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504A -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504A
KR20120133504A KR1020110052169A KR20110052169A KR20120133504A KR 20120133504 A KR20120133504 A KR 20120133504A KR 1020110052169 A KR1020110052169 A KR 1020110052169A KR 20110052169 A KR20110052169 A KR 20110052169A KR 20120133504 A KR20120133504 A KR 2012013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driving
auxiliary
wheel
variab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9668B1 (en
Inventor
조자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아이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5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668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4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expa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 road adaptive type variable driving wheel and a variable driving assembly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unfold a blade portion of the wheel when reaching rough roads by automatically sensing road conditions without a control part and a road condition sensor. CONSTITUTION: A road adaptive type variable driving wheel comprises a main driving part(10), multiple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20), multipl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30), and multiple variable driving parts(40). The main driving part is allowed to rotate. The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are rotated in an engaged state with the main driving part.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are separated from the main driving part and rotated in an engaged state with the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The variable driving part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and rotated to be fol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The variable driving parts are composed of a head portion and a blade portion stretched and extended from the head portion. The variable driving parts vary in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Description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바퀴의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urface-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and a variable driv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compliant variable driving wheel and a variable driv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in which the shape of the wheel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체는 빠른 구동 속도가 장점인 원형 바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원형 바퀴의 회전체는 험로나 계단을 이동할 때 미끄러지는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사면이나 계단 등의 험로를 이동하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체로는 무한궤도(Caterpillar)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rotating body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uses a lot of circular wheels that have advantages of fast driving speed, but the rotating body of the circular wheel has a difficulty in sliding when moving a rough road or a staircase, such as a slope or a staircase. As a rotating body driven by a driving device for moving a rough path, a caterpillar system is widely used.

상기 무한궤도는 경사면이나 계단 등의 험로를 이동하는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평지에서 회전할 때에는 원형 바퀴와 같은 회전체가 회전하는 방식보다 이동속도가 느리며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정찰용 로봇과 같이 빠른 주행속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구조체의 경우에는 이동속도가 느린 무한궤도 방식 보다는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가 요구된다.The caterpillar has no difficulty in moving a rough road such as a slope or a stairway, but when rotating on a flat surface, it has a disadvantage of slower moving speed and difficulty in manufacturing than a method of rotating a rotating body such as a circular wheel.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fast running speed is to be secured, a variable driving wheel and a variable driv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may be required, rather than an infinitely slow track type.

즉, 정찰 로봇 등과 같은 구조체는 평지에서는 일반적인 바퀴 형태의 회전체를 이용하여 주행하다가, 경사면 또는 장애물이 놓여진 험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구조체가 원활하게 험지를 극복하도록 하기 위해서 바퀴의 형태를 일정하게 변화시키는 가변구동조립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at is, while a structure such as a reconnaissance robot travels on a flat surface using a rotating body in the form of a wheel, and when driving on a slope or a rough terrain where an obstacle is placed, the structure of the wheel is constantly changed so that the structure smoothly overcomes the rough groun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variable drive assemblies.

상기와 같이 가변구동조립체는 일체로 이루어진 원형으로 구성되어 구동바퀴의 모드를 변경하거나 회전체의 직경이 가변된다. 그러나 회전체의 표면이 일체형이어서 표면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면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평지를 진행할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계단과 같은 경사면을 진행할 때 회전체의 표면이 미끄러워서 앞으로 진행하는데 용이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drive assembly is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to change the mode of the driving wheel or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is variable. 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integrated, the surface of the rotor is driven without changing.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when advancing the flat, but th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slippery when advancing the inclined surface such as stairs, it is not easy to move forward.

또한, 기존의 가변구동조립체의 경우에는 인위적인 가변명령을 내려서 바퀴의 형태를 바꾸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지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감지하여 가변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부와 같은 구성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응식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명령에 의한 가변구동조립체는 오작동이 빈번하며,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variable drive assembly uses a method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wheel by issuing an artificial variable command, a controller that additionally detects a ground condition and a controller that detects a signal from the sensor and instructs a variable operation. Additional configuration was needed. However, the variable drive assembly by the artificial manipulation command by this sensitive operation frequently malfunctions, and the efficiency is reduced.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변환하여 가변구동조립체의 날개부를 접철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회전축을 변환하므로 진행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 method of folding the wings of the variable drive assembly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in the reverse directio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may occur when the rotational axis is converted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cannot be smoothly progressed.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면상태감지센서 및 제어부와 같은 별도의 바퀴가변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필요없이, 노면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응하여 험지에 도달한 경우 바퀴의 날개부가 자동적으로 펼쳐지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based on these point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sens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wheel variable, such as road surface detection sensor and control unit To achieve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e wheel that automatically expands the wing of the wheel and to provide a variable driv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노면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응하여 험지에 도달한 경우 바퀴의 날개부가 자동적으로 펼쳐진 후 다시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바퀴의 날개부가 다시 자동적으로 접혀질 수 있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spond to the road surface to reach the rough terrain, when the wing of the wheel is automatically unfolded after driving the flat surface again can be folded automatically the wing portion of the wheel It is to provide a variable drive wheel and a variable driv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바퀴의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접혀질 때 바퀴의 진행방향으로의 주행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e wheel and a variable driv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at can be maintained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wheel as it is automatically folded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wheel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주구동부와, 상기 주구동부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와, 상기 주구동부와 이격되되,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와 각각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회동하며,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뻗어있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가변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는 상기 날개부가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의 상기 머리부에 밀착되어 전체가 원형을 이루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모드로 가변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ad adaptable variabl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rive part rotatably forme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e parts rotatably engaged with the main driv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drive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which are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respectively, to pivotally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A first mode or the wing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ortion consisting of a wing extending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other variable driving portion adjacent to the wing portion to form a circle An additional portion is changed to a second mode that is spread outward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A more detailed example of a road compliant variable drive wheel and a variable driv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는 무한궤도 방식과 마찬가지로 노면상태에 순응하면서도 이동속도가 일반 원형 바퀴와 동일하며, 노면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응하여, 험지에 도달한 경우 가변구동부가 자동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노면의 상태와 무관하게 이에 순응하여 효과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peed as the general wheels while acclimatizing to the road condition as in the endless track method, and automatically responds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and the variable drive unit automatically reaches the rough terrain. Since it is unfolded, it can adapt effectively to the roa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he road surface.

또한, 노면상태감지센서 및 제어부와 같은 별도의 바퀴가변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또는 제어부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mponent necessary for changing wheels, such as a road surface condition sensor and a controller, is unnecessary, production costs may be reduced, and malfunctions by the sensor or the controller may be prevented.

또한, 험지에 도착할 경우 기존 평지에서 회전하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진행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단시간 내에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rriving at the rough land rotates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that was rotated on the existing flat land so that the direction can be reached in a short time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또한, 험지를 통과한 후 가변구동부가 다시 접혀질 경우에도 가변구동조립체의 회전방향이 유지되므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ariable driving unit is folded back after passing through the rough grou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is maintained, so that the driving can be continu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모드 상태의 가변구동바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구동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구동바퀴를 구성하는 제2 보조구동부와 가변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가변구동바퀴에 원형회전부가 추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 모드 상태의 가변구동바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가변구동바퀴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가변되는 시점에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의 험지 주행 시의 변화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riable driving wheel in a first mode state constituting a road-compliant adaptiv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and a variabl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1 and a normal forc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lar rotating part is add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riable driving wheel in a second mode state constituting a road-compliant adaptiv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6 and a vertical dra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and the vertical force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7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9A to 9E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changes in rough terrain driving of a road adaptive whe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drive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road-compliant variable drive whe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기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상태의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모드 상태의 가변구동바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변구동바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변구동바퀴를 구성하는 제2 보조구동부와 가변구동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가변구동바퀴에 원형회전부가 추가된 사시도이다.1 to 5, a road-compliant variable driving wheel in a first mod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riable driving wheel in a first mode state constituting a road-compliant adaptive variabl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1,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and a variable driving unit constituting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lar rotating portion is added to the variable drive wh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주구동부(10)와, 상기 주구동부(1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20)와, 상기 주구동부(10)와 이격되되,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20)와 각각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회동하며, 머리부(41)와 상기 머리부(41)로부터 연장되어 뻗어있는 날개부(42)로 구성되는 복수의 가변구동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40)는 상기 날개부(42)가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40)의 상기 머리부(41)에 밀착되어 전체가 원형을 이루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날개부(42)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모드로 가변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compliant variable driving wheel may include a main driving unit 10 rotatably forme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units 20 rotatably engaged with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Spaced apart from the main drive unit 10, the second auxiliary drive unit 3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unit 30 a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e unit 20,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arts including a head part 41 and a wing part 42 extending from the head part 41 so as to be foldabl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30 ( Including a 40,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variable drive unit 40 is the first mode or the wing that is in full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41 of the other variable drive unit 40 adjacent to the wing 42 to form a circle The part 42 moves outwar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units 30. The second mode is expanded.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위치 및 접철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상태를 서술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가변구동바퀴 전체의 상태를 서술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1 모드는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가 접혀진 상태를 의미하는 동시에, 접혀진 가변구동부(40)를 가지는 가변구동바퀴의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positions and folding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and may be used as terms describing the state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It can also be used to describe the condition of the entire wheel. That is, the first mod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wing 42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folded and a state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having the folded variable driving unit 40.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주구동부(10)는 가변구동바퀴의 중앙에 위치한다. 주구동부(10)는 주구동부(10)와 연결된 동력부 예를 들어 모터(미도시)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주구동부(10)에 전달되어 주구동부(10)가 회전함으로써, 가변구동바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main driving unit 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The main driving unit 10 is a power unit connected to the main driving unit 10, for example, when the motor (not shown)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main driving unit 10 to rotate the main driving unit 10 The variable drive wheels provide pow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주구동부(10)가 회전하게 되면, 주구동부(10)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주구동부(10)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한 회전력이 제1 보조구동부(20)에 전달되고, 다시 제1 보조구동부(20)로부터 제2 보조구동부(30)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main driving unit 10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rotatably engaged with the main driving unit 10 also rotate together.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driving unit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and the rotational forc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본 실시예에서, 주구동부(10)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3 보조구동부 및 그 이상의 보조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are sequential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main driving unit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auxiliary driving un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further comprise more auxiliary drive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조구동부(30)는 상기 주구동부(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구동부(10)에 의해 제1 보조구동부(20)가 회전하고, 제1 보조구동부(20)에 의해 제2 보조구동부(30)가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driving part 10. That is, the first auxiliary driver 20 may be rotated by the main driver 1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er 30 may be sequentially rotated by the first auxiliary driver 20.

주구동부(10)와 제2 보조구동부(30) 사이에 구비된 제1 보조구동부(20)는 버퍼 역할을 수행하여, 가변구동바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회전비를 조절하여 제2 보조구동부(30)의 가속 및 감속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가변구동부(40)의 접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provided between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serves as a buffer, so that the variable driving wheel can be smoothly rotated and the respective rotation ratio is adjusted.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drive unit 3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folding of the variable drive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ade smoothl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 구동부(10)와 제2 보조구동부(30) 사이에 추가적인 보조구동부가 추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additional auxiliary driver may be added between the main driver 1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er 30.

도 1에서, 주구동부(10)를 중심으로 제1 보조구동부(20)가 3개 구비되고,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20) 각각과 맞물리는 3개의 제2 보조구동부(3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는 각각 4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그에 따라 배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제2 보조구동부(30)에 연결된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의 호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In FIG. 1, thre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s 20 are provided around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re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30 engag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units 20 are provided. Although illustrat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four or mor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may be provided. If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is different, the arrangement interval may be changed accordingly, and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wing 42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is also different. Can vary.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주구동부(10)와 제2 보조구동부(30)의 크기 및 회전직경이 동일하고, 제1 보조구동부(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동부(10, 20, 3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각 구동부(10, 20, 30)의 크기가 모두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회전비 또는 감속비(가속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각 구동부(10, 20, 30)의 상대적인 크기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1,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have the same size and rotation diameter,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has a relatively small siz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zes of the driving units 10, 20, and 30 may be the same, or the sizes of the driving units 10, 20, and 30 may all be different. Moreover, in order to adjust rotation ratio or reduction ratio (acceleration ratio) suitably, the relative magnitude | size of each drive part 10, 20, 3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uitably.

예를 들어,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직경을 작게 하면 이와 연결된 가변구동부(40)의 변이는 신속하게 수행되되 가변구동바퀴의 이동속도는 감소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is reduced, the shift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connected thereto is quickly performed, but the moving speed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is reduced.

순차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각 구동부(10, 20, 3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주구동부(10)와 제1 보조구동부(20)은 각각 외주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된 평기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보조구동부(20)와 제2 보조구동부(30)는 각각 외주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된 평기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each of the driving units 10, 20, and 30 sequentially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For example,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may be constituted by a pair of spur gears having gear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Each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spur gears formed with gear tee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는, 주구동부(10)가 선기어로 구성되고, 제1 보조구동부(20)는 상기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소직경의 복수의 유성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보조구동부(30)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ain drive unit 10 is composed of a sun gear, the first auxiliary drive unit 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of a small diameter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un gear, the second auxiliary drive unit 30 is a plurality of It may be composed of a spur gea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lanetary gear.

또는, 주구동부(10)와 제1 보조구동부(20) 및/또는 제2 보조구동부(30)는 마찰드럼 방식에 의해 서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구동부(10)와 제1 보조구동부(20)는 평기어 한 쌍으로 연결되며, 제1 보조구동부(20)와 제2 보조구동부(30)는 마찰드럼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and / or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may be a method in which rotation forces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by a friction drum method. For example,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may be connected by a pair of spur gears,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may be connected in a friction drum manner.

또한, 주구동부(10)와 제1 보조구동부(20) 및/또는 제2 보조구동부(30)는 서로를 폐루프로 연결하는 벨트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방식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and / or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may be a method of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by a belt connecting each other in a closed loop.

이와 같이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주구동부(10)와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는 각각 외주면의 형상이나 직경 내지 단면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diameters to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가변구동부(40)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보조구동부(30)와 가변구동부(40)가 각각 3개씩 구비된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보조구동부(30)와 가변구동부(40)의 개수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The variable driving unit 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30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3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ree auxiliary driving units 30 and three variable driving units 40 are provi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and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are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s may be different.

가변구동부(40)는 제2 보조구동부(30)와 연결되어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에 따라 접철 가능하게 회동할 수 있다. 도 1은 가변구동부(40)의 외측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접혀진 제1 모드를 도시한다.The variable driving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and pivotally rotate as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rotates. 1 illustrates a first mod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variable driver 40 is folded to form a circle.

도 2를 참조하면, 가변구동부(40)는 예를 들어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축이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 조인트부(31)에 삽입되어,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inserted into, for example, a joint part 31 in which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extends to one side, and thus,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도 3을 참조하면, 가변구동부(40)는 제2 보조구동부(30)와 직접 연결된 머리부(41) 및 머리부(41)로부터 연장되어 뻗어있는 날개부(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머리부(41)와 날개부(42)는 일체(one body)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 또는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may include a head part 41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and a wing part 42 extending from the head part 41. The part 41 and the wing part 42 may be configured as one body,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mbined or attached.

머리부(41)는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축이 연장된 조인트부(31)에 삽입되어 제2 보조구동부(30)와 동심으로 원활히 회동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head 41 may be generally circular in shape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may be inserted into the joint part 31 extending from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so as to be smoothly rotated concentrically with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It may not have a shape and may have a different shap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2)는 가변구동바퀴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인 제1 모드 시에, 날개부(42)의 외주면이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날개부(4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42)의 외측면이 호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날개부(42)의 내측면은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mode in which the wing portion 42 is folded inward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the wing portion 42 has an arc shap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portion 42 may have a circular shape. It can be formed as. Specifically, the outer surface of the wing 42 may form an arc shap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g 42 may be provided in another shape, for example in a straight form.

날개부(42)의 원호형상의 길이는 가변구동부(4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외주면이 일체로 원형의 바퀴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가변구동부(40)의 개수가 많을수록 날개부(42)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An arc-shaped length of the wing 4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variable driving units 40. That is,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integrally form a circular wheel, the length of the wing unit 42 may be shorter as the number of the variable driving units 40 increas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구동바퀴가 평지를 주행할 때 날개부(42)의 외측면은 직접 지면에 맞닿아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날개부(42)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날개부(42)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요철(43)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runs on a flat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wing 42 directly touches the groun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here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wing 42 and the ground. In order to do so, predetermined irregularities 4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g 42.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에는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가 밀착될 수 있는 오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42)의 단부가 인접한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에 형성된 오목부(44)에 수용되어 전체적으로 앞선 도 1과 같이 외주면이 돌출없이 매끈한 원형의 회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목부(44)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날개부(42)의 말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head 41 of the variable drive portion 40 is formed with a recess 44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g portion 42 of the other variable drive portion 40 adjacent. Can be. That is, the end of the wing portion 42 is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44 formed in the head portion 41 of the adjacent variable drive portion 40 to form a smooth circular rotating body without protru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as shown in FIG. Can b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cave portion 44 is formed in a semicircl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wing portion 42.

도 4를 참조하여 가변구동부(40)의 구동원리 및 이에 따른 가변구동바퀴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모터(미도시)에 의해 주구동부(10)가 도 1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주구동부(10)와 직접 맞물려 있는 제1 보조구동부(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보조구동부(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보조구동부(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보조구동부(30)가 회전력을 받게 되면, 제2 보조구동부(30)와 연결된 가변구동부(40)가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도 1 상으로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날개부(42)가 펼치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가변구동바퀴가 평지를 주행중인 경우에는 가변구동부(40)에 가해지는 힘(F)이 바퀴 자체의 무게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작용 힘(수직항력) 보다 작기 때문에 날개부(42)가 펼쳐지지 못하며, 가변구동부(40)가 가하는 힘 성분(Fx, Fy) 중 수평성분(Fx)에 의해 수평성분(Fx)과 방향이 반대로 작용하는 마찰력(Fx')에 의해 가변구동바퀴 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 상으로 왼쪽으로 추진력을 받게 된다. 즉, 날개부(42)가 내측으로 모여 겹쳐진 상태인 원형의 회전체를 유지하면서 전체 가변구동조립체가 주행을 시작 및 유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and the driving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will be described. First, when the main drive unit 10 rotates counterclockwise on FIG. 1 by a motor (not shown), the first auxiliary drive unit 20 which is directly engaged with the main drive unit 10 sequentially rotates clockwise. Then,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auxiliary driving unit 2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receives the for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head 41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is subjected to a counterclockwise force in FIG. 1, the force to unfold the wing 42 acts. At this time,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is driving on a flat surface, since the force F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is smaller than the reaction force (vertical drag force) received from the ground by the weight of the wheel itself, the wing part 42 is unfolded. The whole of the variable drive wheel is counterclockwis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Fx ') in which th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Fx) by the horizontal component (Fx) among the force components (Fx, Fy) applied by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Rotate in the direction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to the left in FIG. That is, the entire variable drive assembly starts and maintains running while maintaining the circular rotating body in which the wings 42 are gathered inwardly and overlapped.

또한, 제2 보조구동부(30)에 의해 가변구동부(40)로 전달되는 힘이 가변구동부(40) 자체의 무게를 이겨내고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은 경우, 즉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작용 힘이 없는 경우에도 가변구동부(40)는 제1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구동부(10)와 연결된 모터에 의해 발생한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변구동부(4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도 날개부(42)가 펼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날개부(42)를 펼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힘이 전달되더라도 평지를 주행하는데는 무리가 없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소의 전력소모를 바탕으로 최대의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by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overcomes the weight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tself and rotates the wings 42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n the unfolding direction. If it is not sufficient, that is, there is no reaction force received from the ground, the variable drive unit 40 can maintain the first mode. For example, when the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connected to the main drive unit 10 is not sufficient, even when the variable drive unit 4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wing unit 42 may not be unfolded. In this way, even if the force is not enough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the wing 42, there is no problem in traveling on the flat, so the maximum running distance based on the minimum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appropriately It can be set to ensure that.

수직항력에 의해 날개부(42)가 펼쳐지는 상태가 억제되는 것은 원형의 회전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가변구동부(40) 중에서 일정한 시점에 지면과 맞닿아 있는 하나의 가변구동부(40) 뿐이지만, 복수의 가변구동부(40)는 모두 중심이 되는 주구동부(10)에 의해 동일한 회전방향 및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보조구동부(30)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의 가변구동부(40)가 지면에 닿아있는 경우에도 모든 가변구동부(40)가 내측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wing portion 42 is unfolded by the vertical drag is suppressed by only one variable driving portion 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t a certain time, among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ortions 40 forming a circular rotating body.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are all controlled by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which rotates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by the main driving unit 10 which is the center, so that on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placed on the ground. Even if i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can maintain the folded state inward.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머리부(41)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4)를 더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가변구동부(40)가 서로를 가압하여 제1 모드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여 평지에서 날개부(42)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urther comprising a recess 44 formed at the end of the head 41, as described above, the adjacent variable drive unit 40 to press each other to maintain the first mode state more stable wings on the flat The part 4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fold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바퀴는 평지에서 여타의 일반적인 원형 바퀴와 동일하게 원형을 유지하면서 제1 모드 상태로 노면에 밀착되어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 및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abl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riven in a desired direction by reaction and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n the first mode while maintaining the same circular shape as other general circular wheels on a flat surface. have.

또한, 내구성을 높여서 제품 수명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가변구동부(40)의 외면에 특수코팅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구동부(40)가 원형의 회전체를 형성하는 경우 지면과 맞닿는 외주면에 고무코팅 처리를 하여 마찰력을 높여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pecial coating process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as necessary to improve durability and improve product life. For example, when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forms a circular rotating body, a rubber coating may be appli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to improve the moving speed.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되, 주구동부(10)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원형회전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to accommodate the rotation ax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30, and further include a circular rotating unit 50 rotatably formed independently of the main driving unit 10. It may include.

원형회전부(50)는 제2 보조구동부(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원형회전부(50)의 일면에는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반면, 주구동부(10)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홀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r rotating part 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and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20 and 30. On one surface of the circular rotating portion 50 is formed a groove for receiv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e unit (20, 30) rotatably, while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drive unit 1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A large hole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따라서, 원형회전부(50)는 주구동부(10)의 회전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으나, 주구동부(10)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및/또는 제2 보조구동부(20, 30)에 의해 회전하여 힘을 발생시키는 가변구동부(40)의 영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refore, the circular rotating part 50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driving part 10, but is rotated by the first and / or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20 and 30 that are rotated by the main driving part 10. It can rotate under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to gener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회전부(50)는 주구동부(10), 복수의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를 내측에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ircular rotating unit 50 may simultaneously serve a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therein.

주구동부(10)과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가 원형회전부(50)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와 단절되며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주구동부(10) 및/또는 각 보조구동부(20, 30)에 침투 또는 삽입되지 않는다.Since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are accommodated in the circular rotary unit 50,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 or each auxiliary driving unit ar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and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from the outside. No penetration or insertion into (20, 30).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바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는 평지뿐만 아니라 자갈, 모래 등의 장애물이 많은 험로 상을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구동부(10)와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주행 중의 이물질 예를 들어, 모래, 암석 조각 등이 침투될 수 있다. 이물질이 바퀴에 삽입되면, 가변구동조립체의 구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이물질의 크기가 클 경우 기어 이빨 사이에 맞물려서 주구동부(10)와 보조구동부(20, 30) 사이의 회전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오작동 내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variable driving wheel and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travel on a rough road having many obstacles such as gravel and sand as well as flat ground. In this case, when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sand and rock fragments, may be penetrated while traveling. When foreign matter is inserted into the wheel, the variable drive assembly is not smoothly driven, and when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is large, the gears are engaged between the teeth to block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drive unit 10 and the auxiliary drive units 20 and 30. It may cause malfunction or failur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바퀴는 원형회전부(50)를 구비하여, 가변구동부(40)의 접철 방향과 무관하게 진행방향으로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실제 동력을 전달하는 주구동부(10)와 제1 및 제 2 보조구동부(20, 30)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원형회전부(50)와 가변구동부(40)의 회전관계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Accordingly, the variabl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ircular rotating part 50, and rotat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to generate propuls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transfers actual power to the main driving part ( 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o protect from foreign matters. The ro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ircular rotating unit 50 and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회전부(50)와 제1 모드 시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외주면이 이루는 원형의 직경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구동바퀴가 제1 모드로 회전할 때,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 외주면과 원형회전부(50)의 외주면이 동시에 지면에 닿아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ircle formed by the circular rotation unit 5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in the first mode may be set to be the same. Therefore,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rotates in the first mo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g portion 42 of the variable driving portion 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rotating portion 50 simultaneously touch the groun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so that more stable driving may be possible. Can b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구동부(10)와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는 원형회전부(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반면, 가변구동부(40)는 원형회전부(5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조구동부(30)에 전달된 동력을 실제 노면과 접하는 가변구동부(40)에 전달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회전부(50)를 관통하여 원형회전부(50)의 외면에 장착된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ain driving uni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ircular rotating unit 50, while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may have a circular rotating unit. It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50). Accordingly, in order to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second auxiliary driver 30 to the variable driver 40 in contact with the actual road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uxiliary driver 30 extend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circular rotary part 50. As described above, it may further include a joint part 31 rotatably coupled to the head part 41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arts 4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rotation part 50 by passing through.

조인트부(31)의 종류 및 크기에는 제한이 없으며,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력을 가변구동부(4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제한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다.The type and size of the joint part 31 are not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to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may b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limitation.

즉, 조인트부(31)는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조인트부(31)의 일측 단부는 가변구동부(40)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머리부(41)와 결합되고, 조인트부(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머리부(41)를 포함하는 가변구동부(40)의 회동이 제어된다.That is, the joint part 31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e end of the joint part 31 is coupled to the head 41 which become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and the joint part 31 rotates.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drive part 40 including the head part 41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이를 위해,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에는 조인트부(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조인트부(31)의 삽입단의 형상과 부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구동부(40)는 조인트부(31)에 결합되어, 조인트부(31)가 제2 보조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할 경우, 이와 맞물려 있는 가변구동부(40)에도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어,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와 날개부(42)도 제2 보조구동부(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스윙하게 된다.To this e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end of the joint part 31 may be formed in the head part 41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so that the joint part 31 may be inserted. Therefore,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is coupled to the joint part 31, and when the joint part 31 rotates by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 30, the rotational for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engaged therewith. In addition, the head 41 and the blade 42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also swing together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 30.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 모드 상태의 가변구동바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 모드 상태의 가변구동바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가변구동바퀴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가변되는 시점에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힘과 수직항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to 8, a variable drive wheel in a second mode state constituting a road-compliant adaptiv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riable driving wheel in a second mode state constituting a compliant variabl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ertical force and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 applied to the variable driving wheel and the vertical drag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of FIG. 7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평지가 아닌 노면상태 즉 장애물이 많은 산길 또는 노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제1 모드 상태인 원형의 바퀴가 진행하기 곤란하다. 특히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차도와 인도 사이의 블록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원형의 회전체가 이격되어 주행을 위한 힘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If the road surface is not flat, that is, mountain roads with many obstacles or irregular road surface, the circular wheel in the first mode state as shown in FIG. 1 is difficult to proceed.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a step is formed, for example, when driving a block between a road and a sidewalk, a circular rotating body is momentarily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thus the force for driving cannot be exerted.

도 6과 같이, 이러한 경우 가변구동부(40)가 날개형의 회전체를 형성하도록 펼쳐지게 된다. 즉,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가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세워져 날개형의 회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날개형의 회전체는 원형의 회전체에 비해 바퀴의 직경이 크고 다수의 날개에 의해 장애물을 넘거나, 단차가 형성된 경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안정적이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 시 복수의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42)는 원형회전부(50)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6, the variable drive unit 40 is unfolded to form a wing-shaped rotating body. That is, the wing 42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extended whil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ead 41 of another adjacent variable driving unit 40 to form a wing-shaped rotating body. The blade-shaped rotating body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circular rotating body, and is stable in driving a path over which an obstacle is formed or a step is formed by a plurality of blades. In detail, in the second mode, the wing parts 42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arts 4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rotation part 50.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조립체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원형의 회전체 또는 날개형의 회전체를 형성하여 노면에 순응하여 가변되며, 이와 같은 가변 과정에 있어서 별도의 노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나 센서에 의해 포착된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여 가변 과정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에 해당하는 구성이 불필요하다. 즉, 노면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원형의 회전체인 제1 모드와 날개형의 회전체인 제2 모드로 가변될 수 있다.The variabl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by forming a circular rotating body or a wing-shaped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the sensor or sensor for detecting a separate road surface state in this variable process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captured by the controller and electronically controls the variable process is unnecessary. That i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it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first mode, which is a circular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mode, which is a vane rotating body.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바퀴의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가변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principle of chang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모드 상태에서 가변구동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다가 장애물을 만나거나 단차가 형성된 단턱 즉 험지를 만나게 되면, 주행속도가 순간적으로 감소하는 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된다. 따라서, 험지를 벗어나기 위해 주구동부(10)에 더 큰 회전력이 가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력 증가는 가변구동바퀴를 제어하는 사용자가 직접 모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서 달성될 수도 있으며, 가변구동바퀴 자체에 구비된 제어회로에 의해 더 큰 힘이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발생된 부하에 의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작용을 받아서 힘과 합쳐져서 더 큰 힘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mode,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meets an obstacle or encounters an obstacle or a step formed with a step, that is, a rough ground, the driving speed is loa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speed decreases momentarily. Therefore, a larger rotatio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main drive unit 10 to escape the rough land. Such increase in rotational force may be achieved by a user controlling the variable driving wheel directly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or may be set such that a larger force is generated by a control circuit provided in the variable driving wheel itself. In addition, the generated load may be rea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combined with the force to act as a greater force.

이로 인해 가변구동부(40)의 회전에 의한 힘(F)이 증가하게 되는데, 증가된 힘(F)의 수직방향성분(Fy)이 수직항력(N) 보다 크게 되면, 가변구동부(40)는 수직항력(N)을 극복하여 날개부(42)가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40)의 머리부(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세워져서 날개형의 회전체를 형성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orce F due to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increased. When the vertical component Fy of the increased force F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drag N,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vertical. Overcoming the drag force (N), the wing 42 is erected whil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ead 41 of another adjacent variable drive portion 40 to form a wing-shaped rotating body.

따라서, 별도의 전자적인 제어 없이도 노면의 상태에 따라서 제1 모드(원형의 회전체) 상태에서 제2 모드(날개형의 회전체) 상태로 변이되어 험지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주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ithout separate electronic control, the state is changed from the first mode (circular rotating body) state to the second mode (wing-shaped rotating body) sta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surface to overcome the rough terrain and continue to maintain stable running.

주구동부(10)에 더 큰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주행 중인 노면에 요철 등이 형성되어 가변구동바퀴가 지면에서 순간적으로 이격되는 경우에도, 날개부(42)가 펼쳐지지 않도록 가압하던 수직항력이 순간적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날개부(42) 펼쳐져서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구동부(10)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가변구동부(40) 자체의 하중을 견디고 날개부(42)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변구동바퀴가 지면에서 순간적으로 이격되더라도 날개부(42)가 펼쳐지지 않을 수도 있다.Even if a larger rotatio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main drive unit 10, even when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road surface being driven and the variable driving wheel is momentari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vertical drag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wing unit 42 does not spread. Since it does not act momentarily, the wing 42 can be unfolded and driven in the second mode. At this time,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ain drive unit 10 is not sufficient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variable drive unit 40 itself and to rotate the wing unit 42 in the unfolding direction, the variable drive wheel is Even if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momentarily, the wing 42 may not be spread.

날개부(42)가 제2 모드로 변경된 후에도, 제1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날개부(42)가 지면을 내딛는 힘(F)의 수평성분(Fx)에 의한 반작용으로 도 7 상의 왼쪽 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42)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이되는 동안에도 주행방향을 따라 지속적인 주행이 가능하다.Even after the wing section 42 is changed to the second mode, the wing section 42 travels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7 in respons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Fx of the force F that strikes the ground as in the first mode. Can continue. Therefore, even when the wing portion 42 is chang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it is possible to continue runn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복수의 가변구동부(40)는 제2 모드시 소정 각도 이상으로 날개부(42)가 펼쳐지지 않도록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최대각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40 may include a locking part (not shown) to prevent the wing 42 from being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may be configured to not be flipped over the maximum angle.

도 8을 참조하여, 험지를 극복한 후 다시 평지를 주행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바퀴가 제2 모드에서 다시 제1 모드로 가변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nged from the second mode back to the first mode when the flat ground is overcome and the flat ground is overcome again.

제2 모드로 주행 중이던 가변구동바퀴가 평지로 진입하면, 험지에 비해 높은 회전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주구동부(10)의 회전력이 감소된다. 이와 같은 회전력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도 있으며, 가변구동바퀴 내부에 구비된 모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which is running in the second mode enters the flat l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driving unit 10 is reduced because a higher rotational force is not required compared to the rough terrain.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force control may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or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of a motor provided in the variable driving wheel.

주구동부(10)에 의한 회전력이 감소하게 되면,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20, 30)를 거쳐 최종적으로 가변구동부(40)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F)이 감소하게 되고, 힘(F)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Fy, Fx)이 감소한다.When the rotational force by the main driving unit 10 is reduced, the force F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finally transmitted to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units 20 and 30 is thereby reduc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nents Fy and Fx of the force F decrease.

가변구동바퀴에 가해지는 수직항력(N)은 일정한데, 힘(F)의 수직성분(Fy)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수직항력(N)에 의해 가변구동바퀴는 다시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vertical force N applied to the variable drive wheel is constant. Since the vertical component Fy of the force F is reduced, the variable drive wheel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being folded back by the vertical force N.

이 과정에서, 주구동부(10)는 지속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변구동부(40)에서 발생하는 힘(F)의 수평성분(Fx)으로 인해 가변구동부(40)가 제2 모드로 변이되는 동안에도 전체 가변구동바퀴는 도 8의 왼쪽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since the main drive unit 10 generates the rotational force continuously, the variable drive unit 40 is changed to the second mode du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Fx of the force F generated by the variable drive unit 40. The entire variable drive wheel can continue to run in the left direction of FIG.

이상의 원리에 의해 별도의 센서 및 제어장치 없이도 노면의 상태에 따라 바퀴의 상태가 자동적으로 가변되는 노면 순응형태로 구동되는 가변구동조립체가 제공되게 되며, 특히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조립체의 상태변화에도 불구하도 동일한 주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a variable drive assembly is provided which is driven in the form of road adaptation, in which the state of the wheel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ad without a separate sensor and control device, and in particular, despite the state change of the road conformable variable drive assembly. The same driving direction can be maintained.

이어서,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의 노면 주행 시의 변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의 험지 주행 시의 변화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9a to 9e, the shift during the road surface driving of the road adaptive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9A to 9E are schematic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changes in rough terrain driving of a road adaptive whe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면, 가변구동바퀴가 평지를 주행하는 경우, 가변구동부(40)는 제1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모드 상태는 가변구동부(40)에 의한 힘의 수직방향성분과 수직항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Referring to FIG. 9A, when the variable driving wheel runs on a flat surface,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maintains a first mode state. In the first mode state,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force by the variable driver 40 is balanced with the vertical drag.

도 9b를 참조하면, 가변구동바퀴의 주행방향 전방에 형성된 험지에 진입하게 되면, 가변구동바퀴의 주구동부(10)에 큰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가변구동부(40)에 의한 힘의 수직방향성분이 수직항력보다 큰 경우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가 외측으로 펼쳐지기 시작한다. 날개부가 펼쳐지는 동안에도 힘의 수평방향성분에 대한 반작용(마찰력)에 의해 진행방향으로의 주행을 지속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B, when entering the rough ground formed i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a larg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main driving unit 10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and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force by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If greater than the vertical drag, the wing of the variable drive unit 40 begins to spread outward. While the wing is unfolded, the driv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continued by the reaction (friction forc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force.

도 9c를 참조하면, 험지를 벗어날 때까지 가변구동부(40)가 펼쳐진 제2 모드 상태로 주행을 지속하게 된다. 이때, 가변구동부(40)의 펼쳐진 각도는 제2 모드시 소정 각도 이상으로 날개부(42)가 펼쳐지지 않도록 구비된 걸림부(미도시)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최대각 이하일 수 있다.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날개부에 의해 발생한 힘의 수평방향성분에 대한 반작용(마찰력)에 의해 진행방향으로의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가변구동부(40)의 날개부가 원형회전부(50)의 직경보다 크게 펼쳐지기 때문에, 원형 상태인 제1 모드에 비해 험지를 매우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the driving continues in the second mode in which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extended until it leaves the rough ground. In this case, the unfolded angle of the variable driving part 4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maximum angle determined by a locking part (not shown) provided so that the wing part 42 does not unfol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econd mode. Even in the state where the wing portion of the variable drive portion 40 is fully extended, the driv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continued by the reaction (friction forc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force generated by the wing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wing portion of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is expand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rotation unit 50, it is very easy to overcome the rough terrain compared to the first mode in the circular state.

도 9d를 참조하면, 험지를 통과한 후 가변구동바퀴의 가변구동부(40)는 회전력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힘의 수직방향성분이 수직항력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날개가 다시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날개부에 의해 발생한 힘의 수평방향성분에 대한 반작용(마찰력)에 의해 진행방향으로의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D, after passing through the rough ground, the variable driving portion 40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 is reduced in rotational force, which causes the vertical component of the force to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drag, thereby rot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gs are folded again. Can be. Even in this case, the traveli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can be continued by the reaction (friction force) to the horizontal component of the force generated by the wing portion.

도 9e를 참조하면, 험지를 완전히 통과하고 다시 평지를 주행하게 될 경우, 가변구동부(40)는 다시 제1 모드 상태로 회귀하게 되어, 원형 바퀴 형태를 가지고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E, when the rough terrain is completely passed and the flat land is driven again, the variable driving unit 40 returns to the first mode again, and may continue driving in the form of a circular wheel.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Next, a variable dri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drive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road-compliant variable drive whe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설명한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는 각각의 가변구동바퀴가 노면 상태에 따라 이에 순응하여 자동적으로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므로, 별도의 노면 감지 장치 없이 험지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The variable drive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road-compliant variable drive wheel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E automatically switches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In addition, the rough terrain can easily be overcome without a separate road surface detection device.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4개의 가변구동바퀴를 구비한 가변구동조립체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변구동조립체를 구성하는 가변구동바퀴의 개수는 달리질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having four variable driving wheels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variable driving wheels constituting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may be varied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구동조립체는 험지 극복이 용이하고, 오작동 확률이 적기 때문에, 탐지 모듈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와 송수신 모듈을 탑재하여 사람이 직접 탐사하기 어려운 오지 또는 험지를 탐색할 수 있다.Since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y to overcome the rough terrain and has a low probability of malfunction, the variable driving assembly may be equipped with a detection module, for example, a camera device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search for remote land or rough terrain where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directly explore.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limited It is not limited to form.

10: 주구동부 20: 제1 보조구동부
30: 제2 보조구동부 31: 조인트부
40: 가변구동부 41: 머리부
42: 날개부 43: 요철
44: 오목부 50: 원형회전부
10: main drive unit 20: first auxiliary drive unit
30: second auxiliary drive part 31: joint part
40: variable drive 41: head
42: wing 43: irregularities
44: recess 50: circular rotation

Claims (13)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주구동부;
상기 주구동부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
상기 주구동부와 이격되되,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와 각각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접철가능하게 회동하며,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뻗어있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가변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는 상기 날개부가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의 상기 머리부에 밀착되어 전체가 원형을 이루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모드로 가변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A main drive unit rotatably forme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rotatably engaged with the main driving parts;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spaced apart from the main driving part and rotatably formed in engagement with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unit and pivotally pivotab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ortion consisting of a head portion and a wing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art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of another variable driving part adjacent to the wing part, and may be formed in a first circular shape, or a second portion of the wing parts may be extended outward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parts. Road-adaptive variable drive wheel that is variable i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의 회전축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주구동부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원형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to accommodate the rotational axis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portion, road surface compliant variable driving wheel further comprising a circular rotating portion formed to be rotatable independently of the main dri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lar rotation part is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that is rota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부와 상기 제1 모드 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가 이루는 원형의 직경이 동일한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2,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having the same circular diameter as the circular driv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in the first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 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원형회전부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펼쳐지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g portion of the variable driving portion in the second mode is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that extends outwardly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rot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부는 상기 주구동부,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보조구동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lar rotating part is a road adaptable variable driving wheel for accommodating the main driving part,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의 날개부는 호 형상을 가지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 is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having an arc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는 평기어, 선기어와 유성기어, 마찰드럼 및 벨트 중 하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ain driving part and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f a spur gear, a sun gear and a planetary gear, a friction drum, and a bel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조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제2 보조구동부는 평기어, 선기어와 유성기어, 마찰드럼 및 벨트 중 하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driving par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driv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f a spur gear, a sun gear and a planetary gear, a friction drum, and a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의 날개부의 외측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having irregularities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w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의 상기 머리부에는, 상기 인접한 다른 가변구동부의 상기 날개부가 밀착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된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ortion, the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g portion of the adjacent variable dr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구동부는 상기 제2 모드시 소정 각도 이상으로 상기 날개부가 펼쳐지지 않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variable driving part is a road surface adaptive variable driving wheel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so that the wing portion does not sprea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econd mode.
제1항 내지 제12항에 따른 노면 순응형 가변구동바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변구동조립체.13. A variable drive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one road compliant variable drive wheel according to claim 1.
KR1020110052169A 2011-05-31 2011-05-31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299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69A KR101299668B1 (en) 2011-05-31 2011-05-31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69A KR101299668B1 (en) 2011-05-31 2011-05-31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04A true KR20120133504A (en) 2012-12-11
KR101299668B1 KR101299668B1 (en) 2013-08-27

Family

ID=4751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169A KR101299668B1 (en) 2011-05-31 2011-05-31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66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102B1 (en) * 2013-11-25 2015-04-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formable wheels for rough terrain
KR20160080960A (en) * 2014-12-30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mphibious and transformable wheels for rough terrain
CN109533069A (en) * 2018-12-14 2019-03-29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The permanent wheeled barrier-surpassing robot of torque
CN110370863A (en) * 2019-06-21 2019-10-25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A kind of variable wheel diameter mechanism
US20210323346A1 (en) * 2020-04-17 2021-10-2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Transformable wheel and leg assembly
US20230041624A1 (en) * 2020-02-14 2023-02-09 Nsk Ltd. Wheel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771B2 (en) * 2008-12-26 2014-02-12 学校法人日本大学 Step-over wheels and wheel type robots
KR100995650B1 (en) * 2009-01-30 2010-11-19 (주)아이엠테크놀로지 Adjustable driving wheel
JP5412620B2 (en) * 2009-03-30 2014-02-12 福岡県 Wheels and travel equip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102B1 (en) * 2013-11-25 2015-04-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formable wheels for rough terrain
KR20160080960A (en) * 2014-12-30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mphibious and transformable wheels for rough terrain
CN109533069A (en) * 2018-12-14 2019-03-29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The permanent wheeled barrier-surpassing robot of torque
CN109533069B (en) * 2018-12-14 2023-09-1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Constant torque wheel type obstacle surmounting robot
CN110370863A (en) * 2019-06-21 2019-10-25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A kind of variable wheel diameter mechanism
CN110370863B (en) * 2019-06-21 2024-04-05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Variable wheel diameter mechanism
US20230041624A1 (en) * 2020-02-14 2023-02-09 Nsk Ltd. Wheel and vehicle
US11623473B2 (en) * 2020-02-14 2023-04-11 Nsk Ltd. Wheel and vehicle
US20210323346A1 (en) * 2020-04-17 2021-10-21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Transformable wheel and le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668B1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746B1 (en)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KR101299668B1 (en)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and adjustable driving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0995650B1 (en) Adjustable driving wheel
KR101299667B1 (en) Road surface adaptive adjustable driving wheel having function of blocking foreign substance
WO2021000900A1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robot chassis
US20160346142A1 (en) Wheelchair
CN101774331B (en) Vehicle wheel with variable wheel diameter
CN204488926U (en) Diagonal angle differential steering four-wheeled
US20180140485A1 (en) Spokeless wheel
CN104691611B (en) Diagonal differential steering four-wheel wagon and control method
CN104670355A (en) Double-eccentric circle obstacle crossing assembly with variable eccentric distance and wheel-leg robot
CN107415577A (en) A kind of turnable planetary gear set traveling mechanism
CN204548268U (en) A kind of two eccentric Variable Eccentricity obstacle detouring assembly and wheel biped robot
CN108791548B (en) A kind of compound mobile mechanism of two-wheeled-leg-crawler
CN210592195U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robot chassis
CN207111865U (en) The speed change gear and mobile unit of mobile unit
CN105064914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hallow rig of cross-country driven by quill shaft
JP2003266336A (en) Multileg walking robot
KR102390923B1 (en) Dual flippers for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therewith
KR102061158B1 (en) Dual flippers for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therewith
CN111098718B (en) Electric vehicle
JP4848828B2 (en) Mobile robot leg structure
KR20180098461A (en) Method and device to let vehicle act multiple actions by changing the size of wheel
KR20210054837A (en) Dual flippers for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with same
CN107150727B (en) Ball shape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