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402A -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402A
KR20120131402A KR1020110049547A KR20110049547A KR20120131402A KR 20120131402 A KR20120131402 A KR 20120131402A KR 1020110049547 A KR1020110049547 A KR 1020110049547A KR 20110049547 A KR20110049547 A KR 20110049547A KR 20120131402 A KR20120131402 A KR 2012013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list
running
application li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4296B1 (en
Inventor
원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296B1/en
Publication of KR2012013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method of an application list is provided to easily recognize an executing application by displaying a recently used application list and executing application list. CONSTITUTION: A used application list which a user uses is generated(S100). An executing application lis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d application list(S200). If an application list request of the user is received,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executing application list are separated and displayed(S300). If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n the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 user request, the application is executed(S400).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if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on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S50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0) A used application list which a user uses is generated; (S210) Executed application list is generated; (S220) Turning point of application list is detected; (S230) Screen shot of application list is detected; (S240) Executed application list is generated; (S300)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executing application list are separated and displayed; (S400) The application is executed; (S500)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How to display the application list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for displaying a recently used application and a running applic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한다.A smart 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to a mobile phone, and can install an application that a user wants. Such a smart phone is basically multitasking. ).

멀티태스킹이란 두가지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말하며, 이와 같은 멀티태스킹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는 한번에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멀티태스킹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Multitasking refers to running two or more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Due to such multitasking, a smartphone user ha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executing several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efficiently us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rough such multitasking, It is an important technical task to determine which application is running and which step the application is running in.

종래 스마트폰에 구비된 홈키를 길게 누르면 사용자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하나, 이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과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별하지 않고 함께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이 종료되었고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 알 수 없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While pressing and holding the home key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smartphone, the user displays a list of recently used applications in the form of an icon. However, this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application that has been terminated and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a running application because it is not known which application is running.

또한, 작업관리자를 통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알 수 있으나, 작업관리자를 통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알기 위하여는 ① UI화면의 메뉴상에서 작업관리자 아이콘을 검색하는 단계, ② 검색한 작업관리자 아이콘을 실행하는 단계, ③ 실행한 작업관리자의 메뉴상에서 실행목록을 선택하는 단계, ④ 실행목록상에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매우 번거러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you can see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through the task manager, but in order to know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through the task manager: ① searching for a task manager icon on the menu of the UI screen, ② executing the search task manager icon Step 3, selecting the execution list on the menu of the executed task manager, and ④ confirming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on the execution list, it is very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또한, 작업관리자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아이콘 형식이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으로 표시하므로,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의 인식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ask manager displays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in the name of the running application rather than in the icon format,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the recognition of the user is lowered compared to displaying in the icon format.

또한, 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displayed in the task manager provides only information on which applications are executed,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ich steps the running applications are progressing,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There was a problem.

또한, 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지 않으므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displayed in the task manager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not immediately executed. Therefore, the user's convenienc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application is not free to switch from one application to another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for displaying a list of recently used applications and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together and distinguishing them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단계를 직접 파악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directly grasping the execution step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to be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generating an application list used by the user, the generated Generating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based on a list of used applications and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list of used applications and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when the user requests a list of applications.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method of the application list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a request for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is reques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ethod of the application lis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ermina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quest for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시점에서 전환되기 이전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may include detecting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switching the running application to a user interface (UI) screen or anoth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viewpoint, detecting a screenshot of an application executed before switching from the detected viewpoint, and generating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detected screenshot. have.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may include displaying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shot in the form of a thumbnail.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 shot larger than other applications.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ecuting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execu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is performed may include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본 발명에 의하면,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하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a list of recently used applications and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and distinguishing them from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which application is running, and based on this, unnecessary execution By immediately terminating the current appl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ultitasking environment.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서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해 어느 단계를 실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running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there is an advantage of knowing which step is being executed through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without directly displaying the running application on the screen.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자 UI화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user UI screen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명세서 전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기기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블릿 PC, 개인용 PC, PDA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being applied to a smartphone, but a device to which the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pplicable to all appliances that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a tablet PC, a personal PC, a PDA, and the like.

또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포함하고,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list includes a used application list and a running application list, the used application list includes a finished application and a running application,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includes a running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100),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list includes: generating an application list used by a user (S100), being executed based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Generating an application list (S200) and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used when the user's application list request (S300).

상기 S100단계는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은 최근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을 위주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The step S100 is to generate a list of applications used by the user, and generates a list of not only the application which has been finished using, but also the running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which has finished using the application generates a list based on the application which has been recently used, and the running application generates a list of all the running applications.

또한, S100단계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기반으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단순히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이름을 병기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S100,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list of used applications based on the icons of the applications. That is, it is preferable not to simply display the name of the application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but to display an ic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t. In addition, the icon and name of the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즉,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0)의 상측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0)가 표시되며, 이때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10)상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이름이 병기되어 표시된다.That is, according to FIG. 2, the used application list 10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screen 10, and the icon and nam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re displayed in parallel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10.

상기 S200단계는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S210), 검출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S220), 검출한 시점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S230) 및 검출한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200 is a step of generating a running application list based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detecting the running application in the used application list (S210), and detecting the running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Interface) detecting a time point of switching to a screen or another application (S220), detecting a screenshot of an application running at the detected time point (S230), and running application list based on the detected screensho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S240).

상기 S210단계는 S100단계에서 생성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는 사용을 종료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뿐만 아니라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중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한다.The step S210 is a step of detecting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d application list generated in step S100. Detect application information.

상기 S220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스크린샷하기 위한 시점을 검출하는 것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한다.The step S220 detects a time point for screening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running application, and detects a time when the running application is switched to the UI screen or another applic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UI화면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화면상에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UI화면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검출한다.For example, when switching to a UI screen while executing an Internet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t detects when the Internet application is switched to the UI screen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executes the Interne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n the case of switching to the market application while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time when the Internet application is switched to the market application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상기 S230단계는 S220단계에서 검출한 시점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UI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마켓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의 스크린샷을 검출한다.The step S230 detects a screenshot of the last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running at the point of time detected in step S220. For example, when switching to the UI screen while executing an Internet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 screenshot of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Internet application is detected, and switching to a market application while executing the Internet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creen shot of the last execution screen of the Internet application.

상기 S240단계는 S230단계에서 검출한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이 표시되도록 한다.The step S240 is a step of generating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screen shot detected in step S230, so that a screenshot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마켓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는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과 마켓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Internet application and the market application are execut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screenshots of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internet application and screenshots of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market application are display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이와 같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서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통해 어느 단계를 실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running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there is an advantage of knowing which step is being executed through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without directly displaying the running application on the screen.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상기 S300단계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S100단계에서 생성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S200단계에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한다.In step S300, when the user requests the application list, the application list generated in step S100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in step S200 ar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또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관한 아이콘을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거나 스마트폰의 특정 키를 눌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특정키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마트폰의 특정키로 홈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홈키를 길게 누르는 경우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requests an application list, an application list may be requested by clicking an ic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list, or an application list may be requested by pressing a specific key of the smartphone. In order to improve access to the application list, It is desirable to request a list of applications using a specific key. In this case, the home key may be used as a specific key of the smart phone, and the application list used when the home key is pressed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최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함께 표시함과 동시에 서로 구별되게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필요하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시킴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by displaying the recently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together and displaying them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easily recognize which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and executes it unnecessarily based on this. By immediately terminating the current appl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multitasking environment.

또한, S300단계는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한다. 썸네일이란 페이지 전체의 레이아웃을 검토할 수 있도록 페이지 전체를 작게 줄여 화면에 띄운 것을 말하는 것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에 대한 스크린샷을 작게 줄여 화면에 표시한다.In operation S300,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sho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Thumbnails are small pages tha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layout of the entire page can be reviewed. Thumbnails of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running application are reduc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중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다양한 형식(바둑판 형식, 가로배열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and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ats (checkerboard format, horizontal arrangement format)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may be displayed larger than other applications.

즉,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0)의 하측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가 표시되며, 이때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실행화면이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도 2에 의하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주소록 어플리케이션, 설정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서 가운데 위치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가 표시되는 화면을 좌우로 스크롤하면, 그에 따라 썸네일 형태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FIG. 2,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screen 10, and the final execu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Also, accord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et application, the address book application, the setting application, and the music application are running, and the Internet application located in the center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is displayed larger than other applications. In addition, when the screen on which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is displayed is scrolled left and right,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may be set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a request for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is requested (S400).

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실행된다. 또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사용이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실행된다.That is, when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immediately. In addition, even when an application which has been used in the selected application list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immediately.

또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된다. 즉, 도 2에 의하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서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즉시 실행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selecting an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on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mmediately. That is, accord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et application is executed immediately when the Internet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s selected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므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list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immediately,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since the application can be freely switched from a specific application to another application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S500) of termina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quest for terminating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즉, 사용자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종료 요청을 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종료되며, 도 2에 의하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20)상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의 우측상단에 X박스가 표시되어 있으며,사용자가 X박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즉시 종료된다.That is, when the user makes a request for termination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mmediately terminated. According to FIG. 2, an X box i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o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20. If the user selects the Xbox, the application terminates immediately.

이와 같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종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can be terminated immediately, the user's convenience is further improved.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10 : 디스플레이 화면
20 :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30 :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10: display screen
20: list of used applications
30: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Claims (7)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표시 방법.
A display method of an application list executed in a portable terminal,
Generating a list of applications used by a user;
Generating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generated list of used applications; And
And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when the user requests the application l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execu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s execu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erminating the application when the request for 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UI(User Interface)화면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시점에서 전환되기 이전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샷(Screenshot)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comprises:
Detecting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used application list;
Detecting when the detected running application switches to a user interface (UI) screen or another applic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Detecting a screenshot of an application running before being switched at the detected point in time; And
And generating a list of runn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detected screensho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used application list from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comprises:
And displaying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 shot in the form of a thumbn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을 기반으로 생성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보다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used application lis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include:
And displaying at least on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running application list generated based on the screenshot larger than another appl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ecuting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execut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list is performed includes:
The application list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is execu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KR1020110049547A 2011-05-25 2011-05-25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KR101344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en) 2011-05-25 2011-05-25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en) 2011-05-25 2011-05-25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02A true KR20120131402A (en) 2012-12-05
KR101344296B1 KR101344296B1 (en) 2013-12-23

Family

ID=4751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547A KR101344296B1 (en) 2011-05-25 2011-05-25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29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52A1 (en) * 2021-06-01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upd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4101642A1 (en)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deep lin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6503B (en) * 2014-08-08 2018-04-27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list items in a kind of li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52A1 (en) * 2021-06-01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upd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4101642A1 (en)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deep lin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296B1 (en)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9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icon to interface of android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11327649B1 (en) Facilitating selection of keys related to a selected key
JP5910511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6328947B2 (en) Screen display method for multitasking operation and terminal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86488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003283B2 (en) Copying text using parameters displayed on a clipboard
US20100146451A1 (en) Handheld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menu selection using dragging on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83219A1 (en) Touchscreen Apparatus User Interface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Apparatus
WO2017032005A1 (en) Operation menu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2662584B (en) Multi-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TWI626591B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CN104834456A (en) Multi-task switching method and system of touch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104680A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portable terminal
KR20120121149A (en) Method arranging icon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the device therof
US20140013257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File Processing Based on User Interface
TW20150295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pplication
EP2642377B1 (en) Handheld device and homescreen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1610533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CN106775213B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switching desktop
US20200192537A1 (en) Page browsing
US20100050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ying opera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EP2735951A1 (en)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by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3442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application list
CN104272712B (en) Subscriber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hereof
CN102141894A (en) User interface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