 상기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도어경사 조절부(8, 도 3참고)에 결합된다(자세한 설명은 후술함).
한편, 상기 힌지서포터(653)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힌지서포터(653)가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서포터 플랜지(6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힌지(7)는 아우터패널(33) 또는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축형성부(71), 아우터패널 또는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축형성부가 착탈 가능한 축착탈부(73)를 포함한다.
도 2는 아우터패널(33)에 축형성부가 구비되고 도어(4)에 축착탈부(7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3힌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축형성부(71)는 아우터패널(33)에 고정되는 바디(711), 상기 바디(711)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3축(63)과 더불어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포함한다.
상기 축착탈부(73)는 아우터프레임(41)과 인너프레임(43) 사이에 위치하는데 상기 제4축이 수용되는 제4축 수용홈(731),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제4축(713)을 지지하는 제4축 지지돌기(7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4축(713)은 상기 제4축 수용홈(731)에 수용된 뒤 제4축 지지돌기(733)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도어(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힌지의 제1축(51)은 제1축 착탈부에 구비된 축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3힌지의 제4축(713)은 축착탈부의 제4축 수용홈(731)에 삽입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를 측면(S)을 당기면 제4축(713)이 축착탈부(73)에서 분리되어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사용자가 도어(4)의 상부면(T)을 당기면 제1축(51)이 제1축 착탈부(53)에서 분리되어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4)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도어서포터(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서포터(75)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어서포터의 일단에는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서포터(75)가 상기 캐비닛(아우터패널)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754)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도어서포터에는 상기 축착탈부(73)에 착탈되는 착탈축(75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축착탈부(73)에는 상기 착탈축(751)이 수용되는 착탈축 수용홈(735), 상기 착탈축 수용홈에 수용된 착탈축(751)을 지지하는 착탈축 지지돌기(73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축착탈부(73)는 상기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 도 3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은 캐비닛(3)의 내부에 구비된 도어경사 조절부(8)에 의해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도어의 열림각(도어 개방각)을 조절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를 위해 구비되는 장치의 경우 의류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세탁이 완료된 의류의 건조를 위해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로 의류를 이동시킬 경우 도어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 개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의류를 의류수용공간(R)에 투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것이다.
특히, 세탁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캐비닛의 상부에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탑로딩(top loading)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술한 효과는 극대화된다.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에 결합하여 도어의 열림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서포터(75) 및 힌지서포터(653)에는 도어경사 조절부(8)에 착탈 가능한 서포터돌기(753) 및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8)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도어서포터(75)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 힌지서포터(653)가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가 모두 구비된 경우(도어경사 조절부가 2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어경사 조절부(8)는 하나만 구비되어 도어서포터(75)와 힌지서포터(653) 중 어느 하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어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와 힌지서포터에 착탈 가능한 도어경사 조절부의 구조는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서포터(653)이 착탈되는 도어경사 조절부(8)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경사 조절부(8)는 캐비닛(3) 내부에 위치하는데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구비된 인너패널(3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경사 조절부(8)는 인너패널(35)에 고정되는 고정바디(81), 상기 고정바디(81)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바디(83), 상기 착탈바디에 구비되어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85a, 8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홈(85a, 85b)은 상기 착탈바디(83)에 구비되되 소정거리 이격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돌기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돌기수용홈은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때 미리 설정된 열림각을 실현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 (a)는 도어가 닫힌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위치하는 돌기수용홈(85a), 도어의 열림각이 30도 또는 60도가 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돌기수용홈(85b)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착탈바디(83)는 고정바디(81)에 바디 탄성지지부(87)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힌지서포터 돌기(655)가 착탈바디(83)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어경사 조절부(8)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4)를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때 도어서포터(75), 힌지서포터(653),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a)와 도 4 (a)를 참고하여 제3힌지(7)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제3힌지의 제4축(713)과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은 축착탈부(73)의 제4축 수용홈(731)과 착탈축 수용홈(735)에 각각 수용된 상태이고, 제4축 지지돌기(733)와 착탈축 지지돌기(737)는 지지돌기 탄성지지부(739)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제4축과 착탈축을 각각 지지한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도어서포터(75)의 서포터돌기(753)은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에 수용된 상태가 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면(T, 도 2참고)을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을 구성하는 제4축(713)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축착탈부(73)에 고정된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은 캐비닛(3)의 외부로 인출될 것이다.
도어서포터(75)의 일단이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되면 서포터돌기(753)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착탈바디를 따라 이동하며 착탈바디에 구비된 돌기수용홈에 수용되어 도어의 열림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서포터(75)가 도어경사 조절부(8)로부터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플랜지(754)가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4)를 지지하게 된다.
도 3 (b)와 도 4 (b)를 참고하여 2축힌지(6)와 도어경사 조절부(8)의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경우, 힌지서포터 돌기(655)는 도어경사 조절부(8)의 돌기수용홈(85a)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사용자가 도어의 상부(T)를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도어가 회전하면 힌지서포터(653)도 돌기수용홈(85a)로부터 이탈하여 아우터패널(3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서포터 돌기의 이동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수용홈(85b)이 더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도어(4)를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힌지서포터(653)가 도어경사 조절부(8)에서 분리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힌지서포터(653)에 구비된 힌지서포터 플랜지(657)이 아우터패널(33)의 배면에 접촉하여 도어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 2축힌지는 도어(4)가 완전히 개방된 때 각 서포터(653, 75)에 구비된 플랜지(657, 754)의 도어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모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서포터 탄성지지부(771, 77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포터 탄성지지부는 도어서포터(75)가 아우터패널(33)의 외부로 인출된 때 캐비닛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서포터(75)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부(773)가 결합하는 리브(77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도어서포터(75)에 탄성부(773)가 직접 결합될 경우 도어 내부에 위치한 장치들과 탄성부(773)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어경사 조절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데 도 6은 도어경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경사 조절부는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부(82), 상기 고정부(82)의 수용이 가능하되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고정부 수용홈(8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82)는 소정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제1고정돌기(821), 상기 제1고정돌기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고정돌기(8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돌기(821)는 캐비닛(1)의 아우터패널(13)과 인너패널(15)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825)를 통해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수용홈(84)은 상기 제1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841), 상기 제2고정돌기(821)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8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돌기 수용홈(843)은 제2고정돌기(823)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제1고정돌기(821)의 외주면만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 수용홈(841)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되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과 다른 하나의 제1돌기 수용홈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개시된 고정부 수용홈(84)은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2돌기 수용홈(843),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3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는 제1돌기 수용홈(841a), 도어(4)가 제2회전축(A)을 기준으로 90도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1돌기 수용홈(841b)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돌기(823)의 직경이 제1돌기(821)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한 것은 제1돌기(821)만을 통해 도어의 열림각을 제어할 경우 제2돌기 수용홈(843)과 제1돌기 수용홈(841a) 사이의 간격이 제1돌기를 수용하되 도어의 무게를 지탱 가능한 홈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6은 고정부 수용홈(84)이 도어서포터(75)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술한 도어경사 조절부는 고정부 수용홈(84)이 힌지서포터(653)에 구비되고 고정부(82)가 힌지서포터에 구비된 고정부 수용홈에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서포터 및 힌지서포터에 각각 구비된 플랜지(754, 657)을 통해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도어(4)를 지지할 수 있지만 도어의 무게에 따라 축착탈부(73)에서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이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2축힌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의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도어고정부(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고정부(9)는 상기 도어(4)의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때 상기 도어서포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서포터(75)에는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가 수용되는 결합돌기 수용부(7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이동은 제3힌지의 축형성부(71)에 구비되는 캠(91), 상기 도어(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를 탄성지지하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축착탈부(73)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지지되고(도 2참고), 상기 캠(91)은 축착탈부(73)에 구비된 제4축 수용홈(731)의 외측에 위치하되 도어(4)가 닫힌 경우 서포터 결합돌기(9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91)은 도어(4)가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가 도어서포터(75)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고정부(9)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할 경우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상기 서포터 결합돌기(9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91)의 외주면을 따라 도어(4) 내부에서 이동하여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때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결합돌기 수용부(755)에 결합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투입구(37)를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본 발명 2축힌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도어에 구비된 축착탈부(73)와 도어서포터에 구비된 착탈축(75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투입구(3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탄성지지부(95)에 의해 캠(91)의 외주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도어 내부에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서포터 결합돌기(93)는 결합돌기 수용부(755)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3 도어: 4
제1힌지:5 제1축: 51 제1축 착탈부: 53
2축힌지: 6 캐비닛고정부: 61 제3축: 63
도어고정부: 65 제2축: 651 힌지서포터: 653
힌지서포터 돌기: 655 힌지서포터 플랜지: 657 제3힌지: 7
축형성부: 71 제4축: 713 축착탈부: 73
도어서포터: 75 착탈축: 751 서포터 탄성지지부: 77
도어경사 조절부: 8 고정바디: 81 착탈바디: 83
돌기수용홈: 85 도어고정부: 9 캠: 91
서포터 결합돌기: 93 결합돌기 탄성지지부: 95

Claims (9)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제1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하는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를 상기 캐비닛고정부에 연결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일단은 상기 도어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때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은 서로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서포터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도어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서포터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한 일단에 구비되는 힌지서포터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삽입되어 구비된 착탈바디, 상기 착탈바디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돌기가 수용되는 다수의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착탈바디와 상기 고정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바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경사 조절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서포터에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부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소정길이의 지름을 가지는 제1고정돌기, 상기 제1고정돌기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수용홈은 상기 제1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제1돌기 수용홈, 상기 제2고정돌기가 수용되는 제2돌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서포터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캐비닛에 접촉하여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서포터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된 때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향하는 복원력을 상기 힌지서포터에 제공하는 서포터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KR1020110053226A 2011-06-02 2011-06-02 2축힌지 KR10127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26A KR101276852B1 (ko) 2011-06-02 2011-06-02 2축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26A KR101276852B1 (ko) 2011-06-02 2011-06-02 2축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67A true KR20120134367A (ko) 2012-12-12
KR101276852B1 KR101276852B1 (ko) 2013-06-18

Family

ID=4790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26A KR101276852B1 (ko) 2011-06-02 2011-06-02 2축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8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996A (ko) * 2014-09-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32995A (ko) * 2014-09-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435068B2 (en) 2014-02-18 2016-09-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567701B2 (en) 2014-02-18 2017-02-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95543B2 (en) 2014-02-1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62B1 (ko) 2004-10-22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하 자동 개폐식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JP2008161549A (ja)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KR101053624B1 (ko) * 2008-11-14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125921B1 (ko) * 2009-07-22 2012-06-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드럼세탁기의 도아 힌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5068B2 (en) 2014-02-18 2016-09-0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567701B2 (en) 2014-02-18 2017-02-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37858B2 (en) 2014-02-18 2017-05-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695543B2 (en) 2014-02-18 2017-07-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60032996A (ko) * 2014-09-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32995A (ko) * 2014-09-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650737B2 (en) 2014-09-17 2017-05-1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790633B2 (en) 2014-09-17 2017-10-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852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2927B1 (en) Washing machine
EP267846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5671156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276852B1 (ko) 2축힌지
KR20130086886A (ko) 의류처리장치
AU201522742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5856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272926B1 (en) Washing machine
EP3296444B1 (en) Washing device
CA295627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99842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10238792A1 (en) Washing machine
KR20120097307A (ko) 세탁장치
CN110291244A (zh) 洗衣机
CN106758029B (zh) 一种可双向开门的衣物处理装置
KR10128462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7230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01574B1 (ko) 세탁장치
KR101821209B1 (ko) 세탁장치
KR20160131640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