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763A -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763A
KR20120128763A KR1020110046600A KR20110046600A KR20120128763A KR 20120128763 A KR20120128763 A KR 20120128763A KR 1020110046600 A KR1020110046600 A KR 1020110046600A KR 20110046600 A KR20110046600 A KR 20110046600A KR 20120128763 A KR20120128763 A KR 20120128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wireless terminal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천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알에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알에스전자 filed Critical (주) 케이알에스전자
Priority to KR102011004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763A/ko
Publication of KR2012012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상기 무선 단말에서 입력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입력값을 무선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과 입출력을 동기화하는 제어부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입출력을 동기화함으로써,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기본적인 입출력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만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무선 단말의 기능을 향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MOBIL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무선 단말에서도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정도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스마트 폰에서는 단순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의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 복잡한 디스플레이 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현재의 작은 사이즈의 스마트 폰에서는 시각적으로 공간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태블릿 PC와 같은 다소 큰 사이즈의 모바일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미 기술적 구현 정도로 볼 때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는 거의 동등한 수준에 있음에도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사이즈가 작다는 단점으로 인해 고가의 태블릿 PC를 별도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가 기술적으로나 기능적으로 거의 유사한 정도의 수준에 있으므로, 기능적으로 중복되는 별도의 무선 단말을 2개나 구비할 필요없이 스마트 폰의 약점을 극복한다면 매우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상기 무선 단말에서 입력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입력값을 무선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과 입출력을 동기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유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선 통신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USB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는 패드(PAD), 노트북(notebook) 및 차량에 설치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은, 입력부가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무선 통신부가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입력값을 입력받거나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출력부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부가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값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입력값을 입력받거나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입출력을 동기화함으로써,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기본적인 입출력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만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무선 단말의 기능을 향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USB 모듈 등을 통해 무선 단말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무선 단말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인해 겪게되는 전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와 무선 단말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와 무선 단말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무선 단말(2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무선 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입출력이 동기화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로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입력되는 명령이 그대로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달되고, 무선 단말(200)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무선 단말(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 등이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도 그대로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기존 무선 단말(200)이 갖는 협소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넓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말 그대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로서, 기본적으로는 입출력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만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의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은 필수적이지 않다.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를 비교할 때 양자는 기술적으로나 기능적으로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구현되고 있음에 비추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스마트 폰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인터페이싱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무실이나 집에 각각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두어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스마트 폰의 기능을 향유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 모듈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도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USB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출력값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스마트 폰이 다양한 기능으로 인한 전원 소모가 많은 점을 감안할 때,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 모듈을 제어하여 USB 모듈을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의 이동 중 배터리 소진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해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기존의 스마트 폰에 대한 확장 패드(extended PAD)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폰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입출력 동기화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무선 단말(200)은 이러한 스마트 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존의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단말에서도 입출력 동기화 기능이 탑재된다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입출력 인터페이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서 보듯이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패드(PAD), 노트북(notebook) 및 차량에 설치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입력부(110), 무선 통신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유선 통신부(150) 및 전원 공급부(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10)는 입력값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110)는 무선 단말(200)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입력부(110)는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며,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소리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영상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가 그 예가 될 수 있는데, 영상 센서를 통해 각종 영상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값을 입력값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보다 넓고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모듈이 입력부(110)의 구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실행 명령이나 기타 입력값을 문자, 소리, 영상 등으로 다양하게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무선 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단이나 각종 센서와 입력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무선 통신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입력값을 무선 단말(200)로 송신하고, 무선 단말(200)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20)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입출력값을 무선 단말(200)과 주고받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802.11이나 HIPERLAN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등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는 3G 통신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도 있으나, 무선 단말(200)의 근거리 내에서 편의적인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근거리 통신 모듈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단말(200)에서도 무선 통신부(120)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하는데, 스마트 폰이라면 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입력값을 입력받아 무선 단말(200)의 해당 입력단의 입력값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200)의 각종 출력값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통신부(120)로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출력부(130)는 무선 단말(200)의 각종 출력값을 그대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 모듈이나, OLED 모듈, LED 모듈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출력부(130)는 입력부(110)와 융화된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피커는 무선 단말(200)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이나 소리를 그대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음성이나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사용자는 협소하고 작은 무선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나 소리를 보다 넓은 화면과 큰 스피커를 통해 보거나 들을 수 있게 되어서 기존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에서 입력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무선 통신부(120)가 입력값을 무선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단말(200)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출력부(130)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무선 통신부(120)가 출력값을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무선 단말(200)과 입출력을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탑재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200)과 대응하여 무선 단말(200)의 입출력 동작이 그대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도 이루어지도록 동기화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40)는 기본적으로 입력부(110)의 입력 여부에 무관하게 무선 단말(200)의 대기 상태 화면부터 모두 출력부(130)에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인터페이싱 동작을 위한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선 통신부(15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입력값을 무선 단말(200)로 송신하고, 무선 단말(200)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출력부(130)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출력값을 무선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선 통신부(150)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유선 상으로도 무선 단말(200)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유선 통신부(150)는 앞서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유선 통신부(1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전원 공급부(160)는 USB 모듈을 통해 무선 단말(2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SB 모듈의 경우 전원 공급선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과 더불어 전원까지 공급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무선 단말(2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스마트 폰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배터리 소진율이 매우 높다. 배터리 소진으로 인해 이동 중에도 충전을 해야 할 경우가 많으므로,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60)와 USB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좁게는 무선 단말(200)에 대한 일종의 확장 모니터 내지는 확장 패드(extended PAD)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보다 좀 더 넓게는 무선 단말(200)에 대한 입력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더 넓게는 전원 공급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가 입력값을 입력받는다(S110).
이때,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값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센서는 CCD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영상 센서는 QR 코드 등을 영상으로 센싱하기에 적합하다. 물론, 사진이나 동영상을 입력값으로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무선 통신부(120)가 입력값을 무선 단말(200)로 송신한다(S120).
이때,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단말(200)이 입력값을 입력받거나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을 수신한다(S130).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30)는 무선 통신부(120)에서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한다(S140).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환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입력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상기 무선 단말에서 입력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입력값을 무선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과 입출력을 동기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입력값이 무선 단말(200)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유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USB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는,
    패드(PAD), 노트북(notebook) 및 차량에 설치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10. 입력부가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입력값이 무선 단말의 입력값으로서 입력되도록 무선 통신부가 상기 입력값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입력값을 입력받거나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 패널, 마이크로폰(microphone), 영상 센서 및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패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값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수신된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입력값을 입력받거나 실행하여 출력하는 출력값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랜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10046600A 2011-05-18 2011-05-18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28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00A KR20120128763A (ko) 2011-05-18 2011-05-18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600A KR20120128763A (ko) 2011-05-18 2011-05-18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63A true KR20120128763A (ko) 2012-11-28

Family

ID=475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600A KR20120128763A (ko) 2011-05-18 2011-05-18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68B1 (ko) * 2012-12-20 2014-12-03 주식회사 팬택 소스 장치, 싱크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68B1 (ko) * 2012-12-20 2014-12-03 주식회사 팬택 소스 장치, 싱크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754B1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3036968B (zh) 一种通过车载主机显示并控制智能手机的方法及系统
WO2017004982A1 (zh) 智能系统及其实现方法、和用于智能设备的外设
WO2021204045A1 (zh) 音频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14121090A (ja) テレビジョン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025059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16593A (ko) 정보 보고 방법, 자원 할당 방법, 제1 단말 및 제2 단말
KR101615977B1 (ko) 에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6068635B (zh) 在通信系统中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CN111417929A (zh) 界面显示方法及控制终端
JP7018110B1 (ja) モバイル機器ドック
US11330651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20335818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20128763A (ko)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28504A (ko)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TW201233120A (en) Mobile phone
KR102302994B1 (ko)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KR20140042365A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N10544670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30066722A (ko) 연동형 에이브이엔 단말기 및 구동방법
CN202632508U (zh) 一种多媒体移动终端的无线控制器
WO2016062032A1 (zh) 一种分体式可穿戴设备
JP2014032664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3189431U (ja) 携帯式通信装置の投影式キーボード
KR20120107633A (ko)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