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375A -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375A
KR20120130375A KR1020110048255A KR20110048255A KR20120130375A KR 20120130375 A KR20120130375 A KR 20120130375A KR 1020110048255 A KR1020110048255 A KR 1020110048255A KR 20110048255 A KR20110048255 A KR 20110048255A KR 20120130375 A KR20120130375 A KR 2012013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ainer
monitoring
gate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학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이텍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4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375A/ko
Publication of KR2012013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에서 반, 출입되는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인 컨테이너의 형상을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 즉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모니터링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수의 센서 및 카메라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필요하였다.

Description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Container monitoring system using a pantoscopic camera}
화물 터미널의 출입 게이트에서는 출입되는 컨테이너 차량의 통관절차를 거치게 된다. 컨테이너의 외부에 인자된 문자, 기호 및 식별번호 등을 인식하여 통관절차가 진행되며, 이러한 문자, 기호 및 식별번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컨테이너 차량이 통과하는 게이트의 주변 각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하는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한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게이트와, 게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진입 및 통과 완료를 감지하는 센서수단과, 센서수단에 의해 차량의 진입 및 통과상황을 감지하여 차량 및 컨테이너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 또는 상기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원격의 중앙 제어 센터와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는 차량번호 및 컨테이너의 각 위치에 따라 인자된 식별번호 및 문자 기호를 촬영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수단을 통해 게이트로 진입 통과하는 차량 및 컨테이너를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를 동작시켜 차량 및 컨테이너의 각 위치를 촬영하여 모니터링용 영상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번호, 운전석, 컨테이너의 인자된 문자, 식별기호 등의 특정한 위치를 촬영하여 정해진 모니터링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근래에는 이와 같이 각 위치별 영상을 조합하여 모니터링 영상을 구현하는 것으로부터 각 영상을 촬영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a). 소수의 고화질 고속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연속으로 촬영하고, 이후에 이들 촬영된 영상을 합치는 방법 또는 (b). 다수의 고화질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이 들어오면 한 번에 찍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a)와 같은 방법은 차량 및 컨테이너를 감지하기 위한 많은 수의 센서가 설치되어야 하며, 사진을 균일하게 찍기 위해서는 별도의 건물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b)의 방법은 많은 수의 고화질 카메라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단순히 컨테이너에 인자된 식별번호 및 문자, 기호만을 인식하기 위함이 아니라, 전체적인 컨테이너의 형상을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 즉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모니터링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많은 수의 센서 및 카메라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필요하였다.
배경기술입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촬영각도가 넓은 광각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범위를 확장하고, 광각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일반 카메라의 평면영상으로 변환시켜 모니터링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카메라 대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이트를 통해 반,출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각 게이트별로 설치된 게이트 감시 시스템과, 게이트 감시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영상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 감시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되는 광각 카메라부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기 위한 컨테이너 감지수단과, 게이트 내로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진입 시 오차를 식별하여 화면변환에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거리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게이트 감시시스템의 컨테이너 감지수단을 통해 게이트로 진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광각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광각카메라에 의한 영상정보를 정지영상으로 캡처하고 캡처된 정지영상을 모니터링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 동작제어 및 모니터링 영상변환관련 임의 변수 입력을 위한 관리자 입력수단과, 게이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영상정보 및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변환된 영상을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며,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과,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카메라를 설치하면서도 전체 컨테이너 영상을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시스템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면들의 설명입니다
본 발명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트를 통해 반,출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각 게이트별로 설치된 게이트 감시 시스템(100)과, 게이트 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얻어진 영상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 감시 시스템(100)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되는 광각 카메라부(110)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기 위한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와, 게이트 내로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진입 시 오차를 식별하여 화면변환에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거리 센서부(130)와,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각 게이트 감시시스템(100)의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를 통해 게이트로 진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광각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광각카메라부(110)에 의한 영상정보를 정지영상으로 캡처하고 캡처된 영상을 모니터링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10)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 동작제어 및 모니터링 영상변환관련 임의 변수 입력을 위한 관리자 입력부(220)와, 모니터링서버(210)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감시 시스템(100)의 영상정보 및 변환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데이터 검색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관리부(230)와,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10)는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를 통해 게이트내의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광각카메라부(110)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촬영 영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영상정보취득 제어부(211)와, 취득된 영상을 캡처하고, 광각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캡처이미지를 펴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원래의 평면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 이미지 중 컨테이너 연결이미지의 경우 연결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212)와,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될 모니터링 영상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영상 제작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촬영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광각카메라를 구성하여 촬영 카메라의 수를 줄이고, 이때의 광각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다시 펼쳐 평면영상으로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감시 시스템(100)의 광각카메라부(110)는 게이트 내에 진입된 차량 및 컨테이너를 촬영하기 위하여 각 위치에 설치되고, 다수의 광각카메라(111)와, 상기 다수의 광각카메라(111)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스위칭 인터페이스 수단인 스위칭 허브(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광각 카메라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광각카메라(111)의 촬영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이에 따라 광각카메라(111)를 설치한다.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는 게이트내를 통과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통상 게이트의 입구와 출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거리 센서부(130)는 컨테이너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 게이트 내로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진입 시 오차를 식별하여 이후 화면변환과정에서 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컨테이너 거리 센서부(130)는 위치별로 게이트 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거리센서(131)와, 각 거리센서(130)의 값을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기 위한 거리센서 집중기(Concentrator)(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부(140)는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제어에 따라서 광각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질 때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모니터링 서버(210)와, 모니터링 서버(210)의 입력수단인 관리자 입력부(220)와, 영상정보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관리부(230)와,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서버(210)는 게이트 감시 시스템(100)을 제어하여 게이트내의 촬영영상을 획득하여 캡처하고 모니터링 영상으로 제공 및 녹화(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모니터링 서버(210)는 광각카메라(111)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광각카메라(111)로부터 보내지는 식별정보에 따라 따라서 게이트내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여 캡처하고 모니터링 영상의 제공 및 녹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영상상정보취득 제어부(211)는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를 통해 게이트내의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광각카메라(111)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광각카메라(111)의 촬영시간을 제어하고, 광각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영상변환부(212)는 상기와 같이 취득된 영상을 캡처하고, 광각카메라(111)에 의해 왜곡된 캡처이미지를 펴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원래의 평면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 이미지 중 컨테이너 연결이미지의 경우 연결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모니터링 영상 제작부(213)는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될 모니터부(240)를 통해 제공될 모니터링 영상으로 제작하여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는 게이트 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테이너의 촬영 동영상 및 상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통해 제작된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이를 검색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는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네트워크 통해 별도의 원격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과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정보를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부(240)는 모니터링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이다. 관리자 입력부(220)는 모니터링 영상변환관련 임의 변수 입력을 위한 수단이며,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 동작제어를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게이트 상에 컨테이너 차량이 진입하면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에서 이를 인식하게 된다.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의 모니터링 서버(210)에서는 컨테이너 인식 센서부(120)에서 이를 인식하게 되면, 광각 카메라(111)를 제어하여 촬영을 시작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이 게이트를 통과할 때 컨테이너의 좌우 윗 부분 3면을 촬영하게 되고, 또한 컨테이너의 앞, 뒤 부분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거리센서(131)에서는 컨테이너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되고, 거리센서 집중기(132)에서는 각 거리센서(131)에서 감지된 거리정보를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게이트내 컨테이너 진입시 오차를 식별하여 화면변환에 필요한 보정정보로 제공한다.
상기 광각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스위칭허브(112)를 통해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모니터링 서버(210)에서는 광각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캡처하여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정지이미지에 대하여 모니터링 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진행하게 된다. 먼저, 광각 카메라(111)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평면영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프로세싱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분리된 컨테이너의 이미지 즉, 연결해서 하나의 이미지로 생성해야할 측면, 평면이미지에 대하여서는 연결점을 확인하여 이미지를 연결한다.
도 5에서 (a)는 컨테이너의 측면 3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a)와 같이 광각 카메라(111)에 의한 이미지는 왜곡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이 왜곡된 이미지를 펴서 각 연결점을 연결하여 (b)와 같이 하나의 컨테이너 영상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의 광각 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평면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과 이미지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적용 가능함에 따라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모니터부(240)를 통해 표시될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변환된 이미지를 정해진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따라서 각 광각카메라(111)별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생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하나로 연결된 컨테이너 영상과 차량 전면과 컨테이너 후면을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맞추어 좌측 3단과 우측 2단으로 표시한 예이다. 도 7은 컨테이너의 부분과 컨테이너 중앙부, 차량 전면과 컨테이너의 후면을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맞추어, 좌 3단, 중앙, 우 2단으로 표시한 예이다.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과, 게이트의 위치 시간정보 등 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영상 포맷은 다양하게 설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실제로 컨테이너 터미널에 설치된 게이트의 일 예를 나타낸다.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는 광각 카메라부(110)를 통해 획득된 촬영 동영상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210)를 통해 변환된 영상 또는 캡처된 영상을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이후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검색 요구할 경우 이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수행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내에 컨테이너가 인식되는 가를 판단하여 광각 카메라의 촬영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촬영동작시간에 따라 촬영광각 카메라를 동작 제어하여 촬영을 제어 완료하고, 광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광각카메라의 식별정보에 따라서 광각카메라별로 동영상은 데이터 베이스관리부에 저장하면서, 캡처하여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처과정과, 이미지 캡처과정을 통해 캡처된 광각 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평면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중 분할된 컨테이너의 측면과 평면이미지에 대하여 연결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는 평면이미지 변환과정과, 평면이미지 변환과정을 통해 변환된 평면이미지를 모니터부를 통해 표시할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적용하여 모니터링 영상으로 생성하는 모니터링 영상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평면이미지 변환과정을 통해 생성된 평면이미지 또는 모니터링 영상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화물차, 화물주가 컨테이너를 운반 계약 또는 운반 할당을 할 때 절차에 의해 저장되는 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게이트에 컨테이너가 접근 시 컨테이너 차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와 같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변환된 모니터링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사용자가 검색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공받는 정보는 컨테이너 번호, 운전자 번호, 차량 번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화물운송 관련정보를 전송받아 이용하게 되면, 컨테이너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나, 문자 인식수단 및 이를 개발하여 시스템에 적용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화물운송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사와 정보 제공 계약을 맺어 시스템(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게이트에 반, 출입되는 컨테이너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것으로, 차량이 들어오면 모니터링 서버(210)에서는 게이트 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컨테이너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게이트 감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와 컨테이너정보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210)에서 변환된 모니터링 영상 정보를 하나로 합쳐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230)에 접근하여 과거 화물차의 사진을 검색하려고 하는 사람은 일부 정보를 검색조건으로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관리부(230)의 데이터 베이스내용을 검색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검색조건은 컨테이너 번호, 운전자 번호, 차량 번호 등이다.
부호의 설명들입니다

Claims (8)

  1. 게이트를 통해 반, 출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각 게이트별로 설치된 게이트 감시 시스템과, 게이트 감시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영상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 감시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되는 광각 카메라부와, 게이트를 통과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기 위한 컨테이너 감지수단과, 게이트 내로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진입 시 오차를 식별하여 화면변환에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입되는 컨테이너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거리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게이트 감시시스템의 컨테이너 감지수단을 통해 게이트로 진입되는 컨테이너를 인식하여 광각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광각카메라에 의한 영상정보를 정지영상으로 캡처하고 캡처된 정지영상을 모니터링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 동작제어 및 모니터링 영상변환관련 임의 변수 입력을 위한 관리자 입력수단과, 게이트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영상정보 및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변환된 영상을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며,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과, 모니터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컨테이너 감지수단을 통해 게이트내의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광각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촬영 영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영상정보취득 제어부와, 취득된 영상을 캡처하고, 광각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캡처이미지를 펴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원래의 평면이미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 이미지 중 컨테이너 연결이미지의 경우 연결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와, 변환된 이미지를 제공될 모니터링 영상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모니터링 영상 제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거리 감지수단은 위치별로 게이트 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거리센서와, 거리센서의 값을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거리센서 집중기(Concent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은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해 별도의 원격지에 구성되며,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과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정보를 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컨테이너 차량이 들어오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서버에 해당 컨테이너 차량의 컨테이너 정보를 제공하는 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는 상기 화물 운송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게이트의 컨테이너 정보를 게이트 감시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와 변환된 모니터링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6. 게이트내에 컨테이너가 인식되는 가를 판단하여 광각 카메라의 촬영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촬영동작시간에 따라 촬영광각 카메라를 동작 제어하여 촬영을 제어 완료하고, 광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광각카메라의 식별정보에 따라서 광각카메라별로 동영상은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에 저장하면서, 캡처하여 정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캡처과정과,
    이미지 캡처과정을 통해 캡처된 광각 카메라에 의해 왜곡된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평면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중 분할된 컨테이너의 측면과 평면이미지에 대하여 연결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변환하는 평면이미지 변환과정과,
    평면이미지 변환과정을 통해 변환된 평면이미지를 모니터부를 통해 표시할 모니터링 영상 포맷에 적용하여 모니터링 영상으로 생성하는 모니터링 영상 생성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이미지 변환과정을 통해 생성된 평면이미지 또는 모니터링 영상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되는 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 관리수단에 연관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10048255A 2011-05-23 2011-05-23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13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55A KR20120130375A (ko) 2011-05-23 2011-05-23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55A KR20120130375A (ko) 2011-05-23 2011-05-23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75A true KR20120130375A (ko) 2012-12-03

Family

ID=4751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255A KR20120130375A (ko) 2011-05-23 2011-05-23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3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43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소네트 위치 센서를 이용한 컨테이너 영상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43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소네트 위치 센서를 이용한 컨테이너 영상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2633B2 (en) Visual command processing
JP4035910B2 (ja) 車色判別装置
US10255804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record and roadside unit of a road toll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991106B1 (ko)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KR101189209B1 (ko)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8280524A (zh) 识别车辆和生成预约信息的系统和方法
CN104254869A (zh) 用于投影红外线辐射的可见表示的方法和系统
JP2007220004A (ja) テレビおよび認証装置
CN107766846A (zh) 车辆识别方法和装置、检查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KR102251783B1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CN109752722A (zh) 多模态声学成像工具
KR101108202B1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US20200401833A1 (en) License plate detection system
CN109756720A (zh) 使用距离信息的声学成像中的焦点和/或视差调整
CN115134537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车辆
KR20160087591A (ko) Qr 코드를 이용한 도로정보 및 위치정보 인식방법 및 그 장치
WO2018189980A1 (ja) 光通信方法
US20120201470A1 (en) Recognition of objects
KR20120130375A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모니터링 시스템
US113795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200334288A1 (en) Method for the physical, in particular optical, detection of at least one usage object
JPWO2020039897A1 (ja) 駅監視システム及び駅監視方法
US20190138842A1 (en) Method of Recognizing Human Face and License Plate Utilizing Wearable Device
CN210627230U (zh) 一种人脸识别设备
CN111090767A (zh) 基于人脸识别处理景区游客照片的方法、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