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200A -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200A
KR20120129200A KR1020110047304A KR20110047304A KR20120129200A KR 20120129200 A KR20120129200 A KR 20120129200A KR 1020110047304 A KR1020110047304 A KR 1020110047304A KR 20110047304 A KR20110047304 A KR 20110047304A KR 20120129200 A KR20120129200 A KR 2012012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mpered glass
display screen
double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유니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유니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200A/ko
Publication of KR2012012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휴대폰, PDA)과 같은 터치스크린 제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에 관한 것으로써,
강화유리층과,
상기 강화유리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층의 파손시 비산을 방지하는 하드코팅 필름층과,
상기 강화유리층과 하드코팅 필름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점착력을 제공하는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과,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양면테이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TEMPERED GLASS FOR DISPLAY SCREEN PROTE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휴대폰, PDA)과 같은 터치스크린 제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에 적용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LCD TV, LCD 모니터, 네비게이션, MP3, PMP, 노트북 등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각종 정보나 기기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용 화면으로써 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손쉽고 지속적으로 인식이 용이하도록 외부에 노출이 되어 있어서 스크레치 또는 파손이 빈번히 발생되는데, 상기 스크레치 또는 파손으로 인한 교체를 줄이기 위하여 보호필름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호필름은 PVC, PE, 아크릴, PET 등의 수지로 된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기판 또는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를 사용하면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화면 긁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호필름은 표면 경도가 취약하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의한 필름손상, 투시도,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미흡하고, 이에 따라 수시로 새로운 보호필름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중 또는 사용 중에 보호필름과 화면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하여 시인성이 불량해지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폴리우레탄 멀티코팅필름 등 더욱 강화된 플라스틱 보호필름이 출시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취약한 물성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투과율이 낮아 시인성이 불량해지는 동시에 터치감이 떨어져 소비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기판은 액정화면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한 힘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파손 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서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얇으면서도 필요한 강도 및 경도 등을 지니는 박판의 보호필름 대용 부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강화유리층의 적용으로 스크레치를 줄일 수 있으며, 투과율 및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드코팅 필름층 및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의 적용으로 큰 외부충격에 의하여 강화유리층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방지 코팅층의 적용으로 지문이 잘 묻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면테이프층의 적용으로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린트인쇄층의 적용으로 디스플레이 화면 의 디자인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강화유리층과,
상기 강화유리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층의 파손시 비산을 방지하는 하드코팅 필름층과,
상기 강화유리층과 하드코팅 필름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점착력을 제공하는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과,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양면테이프층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강화유리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문방지 코팅층과 상기 양면테이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자인의 다양성을 줄 수 있는 프린트인쇄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강화유리층은 0.2mm 내지 0.55mm의 두께를 갖고,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은 50㎛ 내지 75㎛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은 2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양면테이프층은 100㎛ 내지 12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적용하면, 강화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크레치를 줄일 수 있으며, 투과율 및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드코팅 필름층 및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의 적용으로 큰 외부충격에 의하여 강화유리층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고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문방지 코팅층의 적용으로 지문이 잘 묻지 않도록 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청소횟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테이프층의 적용으로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수명이 연장되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린트인쇄층의 적용으로 디자인의 다양성을 줄 수 있어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가 적용된 모바일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가 적용된 모바일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는 모바일 기기의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어 진다.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는 강화유리층(10), 광학용 양면 점착층(20), 하드코팅 필름층(30), 양면테이프층(40)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화유리층(10)의 상부에는 지문방지 코팅층(50)과 제1 보호필름층(60)이 순차 적층되고, 상기 양면테이프층(40)의 상부에는 프린트인쇄층(80)이 형성되고, 상기 양면테이프층(40)의 하부에는 제2 보호필름층(7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화유리층(10)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양면 점착층(20)은 상기 강화유리층(10)과 하드코팅 필름층(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점착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30)은 상기 강화유리층(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층(10)의 파손시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양면테이프층(40)은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문방지 코팅층(50)은 상기 강화유리층(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보호필름층(60) 및 제2 보호필름층(7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 시 제거하게 된다.
상기 프린트인쇄층(80)은 상기 양면테이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자인의 다양성을 주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한 결과, 상기 강화유리층은 0.2mm 내지 0.55mm의 두께를 갖고,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은 50㎛ 내지 75㎛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은 2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양면테이프층은 100㎛ 내지 125㎛의 두께를 가질 때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는, 도1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양면테이프층 하부에 있는 상기 제2 보호 필름층을 제거한 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부에 부착시킨다.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코팅층 상부에 형성되어있는 제1 보호 필름층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10 : 강화유리층
20 : 광학용 양면 접착층
30 : 하드코팅 필름층
40 : 양면테이프층
50 : 지문방지 코팅층
60 : 제1 보호필름층
70 : 제2 보호필름층
80 : 프린트인쇄층
90 : 모바일기기

Claims (4)

  1. 강화유리층과,
    상기 강화유리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강화유리층의 파손시 비산을 방지하는 하드코팅 필름층과,
    상기 강화유리층과 하드코팅 필름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점착력을 제공하는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과,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양면테이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문방지 코팅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층은 0.2mm 내지 0.55mm의 두께를 갖고,
    상기 하드코팅 필름층은 50㎛ 내지 75㎛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광학용 양면 점착층(OCA)은 2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양면테이프층은 100㎛ 내지 12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테이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액정부분을 제외한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프린트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KR1020110047304A 2011-05-19 2011-05-19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KR20120129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04A KR20120129200A (ko) 2011-05-19 2011-05-19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04A KR20120129200A (ko) 2011-05-19 2011-05-19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00A true KR20120129200A (ko) 2012-11-28

Family

ID=4751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04A KR20120129200A (ko) 2011-05-19 2011-05-19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2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8245A1 (en) * 2013-12-10 2015-06-11 Apple Inc. Ultrasonic bonding of a cover glass sub-assembly
KR101699305B1 (ko) * 2016-01-11 2017-01-2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KR20200002233U (ko) * 2019-04-03 2020-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탈부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8245A1 (en) * 2013-12-10 2015-06-11 Apple Inc. Ultrasonic bonding of a cover glass sub-assembly
KR101699305B1 (ko) * 2016-01-11 2017-01-2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KR20200002233U (ko) * 2019-04-03 2020-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탈부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0358B (zh) 邊緣附加護甲之顯示器覆蓋板
US11059266B2 (en) Rigid display shield
US8642173B2 (en) Screen protector film
KR20130046075A (ko)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보호필름
JP3177810U (ja) 電子機器用の保護シート
KR2018013847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KR20130097048A (ko)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29200A (ko) 디스플레이 화면보호용 강화유리
US20110063244A1 (en) Optical film and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KR20190059009A (ko) 유연성 기능층을 갖는 디스플레이면 보호필름
KR2017008826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커버 글라스 윈도우 구조
KR20160071190A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22857Y1 (ko) 핸드폰의 화면구조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JP2005271412A (ja) 積層フィルム
US10061451B2 (en) Touch panel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TWM472617U (zh) 保護貼之層狀結構
JP2019144026A (ja) 腕時計の風防又は画面用のカバーシート
CN203937253U (zh) 一种抗刮防眩光液晶显示屏玻璃用玻璃保护贴
KR102501292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TWM491574U (zh) 保護貼之層狀結構
CN208730470U (zh) 一种电子屏幕用防护膜
KR102549675B1 (ko) 강도가 개선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CN210134047U (zh) 保护膜及电子设备
CN213458004U (zh) 一种耐磨效果好的智能终端触控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