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645A -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645A
KR20120133645A KR1020110052387A KR20110052387A KR20120133645A KR 20120133645 A KR20120133645 A KR 20120133645A KR 1020110052387 A KR1020110052387 A KR 1020110052387A KR 20110052387 A KR20110052387 A KR 20110052387A KR 20120133645 A KR20120133645 A KR 2012013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unit
movement
surveillance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6221B1 (en
Inventor
양병주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221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6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PURPOSE: A monitoring camera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larm through the target identification of the monitoring camera are provi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monitoring by identifying a target through the analysis of a moving target. CONSTITUTION: A camera unit derives an input image from light passing through an optical system. A moving target detecting unit(10) includes a comparison unit and a target detecting unit. The moving target detecting unit detects a moving target from the input image. A target identifying unit(20) identifies whether the moving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ing target. If the target is the monitoring target, an alarm control unit(30) controls an alarm. [Reference numerals] (10) Moving target detecting unit; (11) Comparing unit; (12) Target detecting unit; (20) Target identifying unit; (21) Outline extracting unit; (23) First classifying unit; (30) Alarm control unit

Description

감시카메라 및 그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Alarm control method by identifying the surveillance camera and the target of the 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감시카메라 및 그 감시카메라 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target)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a surveillance camera and a targe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a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identifying whether a movement target is a target or a disturbance target and its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circuit TV, 이하 CCTV라 지칭함) 감시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감시대상 지역에 설치하고,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재생하거나,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다. 이로부터 사용자는 감시대상 지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osed-circuit TV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TV) surveillance system is to install at least one camera in the area to be monitored, to reproduce the video signal applied from the installed camera in real time, or to record the video signal to the recording medium The recorded video signal is reproduc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rom this,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ituation occurring in the monitored area.

이러한 감시시스템에 포함된 감시카메라는 감시대상의 움직임이 발생된 경우 알람(alarm) 또는 경고를 발생하여 감시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종종 감시대상이 아닌 대상의 움직임을 감시카메라가 잘못 감지하고 알람 또는 경고를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감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Surveillance cameras included in such a surveillance system may notify the monitor by generating an alarm or warning when a movement of the surveillance object occur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surveillance camera incorrectly detects a motion of an object not being monitored and generates an alarm or warning, and thus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urveillance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움직임이 발생한 대상물의 분석을 통해 대상 식별을 가능하게 하여 감시의 정확성을 높인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occurr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urveill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가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 target object is a motion camera is generated from the input image; Identifying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the object to be monitored or disturbed; And controlling an alarm when the identified object is a surveillance object. It includes a, provides an alarm control method by identifying the target of the 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을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target motion is generated, the step of extracting and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of the input image; And detecting a por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as the target where the movement occurs. It includes.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사이즈를 이용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ance target, using the size of the target movement generated.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object is generated; And if the extracted area value inside the out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classifies it as the monitoring object, and if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classifies it as the disturbance object.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패턴을 이용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ance target, using the pattern of the target movement generated.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의 꺾어진 부분에 꼭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object is generated; Setting vertices at the bent portions of the extracted outlines; And when the number of vertic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classifies the object as the disturbance obj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학계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입력영상을 도출하는 촬상부; 상기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움직임대상검출부; 검출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대상식별부; 및 식별된 상기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는 알람제어부;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unit for deriving the input image fro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A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detecting a moving object generated from the input image; A targe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whether the detected target is a target of movement or a disturbance; And an alarm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alarm when the identified object is a surveillance object. It includes, providing a 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대상검출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을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검출하는 대상검출부; 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ovement target detection unit, a comparison unit for extracting and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of the input image; And a targe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r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as a change generation target. It includes.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대상식별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윤곽선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부; 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arget identification unit, the contou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movement is generated; And a first classifying unit classifying the monitored object when the extracted area value inside the outlin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classifying the detected object as the disturbance object. It includes.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대상식별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윤곽선추출부;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의 꺾어진 부분에 꼭지점을 설정하는 꼭지점설정부; 및 상기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는 제2분류부; 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arget identification unit, the contou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movement is generated; A vertex setting unit for setting a vertex in the bent portion of the extracted outer contour line; And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the disturbance object when the number of vertic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and classifying the monitoring object when the vertex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It include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움직임이 발생한 대상의 외곽 윤곽선 분석을 통해 감시대상과 교란대상을 구별할 수 있어, 감시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camera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monitoring target and the disturbing targe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in which the movement occurs,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monitoring.

도 1 은 감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포함된 감시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포함된 디지털신호처리기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대상식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에 포함된 디지털신호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대상식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rveillance system.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rveillance camera included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included in FIG. 2.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bject identifying unit of FIG. 3.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cluded in FIG. 2.
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bject identifying unit of FIG. 5.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들(1a,1b,1c)이 적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은 촬영에 의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발생시킨다.1 shows a surveillance system to which the surveillance cameras 1a, 1b and 1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Referring to FIG. 1, each of the surveillance cameras 1a, 1b and 1c generates a live view image by capturing.

또한 감시 카메라들(1a,1b,1c) 각각은 통신 채널(DCOM)을 통하여 녹화기기로서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2)와 통신하면서, 비디오 신호 채널(SVID)을 통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비디오 레코더(2)로 전송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surveillance cameras 1a, 1b, and 1c communicates with the digital video recorder (DVR) 2 as a recording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channel (DCOM), and outputs the live view image through the video signal channel (SVID). To 2).

도 2는 도 1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1a 또는 1b 또는 1c) 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101), 타이밍 회로(102), 제어부로서의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비디오-신호 발생부(108),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구동부(110), 및 통신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y one surveillance camera 1a or 1b or 1c of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surveillance camera includes an optical system (OPS),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101), a timing circuit 102,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as a control unit.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video-signal generator 108, aperture motor MA, zoom motor MZ, focus motor MF, filter motor MD, driver 110, and communication Interface 112.

렌즈부(301)와 필터부(302)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301 and the filter unit 302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광학계(OPS)의 렌즈부(301)는 줌 렌즈(ZL) 및 포커스 렌즈(FL)를 포함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302)에 있어서, 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주간 동작 모드에 사용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The lens unit 301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ZL and a focus lens FL. In the filter unit 302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OLPF) used in the night mode of operation removes optical noise of high frequency content. Infra-Red cut filter (IRF) used in daytime operation mode cuts off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주 제어기로서의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타이밍 회로(1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as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timing circuit 10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101. .

CDS-ADC(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신호처리기(107)에 입력된다. 정리하면, 광학계, 광전 변환부 및 CDS-ADC(101)를 포함하는 촬상부(100)는 빛을 입력영상인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하여 디지털신호처리기(107)로 입력하게 된다. The CDS-ADC 101 processes the analog video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digital video data. This digital image data is inpu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In summary, the imaging unit 100 including the optical syste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and the CDS-ADC 101 inputs light in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using digital image data as an input image.

전체적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CDS-ADC 소자(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performing overall control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101 to generate digital image data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비디오-신호 발생부(108)는 디지털신호처리기(1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로 변환한다. The video-signal generator 108 converts the digital image data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into a video signal SVID which is an analog image signal.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통신 인터페이스(112) 및 통신 채널(도 1의 DCOM)을 통하여 녹화 기기로서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도 1의 2)와 통신하면서, 비디오 신호 채널(SVID)을 통하여 비디오-신호 발생부(1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에 전송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communicates with the digital video recorder (DVR, 2 of FIG. 1) as a recording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2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DCOM in FIG. 1), and through the video signal channel (SVID). The video signal from the video-signal generator 108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video recorder 2.

한편,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필터 모터(MD)를 구동한다.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미도시)를 구동하고, 줌 모터(MZ)는 줌 렌즈(ZL)를 구동하며,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FL)를 구동한다. 필터 모터(MD)는 필터부(302)에서의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LPF)와 적외선 차단 필터(IRF)를 구동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controls the driving unit 110 to drive the aperture motor MA, the zoom motor MZ, the focus motor MF, and the filter motor MD. The aperture motor MA drives the aperture (not shown), the zoom motor MZ drives the zoom lens ZL, and the focus motor MF drives the focus lens FL. The filter motor MD drives the optical low pass filter OLPF and the infrared cut filter IRF in the filter unit 30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신호처리기(107)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움직임대상검출부(10), 대상식별부(20) 및 알람제어부(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includes a motion target detector 10, a target identifier 20, and an alarm controller 30.

움직임대상검출부(10)는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한다. 상세히, 움직임대상검출부(10)는 비교부(11) 및 대상검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object detector 10 detects an object in which a motion is generated from the input image. In detail, the movement object detector 10 may include a comparator 11 and an object detector 12.

비교부(11)는 입력영상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전후 프레임을 비교할 수 있겠으나, 예를 들어, 각 프레임에서 배경과 물체를 구분하고 배경을 기준으로 전후 프레임을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부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unit 11 extracts and compares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of the input image. Although the front and rear frames may be compa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frames may be compared based on the background.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comparison un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used.

대상검출부(12)는 비교부(11)의 비교결과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을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전후 프레임에서 물체의 위치가 변하였다던지, 물체의 형태가 변한 경우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부분을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정의하고 검출하는 것이다. The object detecting unit 12 detects a portion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comparing unit 11 as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or the shape of the object is changed in the front and rear frame, there is a part where the amount of change is generated. This part is defined and detected as the object where the motion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움직임대상검출부(10)에서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 프레임이 아니라 입력영상으로써 라이브뷰 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target detection unit 10 may detect the movement target. The method of detecting the object from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various known motion detection method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live view image may be used as the input image instead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대상식별부(20)는 움직임대상검출부(10)에서 검출된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아니면 교란대상인지 식별한다. 여기서 감시대상이란, 감시자가 대상의 침입, 변동, 움직임을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예를 들어, 감시대상은 사람, 동물, 또는 감시 대상이 되는 각종 물체를 포함하는 인공물일 수 있다. 한편, 교란대상이란, 감시자가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닌 것으로 주로 감시기간 동안에 감시자에게 교란을 주고 노이즈(noise)로 작용하는 대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란대상은 나무, 눈, 비 또는 우박 등과 같은 자연물일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identifies whether the object in which the motion detected by the moving object detecting unit 10 is generated is a monitoring object or a disturbing object. Here, the monitoring target is a target for which the observer wants to monitor the intrusion, change and movement of the target. For example, the object to be monitored may be a man, an animal, or an artificial object including various objects to be monitored. On the other hand, the disturbance target is not an object to be monitored by the monitor and may be an object that mainly disturbs the monitor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and acts as a noise. For example, the disturbance may be natural matter such as trees, snow, rain or h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식별부(20)는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사이즈를 이용하여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구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식별부(20)는 윤곽선추출부(21) 및 제1분류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may distinguish whether the object is to be monitored or disturbed by using the size of the object on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may include a contour extracting unit 21 and a first classification unit 23.

윤곽선추출부(21)는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한다.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현재 프레임에서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형성하는 각 픽셀의 밝기 변화의 크기와 밝기 변화의 위상을 산출하고, 밝기 변화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윤곽점들을 추출하고, 다수의 윤곽점들 가운데 단일의 윤곽선을 형성하는 윤곽점들의 위치를 표시한 후 윤곽선을 완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과 유사한 도형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해당 도형의 외곽 윤곽선을 기준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contour extracting unit 21 extracts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in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There are various ways to extract the contour.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brightness change and the phase of the brightness change of each pixel forming the object in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in the current frame are calculated, and the plurality of contour points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brightness change. After marking the positions of the contour points forming a single contour in the center, a method of completing the contour may be used. 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detecting a figure similar to the object in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from the database, and correcting the figure based on the outline of the contour of the figure may be used to extract the contour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tion is generated.

제1분류부(23)는 윤곽선추출부(21)에서 추출된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을 도출하고, 면적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면적값이 기준값의 이상인 경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고, 면적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교란대상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제1분류부(23)는 추출된 외곽 윤곽선이 폐곡선(closed loop)인 경우 폐곡선 안쪽의 면적값을 도출한다. 만약, 추출된 외곽 윤곽선인 폐곡선이 아닌 경우 제1분류부(23)는 외곽 윤곽선의 열린 부분을 임의의 선으로 연결하여 폐곡선을 형성한 후 폐곡선 안쪽의 면적값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카메라가 눈, 비, 우박 등의 교란대상을 감시대상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준값은 임의의 값이나, 눈, 비, 우박 등의 사이즈 정보를 이용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눈, 비, 우박 등의 평균적인 크기 또는 대표값의 크기를 면적으로 나타낸 값일 수 있다. The first classifying unit 23 derives an area value inside the outer contour line extracted by the contour extracting unit 21 and compares the area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area value is above the reference value, it is classified as a monitoring object. If the area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classified as a disturbance object. Here, when the extracted outer contour is a closed loop, the first classification unit 23 derives an area value inside the closed curve. If the extracted outer contour is not a closed curve, the first classifying unit 23 may form a closed curve by connecting an open portion of the outer contour to a random line and then derive an area value inside the closed curve.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veillance camera is for distinguishing the disturbance target such as snow, rain, hail and the like from the monitoring target. Accordingly, the reference value may be an arbitrary value or a value using size information such as snow, rain, and hail.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representing an average size of snow, rain, hail, or the like, or the size of a representative value.

도 4를 참조하면, 이전 프레임(a)과 현재 프레임(b)을 비교할 때, 나무 밑동(butt end) 및 눈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면적값이 나무 밑동(butt end) 면적값과 눈의 면적값의 중간값인 경우를 가정하면, 나무 밑동(butt end)의 경우 윤곽선 면적값이 기준값보다 크므로, 감시대상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눈의 경우 나무 밑동(butt end)의 경우 윤곽선 면적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므로, 교란대상으로 분류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a) and the current frame (b),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s of the butt ends and eyes have chang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eference area value is the middle value between the butt end area value and the snow area value, the contour area valu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the butt end, so it is classified as monitored. do. However, in the case of eyes, butt end is classified as a disturbance object because the contour area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알람제어부(30)는 대상식별부(20)에서 식별된 대상이 감시대상일 경우, 알람 또는 경고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알람이라고 기술되었으나, 알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시시스템에 포함된 모니터에 팝업을 띄우거나,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경고장치를 발생하는 등 감시자가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동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알람제어부(30)는 대상식별부(20)에서 식별된 대상이 교란대상일 경우에는 알람 또는 경고를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알람발생부 또는 경고발생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알람제어부(30)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미도시된 알람발생부 또는 경고발생부로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larm control unit 30 controls to generate an alarm or a warning when the object identified by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20 is a monitoring target. Although described herein as an alarm, it is not limited to an alarm and includes operating all devices that a monitor can recognize, such as pop-ups,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device. The alarm controller 30 controls not to generate an alarm or a warning when the object identified by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is a disturbing object.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alarm generating unit or the warning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 alarm in the alarm control unit 30 and apply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alarm generating unit or the warning gener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움직임이 발생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한 후, 외곽 윤곽선의 안쪽 면적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눈, 비, 우박 등의 교란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종래 감시카메라에서는 눈, 비, 우박 등이 하늘에서 떨어질 때의 움직임이 감시대상의 움직임으로 인식되어 잘못된 경보를 내보내는 일이 많았다. 이로부터 감시시스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눈, 비, 우박 등은 교란대상으로 검출되어 감시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정밀한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occurs, a disturbance object such as snow, rain, hail, etc. may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inner area value of the outer contour with a reference value. In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s, when the snow, rain, hail, and the like fall from the sky is recognized as the movement of the monitoring object, a lot of false alarms. From th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surveillance system was reduce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now, rain, hail, etc. are detected as a disturbing objec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recise monitoring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신호처리기(107)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3과 동일하게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움직임대상검출부(10), 대상식별부(20) 및 알람제어부(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의 디지털신호처리기(107)는 도 3의 디지털신호처리기(107)와 대상식별부(20)가 상이하다. 상세히, 도 5의 대상식별부(20)는 움직임대상검출부(10)에서 검출된 대상의 사이즈가 아니라, 패턴에 따라 감시대상과 교란대상을 식별한다. 따라서, 도 5의 대상식별부(20)는 윤곽선추출부(21), 꼭지점설정부(22) 및 제2분류부(2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중복되는 요소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기술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5, similar to FIG. 3,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includes a movement target detector 10, an object identifier 20, and an alarm controller 30. However,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of FIG. 5 is differen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07 of FIG. 3 and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In detail,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of FIG. 5 identifies the monitoring object and the disturbing object according to the pattern, not the size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motion object detecting unit 10. Accordingly,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of FIG. 5 includes a contour extracting unit 21, a vertex setting unit 22, and a second classifying unit 24.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actions of the elements overlapping with FIG. 3 will be omitted.

도 5의 대상식별부(20)는 윤곽선추출부(21)를 포함하는데, 윤곽선추출부(21)는 도 3에서 설명한 윤곽선 추출부와 동일한 기능 및 작용을 한다. The object identifying unit 20 of FIG. 5 includes a contour extracting unit 21. The contour extracting unit 21 functions and functions the same as the contour extracting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꼭지점설정부(22)는 윤곽선추출부(21)에서 추출된 외곽 윤곽선 상에 꼭지점을 설정한다. 여기서 꼭지점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외곽 윤곽선의 휘어짐 정도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직각, 이상인 경우, 휘어짐 정도의 접선의 기울기가 가장 큰 부분을 제1꼭지점으로 설정한다. 추출된 외곽 윤곽선에 대해 상술한 제1꼭지점 설정 과정을 반복하여, 제2꼭지점, 제3꼭지점 등을 설정한다. The vertex setting unit 22 sets a vertex on the outer contour line extracted by the contour extraction unit 21. Here, the vertices may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degree of warp of the extracted outline contour is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 right angle or more, a portion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of the degree of warp is greatest is set as the first vertex. The above-described first vertex setting process is repeated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outer contour, and the second vertex, the third vertex, and the like are set.

다음으로, 제2분류부(24)는 꼭지점설정부(22)에서 설정된 꼭지점의 개수와 기준개수를 비교하여, 설정된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이상인 경우 해당 대상을 교란대상으로 분류하고, 설정된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미만인 경우 해당 대상을 감시대상으로 분류한다. 하나의 대상에 대해 꼭지점이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해당 대상은 복잡한 패턴을 가지는 것이며, 꼭지점이 소정의 개수 미만인 경우, 해당 대상은 단순한 패턴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상술한 교란대상 중 나무의 경우 나뭇잎에 의해 복잡한 패턴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 사람, 동물, 물체 등 감시대상의 경우 나무에 비해 단순한 패턴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2분류부(24)는 이러한 통계적 사실을 바탕으로 교란대상과 감시대상을 분류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24 compares the number of vertices set by the vertex setting unit 22 with the reference number, and when the number of vertices s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object as a disturbing object and sets the number of vertices. If the number is less than the standard number, the object is classified as a monitored object. If a vertex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for one object, the object has a complex pattern, and if the vertex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object may have a simple patter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disturbing objects, trees often have a complex pattern by leaves. On the other hand, surveillance objects such as people, animals and objects often have simpler patterns than trees. Accordingly,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24 may classify the disturbance target and the monitoring target based on the statistical fact.

도 6을 참조하면, 이전 프레임(a)과 현재 프레임(b)을 비교할 때, 나무 밑동(butt end) 및 나무의 위치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준개수가 10인 경우를 가정하면, 나무 밑동(butt end)의 경우 윤곽선 상의 꼭지점이 4개이므로 기준개수보다 작으므로, 감시대상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나무의 경우 나뭇잎의 복잡한 패턴 때문에 윤곽선 상의 꼭지점이 10개 이상이므로 교란대상으로 분류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comparing the previous frame (a) and the current frame (b),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butt end and the tree is changed. If it is assumed that the reference number is 10, the butt end is classified as being monitored because i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because the four vertices on the contour are four. However, trees are classified as disturbances because there are more than 10 vertices on the outline due to the complex pattern of the lea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움직임이 발생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한 후, 외곽 윤곽선의 패턴을 검출하여 나무 등의 교란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종래 감시카메라에서는 나뭇잎이 많은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 때의 움직임이 감시대상의 움직임으로 인식되어 잘못된 경보를 내보내는 일이 많았다. 이로부터 감시시스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나무의 움직임은 교란대상의 움직임으로 검출되어 감시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정밀한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occurs, a disturbance object such as a tree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a pattern of the outer contour. In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s, when a leafy tree is shaken by the wind, the movement is recognized as the movement of the surveillance target, and a false alarm is often emitted. From th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surveillance system was reduced.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tree is detected as the movement of the disturbing object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recise monitoring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다양한 모션 디텍션 방법으로 검출한다. (S11)Referring to FIG. 7, first, an object in which motion is generated from an input image is detected by various motion detection methods. (S11)

다음으로, 검출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한다. (S12)Next, the outline of the detected object is extracted. (S12)

다음으로,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과 기준값을 비교(S13)하여, 면적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검출된 대상을 감시대상으로 분류(S14)하고, 면적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검출된 대상을 교란대상으로 분류(S15)한다. Next, the area value inside the outer contour and the reference value are compared (S13), and if the area valu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etected object is classified as a monitoring object (S14), and if the area valu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etected object is disturbed. The object is classified (S15).

최종적으로, 식별된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여 감시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S16) Finally, if the identified object is a watch target, the alarm is controlled so that the watcher can recognize it. (S1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다양한 모션 디텍션 방법으로 검출한다. (S21)Referring to FIG. 8, first, a target in which a motion is generated from an input image is detected by various motion detection methods. (S21)

다음으로, 검출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한다. (S22)Next, the outline of the detected object is extracted. (S22)

다음으로, 외곽 윤곽선 상에 꼭지점을 설정(S23)한다. 여기서 꼭지점은 윤곽선을 꺾인 형태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꼭지점의 개수와 기준개수를 비교(S24)하여,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많은 경우 검출된 대상을 교란대상으로 분류(S25)하고,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적은 경우 검출된 대상을 감시대상으로 분류(S26)한다. Next, a vertex is set on the outer contour (S23). In this case, the vertex may be set through the shape of bending the outline. Next, the number of vertices and the reference number are compared (S24), and if the number of vertic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number, the detected object is classified as a disturbance object (S25). If the number of vertices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the detected object is determined. Classify it to be monitored (S26).

최종적으로, 식별된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여 감시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S27)Finally, if the identified object is a watch target, the alarm is controlled so that the watcher can recognize it. (S27)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촬상부 107: 디지털신호처리기100: imaging unit 107: digital signal processor

Claims (10)

감시카메라가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Detecting, by the surveillance camera, a target in which a motion is generated from the input image;
Identifying whether the detected object is the object to be monitored or disturbed; And
Controlling an alarm when the identified object is a surveillance object;
Including,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the targe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의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을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occurs,
Extracting and comparing a previous frame and a current frame of the input image; And
Detecting a por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as a change generation target;
Including,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the targe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사이즈를 이용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ing target,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the objec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using the size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is gener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ing target,
Extracting an outer contour of the object on which the movement occurs; And
And classifying the surveillance object as the surveillance object when the extracted area value of the outer contou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classifying the disturbance object a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패턴을 이용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ing target,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the objec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using the pattern of the object in which the movement is gene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의 꺾어진 부분에 꼭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는, 감시카메라의 대상 식별을 통한 알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dentifying whether the movement target is a monitoring target or a disturbing target,
Extracting an outer contour of the object on which the movement occurs;
Setting vertices at the bent portions of the extracted outlines; And
When the number of the vertices is more than the reference number is classified as the disturbance target, if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the alarm control method through the object identific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s.
광학계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입력영상을 도출하는 촬상부;
상기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을 검출하는 움직임대상검출부;
검출된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이 감시대상인지 교란대상인지 식별하는 대상식별부; 및
식별된 상기 대상이 감시대상인 경우 알람을 제어하는 알람제어부;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An imaging unit for deriving an input image fro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A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detecting a moving object generated from the input image;
A targe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whether the detected target is a target of movement or a disturbance; And
An alarm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alarm when the identified object is a surveillance object;
Including, surveillance camera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대상검출부는,
상기 입력영상의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변화량이 발생된 부분을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으로 검출하는 대상검출부;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A comparator for extracting and comparing a previous frame and a current frame of the input image; And
A targe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r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in which a change amount is generated, as the target in which the movement occurs;
Including, surveillance camera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식별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윤곽선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 안쪽의 면적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는 제1분류부;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arget identification unit,
Contou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object is generated; And
A first classifying unit classifying the monitored object when the extracted area value inside the outlin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classifying the disturbance object when the extracted area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urveillance camera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식별부는,
상기 움직임이 발생된 대상의 외곽 윤곽선을 추출하는 윤곽선추출부;
추출된 상기 외곽 윤곽선의 꺾어진 부분에 꼭지점을 설정하는 꼭지점설정부; 및
상기 꼭지점의 개수가 기준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교란대상으로 분류하고, 상기 기준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감시대상으로 분류하는 제2분류부;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arget identification unit,
Contou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outer contour of the target object is generated;
A vertex setting unit for setting a vertex in the bent portion of the extracted outer contour line; And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the disturbance object when the number of vertic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and classifying the monitoring object when the vertex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Surveillance camera comprising a.
KR1020110052387A 2011-05-31 2011-05-31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101706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87A KR101706221B1 (en) 2011-05-31 2011-05-31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87A KR101706221B1 (en) 2011-05-31 2011-05-31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645A true KR20120133645A (en) 2012-12-11
KR101706221B1 KR101706221B1 (en) 2017-02-14

Family

ID=4751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387A KR101706221B1 (en) 2011-05-31 2011-05-31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22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01A (en) * 2015-05-28 2016-1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in an Image
CN106878678A (en) * 2017-02-10 2017-06-20 上海领世通信技术发展有限公司 A kind of linkage surveillance method and device of ball machine
KR102613324B1 (en) * 2022-06-15 2023-12-13 정종민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 manage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97A (en) * 1999-06-11 2001-01-05 김운용 Method and apparatus for face photographing and recognizing by automatic trading a skin color and motion
KR20030037910A (en) * 2001-11-07 2003-05-16 선인텔레콤(주) The mo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ssigned subject recogni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97A (en) * 1999-06-11 2001-01-05 김운용 Method and apparatus for face photographing and recognizing by automatic trading a skin color and motion
KR20030037910A (en) * 2001-11-07 2003-05-16 선인텔레콤(주) The mo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ssigned subject recognition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801A (en) * 2015-05-28 2016-12-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in an Image
CN106878678A (en) * 2017-02-10 2017-06-20 上海领世通信技术发展有限公司 A kind of linkage surveillance method and device of ball machine
KR102613324B1 (en) * 2022-06-15 2023-12-13 정종민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221B1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4275B2 (en) Image monitoring system and surveillance camera
JP7207793B2 (en) Video-based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method and surveillance camer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08230594B (en) Method for generating alarm in video monitoring system
US10127452B2 (en) Relevant image detection in a camera, recorder, or video streaming device
KR101793636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US1130877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variable event detecting condition
JP4803376B2 (en) Camera tampering detection method
EP2709350B1 (en) Configuration of image capturing settings
KR20070116715A (en) Home security applications for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s
JPH0337354B2 (en)
KR101625538B1 (en) Car Number Recognition system
KR101375186B1 (en) Method for detecting disturbance of monitoring camera
KR102392822B1 (en) Device of object detecting and tracking using day type camera and night type camera and method of detecting and tracking object
KR101444843B1 (en) System for monitoring image and thereof method
US9202115B2 (en)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analysis
KR20120133645A (en) Security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4025007B2 (en) Railroad crossing obstacle detection device
KR20160048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by Using Pan-Tilt-Zoom Camera
KR20160093253A (en) Video based abnormal flow detection method and system
KR101485512B1 (en) The sequence processing method of images through hippocampal neual network learning of behavior patterns in case of future crimes
TWI476735B (en) Abnormal classification detection method for a video camera and a monitering host with video image abnormal detection
KR20100077662A (en) Inte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8152950A (en) Lighting system
CN100515036C (en) Intelligent image process closed circuit TV camera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US20210297573A1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