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411A -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411A
KR20120129411A KR1020110047653A KR20110047653A KR20120129411A KR 20120129411 A KR20120129411 A KR 20120129411A KR 1020110047653 A KR1020110047653 A KR 1020110047653A KR 20110047653 A KR20110047653 A KR 20110047653A KR 20120129411 A KR20120129411 A KR 2012012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ground material
specimen
upper cap
triaxial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937B1 (ko
Inventor
이성진
이일화
사공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5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갈, 쇄석 등과 같이 입자가 큰 대입경의 조립 지반재료에 대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립 지반재료에 탄성파(wave)를 가하여 조립지반재료의 내부로 전달되는 파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조립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가진구조를 가지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재료를 담는 원통형 맴브레인(101)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을 씌우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중재하장치(202)로부터의 재하력이 가해지는 상부캡(102)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하단을 폐쇄하는 페데스탈(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102)에는 오목부(10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021)에는 탄성파를 발생시켜 지반재료에 가하는 가진장치(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맴브레인(101)의 외면에는 이격된 위치에 탄성파를 감지하는 가속도계(30)가 부착 설치되어 있어; 삼축압축시험 수행시, 상기 가진장치(20)에 의해 지반재료에 가해져서 흐른 탄성파는 가속도계(3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와, 이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aximum Elastic Modulus in Triaxial Compression Test}
본 발명은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을 형성하는 시편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갈, 쇄석 등과 같이 입자가 큰 대입경의 조립 지반재료에 대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립 지반재료에 파(wave)를 가하여 조립지반재료의 내부로 전달되는 파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조립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가진구조를 가지는,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삼축압축시험에서는 지반재료를 원기둥형상의 공시체(300)를 가지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100)으로 제작하여, 물 등의 압력매체(201)가 담겨있는 압력챔버(200) 내에 수직하게 상기 시편(100)을 배치한 후, 상기 시편(100)의 상부를 하중재하장치(202)로 가압함으로써, 지반재료의 전단강도, 응력-변형률 특성 등과 같은 지반특성들을 측정하게 된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1은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진 지반재료의 공시체(300)의 외면을 감싸는 맴브레인(101)이다.
한편, 지반재료의 특성을 나타내는 물리량 중에서 "최대탄성계수(Emax)"는 지진 등의 동적하중을 받는 지반의 평가와 설계에 유용한 지반설계정수이다. 이러한 지반의 최대탄성계수는 지반의 구속압, 변형률 수준, 하중주파수, 함수비 등 다양한 영향요소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진다. 특히, 동일한 조건에서는 변형률 수준에 따라 최대탄성계수 값이 변하게 되므로, 최대탄성계수는 매우 미소한 변형률 수준에서의 실내시험으로 구하거나 현장 탄성파시험으로 구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 현장이 개설되지 이전인 설계단계에서는 현장실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삼축압축시험을 통해서 최대탄성계수를 구할 수 밖에 없는데, 미소한 변형률을 가지는 상태에 대한 실험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지반재료 시편에 대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삼축압축시험을 통해서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삼축압축시험을 통해서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시편을 제작할 수 있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이러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를 이용하여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의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로서, 원기둥 형상의 지반재료 공시체의 외면을 감싸게 되는 맴브레인과, 상기 맴브레인의 상단을 씌우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중재하장치로부터의 재하력이 가해지는 상부캡과, 상기 맴브레인의 하단을 폐쇄하는 페데스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에는 탄성파를 발생시켜 맴브레인에 의해 둘러싸인 지반재료 공시체에 가하는 가진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맴브레인의 외면에는 맴브레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탄성파를 감지하는 가속도계가 부착 설치되어 있어; 삼축압축시험 수행시, 상기 가진장치에 의해 지반재료에 가해져서 지반재료를 통해서 흐른 탄성파는 가속도계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편조립체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제작된 시편을, 압력매체가 담겨있는 압력챔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된 후, 하중재하장치로 상기 상부캡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가진장치에 의해 탄성파를 발생시켜 지반재료에 탄성파가 가하고; 지반재료에 가해져서 지반재료를 통해서 흐르는 탄성파를 맴브레인의 외면에서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가속도계에 의해 감지하여 탄성파를 감지한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지반재료 내에서의 탄성파 이동 속도 및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료의 삼축압축시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시편케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삼축압축시험 방법에서, 상기 상부캡은 맴브레인의 상단 단면을 폐쇄하는 원형의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의 가장자리에 링형태로 형성되는 지압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압부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상기 오목부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마감판에는 오목한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진장치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부와 상기 가진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마감판에 끼워져 상기 가진장치를 고정시키는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마감판의 끼움구멍에 끼워져 가진장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진부가 진동하여 탄성파를 발생시키면, 지반재료 공시체의 상면과 접하고 있는 상부캡의 마감판을 통해서 지반재료에 탄성파를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을 만들어서, 공지의 삼축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게 되면, 지반재료에 탄성파를 가하여 그 전파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통상의 지반재료의 특성 값은 물론이고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지반재료 공시체의 주변을 맴브레인으로 둘러싸서 실험을 수행하게 되고, 탄성파를 가하고 이를 측정하는 장치 즉, 가진장치와 가속도계가 하중 재하에 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반재료에 손상을 주지 아니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갈, 쇄석 등과 같이 입자가 큰 대입경의 조립 지반재료에 대해서도 지반재료의 손상이나 파괴 없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면서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시편가진용 캡과 가속도계가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에 의해 제작된 시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시편에 대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의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반재료에 대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서는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지반재료의 시편에 탄성파(wave)를 가하고, 이러한 탄성파가 지반재료의 내부에서 전달되는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용 시편(100)을 제작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는,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진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측면을 원통형으로 감게 되는 맴브레인(101)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중재하장치(202)로부터의 재하력이 가해지는 상부캡(cap)(102)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하단을 폐쇄하는 페데스탈(pedestal)(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캡(102)에는 지반재료에 탄성파를 가하기 위한 가진장치(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맴브레인(101)에는 탄성파를 감지하게 되는 가속도계(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맴브레인(101)은 원기둥 형상으로 만들어진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외면을 감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맴브레인(101)은 상,하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에는 상부캡(102)이 씌워지는데, 본 발명에서 상부캡(102)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에 오목부(10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캡(102)은 맴브레인(101)의 상단 단면을 폐쇄하는 원형의 마감판(1022)과, 상기 마감판(1022)의 가장자리에 링형태로 형성되는 지압부(1023)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압부(1023)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1021)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1021)에는 진동에 의한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장치(20)가 고정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진장치(20)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부(21)와, 상기 가진부(2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오목부(1021)에서 마감판(1022)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삽입되는데, 이와 같이 돌출부(22)가 마감판(1022)에 끼워지게 되면 가진장치(20)가 안정적으로 상부캡(10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진장치(20)의 가진부(21)가 오목부(1021)에서 마감판(1022)의 상면에 밀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진부(21)가 진동하여 탄성파를 발생시키면,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상면과 접하고 있는 상부캡(102)의 마감판(1022)을 통해서 지반재료로 탄성파가 가해지게 된다.
한편, 삼축압축시험을 위한 하중재하장치(202)는 상기 지압부(1023)의 상면과 접촉하여 압축력을 지압부(1023)에 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부캡(102)의 마감판(1022)이 지반재료 공시체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페데스탈(103)은 원형의 판부재로 이루어져 맴브레인(101)의 하부 단면을 폐쇄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맴브레인(101)의 외면에는 맴브레인(10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속도계(30)가 부착설치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맴브레인(101)의 중간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 높이보다 높은 위치(상부캡과 가까운 위치)에 가속도계를 부착하고, 중간 높이보다 낮은 위치(하부의 페데스탈과 가까운 위치)에 또다른 가속도계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격된 위치로 가속도계(30)를 부착 설치하되, 맴브레인(101)의 외면에서 맴브레인(10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가속도계(30)를 부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캡(102)에 가진장치(20)를 구비하고 있고 맴브레인(101)에 가속도계(30)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에서, 맴브레인(101) 내에는 실험대상 지반재료가 원기둥 형상의 공시체(300)를 위치하여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편조립체(1)와 지반재료 공시체(300)로 이루어진 시편(100)은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물 등의 압력매체(201)가 담겨있는 압력챔버(200) 내에 수직하게 배치된 후, 하중재하장치(202)로 상부캡(102)을 가압함으로써 지반재료의 전단강도, 응력-변형률 특성 등의 지반특성들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가진장치(20)를 통해서 탄성파를 지반재료에 가하게 된다. 즉, 지반재료의 실험을 위해 설정된 크기와 주파수를 가지는 탄성파를 가진부(21)에서 발생시키게 되면, 지반재료 공시체(300) 상면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상부캡(102)의 마감판(1022)을 통해서 지반재료에 탄성파가 가해지게 된다.
지반재료의 공시체(300)에 가해진 탄성파는 지반재료를 통해서 흐르게 되고, 이렇게 흘러간 탄성파는, 맴브레인(101)의 외면에서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가속도계(30)에 의해 감지되며, 감지된 시간이 측정된다. 수직하게 상,하로 이격 배치된 가속도계(30) 간의 거리를 알고 있고, 각각의 가속도계(30)에서 탄성파를 감지한 시간을 측정을 통해서 알게 되므로, 지반재료 내에서의 탄성파 이동 속도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알게 된다. 탄성판 이동 속도로부터 탄성계수와 최대탄성계수를 산정하는 공식 및 방법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편조립체(1)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용 시편을 만들어서, 공지의 삼축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게 되면, 지반재료에 탄성파를 가하여 그 전파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통상의 지반재료의 특성 값은 물론이고 지반재료의 최대탄성계수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장치(20)가 상부캡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탄성파를 측정하는 가속도계(30)가 맴브레인(101)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중 재하시 이러한 가진장치(20)와 가속도계(30)의 설치로 인한 어떠한 방해나 지장도 발생하지 않게 되며, 지반재료에도 전혀 손상을 주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갈, 쇄석 등과 같이 입자가 큰 대입경의 조립 지반재료에 대해서도 지반재료의 손상이나 파괴 없이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면서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1: 시편조립체
20: 가진장치
30: 가속도계
101: 맴브레인
102: 상부캡
103: 페데스탈

Claims (4)

  1. 삼축압축시험용 시편(100)의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1)로서,
    원기둥 형상의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외면을 감싸게 되는 맴브레인(101)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을 씌우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중재하장치(202)로부터의 재하력이 가해지는 상부캡(102)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하단을 폐쇄하는 페데스탈(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102)에는 오목부(10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021)에는 탄성파를 발생시켜 맴브레인(101)에 의해 둘러싸인 지반재료 공시체(300)에 가하는 가진장치(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맴브레인(101)의 외면에는 맴브레인(10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탄성파를 감지하는 가속도계(30)가 부착 설치되어 있어;
    삼축압축시험 수행시, 상기 가진장치(20)에 의해 지반재료에 가해져서 지반재료를 통해서 흐른 탄성파는 가속도계(3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02)은 맴브레인(101)의 상단 단면을 폐쇄하는 원형의 마감판(1022)과, 상기 마감판(1022)의 가장자리에 링형태로 형성되는 지압부(1023)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압부(1023)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상기 오목부(1021)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1021)에서 상기 마감판(1022)에는 오목한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진장치(20)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부(21)와 상기 가진부(21)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마감판(1022)에 끼워져 상기 가진장치(2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2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마감판(1022)의 끼움구멍에 끼워져 가진장치(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진부(21)가 진동하여 탄성파를 발생시키면,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상면과 접하고 있는 상부캡(102)의 마감판(1022)을 통해서 지반재료로 탄성파가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축압축시험용 시편 제작을 위한 시편조립체.
  3. 삼축압축시험 방법으로서,
    원기둥 형상의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외면을 감싸게 되는 맴브레인(101)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을 씌우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중재하장치(202)로부터의 재하력이 가해지는 상부캡(102)과, 상기 맴브레인(101)의 하단을 폐쇄하는 페데스탈(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102)에는 오목부(10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021)에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장치(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맴브레인(101)의 외면에는 맴브레인(10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탄성파를 감지하는 가속도계(30)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시편조립체(1)을 이용하여, 원기둥 형상의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외면을 상기 맴브레인(101)으로 감싸고 상기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상면과 밀착하도로 상기 상부캡(102)을 상기 맴브레인(101)의 상단에 설치하고 상기 맴브레인(102)의 하단을 페데스탈(103)로 폐쇄한 상태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100)을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삼축압축시험용 시편(100)을, 압력매체(201)가 담겨있는 압력챔버(200) 내에 수직하게 배치된 후, 하중재하장치(202)로 상기 상부캡(102)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가진장치(20)에 의해 탄성파를 발생시켜 지반재료에 탄성파를 가하는 단계; 및
    지반재료에 가해져서 지반재료를 통해서 흐르는 탄성파를 맴브레인(101)의 외면에서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가속도계(30)에 의해 감지하여 탄성파를 감지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으로써,
    지반재료 내에서의 탄성파 이동 속도 및 지반재료의 탄성계수 및 최대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료의 삼축압축시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02)은 맴브레인(101)의 상단 단면을 폐쇄하는 원형의 마감판(1022)과, 상기 마감판(1022)의 가장자리에 링형태로 형성되는 지압부(1023)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압부(1023)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상기 오목부(1021)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1021)에서 상기 마감판(1022)에는 오목한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진장치(20)는,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가진부(21)와 상기 가진부(21)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마감판(1022)에 끼워져 상기 가진장치(2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2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마감판(1022)의 끼움구멍에 끼워져 가진장치(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진부(21)가 진동하여 탄성파를 발생시키면, 지반재료 공시체(300)의 상면과 접하고 있는 상부캡(102)의 마감판(1022)을 통해서 지반재료로 탄성파가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재료의 삼축압축시험 방법.
KR1020110047653A 2011-05-20 2011-05-20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방법 KR10126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53A KR101268937B1 (ko) 2011-05-20 2011-05-20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53A KR101268937B1 (ko) 2011-05-20 2011-05-20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411A true KR20120129411A (ko) 2012-11-28
KR101268937B1 KR101268937B1 (ko) 2013-06-19

Family

ID=4751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53A KR101268937B1 (ko) 2011-05-20 2011-05-20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8897A (zh) * 2013-10-17 2014-01-22 三峡大学 高围压下粗粒土大三轴试验数据临界状态参数确定方法
CN107178102A (zh) * 2017-06-28 2017-09-19 石家庄铁道大学 穿越溶洞型基桩极限承载力模型试验系统及试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309B2 (ja) * 1994-04-21 1998-04-22 桜井建材産業株式会社 弾性係数・粘性係数測定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8897A (zh) * 2013-10-17 2014-01-22 三峡大学 高围压下粗粒土大三轴试验数据临界状态参数确定方法
CN103528897B (zh) * 2013-10-17 2015-11-11 三峡大学 高围压下粗粒土大三轴试验数据临界状态参数确定方法
CN107178102A (zh) * 2017-06-28 2017-09-19 石家庄铁道大学 穿越溶洞型基桩极限承载力模型试验系统及试验方法
CN107178102B (zh) * 2017-06-28 2020-04-14 石家庄铁道大学 穿越溶洞型基桩极限承载力模型试验系统及试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37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701A (en)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geological material structures
US101974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impedance characteristic and expansion performance of sound absorption material
KR101174794B1 (ko) 콘크리트 비파괴 검사를 위한 탄성파 측정 장치
US7673515B2 (en) Vibration sensor
JP5327817B2 (ja) 内圧試験装置および内圧試験方法
CA300706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modulus of elasticity and/o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asonry samples
Lee et al. Evolution of the shear wave velocity during shaking modeled in centrifuge shaking table tests
Schurr et al. Monitoring damage in concrete using diffuse ultrasonic coda wave interferometry
CN107328643A (zh) 静载荷下煤岩组合体试件中煤的力学特性试验方法
US20100116059A1 (en) Vibration sensor having a single virtual center of mass
KR101268937B1 (ko) 가진을 통한 탄성파 속도 계측에 의한 최대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한 삼축압축시험방법
CN109581478A (zh) 模拟含软弱层带斜坡地震动响应的振动台模型试验方法
Lee et al. Shear wave velocity measurements and soil–pile system identifications in dynamic centrifuge tests
Araei et al. Impact and cyclic shaking on loose sand properties in laminar box using gap sensors
Irfan et al. Effects of soil moisture on shear and dilatational wave velocities measured in laboratory triaxial tests
KR101745838B1 (ko) 탄성파 기반 지반물리탐사를 위한 드라이 컨텍 지오폰 센싱장치
Dashti et al. Centrifuge modeling of seismic soil-structure-interaction and lateral earth pressures for large near-surface underground structures
CN109406086B (zh) 一种对称布置式建筑结构同步气弹-测压-测空气力装置
Piriyakul A development of a bender element apparatus
Santos et al. Assessment of shear modulus by different seismic wave-based techniques
JP2015225056A (ja) 土材料の動的引張試験方法および装置
Zhou et al. Free type bender elements for characterizing soil in centrifuge model tests
RU262606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материала
Li et al. Development of an oedometer cell with suction measurement ability
Black et al. Shear wave velocity measurement of Kaolin during undrained unconsolidated triaxial com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