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262A -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262A
KR20120131262A KR1020110049301A KR20110049301A KR20120131262A KR 20120131262 A KR20120131262 A KR 20120131262A KR 1020110049301 A KR1020110049301 A KR 1020110049301A KR 20110049301 A KR20110049301 A KR 20110049301A KR 20120131262 A KR20120131262 A KR 2012013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access point
point modul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국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인포밸리
김지현
박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밸리, 김지현, 박성국 filed Critical ㈜인포밸리
Priority to KR102011004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262A/ko
Publication of KR2012013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8Content descriptor database or directory service for end-use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46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 H04N21/64761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4776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network directed to the server or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e.g. of data packets lost or corrupted during transmission from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말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송출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utilizing contents storage/transmission based on free internet u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설치된 곳에서 사용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노트북, PC, 아이패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하고 활용하기 위해 유선망 또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통해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트래픽으로 인하여 통신대역을 늘리기 위해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컨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라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중앙에 집중되는 통신 트래픽을 지역별로 분산시켜 처리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노트북, PC 등에서 무선 인터넷 사용 및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Wi-Fi 존및 Wi-Max존과 WIBRO존을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으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통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면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특정 통신사 단말기만이 아닌 어떤 단말기도 수용하면서 접속이 용이하도록 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컨텐츠 활용을 더 도모하기 위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말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송출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은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를 식별하고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포맷 또는 해상도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의 송신을 정지한 후, 다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실행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순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단말기로 컨텐츠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회수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의 컨텐츠 편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단말기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에 컨텐츠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가 완료신호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서버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실행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으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고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통한 컨텐츠 시청을 통하여 설치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엑세스 포인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은, 서버(100), 엑세스 포인트 모듈(Access Point Module, AP, 200),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다수의 개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a~200c)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300)는 다수의 개별 단말기(300a~300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란, 전용선이나 VAN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이용자 간의 접속점이 되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컨텐츠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말한다.
1. 서버(100)
서버(10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기(300)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실행정보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300)의 광고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한다. 또한, 서버(100)는 컨텐츠 편성 관리자로부터 광고 컨텐츠 편성작업정보 및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 종류별로 저장하고 컨텐츠 편성 관리자에게 광고운영실적을 송신하고, 광고주로부터 계약정보를 수신하고 광고주에게 광고운영실적 및 현황을 송신한다. 컨텐츠 종류는 다양한 포맷 및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로, 시청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말한다.
또한, 서버(100)는 광고주로부터 컨텐츠를 전달받은 운영관리자로부터 컨텐츠 디지털 정보 및 편성작업정보를 수신하고, 광고주에게 광고운영실적 및 분석현황을 송신한다. 또한, 서버(100)는 라이브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광고운영실적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원 소스 멀티 유저(one source multi user) 방식을 채용하기 위해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 정보수집 및 단말기 식별기능을 통해 필요로 하는 컨텐츠의 해상도 및 포맷에 맞게 실시간으로 엔코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 및 각종 계약정보, 장르 등의 정보관리 및 광고 컨텐츠별 구분관리, 서비스별 저장위치 관리, 해상도별 및 포맷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또한, 서버(100)는 각각의 광고 컨텐츠를 장르, 타겟 고객 등으로 분류하여 채널단위로 편성하여 해당 채널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광고 컨텐츠의 목록을 보거나 검색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선택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100)는 분류되거나 선택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 별로 컨텐츠의 편성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의 다운로드 또는 단말기(300)로의 송출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선택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들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순차적으로 송출될 순서 및 반복 회수를 정할 수 있게 하고, 사전에 다운로드되지 않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긴급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스트리밍 방식을 통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 송출한다. 이때,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광고 컨텐츠를 송출할 수 있다.
2.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송출하며,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단말기(300)를 인터넷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Wi-Fi 연결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서버(100)로부터 광고 컨텐츠 편성표 및 광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운영센터(NOC) 또는 로컬 관리자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고,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는 운영센서 또는 로컬 관리자로 저장완료정보를 송출하며, 저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가 재송출된다. 컨텐츠 종류는 다양한 포맷 및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로, 시청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수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말한다.
또한, 단말기(300) 사용자는 특정한 광고 컨텐츠를 요청하여 보거나 듣고자 하는 광고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단말기(300) 접속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운영센서와의 접속없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과 단말기(200)의 통신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및 광고 컨텐츠의 각종 정보관리 및 구분관리, 서비스별 저장위치관리, 해상도별, 포맷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단말기(300)에서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1차 접속은 무조건 허가하며, 인터넷 사용을 위한 통신허가는 불허한다.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과 단말기(300)의 접속을 통해 각종 컨텐츠 시청을 위한 기능 시청완료가 확인되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3. 단말기(300)
단말기(30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실행시킨다. 또한, 단말기(30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광고 컨텐츠 운영실적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송신한다. 단말기(300)는 어느 통신사 단말기이든지 관계없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접속되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단말기(300)로는 PC, 스마트폰, 아이패드,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서버(100),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 및 단말기(300)에 대해서는 각각 도 2, 도 3,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 광고 컨텐츠 송신부(120), 엑세스 포인트 모듈 관리부(130), 시청실적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광고 컨텐츠 편성 관리자 및 광고주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입력받아 종류별로 저장한다. 광고 컨텐츠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경우, 다양한 포맷, 해상도를 갖는 광고 컨텐츠로 저장한다. 멀티 유저(multi user) 방식을 채용하기 위해,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 (300) 정보 수집 및 단말기 식별 기능을 통해 필요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해상도 (resolution) 및 포맷(format)에 적합하게 실시간으로 엔코딩(encoding)을 하여 제공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광고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순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회수 및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의 컨텐츠 편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사전에 다운로드되어 있지 않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광고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송신하고, 긴급한 송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각각의 광고 컨텐츠를 장르, 고객 등으로 분류하여 채널단위로 편성하여 해당 채널을 선택하고, 광고 컨텐츠의 목록을 보거나 검색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 및 광고 컨텐츠의 각종 계약정보, 장르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110)는 광고 컨텐츠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거나 해상도별로 또는 포맷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광고 컨텐츠별로 저장할 위치를 관리한다.
광고 컨텐츠 송신부(120)는 컨텐츠 편성 관리자로부터 수신한 편성작업정보를 이용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듈 관리부(130)를 통하여 분류되거나 선택된 엑세스 포인트 모듈별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한다. 이때, 광고 컨텐츠 송신부(120)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고려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듈별로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주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주기를 지정할 수 있다. 긴급하게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광고 컨텐츠 송신부(120)는 실시간으로 광고 컨텐츠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송신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 모듈 관리부(120)는 광고 컨텐츠를 송신할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을 분류하거나 선택한다.
시청실적 관리부(14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별로 및 단말기별로 광고 컨텐츠 시청실적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시청실적에 관한 정보, 광고 컨텐츠 관리정보 및 엑세스 포인트 모듈 관리정보를 조합하여 고객의 성향 및 광고효과 등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한다. 시청실적 관리부(140)는 연속물 등의 경우 시청실적에 관한 정보를 컨텐츠 편성정보에 반영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후속물이 고객의 요청없이 편성되도록 하고,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집행실적과 고객등급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도 3은 도 1의 엑세스 포인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 송수신부(210), 광고 컨텐츠 저장부(220), 광고 컨텐츠 예약 요청부(230), 광고 컨텐츠 관리부(240), 단말기 관리부(250), 광고 컨텐츠 엔코딩부(260), 시청완료 확인부(270), 통신 허가부(280), 양방향 커뮤니케이션부(290)를 포함한다.
광고 컨텐츠 송수신부(210)는 광고 컨텐츠를 자동으로 송신하거나, 단말기(300)를 선택하여 선택된 단말기(300)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한다. 위급상황 알림 또는 특정 이벤트를 알리는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 관리부(210)는 단말기(300)에서 실행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의 송신을 정지한 후, 다른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광고 컨텐츠 저장부(22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한다. 광고 컨텐츠의 저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 저장부(220)는 서버(100)로부터 재송신을 받는다.
광고 컨텐츠 예약 요청부(230)는 단말기(300)에서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서버(100)에 요청한다.
광고 컨텐츠 관리부(240)는 광고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meta data) 및 광고 컨텐츠의 각종 계약정보, 장르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 (240)는 광고 컨텐츠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거나 해상도별로 또는 포맷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광고 컨텐츠별로 저장할 위치를 관리한다.
단말기 관리부(250)는 단말기(300)에서 접속을 요청할 때 접속은 허가하고, 인터넷 사용을 위한 통신은 허가하지 않는다. 접속을 통해 단말기(300)에서 각종 광고 컨텐츠의 시청완료가 확인되면 통신 허가부(280)를 통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기 관리부(250)는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300)의 기종, 제조사, 고유번호를 식별하고 구분하여 광고 컨텐츠를 포맷 또는 해상도 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 관리부(25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300)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의 제조사 및 기종 등을 수집한다.
또한, 단말기 관리부(250)는 단말기(300)의 인터넷 사용시간 및 인터넷 허가시간 관리, 인터넷 사용회수 관리를 통해 실시간 집중시간 및 사용시간에 따른 정보를 서버에 제공한다.
광고 컨텐츠 엔코딩부(260)는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300) 정보 수집 및 단말기 식별 기능을 통해 필요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해상도 및 포맷에 적합하게 실시간으로 엔코딩(encoding)을 하여 제공한다.
시청완료 확인부(270)는 각종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로 송신한 후 시청완료 확인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사용허가 및 광고 컨텐츠 시청에 따른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별도의 수익을 주기 위해 시청완료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허가부(280)는 단말기(300)로부터 시청완료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의 시청이 완료된 경우 인터넷 사용을 허가하고, 광고 컨텐츠의 시청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인터넷 사용 허가를 제한하거나 인터넷 사용을 축소시킨다. 이와 같이,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가 실행완료되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서 단말기(300)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으로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300)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고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인터넷 사용의 허용과 관련하여,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고객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인터넷 사용의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부(290)는 단말기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데, 별도의 통신요금이 부가되지 않으며,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부(290)는 각종 설문조사 기능을 하고,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설문조사후 특정시간에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의 데이터를 서버로 업로드한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제어로직을 통하여 CPU 모듈(293)을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로직부(291), 시리얼 통신으로 서버(100) 및 단말기(300)에 접속하는 시리얼 통신 접속부(292), 중앙처리기능을 하는 CPU 모듈(293), CPU 모듈(293)에 연결된 QOS 스위치(294), CPU 모듈(293)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랜 송수신부(295), QOS 스위치(294)에 연결되어 네트워크측과 가입자측에 이더넷으로 접속하는 이더넷 접속부(2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300)는 통신접속부(310), 광고 컨텐츠 시청부(320), 광고 컨텐츠 다운로드부(330), 시청실적정보 송신부(340)를 포함한다.
통신 접속부(31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 접속을 요청하고, 광고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광고 컨텐츠 시청부(32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게 하는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단말기별 플레이어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거나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광고 컨텐츠 다운로드부(330)는 광고 컨텐츠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시청실적정보 송신부(340)는 단말기(300)의 시청실적정보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단말기(300)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S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Wi-Fi 연결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S100 단계 이전에는, 서버(100)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 이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가 단말기(300)로부터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200). S2OO 단계에서 서버(10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단말기(300)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기 전에도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이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광고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기 전이든지 광고 컨텐츠를 송신할 때이든지 관계없이 서버(100)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에 제공될 수 있다.
S200 단계 이후, 단말기(300)가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실행시킨다(S300). 단말기(300)가 광고 컨텐츠를 실행시킬 때, 광고 컨텐츠는 단말기(300)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어 단말기 (300) 사용자가 광고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S300 단계 이후,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단말기(300)가 완료신호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 전송한다(S400).
S400 단계 이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이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0). 즉, 단말기(300)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 (200)에 광고 컨텐츠 실행정보를 송신하고,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 실행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500 단계에서,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 시청이력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로 송신한다(S600).
S600 단계 이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이 단말기(300)를 인터넷에 연결하여 단말기(300)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통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700).
S700 단계 이후, 서버(100)는 단말기(300)에서의 광고 컨텐츠 실행정보를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300)의 광고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한다(S800).
한편, S500 단계에서, 단말기(300)에서 광고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지 않으면,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인터넷 연결을 해제한다(S900). S900 단계에서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이 인터넷 연결을 해제한 이후에도 단말기(300)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S900 단계 이후,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단말기(300)가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S1000). S1000 단계에서 단말기(300)가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다고 판단하면, S20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단말기(300)가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200)은 광고 컨텐츠를 단말기(300)에 송신하지 않고 종료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서버
110 : 광고 컨텐츠 관리부
120 : 광고 컨텐츠 송신부
130 : 엑세스 포인트 모듈 관리부
140 : 시청실적 관리부
200 : 엑세스 포인트 모듈
210 : 광고 컨텐츠 송수신부
220 : 광고 컨텐츠 저장부
230 : 광고 컨텐츠 예약 요청부
240 : 광고 컨텐츠 관리부
250 : 단말기 관리부
260 : 광고 컨텐츠 엔코딩부
270 : 시청완료 확인부
280 : 통신 허가부
290 : 양방향 커뮤니케이션부
291 : 제어로직부
292 : 시리얼 통신접속부
293 : CPU 모듈
294 : QOS 스위치 모듈
295 : 무선랜 송수신부
296 : 이더넷 접속부
300 : 단말기
310 : 통신 접속부
320 : 광고 컨텐츠 시청부
330 : 광고 컨텐츠 다운로드부
340 : 시청실적정보 송신부

Claims (9)

  1.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말기;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 송출하며,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엑세스 포인트 모듈을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은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를 식별하고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포맷 또는 해상도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의 송신을 정지한 후, 다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실행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순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 상기 단말기로 컨텐츠를 반복하여 송신하는 회수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서의 컨텐츠 편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7. 단말기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에 컨텐츠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가 완료신호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인터넷 사용을 위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서버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이 상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실행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컨텐츠 실행실적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방법.
KR1020110049301A 2011-05-25 2011-05-25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KR20120131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01A KR20120131262A (ko) 2011-05-25 2011-05-25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01A KR20120131262A (ko) 2011-05-25 2011-05-25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62A true KR20120131262A (ko) 2012-12-05

Family

ID=4751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301A KR20120131262A (ko) 2011-05-25 2011-05-25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21A1 (ko) * 2013-08-14 2015-02-19 Kim Kyoung-Sic 프리와이파이 서비스와 광고 및 공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21A1 (ko) * 2013-08-14 2015-02-19 Kim Kyoung-Sic 프리와이파이 서비스와 광고 및 공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8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lient agent for delivery of remote services
US20140068212A1 (en) Device backups and updates in view of data usage statistics
CN103609131A (zh) 接收装置、接收方法、发送装置、发送方法和程序
US967463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data using a mobile device
CN102404567A (zh) 一种网络监控视频流按需实时转码的系统和方法
JP2011512743A (ja) 顧客pvr−ネットワークベースdvr間の同期方法
CN102934454A (zh) 用于将部分观看的vod节目从第一位置转移到第二位置的系统和方法
US9648128B2 (en) Dynamic ad hoc cloud based memory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US20140201311A1 (en) Cache-induced opportunistic mimo cooperation for wireless networks
CN104115501A (zh) 用于家用及随身定向内容传递的系统及方法
US9326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elivery of content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parameters
US11315086B2 (en) API charging system, API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API charging program
CN108495096A (zh) 一种移动执法系统及方法
CN101316305B (zh) 在装置之间发送内容的方法和内容发送装置
CN103314352B (zh) 信息分发设备和方法以及信息分发系统
CN108270807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120131262A (ko) 무료 인터넷 사용기반 컨텐츠 저장/송출과 이를 활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JP2010232715A (ja) サービス検索システム、サービス検索方法およびサービス検索用プログラム
KR101454275B1 (ko) 오프라인에 설치된 태그의 통합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188961B1 (ko)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US8270986B1 (en) Allocating drop zon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74924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network communications at a point in time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communication rates
CN111191988A (zh) 一种用于储备粮计划的监控系统
US20220150359A1 (en) Media providing server,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order procedure content of different ordering methods
CN102625143A (zh) 实现电视虚拟网的方法及电视虚拟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