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32A -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32A
KR20120134132A KR1020127025033A KR20127025033A KR20120134132A KR 20120134132 A KR20120134132 A KR 20120134132A KR 1020127025033 A KR1020127025033 A KR 1020127025033A KR 20127025033 A KR20127025033 A KR 20127025033A KR 20120134132 A KR20120134132 A KR 2012013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user input
enable
disable
program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그 브라켄시에크
라자 보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3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확인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표시 및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를 적어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응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PERATIVE ENABLEMENT OF USER INPUT OP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장치간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입력 옵션(user input options)의 협동적 이네이블(cooperative enablement)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통신 시대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의 엄청난 확장을 가져왔다. 컴퓨터 네트워크, 텔레비젼 네트워크 및 전화 네트워크는 소비자 요구에 의해 야기되는 전례없는 기술 확장을 경험하고 있다. 무선 및 이동 네트워킹 기술은 소비자 요구를 고려하여 보다 유연하고 즉각적인 정보 전송을 제공해왔다.
현재 및 장래 네트워킹 기술은 계속해서 사용자에게 정보 전송의 용이성과 편리성을 가져다 준다. 전기통신 산업 서비스 제공자는 보다 쉽거나 보다 빠른 정보 전송과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개선을 개발중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은 최근 몇년 동안에 모바일 전자장치의 배터리 수명과 컴퓨팅 용량이 개선됨에 따라, 크기 및 비용이 적어도 일부분 절감되었기 때문에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전자장치는 보다 유능하며, 보다 사용이 용이하고 구입 비용이 보다 낮아지고 있다. 지금의 유비쿼터스 모바일 장치 특성으로 인하여, 남녀 노소 및 교육 수준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다른 개인들끼리, 또는 연락처와 통신하고, 서비스를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정보, 미디어 및 다른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고 있다. 더욱이 복수의 개개인의 경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s), 페이저 모바일 텔레비젼, 모바일 전화, 게이밍 장치, 랩탑 컴퓨터,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라디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는 작업, 플레이, 엔터테인먼트, 사회화 및 다른 기능에 상당히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그들 각각의 모바일 전자장치로 상당히 연결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모바일 전자장치를 통해서 가지고 있는 인맥, 그리고 그들과 이러한 장치를 가지는 것에 대한 그들의 능력 및 성향을 고려해 볼 때, 또 다른 덜 유연한 장치가 특정 유형의 정보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미 자리잡은 상황일 지라도, 복수의 사람들이 정보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스로서 그들의 개인 모바일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는 것은 흔한 일이다.
따라서 모바일 전자장치 또는 모바일 단말이 다른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개선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소정의 다른 원격 장치 또는 원격 환경(예를 들면 원격 디스플레이 스트림)을 위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원격 환경은 제각기의 각 장치 또는 환경에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될 수 있는 키,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메카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가능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white list information), 그리고 디스에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블랙 리스트 정보(black list information)가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과 원격 환경 사이에 교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확인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플레이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표시와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거기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은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확인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고,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1 표시와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확인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고,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고, 그리고 제1 표시와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적어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는 두 장치의 증분 갱신 절차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이 차량 헤드 유닛의 형태로 원격 환경과 통신하는 동안에 모바일 단말과 관련될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6 및 도 7과 함께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의 스펠러 배치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 헤드 유닛의 스펠러와 모바일 단말 예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 구조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스펠러로 이용가능한 키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 스펠러 최적화를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을 일반적 측면에서 기술하였지만,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며, 이 도면은 반드시 스케일에 맞게 도시될 필요는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로부터 보다 충분히 기술할 것이며, 본 발명의 모두가 아닌 일부 실시예를 도시한다. 진실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복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본 개시물이 적용가능한 법적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이들 실시예를 제공한다. 동일 참조번호는 도면을 통해 동일 요소를 언급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데이터", "콘텐츠", "정보" 및 유사한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 수신 및/또는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상호교환적으로 언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임의 용어의 사용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주를 제한해서는 안된다.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는 (가) 하드웨어-전용 회로 구현(예를 들면 아날로그 회로 및/또는 디지털 회로의 구현), (나) 장치로 하여금 여기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과 회로의 결합, (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물리적으로 제공하지 않을 지라도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요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와 같은 회로를 언급한다. "회로"의 이 정의는 임의 청구범위를 포함한 여기에서의 이 용어의 모든 사용으로 적용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이의 부분(들), 그리고 수반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한 구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회로"는 또한 예를 들어 서버에서 모바일폰 또는 유사한 집적회로를 위한 기저대 집적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집적회로, 셀룰러 네트워크 장치, 다른 네트워크 장치, 및/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물리적 저장매체(예를 들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언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전자기 신호를 언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전송매체"와 구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은 그들 각 사용자에게 상당히 흔하면서 상당히 개인적인 것이 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은 종종 그들 각 사용자에게 상당히 익숙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은 (반대의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소정 경우에 소정 원격 환경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보다 더 강건하고 유연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원격 환경에 대한 제어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모바일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원격 환경과의 상호작용할 기회가 주어지면, 복수의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규제 또는 다른 이유를 위해 원격 환경의 소정 사용자 입력 옵션의 조작성에 영향을 주는 소정의 콘텍스트 규칙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적용할 수 있는 임의 규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바일 단말로 이러한 콘텍스트 규칙을 또한 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GPS 시스템이 모바일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GPS 시스템의 소정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차량의 GPS 시스템은 실제로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이 이동시에, 차량은 (안전 요건때문에) (예를 들면 스펠러(speller) 장치를 통해 목적지명 또는 주소를 입력하는) 소정 사용자 입력 옵션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요건이 약화될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대한 이들 액세스 제한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원격 환경과 모바일 단말의 상호운용성과 관련하여 개선을 경험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은 원격 장치 또는 환경과 통신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과 원격 환경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현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및 디스에이블할 사용자 입력 옵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환경과 인터페이스하도록 사용중인 상황에서(혹은 이 반대의 상황)에서, 일 장치에 적용하는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은 또한 다른 장치와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이로울 수 있는 모바일 단말(10)과 같은 장치가 통신 환경 예에 도시된 일반적인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는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와 제2 통신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소정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가 정보를 제공, 요청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이 소정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보여주지만,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는 임의 네트워크 통신없이, 대신에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 간의 직접 통신 링크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0)에서 국부적으로 실행되며 직접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2 통신 장치(30)로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신 기법은 내장된 장치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및 서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데에 주목해야 한다.
네트워크(30)는 사용된다면 대응한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하고 상이한 노드, 장치 또는 기능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은 시스템의 소정 요소의 광범위한 뷰의 예이며,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30)의 함축적 또는 상세 뷰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모바일 단말(10) 및 제2 통신 장치(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은 네트워크(30) 또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고, 각각은 베이스 사이트로 신호를 송신하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들)를 포함할 수 있는데, 베이스 사이트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및/또는 WAN(wide area network)과 같이 데이터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액세스점, 또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의 일부인 기지국일 수 있다. 결국 처리 요소(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등)와 같은 다른 장치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와 다른 장치를 네트워크(30)로 또는 서로 직접 또는 간접 연결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포함한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서로 또는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 각각의 다른 기능 또는 다양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는 LAN, WLAN(wireless 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UWB(ultra-wide band), 와이브리(Wibree) 기법 등을 포함한 RF(radio frequency), BT(Bluetooth), IR(Infrared) 또는 복수의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법중의 임의 기법에 따라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는 복수의 상이한 액세스 메카니즘중의 임의 메카니즘에 의해 서로, 그리고 네트워크(30)와 통신하기 위해 이네이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과 같은 모바일 액세스 메카니즘뿐만 아니라, WLAN, WiMAX 등과 같은 무선 액세스 메카니즘, 그리고 DSL(digital subscriber line), 캐이블 모뎀, 이더넷 등과 같은 고정 액세스 메카니즘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는 예를 들어 PDA, 무선 전화, 모바일 컴퓨팅 장치,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포지셔닝 장치(예를 들면 GPS 장치), 게임 장치, 텔레비젼 장치, 무선 장치, 또는 다양한 다른 유사 장치, 또는 이들의 결합과 같은 모바일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장치(20)는 위에 리스트한 바와 같은 모바일 장치 또는 다른 모바일 또는 내장 장치일 수 있지만, 또한 소정 예에서 고정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장치(20)는 차량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모바일 단말(10)이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다른 원격 환경 중의 임의 환경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30)는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 간의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0)은 VNC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제2 통신 장치(20)로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원래 실행 또는 액세스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VNC 서버로서 서비스할 수 있다. RFB(remote frame buffer)와 같은 VNC 프로토콜,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원격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 따라서, 제2 통신 장치(20)는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예를 들면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천장으로부터, 대시보드로부터, 또는 임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헤드레스트(headrest)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장치를 포함 또는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50)의 소정 요소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의 장치(50)는 예를 들면 일 통신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 20)상에, 또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 장치와 같은 다양한 다른 장치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되는 구성요소, 장치 또는 요소는 필수가 아닐 수 있고, 따라서 일부는 소정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소정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 및 기술된 바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 장치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장치(50)는 프로세서(70), 사용자 인터페이스(72), 통신 인터페이스(74) 및 메모리 장치(76)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76)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메모리 장치(76)는 예를 들어 머신(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데이터(예를 들면 비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게이트를 구비한 전자 저장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메모리 장치(7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인스트럭션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76)는 프로세서(70)에 의한 처리를 위해 입력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이 대신에, 메모리 장치(76)는 프로세서(70)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복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0)는 코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수반한 DSP를 가진 또는 가지지 않은 처리 요소, 또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MCU(microcontroller unit), 하드웨어 가속기, 특정목적 컴퓨터 칩등과 같은 집적회로를 포함한 다양한 다른 처리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처리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메모리 장치(76)에 저장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70)에 액세스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서(70)는 하드 코딩된 기능성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법에 의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든지 간에, 프로세서(70)는 적절히 구성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물리적으로 회로로 구현된) 엔티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로세서(70)가 ASIC, FPGA 등으로 구현될 때, 프로세서(70)가 여기에 기술된 동작을 행하기 위해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 대신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70)가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의 실행자로서 구현될 때, 인스트럭션은 인스트럭션이 실행될 때에 여기에 기술된 알고리즘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70)를 특별히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 경우에, 프로세서(70)는 여기에 기술된 알고리즘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에 의한 프로세서(70)의 추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데 적합한 특정 장치(예를 들면 AP 또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다른 것들 중에서 프로세서(70)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클록, ALU(arithmetic logic unit) 및 논리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장치와 통신하여 네트워크로 및/또는 임의 다른 장치 또는 모듈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되는 장치 또는 회로와 같은 임의 수단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예를 들어 안테나(또는 다중 안테나), 그리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지원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환경에서,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이 대신에 또는 또한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74)는 캐이블, DSL(digital subscriber line),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모뎀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청각, 시각, 기계적 또는 다른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2)에서 사용자 입력 표시를 수신하기 위해 프로세서(7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소프트키, 마이크로폰, 스피커 또는 다른 입력/출력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가 서버 또는 소정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서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제한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장치가 통신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로서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2)는 다른 장치 또는 요소들 중에서 스피커,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 등의 모두 또는 임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프로세서(7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링거,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적어도 소정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 그리고/또는 프로세서(70)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70)를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예를 들면 메모리 장치 76 등)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는 콘텍스트 분석기(context analyzer)(80) 및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를 제어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텍스트 분석기(80) 및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의 각각은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그렇지 않으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70), 여기에 기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ASIC 또는 FPGA로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된 프로세서(70))으로 구현되어 동작하는 장치 또는 회로와 같은 임의 수단일 수 있어,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콘텍스트 분석기(80)와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의 제각기의 대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예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 또는 회로(예를 들어 일 예에서 프로세서 70)는 이러한 수단과 관련된 구조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프레임 버퍼 복사 처리는 제1 프레임 버퍼에서 모바일 단말(10)의 콘텐츠로부터의 프레임을 랜더링 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20)의 제2 프레임 버퍼로 복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격 프레임 버퍼 복사 처리는 제2 프레임 버퍼에서 제2 통신 장치(20)의 콘텐츠로부터의 프레임을 랜더링을 위해 모바일 단말(10)의 제1 프레임 버퍼로 복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장치에서 발생된 콘텐츠 또는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및/또는 디스에이블된 사용자 입력 기능에 대한 정보 교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텍스트 분석기(80)(장치(50)의 실시예가 모바일 단말 10과 제2 통신 장치 20의 모두에 포함될 때에 각 장치상에 포함될 수 있는 경우)는 사용자 입력 옵션을 이네이블 및/또는 디스에이블할 것인지를 결정시에 사용하기 위해 콘텍스트의 분석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제공할 사용자 입력 옵션을 조정하기 위해 장치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콘텍스트 분석기(80)는 모바일 단말(10)(또는 제2 통신 장치 20)과 같은 장치의 콘텍스트 환경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콘텍스트 결정은 일반적일 수 있다(예를 들면 이동 또는 고정).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콘텍스트 결정은 보다 특정적일 수 있다(예를 들면 자동차 콘텍스트에 있는 장치의 경우, 사전결정된 속도 위 또는 아래로의 장치의 이동, 특정 위치에 있는 장치 등). 또한 콘텍스트 분석기(80)는 (소정 경우에 속도를 포함한) 위치 및/또는 모션과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10) 또는 제2 통신 장치(20)(예를 들면 GPS 장치, 셀타워 트래킹 센서, 또는 다른 포지셔닝 센서)의 움직임 또는 다른 환경적 센서와 통신할 수 있다.
콘텍스트 분석기(80)에 의해 결정된 콘텍스트 정보를 정적 또는 동적 설정을 기본으로 성취된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적 사용자 설정은 결정된 콘텍스트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프레임 버퍼 데이터에 관하여 복사 처리를 시작한다면, 정적 사용자 설정은 복사 처리의 개시가 장치(50)에 대한 자동차 콘텍스트를 확인하는 디폴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동적 사용자 설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예를 들면 동작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 특정한 콘텍스트(예를 들면 차량 콘텍스트)의 선택 또는 잠재적 콘텍스트의 리스트로부터의 선택을 통해) 특정 콘텍스트에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구성을 설정한다. 차량 콘텍스트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 장치(50)가 차량 콘텍스트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텐츠의 유형을 기반으로, 그리고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의 프리젠테이션을 제어하는 규칙 셋을 기반으로 원격 장치로 복사를 위해 콘텍츠를 설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컬 규칙 또는 조정은 특정 사용자 입력 옵션 또는 다른 주의분산 정보(distracting information)를 특정 속도를 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자동차의 콘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분을 이네이블하지 않는다면, 콘텍스트 정보는 장치(50)가 차량 콘텍스트에 있는 지의 여부, 이 예에서 속도가 특정 속도를 넘는지, 또는 이하로 있는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가 사용자 입력 옵션의 소정 부분(또는 모두)을 모바일 단말(10) 및/또는 제2 통신 장치(20)로의 공급으로부터 차단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로 콘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통신하는 장치를 위해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공간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와 관련있을 수 있는 장치의 각 동작 모드에서 물리적으로 또는 가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소프트 키 또는 하드 키를 포함한) 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선택을 위해 사용자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을 통해, 또는 커서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모든 텍스트기반 입력 및 기능 입력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터치 스트린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입력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문자(text charcter)의 선택은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분에서 기능 아이콘의 선택 또는 각 문자에 대응한 터치 스크린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소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또한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도 입력될 수 있는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 또는 원격 환경을 통해 이용가능한 핀치-줌(pinch-zoom) 및 다른 제스처는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에게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시각적 제스처는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에 의해 또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원격 환경 또는 모바일 단말은 이러한 제스처를 검출할 시에 대응한 기능의 실행과 관련있을 수 있는 검출가능한 제스처를 보기 위하여 카메라를 이용하는 능력을 가진다면,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관리할 수 있다. 동일한 사항들이 음성 커맨드에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임의 인식가능한 음성 커맨드, 또는 이러한 커맨드 또는 입력을 검출할 시에 대응한 기능의 실행과 관련있을 수 있는 다른 구두 입력(spoken input)은 또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될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시각, 청각, 터치기반 또는 키 기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임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리스트 셋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옵션을 관리하고, 리스트가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이러한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갱신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이네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의 셋은 화이트 리스트로 간주될 수 있고, 디스에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 셋은 블랙 리스트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의 생성 및/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이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와 관련된 장치를 위한 로컬 화이트 리스트 및 로컬 블랙 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로컬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를, 또 다른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한 수신된 원격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와 조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0)이 제2 통신 장치(20)와 통신한다면,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콘텍스트 분석기 80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로컬 화이트 리스트와 로컬 블랙 리스트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또한 제2 통신 장치(20)의 원격 화이트 리스트 및 원격 블랙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그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하여 로컬 및 원격 화이트 및 블랙 리스트를 조화시킬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와 블랙 리스트를 조화시킬 시에,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화이트 리스팅에 비해 블랙 리스팅을 우선순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키가 일 장치에 의해 화이트 리스트화 되지만 다른 장치에 의해서는 블랙 리스트화 되는 경우, 특정 키는 현 환경 하에서 키의 사용을 금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바람직한 이유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현재 콘텍스트에서 키의 사용을 막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에 의해 블랙 리스트화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20) 간의 전송을 위해 블랙 리스트 정보 및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 경우, 블랙 리스트 정보는 블랙 리스트된(또는 디스에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의 완전환 리스트일 수 있고, 화이트 리스트 정보는 화이트 리스트된(또는 이네이블된) 사용자 입력 옵션의 완전한 리스트일 수 있다. 그러나 블랙 리스트 정보와 화이트 리스트 정보는 모두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블랙 리스트 정보 및/또는 화이트 리스트 정보는 대신에 단지 이전 리포팅 이후로의 변경 리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블랙 리스트 정보는 블랙 리스트로의 변경만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ΔBL과 ΔWL).
소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공간은 입력 옵션 유형 또는 클래스에 의해 분할될 수 있고, 화이트 리스트 정보 및 블랙 리스트 정보는 클래스 방식 원리(class-wise basis)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이트 리스트 정보는 터치 기반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 키 기반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 정보 및 블랙 리스트 정보가 대응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를 제공하는 소정 실시예에서, 리스트는 비어 있는(empty), 가득 찬(full), 또는 부분적인(partial)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비어 있는 블랙 또는 화이트 리스트는 임의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빈 블랙 리스트란 모든 입력 옵션이 이네이블 또는 턴온된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한편, 비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는 모든 입력 옵션이 디스에이블 또는 턴 오프된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다. 가득 찬 화이트 또는 블랙 리스트는 대응한 입력 옵션 클래스에 대해 가능한 모든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득차거나 또는 비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 셋의 프리젠테이션은 비어 있는 또는 가득 찬 블랙 리스트의 각각에 대한 대응 조건을 반드시 암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콘텍스트의 경우, 가득 찬 음성 입력 화이트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고, 비어 있는 키 입력 화이트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어, 이로써 비어 있는 음성 입력 블랙 리스트, 그리고 가득 찬 키 입력 블랙 리스트를 암시할 수 있다.
부분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는 대응한 입력 옵션 클래스을 위한 모든 가능한 값의 서브셋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풀 버전의 서브셋). 소정 실시예에서, 부분 화이트 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는 이전 리스트에 대한 갱신을 전달하도록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리스트에 대한 변경을 전달하기 위해, 연결 설정 동안에 교환할 가득 찬 화이트 리스트 및/또는 블랙 리스트, 그리고 그 후에 변경할 부분 리스트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이 처음에 원격 환경(예를 들면 제2 통신 장치 20)으로 연결될 때, 모바일 단말(10)과 제2 통신 장치는 각 제각기의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입력 옵션 클래스에 대해 가득 찬 화이트 리스트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가득 찬 화이트 리스트는 그 후에 언제든지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득 찬 화이트 리스트는 콘텍스트에서 소정 변동에 응답하여 연결 수명 동안에 요구시(on-demand)주문시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 각 입력 옵션 클래스에 대해 가능한 입력 옵션은 (예를 들면 표준화 또는 이전 통신으로 인하여) 사전에 각 장치에 의해 알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득 찬 리스트의 초기 교환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각 입력 옵션 클래스에 대응한 화이트 리스트 정보 및 블랙 리스트 정보의 후속 갱신은 변경되는 값과 관련하여 증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실상 장치들 간에 최소 정보가 전달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는 두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과 제2 통신 장치 20)에 대한 증분적 갱신 절차를 보여주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장치(20)는 초기에 (예를 들면 콘텍스트 분석기 80의 로컬 경우를 통해) 동작(84)에서 그자체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제2 통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동작 관리자 82의 로컬 경우를 통해) 동작(86)에서 결정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리스트(BL)과 화이트 리스트(WL)를 생성할 수 있다. BL 및 WL 정보의 증분적 갱신은 동작(88)에서 제2 통신 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로 전송될 수 있다. BL 및 WL의 전송은 루틴 구간에서, 개별 구간에서, 또는 예를 들면 콘텍스트의 변동(또는 BL 또는 WL 정보에서 대응 변동이 결과인 콘텍스트의 최소 변동)과 같은 특정 자극에 응답하여 발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단말(10)은 처음에저 동작(90)에서 그자체를 위한 콘텍스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 82의 로컬 경우를 통해) 동작(92)에서 결정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 리스트(BL)와 화이트 리스트(WL)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동작(94)에서 BL과 WL 정보로의 증분 갱신은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제2 통신 장치(20)로 전송될 수 있다. BL과 WL 정보의 전송은 루틴 구간에서, 개별 구간에서, 또는 예를 들어 콘텍스트의 변경(또는 BL 또는 WL 정보에서 대응한 변경의 결과를 만드는 콘텍스트에서 최소 변경)과 같은 특정 자극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로 전송된 BL 및 WL 정보는 화살표(96)로 표시되며, 각 제각기의 입력 옵션 클래스(또는 이와 관련된 변동을 가진 최소 이들 클래스)를 위한 클래스 바이 클래스 원리(class by class basis)로 BL 및 W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제2 통신 장치(20)로 전송된 BL 및 WL 정보는 화살표(98)로 표시되고, 또한 각 제각기의 입력 옵션 클래스(또는 이와 관련 변동을 가진 최소 이들 클래스)를 위한 클래스 바이 클래스 원리로 BL 및 W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의 모두가 매 갱신 동안에 전송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소정 경우에, 화이트 리스트만, 또는 블랙 리스트만이 전송될 수 있고, 블랙 리스트의 증분 갱신에 제공된 임의 값은 수신자에 의해 그의 대응 화이트 리스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유사하게, 화이트 리스트의 증분 갱신에 제공되는 임의 값은 수신자에 의해 그의 대응한 블랙 리스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환경에서 특정 입력 클래스를 위한 기존 블랙 리스트 및 기존 화이트 리스트가 제각기 BL과 WL로써 표시되고, 모바일 장치가 블랙 리스트(BL1) 및 화이트 리스트(WL1)를 위한 증분 갱신을 원격 환경으로 송신한다면, 원격 환경은 BL=(BL\WL1)U(BL1)을 반영하는 새 블랙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고, 원격 환경은 WL=(WL\BL1)U(WL1)을 반영하는 새 화이트 리스트를 가리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 정보는 대응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드 키를 디스에이블하는 것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대응 키를 누르거나 또는 선택시에 아무 효과가 실현되지 않도록 각 키와 관련된 기능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소프트 키의 경우, 디스에이블된 키가 뷰에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불분명해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경우에 소정 옵션을 유사하게 제거하거나 또는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 기능을 또한 반드시 대응한 시각 표시로써 나타날 필요는 없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터치 제스처가 효과없다는 시각적 표시가 없을 수도 있지만, 효과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소정 디스에이블된 기능성이 요청될 때마다(또는 단순히 소정 금지된 기능성이 제공될 때), 설명을 위해 사용자에게 아이콘 또는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스처 또는 음성 커맨드의 경우, 소정 입력 옵션의 디스에이블은 단순히 대응한 입력 옵션을 비효과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 단말(10)이 (예를 들어 제2 통신 장치 20로서 동작하는) 차량 헤드 유닛(car head unit)의 형태로 원격 환경과 통신하는 동안에,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과 관련있을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차량 헤드 유닛은 차량이 이동시에 운전자 주의분산을 피하도록 소정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기능성은 도 3과 함께 전술한 예에 따라서 차량 헤드 유닛의 블랙 리스트로 추가되어, 모바일 단말(10)로 전달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된 블랙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한 블랙 리스트 항목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사진 보기, 이메일 및 대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은 디스에이블된 터치 스크린 영역(99)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에이블되어 있어. 이 예에서, 리스트는 디스에이블할 형태(X 좌표, Y 좌표, 폭, 높이)의 스크린 영역을 기술하는 직사각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블랙 리스트 정보는 형태 BL={(400, 50, 100, 100), (400, 200, 100, 100), (550, 200, 150, 100)}과 WL=BL'(BL의 보수)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10)은 운전자 주의분산을 막기 위하여 각 제각기의 위치의 대응 아이콘을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대응한 터치 영역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 규정을 시행할 수 있다. 차량이 정지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엔진이 스위치오프될 때, 차량 헤드 유닛은 그의 콘텍스트의 변동을 검출할 수 있고, 대응한 터치 영역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10)을 가리키기 위하여 전술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도 5(a) 및 도 5(b)를 포함하고, 이는 도 6 및 도 7과 함께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대한 스펠러 배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모바일 단말 예와 (제2 통신 장치 20으로서 동작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스펠러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구조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서 스펠러에 이용가능한 키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스펠러 최적화를 위한 처리를 기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펠러(214)는 자동차 환경에서 텍스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유명한 사용자 입력 메카니즘으로서 차 헤드 유닛과 관련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펠러(214)는 전형적으로 회전가능 선택 메카니즘 주위로 디스플레이된 문자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특정 문자는 사용자에 의해 원한다면 대응한 문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포인터 오브젝트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펠러(214)는 처음에 옵션으로서 가능한 모든 문자(예를 들면 알파벳의 모든 26 글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입력된 키를 기반으로 가능성있는 다음 가능한 키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블랙 리스팅 및 화이트 리스팅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감소된 옵션을 가진 단순화된 스펠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구조 예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화된 스펠러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6의 소정 요소를 연결하는 라인은 도시된 장치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만을 도시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도 6의 소정 요소들을 연결하는 라인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관심있는 특정 연결을 예시화하는데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제1 장치(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와 제2 장치(예를 들면 제2 통신 장치 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은 VNC 서버(100)로서 동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통신 장치(20)는 VNC 클라이언트(200)로서 동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를 포함한다. VNC 서버(100)와 VNC 클라이언트(200)는 RFB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통신은 각 장치에서 제각기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MAC(media access control) 모듈, USB를 통한 TCP/IP 연결, 또는 USB 모듈(예를 들면 USB 모듈 104 및 USB 모듈 204)을 사용하여 TCP/IP 또는 USB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장치 및 제2 장치의 각각은 대응한 프레임 버퍼(예를 들면 프레임 버퍼 108 및 프레임 버퍼 208)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106 및 디스플레이 20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장치는 사용자 인스트럭션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들 자신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키보드/마우스 114 및 스펠러 214)를 가질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장치의 각각은 또한 키보드/마우스(114)간의 입력 옵션을 스펠러(214)의 대응 입력 옵션으로 매핑(mapping)하기 위한 대응 매핑 장치(예를 들면 매퍼(mapper) 110, 매퍼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장치의 프레임 버퍼(108)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장치의 프레임 버퍼(208)로 복사할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 콘텐츠는 제1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120)과 관련있거나 또는 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키 이벤트 모듈(132)과 렌더링 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키 이벤트 모듈(132)과 렌더링 모듈(134)의 각각은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동작하는 장치 또는 회로와 같은 임의 수단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어, 키 이벤트 모듈(132) 및 렌더링 모듈(134) 각각의 대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키 이벤트 모듈(132)은 (예를 들면 키보드/마우스 114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벤트와 VNC 서버(100)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렌더링 모듈(134)은 VNC를 통해 프레임 버퍼(208)로 잠재적 복사를 위해 수신 콘텐츠를 프레임 버퍼(108)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렌더링 모듈(134)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한 후에, 콘텐츠는 VNC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고, VNC 서버(100)는 VNC 클라이언트(200)로 콘텐츠의 선택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전술한 바와 같이, VNC 서버(100)는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선택 부분에 관한 표시와 함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버퍼(108)(또는 프레임 버퍼 208)는 물리적 프레임 버퍼 또는 가상 프레임 버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120)은 이미 제공된 입력 텍스트를 기반으로 다음 가능 키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와 관련있을 수 있다(예를 들면 다음 가능 키 결정자 122). 다음 가능 키 결정자(122)는 이미 입력된 문자를 기반으로 더 이상 가능한 엔트리가 없는 특정 키를 식별할 수 있다.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는 이러한 키를 블랙 리스트로 입력하기 위하여 더 이상 가능한 엔트리가 없는 키의 신원(identity)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블랙 리스트는 키 리스트 제어기(212)로, 제2 통신 장치(20)로 제공될 수 있고, 이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의 다음 가능 키 결정자(122)에 의해 확인된 블랙 리스트 키를 기반으로 도 5(b)의 갱신된 스펠러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더 이상의 옵션이 없는 키를 확인하기 위해 매퍼(214)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120), 특히 애플리케이션(120)과 관련된 다음 가능 키 결정자(122)는 텍스트 완성 방법을 부분 사용자 엔트리로 적용하고, 특정 사용자 엔트리를 기반으로 문자가 다음 가능 문자임을 결정한다. 도 5(b)의 예에서, 화이트 리스트는 WL={L,O,P,S,U,W,C,H,I,L}이고, 블랙 리스트는 BL={A,B,D,E,F,G,...,Z}이다. 갱신된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가 차량 헤드 유닛으로 전송될 때, 헤드 유닛은 화이트 리스트된 단지 이들 문자 선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매시간 전체 알파벳을 통해 회전할 필요없이 다중기능 크놉(knob)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20)은 또한 현 위치 정보로부터 콘텍스트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영역/나라에서 모든 사용가능한 도시명 리스트를 가질 수 있고, 이전에 수신한 바를 기반으로 예상되는 다음 글자(letter)를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펠러로 하여금 도시명을 입력하면서, 글자를 입력하는 동안에 감소된 수의 가능한 결합만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ERL을 입력한 후에, 단지 (베를린(Berlin)의 경우) "I" 또는 (베를베르크(Berleburg)의 경우)"E"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가능한 영숫자 옵션들 간에 선택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7은 기능 블록도에서 전술한 시나리오의 몇몇 양상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작(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예를 들면 헤드 유닛)에서 키 이벤트는 서버(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 10)로 전송되어 수신될 수 있다(동작 302). 그 후 수신된 키 이벤트는 동작(304)에서 텍스트 입력으로서 인식되어, 동작(306)에서 (예를 들어 매퍼 110를 통해) 매핑될 수 있고, 동작(308)에서 새 키 리스트가 필요한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새 키 리스트가 필요하다면, 동작(310)에서 절대 키가 블랙 리스트화 되고, 동작(312)에서 다른 키는 화이트 리스트화 된다. 새 키 리스트가 필요없다면, 다음 키 이벤트는 재평가를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동작(320) 및 동작(322)에서, 블랙 리스트 및 화이트 리스트된 키는 각각 클라이언트로 전달되어 수신된다. 키 이벤트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수신될 때, 동작(33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또한 그의 키 리스트의 갱신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키 리스트로 임의 갱신이 행해지거나, 또는 블랙 리스트 및 화이트 리스트에 변경이 행해진 후에, 클라이언트는 동작(332)에서도 다른 키 이벤트를 기다릴 수 있다.
소정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차량이 이동중일 때에 특정 기능 키를 이네이블/디스에이블함으로써 콘텍스트-인식 방식으로 안전 규정을 시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실시예의 동작은 소정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호출을 하거나 또는 다른 긴급, 안전관련 또는 바이탈 기능을 행할 가능성을 금지시키는 동작 또는 블랙 리스트 키는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예가 자동차 관련 원격 환경 및 텍스트 문자를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입력 옵션(예를 들면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음성 입력 등)과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환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정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는 것을 막기 위해, 또는 상이한 콘텍스트와 관련된 복수의 상이한 시나리오에 대한 우연적 터치 사건을 막기 위하여 특정 터치 스크린을 디스에이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이 터치기반 장치이지만 헤드 유닛이 비터치식인 경우, 헤드 유닛은 모바일 장치상의 터치 입력을 완전히 블랙 리스트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성 입력은 음악이 재생될 시에 사용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이 현재 전면에 음악 재생기를 가진다면, 모바일 단말은 차량 헤드 유닛에게 블랙리스트 음성 입력을 블랙 리스트화하도록 요구할 수 있거나, 또는 아마도 "이메일" 또는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특정 음성 입력 구를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실시예는 특정 제스처를 막는데 이용될 수 있다(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예를 들면 차량 헤드 유닛이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탐지한다면, 차량 헤드 유닛은 모바일 단말에게 양 손을 필요로 하는 임의 제스처를 블랙 리스트화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운전중일 때에는 양 손 제스처가 불가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들이 소정 사용자 입력 옵션에 대한 협동적 이네이블(및 대응한 디스에이블)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장치들 간의 개선된 상호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 실시예는 (예를 들면 전술한 스펠러 기능성 향상과 같이) 또 다른 장치 상에서 서비스의 제공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는 서로 통신하는 장치의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소정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적어도 두 장치들 간의 협동은 각 제각기의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에 영향을 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 특정 입력 유형(예를 들면 텍스트 문자 입력)으로 제한되었던 이전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입력 옵션 클래스에 적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에서 블록 결합은 하드웨어, 펌웨어, 프로세서,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관련된 다른 장치와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절차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절차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장치의 메모리 장치에 의해 저장될 수 있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머신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예를 들면 하드웨어) 상으로 로딩될 수 있어, 최종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는 흐름도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구현한다. 또한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를 특정 방식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은 흐름도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을 구현하는 제조 물품을 생성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상으로 로딩될 수 있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상에서 수행될 일련의 동작들이 컴퓨터구현 처리를 생성하게 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상에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은 흐름도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을 제공한다.
따라서 흐름도의 블록은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결합,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의 결합, 그리고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수단을 지원한다. 또한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 그리고 흐름도에서 블록의 결합은 명시된 기능, 특정목적 하드웨어 및 컴퓨터 인스트럭션의 결합을 수행하는 특정목적 하드웨어기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동작(400)에서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확인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동작(410)에서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동작(420)에서 제1 표시 및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일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로컬 장치는 전술한 모바일 단말(10)일 수 있고, 원격 장치는 제2 통신 장치(20)일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통신 장치(20)는 로컬 장치에서 동작하고, 모바일 단말(10)은 원격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고, 방법은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전술한 동작들의 소정 동작은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증폭될 수 있다. 더욱이 소정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선택사양 동작이 포함될 수 있고, 소정 예는 도 8에 대시선에 도시된다. 전술한 동작으로 변경 또는 증폭은 임의 순서로, 그리고 임의 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방법은 동작(404)에서 디스에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블랙 리스트, 그리고 이네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화이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단계(408)에서 원격 장치로 블랙 리스트 및 화이트 리스트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경우에,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키 입력, 터치 입력, 터치 제스처, 시각적 제스처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클래스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로컬 장치 또는 원격 장치 중의 각 장치의 콘텍스트에서의 변동에 응답하여 제1 또는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1 표시 및 제2 표시를 기반으로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는 원격 장치의 콘텍스트로 적용가능한 동작 제한을 기반으로 로컬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제한하거나, 또는 원격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변경하기 위해 로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8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전술한 동작(400-420)의 각각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예를 들면 프로세서 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구현 논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동작(400-42)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대신에, 장치는 전술한 동작의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400-420)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예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70), 콘텍스트 분석기(80)와 사용자 입력 옵션 관리자(82)의 각 수단, 그리고/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실행하거나 또는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복수의 변경 및 다른 실시예로 인해 이들 발명이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에 제시된 티칭의 이점을 가지는 것과 관련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변경 및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 및 관련 도면은 요소 및/또는 기능의 소정 결합 예의 콘텍스트에서 실시예를 기술하지만, 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결합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명확히 전술한 바와 다른 요소 및/또는 기능 결합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일부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 특정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들은 일반적인 설명만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기반으로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할 임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식별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를 적어도 수행하게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디스에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와 이네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를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원격 장치로 블랙 리스트(black list) 및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의 통신을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원격 장치로 상기 블랙 리스트 및 화이트 리스트의 통신을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키 입력, 터치 입력, 터치 제스처, 시각적 제스처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클래스에 대한 표시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로컬 장치 또는 상기 원격 장치의 각 장치의 콘텍스트의 변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원격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로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원격 장치의 콘텍스트로 적용가능한 동작 제약을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에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식별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에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블랙 리스트와 이네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화이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장치로 상기 블랙 리스트 및 상기 화이트 리스트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키 입력, 터치 입력, 터치 제스처, 시각적 제스처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클래스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로컬 장치 또는 상기 원격 장치의 각 장치의 콘텍스트에서의 변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표시 또는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로컬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원격 장치의 콘텍스트에 적용가능한 동작 제약을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사용자 입력 옵션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구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은,
    로컬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을 식별하는 제1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과,
    원격 장치와 관련된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임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제2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 및
    상기 제1 표시 및 상기 제2 표시를 기반으로 상기 로컬 장치의 사용자 입력 옵션의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17항에 있어서,
    디스에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블랙 리스트와 이네이블할 입력 옵션을 정의하는 화이트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과, 상기 원격 장치로 상기 블랙 리스트 및 상기 화이트 리스트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은, 복수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 옵션 클래스의 각각에 대해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각 사용자 입력 옵션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는 키 입력, 터치 입력, 터치 제스처, 시각적 제스처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클래스를 위한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인스트럭션은, 상기 로컬 장치 또는 상기 원격 장치의 각 장치의 콘텍스트에서 변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표시 또는 상기 제2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27025033A 2010-02-26 2011-02-26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34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3,780 2010-02-26
US12/713,780 US20110214162A1 (en) 2010-02-26 2010-02-26 Method and appartus for providing cooperative enablement of user input options
PCT/IB2011/050833 WO2011104697A2 (en) 2010-02-26 2011-02-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perative enablement of user input op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32A true KR20120134132A (ko) 2012-12-11

Family

ID=4450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033A KR20120134132A (ko) 2010-02-26 2011-02-26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14162A1 (ko)
EP (1) EP2539796A4 (ko)
KR (1) KR20120134132A (ko)
CN (1) CN102770832A (ko)
BR (1) BR112012021497A2 (ko)
WO (1) WO2011104697A2 (ko)
ZA (1) ZA201207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741A1 (en) * 2010-09-03 2012-03-15 Cvg Management Corporation Vehicle camera system
US8990689B2 (en) 2011-02-03 2015-03-24 Sony Corporation Training for substituting touch gestures for GUI or hardware keys to control audio video play
US9047005B2 (en) * 2011-02-03 2015-06-02 Sony Corporation Substituting touch gestures for GUI or hardware keys to control audio video play
DE102011112445A1 (de) * 2011-03-12 2012-09-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US8766936B2 (en) 2011-03-25 2014-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stable touches
US8621483B2 (en) 2011-06-20 2013-12-31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sioning applications to in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with secured access
US9817479B2 (en) 2012-02-24 2017-11-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a gesture
CN103294331A (zh) * 2012-02-29 2013-09-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查找方法和终端
JP5928048B2 (ja) * 2012-03-22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US9733707B2 (en) 2012-03-22 2017-08-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display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interface utility on the same employing a rules-based masking system
US9423871B2 (en) 2012-08-07 2016-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s of inadvertent touch on a touch screen controller
US20140081517A1 (en) * 2012-09-20 2014-03-20 Cloudcar, Inc. Electronic device functionality modification based on safety parameters associated with an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KR20140051012A (ko)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US9128580B2 (en) 2012-12-07 2015-09-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touch screen interface utilizing an intelligent stencil mask
DE102013201954A1 (de) * 2013-02-06 2014-08-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rkennen von Möglichkeiten zur Verbesserung der Bedienung eines Fahrzeugs
EP2960771A4 (en) * 2013-02-19 2016-10-05 Nec Corp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CREEN CONTROL METHOD, AND SCREEN CONTROL PROGRAM
US20140267003A1 (en) * 2013-03-14 2014-09-18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Wireless controller to navigate and activate screens on a medical device
US10288881B2 (en) 2013-03-14 2019-05-1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Wearable interface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medical device
US9883353B2 (en) * 2013-03-15 2018-01-30 Volkswagen Ag Method to transmit real-time in-vehicle information to an internet service
US10698577B2 (en) * 2013-03-18 2020-06-30 Dennis Bushmitch Integrated mobile device
US20160019360A1 (en) 2013-12-04 2016-01-21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ES2762571T3 (es) * 2014-04-29 2020-05-25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y dispositivo mediante los cuales un equipo de usuario de tipo dispositivo-a-dispositivo transmit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US9769227B2 (en) 2014-09-24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ation of computing environment on multiple devices
US9860306B2 (en) 2014-09-24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onent-specific application presentation histories
US10025684B2 (en) 2014-09-24 2018-07-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ding target device resources to host device computing environment
US10448111B2 (en) 2014-09-24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projection
US10635296B2 (en) 2014-09-24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tioned application presentation across devices
US9678640B2 (en) 2014-09-24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ew management architecture
US10270615B2 (en) * 2014-12-30 2019-04-23 Grand Mate Co., Ltd. Method of providing operating options of an electric appliance
EP3091422B1 (en) * 2015-05-08 2020-06-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tering operational states based on an input type
US10282666B1 (en) * 2015-11-10 2019-05-07 Google Llc Coherency det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70142156A1 (en) * 2015-11-12 2017-05-18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Usa, Inc. Application Assurance for Open Platform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EP3519936B1 (en) 2017-12-08 2020-04-08 Google LLC Isolating a device, from multiple devices in an environment, for being responsive to spoken assistant invocation(s)
DK180241B1 (en) 2018-03-12 2020-09-0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monitoring
DK201870378A1 (en) 2018-05-07 2020-01-1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SG11202102264QA (en) * 2018-09-11 2021-04-29 Visa Int Service As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raud management with a shared hash map
DK201970532A1 (en) 2019-05-06 2021-05-03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11209957B2 (en) 2019-06-01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ycle tracking
US11228835B2 (en) 2019-06-01 2022-01-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exposure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234077B2 (en) 2019-06-01 2022-01-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exposure
US11562351B2 (en) * 2019-08-09 2023-01-24 Its, Inc. Interoperable mobile-initiated transactions with dynamic authentication
CN110716776A (zh) * 2019-08-29 2020-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显示用户界面的方法及车载终端
CN114286975A (zh) 2019-09-09 2022-04-05 苹果公司 调查研究用户界面
DK181037B1 (en) 2020-06-02 2022-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health applications
US11698710B2 (en) 2020-08-31 2023-07-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gging user activities
US11972095B2 (en) * 2021-03-23 2024-04-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assistant-enabled client application with user view context and multi-modal input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825A (ja) * 1998-03-24 1999-10-08 Toshiba Corp アクセス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6633315B1 (en) * 1999-05-20 2003-10-1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based dynamic user interface elements
US6748195B1 (en) * 2000-09-29 2004-06-08 Motorola, Inc. Wireless device having context-based operational behavior
US7693545B2 (en) * 2004-02-05 2010-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restricted zone
US20050193340A1 (en) * 2004-03-01 2005-09-01 Amburgey James T. Apparatus and method regarding dynamic icon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04027642A1 (de) * 2004-06-05 2006-01-05 Robert Bosch Gmbh Verwendung eines mobilen Rechners zur Bedienung eines Fahrerinformationssystems
US20080005679A1 (en) * 2006-06-28 2008-01-03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pecific user interface
US11441919B2 (en) * 2007-09-26 2022-09-13 Apple Inc. Intelligent restriction of device operations
EP2099203B1 (en) * 2008-03-06 2018-08-08 BlackBerry Limited Safety for mobile device users while driving
US7898428B2 (en) * 2008-03-06 2011-03-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afety for mobile device users while driving
US20110014952A1 (en) * 2009-07-15 2011-01-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recognition during voice sessions to provide enhanced user interface functionality
US8972878B2 (en) * 2009-09-21 2015-03-03 Avaya Inc. Screen icon manipulation by context and frequency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4162A1 (en) 2011-09-01
WO2011104697A2 (en) 2011-09-01
CN102770832A (zh) 2012-11-07
EP2539796A4 (en) 2013-10-30
ZA201207113B (en) 2014-04-30
WO2011104697A3 (en) 2012-07-26
BR112012021497A2 (pt) 2016-06-28
EP2539796A2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132A (ko) 사용자 입력 옵션의 협동적 이네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28886B2 (en) Propagation of application context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8930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perative user interface layer management with respect to inter-device communications
US10402040B2 (en) Stateful integration of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mobile device operations
EP25642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devices
US8706920B2 (en) Accessory protocol for touch screen device accessibility
EP27351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a remote data entry interface
EP2735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entry content to a remote environment
CN110221737B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US20100332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and context analysis of remote device content
CN109155023B (zh) 限制计算设备上的警报
US10834250B2 (en) Maintaining an automobil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while switching between automobile and non-automobile user interfaces
US10496190B2 (en) Redraw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pen proximity
US202202836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application control
JP2014187415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車載装置
CN113194022A (zh) 用于使消息应用程序之聊天室失效之电子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