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125A -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125A
KR20120132125A KR1020110050753A KR20110050753A KR20120132125A KR 20120132125 A KR20120132125 A KR 20120132125A KR 1020110050753 A KR1020110050753 A KR 1020110050753A KR 20110050753 A KR20110050753 A KR 20110050753A KR 20120132125 A KR20120132125 A KR 2012013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requested
received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784B1 (ko
Inventor
송정욱
성호철
김희민
Original Assignee
송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욱 filed Critical 송정욱
Priority to KR102011005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36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에 있어서,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요청대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크기를 조절하거나 전송 및 디스플레이 효율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로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성능이 낮은 단말에게도 고해상도 또는 대용량 이미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ING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 저사양 PC, 느린 네트워크 환경에 있는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란 휴대폰과 개인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 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또는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까지 제공해줄 수 있는 단말이다.
즉,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은 터치 스크린 기능이 제공되며, 그 입력 방법에 따라 전류 인식 모듈 또는 압력 인식 모듈이 있다. 이러한 인식 모듈로 인해서 스마트 폰의 표시부의 크기를 스마트 폰의 크기로 확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스마트폰은 느린 동작 속도, 한정된 프로세싱 메모리 공간 등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거나 구현하는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저사양의 PC 또는 느린 네트워크 환경에 있는 단말에게도 발생되는 것으로, 고화질 또는 대용량의 이미지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전송에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즉, 종래 스마트폰이나, 저사양 PC, 느린 네트워크 환경에 있는 단말 등은 표시화면 보다 큰 이미지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전송 및 표시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변환을 요청하면, 이미지 게이트웨이가 단말이 요청한 대로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거나, 해상도를 변환하거나, 하나의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로 분할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에 있어서,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요청대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변환장치는 상기 변환된 이미지 및 수신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변환장치는 단말의 요청대로 변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미리 정해진 시간 뒤에 삭제하거나, 기 저장된 순서로 이미지를 삭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변환장치의 제어부는 단말이 이미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재전송이 요청된 이미지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이미지를 재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로 이미지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를 요청하고, 요청한 이미지의 변환을 요청하며,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맞게 크기, 해상도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 변환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 전송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이 요청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은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로부터 변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크기를 조절하거나 전송 및 디스플레이 효율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로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성능이 낮은 단말에게도 고해상도 또는 대용량 이미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에서 이미지 변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은 이미지를 요청하고, 요청한 이미지의 변환을 요청하며,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110)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서버(140)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110)의 요청에 맞게 크기, 해상도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인 이미지 게이트웨이(130)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버(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 이미지 게이트웨이(130), 서버(140)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말(110)이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는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140)로 전송하는 송수신부(131), 상기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110)의 요청대로 변환하는 변환부(132)와,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134)와, 상기 요청대로 변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부(134)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미리 정해진 시간 뒤에 삭제하거나, 시간 순으로 기 저장된 순서로 이미지를 삭제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단말(110)의 요청대로 변환된 이미지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10)의 이미지 재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재전송이 요청된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134)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 결과,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이미지를 재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서버(140)로 이미지 전송을 요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10)은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된 이동 단말, 저사양 PC, 느린 네트워크 환경에 있는 단말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느린 동작속도와 한정된 프로세싱 메모리공간 등의 제약을 가진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이라 칭한다.
이러한 단말은 고화질 및 대용량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110)의 표시부보다 큰 이미지를 유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요청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ID 대신에 이미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네트워크(120)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단말(110)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 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및 이미지 조각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정보는 단말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이미지 조각 번호, 상기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축소 또는 확대 비율은 미리 정해지거나 각각의 조각 이미지에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소 비율은 이전 조각 이미지의 50% 씩 감쇄되는 비율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확대 비율은 반대로 이전 조각 이미지의 200% 씩 증가되는 비율로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시스템 및 이미지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조각 번호는 단말(110)이 요청한 이미지를 단말이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였을 때, 첫 번째 이미지부터 순차적으로 붙여진 번호이다. 이러한 이미지 조각 번호는 행 및 열 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필요에 따라, 단말 자신의 해상도를 이미지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자신의 해상도를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이유는 이미지 축소 비율을 정하지 않음으로써, 현재 화면 해상도에 전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최대 축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단말의 화면해상도에 맞게 축소 비율을 결정한 뒤,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거나 분할하여 저장하고,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은 적절한 축소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를 다운 받기 전, 먼저 이미지의 크기 및 특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10)로부터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이미지 조각번호, 및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신되면,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는 단말(110)의 요청에 필요한 이미지(즉, 원본 이미지)를 서버(140)로 요청한다. 또는,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디스크, 웹 연결, 로컬 디스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단말(110)이 요청한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는 서버(140)로부터 단말(110)이 요청한 이미지가 수신되면, 이미지 게이트웨이(130)의 변환부(132)는 수신된 이미지를 단말(110)의 요청에 맞게 크기를 조절하거나 분할한다. 그리고, 저장부(134)는 크기가 조절된 이미지 또는 분할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조절 또는 분할된 이미지는 송수신부(131)에 의해 단말(110)로 전송된다. 또한, 이미지 게이트웨이(130)의 저장부(134)는 수신된 원본 이미지, 크기가 조절된 이미지 또는 분할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제어부(133)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이 흐르면,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또는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이전에 저장된 순서대로 이미지를 삭제한다. 여기서,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저장된 이미지들은 단말의 재요청에 쉽게 부응할 수 있게 되고, 저장된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저장공간의 효율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는 이미지 가공을 최적화하기 위해 축소비율을 이전 분할된 이미지의 50%씩 또는 25%씩 정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축소비율로 이미지를 축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는 크기가 조절된 이미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된 이미지들을 단말(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10)은 현재 화면에 표시하는데 필요한 분할된 이미지를 모두 수신할 때까지 분할된 이미지 전송을 이미지 게이트웨이(130)로 요청한다. 또한, 단말(110)은 이미지의 축소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화면에 보여지는 원본 이미지의 부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화면 표시에 필요한 이미지 조각만 반복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110)은 사용자의 스크롤에 대비하여 화면에 필요하지 않은 이미지를 미리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을 통해서 이미지를 보고자 한 경우, 이미지의 크기가 단말에서 제공되는 크기보다 크면, 단말은 이미지를 변환 또는 미리 정해진 크기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미지 ID, 축소 비율, 분할된 이미지의 조각 번호들, 및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미지 변환 요청 메시지를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210, S212).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변환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의 전송을 서버로 전송하여 요청한다(S214).
서버는 단말이 전송한 이미지 ID를 통해서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해당 이미지를 리드하여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216).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단말이 요청한 사이즈 또는 해상도에 맞게 사이즈를 재조정하거나 크기를 분할하거나 또는 해상도를 조절한다(S218).
그리고, 상기 과정(S218)에서 조절된 이미지들에 넘버링을하여 저장한다(S220). 상기 저장된 이미지들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또는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정(S218)에서 조절된 이미지를 단말(110)로 전송한다(S222).
단말은 이미지 게이트웨이로부터 분할된 모든 이미지들이 다운되면,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224, S2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요청대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대로 변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미리 정해진 시간 뒤에 삭제하거나, 기 저장된 순서로 이미지를 삭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대로 변환된 이미지의 재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재전송이 요청된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지 체크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된 이미지를 재전송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로 이미지 전송을 요청제어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요청대로 축소, 확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들로의 분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이미지 조각번호,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또는 확대 비율은
    미리 정해지거나 각각의 조각 이미지에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또는 확대 비율은
    이전 조각 이미지의 50%이거나 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10. 이미지를 요청하고, 요청한 이미지의 변환을 요청하며,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맞게 크기, 해상도를 변환하는 이미지 변환장치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이미지 조각번호,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변환장치는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요청하는 이미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요청대로 축소, 확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들로의 분할을 포함하여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요청대로 변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미리 정해진 시간 뒤에 삭제하거나, 기 저장된 순서로 이미지를 삭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시스템.
  12. 이미지 변환시스템에서 이미지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정보를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는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이미지 전송을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요청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은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로부터 변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과정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축소, 확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각 이미지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ID, 상기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고자하는 축소 또는 확대 비율, 이미지 조각번호, 및 상기 단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해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대로 변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뒤에 삭제하거나 또는 저장공간이 부족하면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축소 또는 확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게이트웨이로 상기 이미지의 크기 및 특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방법.
KR1020110050753A 2011-05-27 2011-05-27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KR10122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53A KR101223784B1 (ko) 2011-05-27 2011-05-27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53A KR101223784B1 (ko) 2011-05-27 2011-05-27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25A true KR20120132125A (ko) 2012-12-05
KR101223784B1 KR101223784B1 (ko) 2013-01-21

Family

ID=4751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53A KR101223784B1 (ko) 2011-05-27 2011-05-27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795A1 (en) * 2013-04-12 2014-10-16 Facebook, Inc. Identifying content in electronic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29B1 (ko) 2013-07-16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필터 정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953A (ko) * 2000-11-25 2002-05-31 구자홍 무선 인터넷에서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53516B1 (ko) * 2002-05-21 2004-10-20 주식회사 이노티브 네트워크상의 고품질 거대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전송방법
KR20100122518A (ko) * 2008-04-18 2010-11-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게이트웨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012206B1 (ko) * 2008-05-27 2011-0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웹뷰어의 이미지 전송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795A1 (en) * 2013-04-12 2014-10-16 Facebook, Inc. Identifying content in electronic images
US10296933B2 (en) 2013-04-12 2019-05-21 Facebook, Inc. Identifying content in electronic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784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130B1 (ko) 상태기반 브라우징
CN102460564B (zh) 用于提供移动设备互操作性的方法及装置
US9864811B2 (en) Terminal device, system for providing pictur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icture
US20090089448A1 (en) Mobile browser with zoom operations using progressive image download
US20130050271A1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8717608B2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generating print data based on one set of web-page information
US20120089901A1 (en) High performance cross platform document viewing
JP6255495B2 (ja) ブラウザリソースの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A2765266A1 (en) Selectively distributing updates of changing images to client devices
KR101914478B1 (ko) 이미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미지 제공 방법
US8621358B2 (en) Presentation slide preparation
US20140165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time slice encoding for complete internet anywhere
US91532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data management
US90377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transmission method
CN103092584A (zh) 在浏览器上调整医学图像窗宽和窗位的方法
JP2012230629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32866B2 (ja) Wwwブラウザ、htmlページ共有システムおよびhtmlページ共有方法
KR101223784B1 (ko) 이미지 변환장치, 이미지 변환시스템 및 이미지 변환방법
US20140089812A1 (e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40035022A (ko) 웹 기반의 컨텐츠를 복수개의 문서 형식 중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의 문서파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문서 제공 서버
JP2016103117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CN105656921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05721604A (zh) 基于用户下载请求的数据发送方法和装置
KR100866746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고속 웹브라우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US8619088B2 (en) Slide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