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639A - Carrier and blank therefor - Google Patents

Carrier and blank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639A
KR20120128639A KR1020127022157A KR20127022157A KR20120128639A KR 20120128639 A KR20120128639 A KR 20120128639A KR 1020127022157 A KR1020127022157 A KR 1020127022157A KR 20127022157 A KR20127022157 A KR 20127022157A KR 20120128639 A KR20120128639 A KR 2012012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blank
panel
hand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필리페 레브라스
마르티너스 씨.엠. 백스
Original Assignee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001499.1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0149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019435.5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19435D0/en
Application filed by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12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6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3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7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of two or mor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2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 B65D71/44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single laye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13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141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glu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333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 B65D2571/0037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extending from at least a side wall
    • B65D2571/00376Squarings or the like
    • B65D2571/00388Two rows of more than two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56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475Handles or suspend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and extending io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6Blanks formed from two or mor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802Other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바스켓형 캐리어(410)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들(310, 312a, 312b)의 결합체는 바스켓형 캐리어의 측면들(320, 322), 단부들(326a/326b, 324a/324b) 및 중간 손잡이(328, 330, 402a, 402b)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갖는 제1 블랭크(310)를 포함한다. 이 결합체는 바스켓형 캐리어의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386a, 386b)을 갖는 제2 블랭크를 더 포함한다. The combination of blanks 310, 312a, 312b to form the basket-shaped carrier 410 comprises the sides 320, 322, the ends 326a / 326b, 324a / 324b and the intermediate handle 328 of the basket-shaped carrier. , First blank 310 with panels for forming 330, 402a, 402b. This combina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blank with panels 386a and 386b for forming the base of the basket-shaped carrier.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Description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CARRIER AND BLANK THEREFOR}Carriers and Blanks for Carriers {CARRIER AND BLANK THEREFOR}

본 발명은 병과 같은 제품들을 하나 이상 담기 위한 카톤(carton) 또는 캐리어와,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타적이지 않고,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블랭크로 형성된 탑-로딩(top-loading) 방식의 바스켓형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랭크들을 형성하는 재료의 폐기물을 최소로 줄이는 형상 및 구성으로 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더 두껍고 강한 재료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들에서 더 얇고 약한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혼합 재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 및 자원 절약 목적을 위해 전체적인 재료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스켓형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블랭크들로서 만들어진 접혀서 접착되지만 평면형(flat-form) 상태로 제공된 부분 형성(a part formed)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on or carrier for containing one or more products, such as bottles, and two or more blanks for forming them. In particular, and not exclus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loading basket-shaped carrier formed of two or more blanks, which preferably has a shape and configuration which minimizes waste of material forming the blanks. And reduce the overall material use for cost and resource saving purposes by using thicker and stronger materials only when needed and enabling the use of mixed materials to use thinner and weaker materials in other parts. A basket type carrier is provided.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art formed carrier provided in the form of a folded-bonded but flat-form made of the above-mentioned blanks.

포장 분야에서는 종종 소비자들에게 다중 일차 제품 용기들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멀티-팩들은 운반 및 배포를 위해 그리고 판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비용 및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그러한 카톤들 및 캐리어들은 가능한 적은 재료로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그들을 형성하는 재료에서 가능한 폐기물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다른 고려사항은 제품들의 큰 중량을 유지 및 운반하기 위해 포장 강도 및 적합성(suitablilty)이다. 그러한 하나의 패키지는 판지 등과 같이 접혀지는 시트재로 형성된 바스켓형 캐리어이다. 그러한 캐리어들은 종종 병들에 담긴 프리미엄 비어 및 라거(lager)와 같이 고급 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바스켓 캐리어들은 병들의 상단들이 진열되어 소비자들에게 보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탑 로딩되어 캐리어들 내에 유지된 프리미엄 제품을 광고한다. 바스켓 캐리어들의 메인 패널들은 가능한 한 이음매(seam)가 없게 하고, 그래픽의 품질 디스플레이와 기타 광고 및 브랜딩 매체를 위해 양호한 인쇄면을 제공한다. 캐리어들은 소위 6개의 병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견딜 정도로 강할 필요가 있으며, 운송 및 저장을 위해 약간 평평한 상태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보통 큰 시트 또는 롤로 제공되며, 블랭크들(테셀레이트식 네트(tessellated net)의 형태로 됨)은 이러한 시트 또는 롤로 스트라이크 가공 또는 절단가공된다. 캐리어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블랭크들의 대표적인 윤곽 형상 또는 네트는 함께 맞추기가 어렵고, 종종 시트 또는 롤의 폐기물을 유발하는 형상들이다. 이러한 폐기물은 비용이 많이 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In the field of packaging, it is often necessary to supply consumers with packages containing multiple primary product containers, such multi-packs for transport and distribution and for displaying promotional information. To account for cost and the environment, such cartons and carriers need to be formed from as few materials as possible, and as little waste as possible from the materials forming them. Another consideration is packaging strength and suitablilty to maintain and transport large weights of products. One such package is a basket-shaped carrier formed of sheet material that is folded, such as cardboard. Such carriers are often used to pack premium goods such as premium beer and lager in bottles. Basket carriers typically advertise premium products that are top loaded and retained in the carriers because the tops of the bottles are displayed to the consumer. The main panels of the basket carriers are as seam as possible and provide a good print surface for graphic quality display and other advertising and branding media. The carriers need to be strong enough to stably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o-called six bottles, and it is desirable to fold in a slightly flat state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In addition, the material forming the carrier is usually provided in large sheets or rolls, and the blanks (in the form of tessellated nets) are striked or cut into such sheets or rolls. Representative contour shapes or nets of the blanks used to form the carriers are shapes that are difficult to fit together and often lead to waste of sheets or rolls. Such waste is expensive and undesirable.

또한, 바스켓 캐리어들은 종종 제품들의 충돌 및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내부에 담긴 병들을 개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내부 간막이 구조물을 구비한다. 이러한 간막이 구조물들은 구조적 기능을 수행할지라도, 이 구조물들은 캐리어의 중량 지지 관점들은 아니다. 따라서, 바스켓 캐리어의 중량 지지 및 외향 표시 섹션들을 위해 사용되는 인쇄 품질이 높은 고 캘리퍼(high calliper)의 강한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간막이 구조물들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In addition, basket carriers often have an inner diaphragm structure for individually holding bottles contained therein to avoid collisions and damage of products. Although these diaphragm structures perform a structural function, these structures are not aspects of the weight support of the carrier. Thus, it is not necessary to use high calliper strong boards of high print quality used for weight bearing and outward marking sections of the basket carrier in partition structures.

그러한 하나의 바스켓형 캐리어가 EP1159200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인라인(in-line)" 블랭크가 크래쉬-바텀(crash-bottom)을 갖는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측면벽 및 단부벽 패널들은 일렬로 옆에 있는 패널에 인접해 있으며, 이것이 전체 캐리어의 측면벽의 길이보다 거의 3배가 되는 길이를 갖는 메인 블랭크를 만든다. 이러한 블랭크들은 EP1159200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쌓여있거나 또는 테설레이트(tessellate)되어 있다. 병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성형된 바스켓 캐리어의 내부 용적을 별개의 셀들로 분리하는 간막이 구조물들을 형성하기 위한 별개의 블랭크들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One such basket carrier is shown in EP1159200, where an "in-line" blank is shown to form a basket carrier with a crash-bottom. The side wall and end wall panels are adjacent to the side panels in a row, which makes the main blank having a length almo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side wall of the entire carrier. These blanks are stacked or tessellate as shown in FIG. 4C of EP1159200. Separate blanks are also provided for forming the interlaminar structures that separate the inner volume of the basket carrier shaped into separate cells to prevent the bottle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바스켓형 캐리어의 다른 실례가 US6131729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병렬형 관계로 구성되고, 여기서 측면 및 단부 패널들의 한 세트가 측면 및 단부 패널들의 다른 세트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측면 패널들은 손잡이 패널들에 의해 분리되고, 전체 블랭크는 바닥 패널을 제외하고 대략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다(도 23에서 "9" 참조). Another example of a basket-shaped carrier is disclosed in US6131729, where the blanks for forming the carrier are configured in a parallel relationship, where one set of side and end panels is disposed opposite another set of side and end panels. . The side panels are separated by handle panels, and the entire blank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ontour except for the bottom panel (see "9" in Figure 23).

본 발명은 더욱 경제적으로 생산가능한 패키지를 제공함으로써 바스켓 캐리어의 분야에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improvement in the field of basket carriers by providing a more economically productive package.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들의 배열(arrangement)이 제공되며, 블랭크들 중 하나는 바스켓형 캐리어의 측면들, 단부들 및 중간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블랭크들 중 다른 하나는 바스켓형 캐리어의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블랭크들은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바닥 패널, 및 대향한 단부벽들, 대향한 측면벽들 및 간막이 패널로서 형성된 간막이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중간 손잡이 구조물을 갖는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간막이 패널을 포함하는 일련의 메인 패널을 포함하고, 블랭크들의 배열은 상기 쌍의 손잡이 패널, 상기 쌍의 단부 패널 및 상기 쌍의 측면 패널을 갖는 제1 블랭크와, 상기 바닥 패널 및 간막이 패널을 갖는 제2 블랭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n arrangement of blanks is provided for forming a basket-shaped carrier, one of the blanks comprising panels for forming sides, ends and intermediate handles of the basket-shaped carrier.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blanks comprises panels for forming the base of the basket-shaped carrier. Preferably, the blanks have an intermediate handle extending from a partition structure formed as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a bottom panel, and opposing end walls, opposing side walls and a partition panel. A series of main panels comprising a partition panel for forming a basket-shaped carrier having a structure, wherein the arrangement of blanks comprises a first having the handle panel of the pair, the pair of end panels and the side panel of the pair; A blank and a second blank having said bottom panel and partition panel.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탑-로딩 바스켓형 캐리어의 형성에 사용하기 위한 제1 블랭크가 제공되며, 제1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의 개념상의(notional) 중심축으로서 작용하기 위한 중간 힌지선에 의하여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힌지된 2개의 손잡이 패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손잡이 패널은 제1 단부 패널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단부 패널들 및 측면 패널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단부 패널들은 각각 라이저(riser) 패널에 힌지되고, 상기 손잡이 패널들은 각각 제1 단부 패널에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라이저 패널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제1 블랭크는 각각 상기 측면 패널들에 힌지된 2개의 제2 단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패널들은 부가의 라이저 패널에 힌지되고, 여기서 상기 측면 패널들의 최외측 에지들은 제1 블랭크의 어떤 다른 패널에 대해 어떠한 직접적 힌지식 연결이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블랭크의 에지를 한정하는 컷(cut) 에지들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제1 블랭크는 사각형 시트재로부터 절단될 때 상기 블랭크의 주변에 대하여 3% 미만의 폐기물을 유발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blank for use in forming a top-loading basket-shaped carrier, the first blank being an intermediate hinge for acting as a notio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blank. Two handle panels hinged together along a common edge by a line, each handle panel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d panels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end panels and the side panels; End panels are each hinged to a riser panel, and the handle panels are connected to one of the riser panels, respectively, to be in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end panel, and the first blanks are each hinged to the side panels. Further comprising two second end panels, wherein the second end panels are hinged to an additional riser panel, wherein the outermost edges of the side panels are first blank There are no direct hinged connections to any other panel of and thus cut edges defining the edge of the first blank. Preferably, the first blank causes less than 3% of waste to the periphery of the blank when cut from the rectangular sheet material.

제3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또는 블랭크들을 제공하고, 상기 블랭크(들)은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바닥 패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보강 패널, 간막이 패널 및 라이저 패널을 포함하는 일련의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패널들은 상기 블랭크가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접힐 수 있고 접착될 수 있도록 힌지연결 및 배열되고, 여기서 상기 보강 패널, 간막이 패널 및 라이저 패널이 상기 손잡이 패널들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블랭크(들)은 연결 탭이 상기 쌍의 손잡이 패널 중 하나에 힌지되며 적어도 라이저 패널을 간막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라이저 패널 둘레에 및 간막이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blank or blanks for forming a basket-shaped carrier, the blank (s) comprising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a bottom panel, A series of main panels comprising at least one handle reinforcement panel, partition panel and riser panel, the main panels being hinged and arranged such that the blank can be folded and glued to form a basket carrier, wherein the A reinforcement panel, a partition panel and a riser panel are sandwiched between the handle panels, the blank (s) having a connecting tab hinged to one of the pair of handle panels and at least around the riser panel to secure the riser panel to the partition panel. And the membrane is fixed to the panel.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쌍의 블랭크는 카톤의 제작 중에 중첩되고, 상기 쌍의 블랭크는 블랭크쌍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블랭크들의 평면에서 2 블랭크들의 상대 회전 및/또는 상대적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위치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제1 블랭크로부터 스트라이크된 2개의 탭 및 제2 블랭크로부터 스트라이크된 2개의 노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탭은 각진 쇼울더부들에서 종료하는 힌지선들을 따라 상기 블랭크에 힌지되고, 각각의 노치는 접힌 탭의 에지와 정합하는 형상을 갖고, 블랭크들은 제1 블랭크 위에 제2 블랭크와 함께 배치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탭은 상기 제1 블랭크의 평면 밖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2 블랭크와 동일한 평면상에 정렬되고, 그 결과 각 탭의 일정 형상의(shaped) 접혀진 에지가 제2 블랭크의 노치의 일정 형상의 에지에 접하고, 각 노치들의 상기 쇼울더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정렬되어서 상기 2 블랭크들의 상대 운동을 제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pair of blanks is provided for forming a carton, the pair of blanks overlapping during manufacture of the carton, the pair of blanks facilitating alignment of the blank pairs and A positioning mechanism for limiting relative rotation and / or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two blanks in the plane, the positioning mechanism comprising two tabs striked from the first blank and two notches striked from the second blank. Each tab is hinged to the blank along hinge lines terminating in angled shoulder portions, each notch having a shape to match the edge of the folded tab, the blanks disposed together with the second blank over the first blank Wherein the two tabs are folded out of the plane of the first blank and defi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blank. And as a result the shaped folded edge of each tab abuts the shaped edge of the notch of the second blank, and the shoulder portions of each notch are aligned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wo blanks is achieved. Restrict.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쌍의 블랭크는 대향한 단부벽들, 대향한 측면벽들 및 중간 손잡이 구조물을 갖는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한 쌍의 손잡이 보강 패널, 바닥 패널 및 한 쌍의 내부 손잡이 패널을 포함하는 일련의 메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들의 배열은 상기 쌍의 손잡이 패널, 상기 쌍의 단부 패널, 상기 쌍의 측면 패널 및 상기 쌍의 보강 손잡이 패널을 갖는 제1 블랭크와, 상기 바닥 패널 및 상기 쌍의 내부 손잡이 패널을 갖는 제2 블랭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손잡이 패널은 상기 노치들 중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보강 손잡이 패널은 상기 접혀진 탭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패널에 힌지된다. Preferably, the pair of blanks comprises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to form a basket carrier having opposing end walls, opposing side walls and an intermediate handle structure. And a series of main panels comprising a pair of handle reinforcement panels, a bottom panel and a pair of inner handle panels, wherein the arrangement of blanks comprises the pair of handle panels, the pair of end panels, the pair of side panels And a first blank having the pair of reinforcing handle panels, and a second blank having the bottom panel and the pair of inner handle panels, each inner handle panel including one of the notches, A reinforcement handle panel is hinged to the handle panel to create the folded tabs.

선택적으로, 2개의 손잡이 패널은 제1 블랭크의 개념상의 중심축으로서 작용하는 중간 힌지선에 의하여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힌지되고, 상기 쇼울더부들은 상기 개념상의 중심축의 영역에서 개념상으로 수렴하도록 각이 진다. Optionally, the two handle panels are hinged together along a common edge by an intermediate hinge line acting as a conceptual central axis of the first blank, wherein the shoulder portions are angled to conceptually converge in the area of the conceptual central axis. Los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술한 문단들의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서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가 평평한 배열로부터 바스켓 캐리어로 열려질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combination of a first blank and a second blank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aragraph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econd blank is optionally fixed to the first blank so that the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lanks is It can be opened from the flat array into the basket carrier.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블랭크는 바스켓 캐리어의 외부 측면벽들 및 단부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메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패널들은 제1 및 제2 측면벽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서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가 평평한 배열로부터 바스켓 캐리어로 열려질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lanks, the first blank comprising a series of main panels for forming the outer sidewalls and end walls of the basket carrier, the main panels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sidewall panels, said second blank comprising a bottom panel, said second blank being selectively secured to said first blank such that the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lanks is in a basket carrier Can be opened with.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제1 및 제2 측면벽들, 단부벽들 및 바닥벽을 갖는 바스켓형 캐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바닥벽은 2개의 측면 패널 보강재에 의하여 상기 바스켓 캐리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 패널 보강재들은 각각 바닥벽에 힌지되고 그리고 상기 바스켓 캐리어의 제1 또는 제2 측면벽들 중 하나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basket carrier having first and second side walls, end walls and a bottom wall, wherein the bottom wall is attached to the basket carrier by two side panel reinforcements, the side wall being The panel reinforcements are each hinged to the bottom wall and secured to the inner side of one of the first or second side walls of the basket carrier, respectively.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벽은 접착 스트립에 의하여 함께 접착된 2개의 바닥 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바닥 패널은 바스켓형 캐리어가 형성되는 제2 블랭크 재료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바스켓 캐리어를 적어도 4개의 독립된 셀로 분리하는 간막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간막이 패널을 더 포함한다. Optionally, said bottom wall is formed of two bottom panels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strip, said two bottom panels forming part of a second blank material from which a basket-shaped carrier is formed, said second blank being said And further comprising two partition panels to form a partition structure that separates the basket carrier into at least four independent cells.

본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형 캐리어 및 캐리어용 블랭크들을 형성하는 재료의 폐기물을 최소로 줄이는 형상 및 구성으로 되고, 바람직하게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더 두껍고 강한 재료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들에서 더 얇고 약한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혼합 재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 및 자원 절약 목적을 위해 전체적인 재료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hape and configuration which minimizes the wast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basket-shaped carrier and the blanks for the carrier, preferably using thicker and stronger material only when needed and thinner and weaker in other parts By enabling the use of mixed materials for use, the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material usage for cost and resource saving purposes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쉘(outer-shell)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블랭크의 대안인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외부쉘 블랭크 내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접혀진 도 2a의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를 외부쉘 블랭크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들을 도시하는 외부쉘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외부쉘 및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들이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의 접힌 베이스를 외부쉘 블랭크를 통해 끼워넣어(threading) 인서트-구조물을 외부쉘 블랭크에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a의 결합된 블랭크들의 사시도로서, 인서트-구조물의 접혀진 바닥 패널의 위치를 도시하며 그리고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인서트-구조물 및 외부쉘의 메인 손잡이 패널들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추가의 영역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음 단계를 접히는 순서대로 도시하며, 그리고 결합된 외부쉘 및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들로부터 바스켓형 캐리어를 추가로 제작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추가의 영역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최종 영역을 도시하는 결합된 블랭크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평평한 접혀진 바스켓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쉘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바닥 구조물 블랭크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들을 도시하고 있는 외부쉘 블랭크 내로 삽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바닥 구조물 블랭크를 도시한다.
도 12b는 외부쉘 및 바닥-구조물 블랭크들이 바닥 구조물 블랭크의 접힌 베이스를 외부쉘 블랭크를 통해 끼워넣어 바닥-구조물을 외부쉘 블랭크에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다음 단계를 제작 순서대로 도시하며, 인서트-구조물 블랭크가 외부쉘 블랭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며, 그리고 결합된 외부쉘 및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들로부터 바스켓형 캐리어를 추가로 제작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추가의 영역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손잡이 보강 패널들을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에 접착한 것을 도시하는 결합된 블랭크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라이저 패널들을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에 접착한 것을 도시하는 결합된 블랭크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9, 도 10 및 도 11의 블랭크들로 제작된 바스켓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외부쉘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예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8a의 블랭크의 대안인 인서트-구조물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a 또는 도 18b의)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들을 도시하는 도 17의 외부쉘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17의 외부쉘과 도 18a의 인서트-구조물 블랭크가 인서트-구조물을 평면 접촉 관계에서 외부쉘 블랭크에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되어있는 평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다음 단계들을 접힘 접착 조립 순서로 도시하는 평면도들로서, 각각 결합된 외부쉘 및 인서트-구조물 블랭크들로부터 바스켓형 캐리어를 제작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다른 영역들을 도시한다.
도 23은 구조물의 한 측면을 다른 측면에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있는 최종 영역을 도시하는 결합된 블랭크들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예비-접힘 및 접착된 평평한 접힌 바스켓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17 및 도 18a의 블랭크들로 제작된 바스켓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lan view of an outer-shell blank according to the first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lan view of an insert-structure blank according to the first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2B is a top view of an insert-structure blank that is an alternative to the blank of FIG. 2A,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f the insert-structure blank of FIG. 2A folded for easy insertion into an outer shell blank.
4A is a top view of the outer shell blank showing the areas wher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secure the insert-structure blank to the outer shell blank.
4B is a plan view in which the outer shell and insert-structure blanks are joined by threading the folded base of the insert structure blank through the outer shell blank to secure the insert-structure to the outer shell blank.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blanks of FIGS. 1 and 2A,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olded bottom panel of the insert-structure and with adhesive to attach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to the main handle panels of the insert-structure and the outer shell. FIG. Further areas that can be applied are show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next steps in the order of folding and showing additional areas wher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further fabricate a basket-shaped carrier from the joined outer shell and insert-structure blanks.
7 is a plan view of the bonded blanks showing the final area where the adhesive can be applied.
8 is a top view of a flat folded basket carrier.
9 is a plan view of an outer shell blank according to a seco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 insert-structure blank according to a seco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floor-structure blank according to a secon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shows a floor structure blank positioned to insert into an outer shell blank showing areas where adhesive may be applied to secure the floor structure blank.
12B is a plan view in which the outer shell and the bottom-structure blanks are joined by sandwiching the folded base of the bottom structure blank through the outer shell blank to secure the bottom-structure to the outer shell blank.
FIG. 13 shows the next steps in the order of fabrication, showing that the insert-structure blank is secured to the outer shell blank, and the adhesive for further fabricating the basket carrier from the combined outer shell and insert-structure blanks. Is a plan view showing further areas where it can be applied.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blanks illustrating bonding the handle reinforcement panels to the insert-structure blank.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bonded blanks illustrating bonding riser panels to an insert-structure blank.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carrier made of the blanks of FIGS. 9, 10 and 11;
17 is a plan view of an outer shell blank according to the thir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A is a plan view of an insert-structure blank according to a third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B is a top view of an insert-structure blank that is an alternative to the blank of FIG. 18A,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9 is a top view of the outer shell blank of FIG. 17 showing areas wher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secure the insert-structure blank (of FIG. 18A or 18B).
20 is a plan view in which the outer shell of FIG. 17 and the insert-structure blank of FIG. 18A are joined by securing the insert-structure to the outer shell blank in a planar contact relationship.
21 and 22 are plan views showing the following steps in a folded adhesive assembly order, showing different areas wher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fabricate a basket-shaped carrier from the bonded outer shell and insert-structure blanks, respectively.
FIG. 23 is a top view of the combined blanks showing the final area where an adhesive can be applied to adhere one side of the structure to the other side.
24 is a top view of the pre-folded and bonded flat folded basket carriers.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carrier made of the blanks of FIGS. 17 and 18A.

패키지, 블랭크들 및 카톤들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여기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어떤 관점들이 실현될 수 있는 방법의 단순한 실례들이며,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의 완전한 목록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실, 여기에 설명된 패키지들, 블랭크들 및 카톤들은 다양하고 대안적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일정 비율로 그려진 것이 아니며, 일부 도면들은 특별한 구성요소들의 세부를 도시하기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공지된 구성요소들, 재료들 또는 방법들은 이 개시내용의 모호함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더 상세하게 설명될 필요는 없다.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 사항들은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단순히 청구범위를 위한 토대로서 그리고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구현하기 위해 기술에 숙련된 자를 교시하기 위한 설명적인 토대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a package, blanks and cartons is disclos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of how certain aspect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do not represent a complete list of all the ways that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fac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ackages, blanks and cart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alternative forms.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some of which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to show details of particular components. Known components, materials, or methods need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avoid ambiguity in this disclosure. Any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tails disclo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but merely as a basis for the claims and as an illustrative basis for teaching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invention in various ways. Should be.

도 1을 참조하면, 접힘가능한 시트재, 이 실시예에서 판지로 형성된 외부쉘 블랭크(10)는 좌측면에서, 제1 측면 패널(20); 제1 손잡이 패널(28); 보강 손잡이 패널(36); 및 단부 패널들(24a, 26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부 패널(24a)은 접는선(70)을 따라 제1 측면 패널(20)에 힌지되고, 단부 패널(26a)은 접는선(74)을 따라 제1 측면 패널(20)의 대향 단부를 따라 힌지된다. 거울상에서, 블랭크(10)의 우측면은 제2 측면 패널(22); 제2 손잡이 패널(30); 보강 손잡이 패널(38); 및 단부 패널들(24b, 26b)을 포함한다. 단부 패널(24b)은 접는선(72)을 따라 제2 측면 패널(22)에 힌지되고, 단부 패널(26b)은 접는선(76)을 따라 제2 측면 패널(22)의 대향 단부를 따라 힌지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outer shell blank 10 formed of a collapsible sheet material, in this embodiment cardboard, has, on the left side, a first side panel 20; First handle panel 28; Reinforcing handle panel 36; And end panels 24a and 26a. The end panel 24a is hinged to the first side panel 20 along the fold line 70, and the end panel 26a is hinged along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side panel 20 along the fold line 74. do. In a mirror image, the right side of the blank 10 comprises a second side panel 22; Second handle panel 30; Reinforcing handle panel 38; And end panels 24b and 26b. The end panel 24b is hinged to the second side panel 22 along the fold line 72, and the end panel 26b is hinged along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side panel 22 along the fold line 76. do.

외부쉘 블랭크는 또한 라이저 패널들(44a, 44b, 46a, 46b)을 포함한다. 외부쉘 블랭크(10)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이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며 컷라인(48)(컷라인(48)은 2개의 측면 패널(20,22)이 바스켓형 캐리어를 제작하기 위해 분리될 필요가 있도록 천공선 또는 다른 파단가능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의 형태로 된 분리라인을 따라 서로 접경되어 있도록 배열된다. 두 측면 패널들(20,22) 사이의 분리라인 또는 컷라인(48)은 바스켓 캐리어가 블랭크로 제작되었으면 캐리어의 측면벽들의 바닥 에지를 한정할 것이다. 컷라인 또는 분리라인(또는 파단가능 연결부)(48)은 블랭크(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단부 패널들(24a, 24b) 사이와 블랭크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단부 패널들(26a, 26b) 사이에서 연장된다. The outer shell blank also includes riser panels 44a, 44b, 46a, 46b. The outer shell blank 10 has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and 22 disposed closely to each other and the cutline 48 (the cutline 48 has two side panels 20 and 22 basketed). Arranged to abut one another along a separation line in the form of perforations or other breakable lines so that they need to be separated to fabricate the carrier. The separating line or cutline 48 between the two side panels 20 and 22 will define the bottom edge of the side walls of the carrier if the basket carrier has been made blank. The cutline or separation line (or breakable connection) 48 is between the end panels 24a, 24b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 10 and the end panels 26a, 26b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 Extends between.

단부 패널들(24a, 24b, 및 26a, 26b)은 블랭크 형태에서 단부끼리 붙어 배치되지만, 블랭크(10)의 바스켓 캐리어로의 제작 중에 단부 패널들(24a, 24b, 및 26a, 26b)의 쌍들이 함께 이어지며 연결되어 바스켓형 카톤의 복합(composite) 단부벽들을 형성하게 되도록 라이저 패널들(44a, 44b, 및 46a, 46b)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블랭크를 배열하여 컴팩트한 블랭크(10) 구성을 제공하며, 이 구성은 대형 시트재료로부터 최소의 폐기물을 남기며 절단될 수 있다. 공지된 바스켓형 블랭크들로 제작된 것과 비교하면, 본원의 블랭크들의 배열이 대형 시트재로부터 사용된 재료의 20% 이득(즉, 폐기되지 않고)을 남기며 절단될 수 있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e end panels 24a, 24b, and 26a, 26b are arranged end to end in a blank form, but the pairs of end panels 24a, 24b, and 26a, 26b are made during fabrication of the blank 10 into a basket carrier. Connected by riser panels 44a, 44b, and 46a, 46b that are connected together and connected to form composite end walls of the basketed carton. The blanks are arranged in this way to provide a compact blank 10 configuration, which can be cut from the large sheet material with minimal waste. Compared with those made of known basket-like blanks, it is propose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blanks herein can be cut leaving a 20% gain (ie, not discarded) of the material used from the large sheet material.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 30)은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 내에서 중간 위치에 배치되며, 그와 같이 블랭크 형태에서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과 단부 패널들(24a, 24b, 26a, 26b)과의 연결에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단부 패널(24a)의 상부에지(57a)는 인접한 제1 손잡이 패널(28)로부터 단부 패널(24a)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컷라인 또는 절취선(score line)이다. 블랭크(10)가 단부 패널들(24a)의 상부에지와 제1 손잡이 패널(28) 사이에 취약한 연결부(57a)와 함께 형성될 수 있지만, 파손되면, 단부 패널의 상부에지(57a)는 거칠거나 지저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깨끗하게 예리하며 정확한 컷에 의하여 상부에지(57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단부 패널들(24b, 26a, 26b)의 상부에지들(57a,57b)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의 상부에지(56,54)는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의 이러한 상부에지들이 잘 형성되고, 명백하며 거칠지 않고 따라서 미적으로 만족감을 주도록 명확한 컷라인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are dispos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within the finished basket carrier,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22 and the end panels (in the form of blanks). It is preferable to be free to connect with 24a, 24b, 26a, 26b). Preferably, the upper edge 57a of the end panel 24a is a cut line or cut line that clearly separates the end panel 24a from the adjacent first handle panel 28. The blank 10 may be formed with a vulnerable connection 57a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end panels 24a and the first handle panel 28, but if broken, the upper edge 57a of the end panel may be rough or It can get mess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the upper edge 57a by a cleanly sharp and accurate cut. Similarly, the upper edges 57a, 57b of the end panels 24b, 26a, 26b and the upper edges 56, 54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22 are formed of the finished basket carrier. These top edges are preferably formed by clear cut lines so that they are well formed, clear and rough and therefore aesthetically pleasing.

라이저 패널들(44a, 44b)은 접는선들(62,64)(이들도 역시 라이저 패널들(44a, 44b)을 단부 패널들(24a, 24b)에 힌지 또는 연결시킨다)을 따라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에 힌지되거나 접힐 수 있게 연결된다. 그와 같이 라이저 패널들(44a, 44b)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과 블랭크(10)의 나머지 메인 패널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라이저 패널들(46a, 46b)은 접는선들(66,68)을 따라 단부 패널들(26a, 26b)에 힌지된다. 라이저 패널들(44a, 44b)은 접는선(50)에 의하여 연결되며, 유사하게 라이저 패널들(46a, 46b)은 접는선(52)을 통해 연결된다. 컷라인(48)은 그 단부 각각에서 접는선들(50,52)에서 끝난다. Riser panels 44a and 44b are first and second along fold lines 62 and 64, which also hinge or connect riser panels 44a and 44b to end panels 24a and 24b. The handle panels 28 and 30 are hinged or foldable. As such the riser panels 44a and 44b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and 30 and the remaining main panels of the blank 10. Riser panels 46a and 46b are hinged to end panels 26a and 26b along fold lines 66 and 68. Riser panels 44a and 44b are connected by fold line 50, and similarly riser panels 46a and 46b are connected through fold line 52. Cutline 48 ends at fold lines 50 and 52 at each of its ends.

블랭크 형태에서, 라이저 패널들(44a, 44b)에 대향한 단부들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을 블랭크(10)의 나머지에 연결하는 일부 수단은 카톤을 제작하기에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취급가능한 소재(work piece)로서 블랭크(1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연결 수단의 하나는 닉(nick) 부분들(60,58)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닉 부분들은 그들의 단부들 중 하나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에 힌지 또는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단부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0,22)의 각각의 상부 모서리 에지에 매우 미세한(fine) 테이퍼부에 의하여 연결된다. 미세한 테이퍼부는 블랭크(10)가 바스켓 캐리어로 제작된 후에 또는 도중에 파손되지만, 바스켓 캐리어를 완성시키기에 충분한 제작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손잡이 패널들(28,30)과 측면 패널들(20,22) 사이의 연결부를 충분히 길게 유지하며,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에서 손잡이 패널들(28,30)이 일부 다른 방법으로 블랭크의 나머지(예를 들어 카톤 라이저 패널들(46a,46b)에 의하여) 연결되며 따라서 블랭크의 후속 조작은 축 처져서 조작하기 어려운 블랭크(1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In the blank form, some means of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to the rest of the blank 10 at the ends opposite to the riser panels 44a, 44b is easy to manufacture a carton. It is desirable to hold the blank 10 as a work piece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One such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in the form of nick parts 60, 58, wherein the nick parts have one of their ends hinged or folded on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It is possib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by a very fine taper to the upper edge edg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0, 22. The fine taper is broken after or during the blank 10 is made of the basket carrier, but between the handle panels 28, 30 and the side panels 20, 22 to provide sufficient production capacity to complete the basket carrier. The joints of the handle panels 28, 30 in the finished basket carrier are connected in some other way to the rest of the blank (e.g. by carton riser panels 46a, 46b) and thus the Subsequent manipulations are not hindered by the blank 10, which is limp and difficult to manipulate.

또한 블랭크(10)는 선택적인 보강 손잡이 패널들(36,38)을 포함하며, 이 보강 손잡이 패널들은 접는선 또는 접음선(80,78) 각각에 의하여 메인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에 힌지된다. 그렇지 않으면 보강 패널들(36,38)은 블랭크의 메인 패널들에 바람직하게 연결되지 않는다. 보강 패널들(36,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생략되어 있다. 여전히 다르게 고려한 실시예들에서 보강 손잡이 패널들(36,38)이 제공되지만,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의 상부에지에 힌지되며 또는 실제로 블랭크(10)의 어떠한 다른 적절한 장소에 힌지되며, 반드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6,38)의 단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접는선들(80,78)을 따라 힌지될 필요는 없다. The blank 10 also includes optional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6, 38, which reinforce the handle panels by the fold or fold lines 80, 78 respectively of the main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And 30). Otherwise the reinforcement panels 36, 38 are preferably not connected to the main panels of the blank. Reinforcement panels 36 and 38 are omitt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ill other contemplated embodiments, reinforcing handle panels 36, 38 are provided, but are hinged to the upp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or indeed any other suitable place of the blank 10. Hinged, and need not necessarily hinge along fold lines 80,78 extending along the end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6,38.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과 보강 손잡이 패널들(36,38)은 손잡이 구멍들(40)(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된 배열에서 선택적인 손잡이 플랩들(32,34)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에 제공되며 접는선들(82,84)을 따라 이에 힌지된다. 다른 배열들에서, 손잡이 완충 플랩들(32,34)은 제공되지 않거나 단 하나의 플랩이 제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플랩이 제공된다. 플랩들은 제공될 때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도시된 것과 다른 차원 및 크기가 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and 30 and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6 and 38 include handle holes 40 (as known in the art). Optional handle flaps 32, 34 in this illustrated arrangement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and are hinged thereto along the fold lines 82, 84. In other arrangements, the handle buffer flaps 32 and 34 are not provided, or only one flap is provided, or two or more flaps are provided. The flaps can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when provided and can be of different dimensions and sizes than shown.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예시된 배열에서,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는 외부쉘 블랭크(10)와 동일한 재료, 소위 판지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는 외부쉘 블랭크(10)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양 블랭크들은 판지, 카드보드, 플라스틱재료 등과 같은 어떠한 접힘가능한 시트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insert blank 12 is shown in FIG. 2A. In the arrangement illustrated here, the partition insert blank 1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blank 10, so-called cardboard. In other embodiments, the partition insert blank 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outer shell blank 10, and both blanks may be formed of any foldable sheet material such as cardboard, cardboard,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는 접는선(104)을 따라 함께 힌지되는 바닥 패널들(86a,86b);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 및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90a,90b,92a,92b)을 포함한다.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90a,90b,92a,92b)은 측방향 간막이 접착 플랩들(94a,94b)에 의하여 메인 바스켓 캐리어의 제1 또는 제2 측면벽 패널들(20,22)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측방향 간막이 접착 플랩들(94a,94b)은 접는선들(96a,98a,100a,96b,98b,100b)을 따라 블랭크(12)에 힌지된다. 바닥 패널들(86a,86b)은 (접는선들(106a,106b)을 따라)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에 각각 힌지 또는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다음에 상기 측면 패널 보강재들은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94a,94b)을 경유하여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에 연결된다.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은 손잡이 구멍들(40)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손잡이 완충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과 유사한 크기가 아닐 수 있고,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을 완전히 보강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a)의 대안 실시예가 도 2b에 도시되고, 여기서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은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94a,94b)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 The diaphragm insert blank 12 includes bottom panels 86a and 86b which are hinged together along the fold line 104;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and 88b; And lateral diaphragm structures 90a, 90b, 92a, 92b. Lateral diaphragm structures 90a, 90b, 92a, 92b are attached to one of the first or second sidewall panels 20, 22 of the main basket carrier by lateral diaphragm adhesive flaps 94a, 94b. The lateral diaphragm adhesive flaps 94a and 94b are hinged to the blank 12 along the fold lines 96a, 98a, 100a, 96b, 98b and 100b. The bottom panels 86a and 86b are hinged or foldable to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and 88b (along the fold lines 106a and 106b), respectively, and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are then laterally partitioned structures. It is connected to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via adhesive flaps 94a and 94b.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include handle holes 40, and in other embodiments may include handle cushioning flaps. Alternatively in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102b may not be the same size as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30,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30) may be insufficient to fully reinforce.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diaphragm insert blank 12a is shown in FIG. 2B, wherein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88b are connected to both lateral interlaminar structure adhesive flaps 94a, 94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90a,90b,92a,92b) 및 측방향 간막이 접착 플랩들(94a,94b)의 형상, 크기, 수 및 특정한 구성은 다양하고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어 모두를 예시할 수 없다. 구성들은 바스켓형 캐리어를 분할하는데 필요로 하는 셀들의 수와; 캐리어의 크기 및 다른 설계 필요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간막이 구조물들의 제공은 실제로 선택적이고, 바스켓 캐리어들이 종종 병들에 사용되어서 간막이 구조물들이 병들의 서로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병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간막이 구조물들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과 인서트 손잡이 패널(102a,102b) 사이의 블랭크(12)의 섹션은 접착 플랩들, 접힘부들 또는 간막이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의 외부쉘 블랭크(10)와 관련된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블랭크는 단순하게 단지 바닥벽과 고정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간막이 구조물들을 갖지 않는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도 1의 외부쉘 블랭크(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도 11의 블랭크(113)를 참조하라). The shape, size, number, and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ateral diaphragm structures 90a, 90b, 92a, 92b and the lateral diaphragm adhesive flaps 94a, 94b can vary and can take many forms, all of which cannot be illustrated. . The configurations include the number of cells needed to partition the basket carrier; It will depend on the size of the carrier and other design requirements. The provision of mesenteric structures is actually optional, and is desirable because basket carriers are often used in bottles so that the mesmerized structures can prevent collisions of the bottles with each other to prevent damage to the bottles. If no partition structures are needed, the section of the blank 12 between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and 88b and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may not include adhesive flaps, folds or partition elements. . In still other embodiments, the second blank for forming the basket carrier associated with the outer shell blank 10 of FIG. 1 may simply comprise only a bottom wall and fixing panels (basketed carrier without intervening structures). See blank 113 of FIG. 11, which may be used with outer shell blank 10 of FIG. 1 to form.

이제 도 1의 외부쉘 블랭크(10)와 도 2a의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12)로부터의 바스켓 캐리어의 제작으로 돌아가서, 카톤이 바스켓 캐리어의 제작을 완료하기 위해 블랭크 및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회전 또는 역전될 필요가 없도록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연속적 접힘 동작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접힘 순서 및 사용된 접착제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작 프로세스는 이하에 설명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특별한 제작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Returning to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from the outer shell blank 10 of FIG. 1 and the insert partition structure 12 of FIG. 2A, the blank and the partially-formed blank can be rotated or reversed to complete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It is anticipated that it may be formed by a series of successive folding operations in a straight machine so that there is no need. The fabr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folding order and the locations of the adhesives used,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particular fabrication requirements.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는 접는선(104)을 따라 접혀서 바닥 패널들(86a,86b)이 함께 평면 접촉(flat face contact) 상태로 만들어지고 접는선들(106a,106b)이 함께 이동하여 메인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의 평면에서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이 서로 옆에 인접하게 한다. 접혀진 바닥 패널들(86a,86b)은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의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연장한다. 블랭크(12)의 최초의 접혀진 위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바닥 패널들(86a,86b)은 지면 뒤의 평면에서 벗어나 연장되기 때문에 볼 수 없다. The diaphragm insert blank 12 is folded along the fold line 104 such that the bottom panels 86a and 86b are brought together in a flat face contact and the fold lines 106a and 106b move together so that the main diaphragm insert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and 88b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ane of the blank 12. The folded bottom panels 86a, 86b exten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88b. The initial folded position of the blank 12 is shown in FIG. 3; The bottom panels 86a and 86b are not visible because they extend out of the plane behind the ground.

도 3의 접혀진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는 외부쉘 블랭크(10) 내에 삽입되어 부착될 것이다. 이러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접착제가 영역들(G1,G2,G3)에서 외부쉘 블랭크(10)에 도포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을 제1 및 제2 측면 손잡이 패널들(28,30)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이 영역(G1)에 도포된다.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을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의 내측면들에 각각 부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이 영역(G2)에 도포되고;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94a,94b)을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에 부착하기 위해 영역(G3)에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이 도포된다. 도 3의 접혀진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는 평평한 면 및 접혀진 바닥 패널들(86a,86b)을 컷라인(48)에 의해 형성된 슬롯, 슬릿, 갭 또는 분리부를 통해 끼워넣어짐(threading)으로써 외부쉘 블랭크(10) 내로 삽입된다. 몇가지 제작 방법에서, 외부쉘 블랭크(10)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 사이에서 접혀진 블랭크(1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 사이의 갭을 더 넓게 열기 위해 컷라인(48) 및 접는선들(50,52)에 의해 형성된 개념상의 중심 라인에 대하여 접혀질 수 있다. 그러한 외부쉘 블랭크의 접힘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블랭크들을 만드는 재료가 완성 제품에서 최외측으로 나타나야 하는 "좋은 면"과, 최내측으로 나타나야 하는 "좋지 않은 면"을 가지면, 그때 도 4는 그 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대면하는 "좋지 않은 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는 함께 접혀질 때 바닥 패널들(86a,86b)의 "좋은 면들"이 최외측과 대면하도록 접혀져야 한다. 그와 같이 외부쉘 블랭크(10)와 평평한 면접촉으로 배치되는 것은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0)의 나머지의 "좋은 면"이다. The folded partition insert blank of FIG. 3 will b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outer shell blank 10. To facilitate this attachment,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hell blank 10 in the regions G1, G2, G3. As shown in FIG. 4A, an adhesiv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applied to the area G1 to secure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102b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handle panels 28, 30, respectively. . Adhesiv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applied to the area G2 to attach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88b to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22, respectively; An adhesiv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applied to the area G3 to attach the lateral diaphragm structure adhesive flaps 94a and 94b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and 22. The folded diaphragm insert blank of FIG. 3 has an outer shell blank 10 by threading the flat surface and folded bottom panels 86a, 86b through a slot, slit, gap or separator formed by the cutline 48. ) Is inserted into the. In some fabrication methods, the outer shell blank 10 has a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22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olded blank 1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22. Can be folded about the conceptual center line formed by cutline 48 and fold lines 50, 52 to open the gap between Such folding of the outer shell blank may not be necessary. If the material from which the blanks are made has a "good side" that must appear outermost in the finished product and a "bad side" that should appear innermost, then Figure 4 shows a "bad side" facing the adhesive applied to its sides. Should be considered as showing. The diaphragm insert blank 12 must be folded so that the "good sides" of the bottom panels 86a, 86b face the outermost side when folded together. As such, being placed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hell blank 10 is the "good face" of the remainder of the insert blank 10.

접혀진 바닥 패널들(86a,86b)이 슬롯(48)을 통해 끼워지면,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의 나머지가 외부쉘 블랭크(10)와 평평한 면접촉되어 정렬되며 고정되어서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이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28,30)에 고정되고; 측면 패널 보강재들(88a,88b)이 각각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의 내측면들에 고정되고; 그리고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94a,94b)이 각각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20,22)에 고정된다. 도 4b는 결합되어 있는 접혀진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 및 외부쉘 블랭크(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결합되어 있는 접혀진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2) 및 외부쉘 블랭크(10)의 상단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접혀진 바닥 패널들(86a,86b)의 위치가 점선 윤곽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c는 접착제(G4)의 도포를 위한 공칭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은 각각의 보강 손잡이 패널(36,38)을 인접한 인서트 손잡이 패널(102a,102b)(따라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0,32)에 간접적으로)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보강 손잡이 패널(36,38)은 그 접는선(80,78) 주위에 접혀지며 인서트 손잡이 패널(102a,102b)의 면("좋지 않은 면")과 평평한 면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folded bottom panels 86a, 86b are fitted through the slot 48, the partition is aligned and fixed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hell blank 10 so that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102b)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28 and 30, respectively; Side panel reinforcements 88a and 88b are secured to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and 22, respectively; And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 adhesive flaps 94a and 94b are secur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20 and 22, respectively. 4B shows a plan view of the folded mesothelial insert blank 12 and the outer shell blank 10 that are joined. FIG. 4C shows a perspective view at the top of the folded septum insert blank 12 and the outer shell blank 10 to which the folded bottom panels 86a and 86b are shown with dotted outlines. 4C also shows the nominal position for the application of adhesive G4. Such adhesive or other fastening means is used to attach each reinforcing handle panel 36, 38 to adjacent insert handle panels 102a, 102b (and thus indirectly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0, 32). do.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6 and 38 are folded around their fold lines 80 and 78 and are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the faces ("bad side") of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The partially formed blank thus made is shown in FIG. 5.

또한, 도 5에는 접착제(G5)의 배치를 위한 공칭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G5) 또는 다른 고정 또는 정착(fixing) 수단이 라이저 패널들(44a,44b)을 각각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라이저 패널들(44a, 44b)은 이어서 복합 단부벽을 형성하기 위해 단부 패널들(24a,24b)과 결합되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이 단계에서 접착 영역(G5)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을 지나서 연장하지 않아야 하고, 라이저 패널들(44a, 44b)이 단부 패널들(24a, 24b)의 내측면에 직접 부착되어서는 아니 된다. 접착 영역(G5)은 기계에서 블랭크의 터닝(turning)이 회피되도록 이미 도시된 접착 라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련의 대략 평행한 라인들로서 도시되어 있고, 접착제 건(glue gun)들은 블랭크들(10,12)이 기계의 컨베이어들을 따라 이동하며 접착제 건들을 통과함에 따라 블랭크들(10,12)에 작동할 수 있다. Also shown in FIG. 5 is a nominal position for the placement of adhesive G5. Adhesive G5 or other fixing or fixing means is used to attach riser panels 44a and 44b to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respectively. Riser panels 44a and 44b are then used to join end panels 24a and 24b to form a composite end wall so that adhesive region G5 at this stage is used to insert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It should not extend beyond, and riser panels 44a and 44b should not be direct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end panels 24a and 24b. The adhesive area G5 is shown as a series of approximately parallel lin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dhesive lines already shown so that turning of the blank in the machine is avoided, and the glue guns are shown as blanks ( 10, 12 may move along the conveyors of the machine and act on the blanks 10, 12 as it passes through the adhesive guns.

라이저 패널들(44a, 44b)은 접는선들(62,64) 주위에 접혀지며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에 고정된다. 이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접착제(G6)를 배치하기 위한 공칭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G6) 또는 다른 고정 또는 정착 수단이 각각의 라이저 패널(44a,44b)의 상부를 각각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102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닉 부분들(60,58)을 각각 단부 패널들(26a,26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7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Riser panels 44a and 44b are folded around fold lines 62 and 64 and secured to insert handle panels 102a and 102b. The resulting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FIG. 6. Also shown in FIG. 6 is a nominal position for placing adhesive G6. Adhesive G6 or other fastening or fixing means is used to attach the top of each riser panel 44a, 44b to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102b, respectively, and the nick portions 60, 58, respectively, end panels. It is used to attach to the fields 26a and 26b. The resulting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plan view in FIG. 7.

또한, 도 7에는 접착제(G7)를 배치하기 위한 공칭 위치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G7)는 블랭크의 좌측면을 블랭크의 우측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특히, 접착 영역들(G7)은 보강 손잡이 패널(36)을 보강 손잡이 패널(38)에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저 패널(44a)의 상단을 라이저 패널(44b)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저 패널(46a)의 상단을 라이저 패널(46b)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90a,92a) 사이에 놓여 있는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블랭크(10)의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a)의 부분들을,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90b,92b) 사이에 놓여 있는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블랭크(10)의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02b)의 부분들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된 부분들은 복합 손잡이 패널들(36/28/102a 및 38/30/102b)과 함께 중간 간막이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중간 간막이 구조물은 바스켓 캐리어를 2개의 길이방향 섹션들로 분할한다. 최종 접힘 단계는 블랭크의 우측면을 접는선들(50,52)에 대하여 접음으로써 완성된다. 완성되었지만 평면형의 접착된 블랭크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Also shown in FIG. 7 is a nominal position for placing adhesive G7, which is used to secure the left side of the blank to the right side of the blank. In particular, the adhesive regions G7 are used to secure the reinforcing handle panel 36 to the reinforcing handle panel 38; To secure the top of riser panel 44a to the top of riser panel 44b; To secure the top of riser panel 46a to the top of riser panel 46b; The insert partition structure between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90b and 92b, the portions of the insert handle panels 102a of the insert partition structure blank 10 lying between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90a and 92a. It is arranged to secure to parts of the insert handle panels 102b of the blank 10. These fixed portions together with the composite handle panels 36/28 / 102a and 38/30 / 102b form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structure. The middle partition structure divides the basket carrier into two longitudinal sections. The final folding step is completed by folding the right side of the blank against the fold lines 50, 52. A finished but planar bonded blank is shown in FIG. 8.

도 8의 블랭크를 카톤으로 열기 위해, 바닥 패널들(86b,86a)은 서로 분리되고 단부 패널들(26a,26b)이 공통평면 관계로 접히고; 내부 구조물이 카톤을 열은 결과로서 제위치로 "팝(pop)"되고, 따라서 6-셀의 바스켓 캐리어가 형성된다. (적어도 카톤이 비어있을 때) 라이저 패널들(46a,46b)에 있는 훅-형상 부분을 이용하고 그리고 바닥 패널(86a/86b)의 상보적인 훅-형상 에지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 유익하다. To open the blank of FIG. 8 into a carton, the bottom panels 86b and 86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nd panels 26a and 26b are folded in a common plane relationship; The inner structure "pops" into place as a result of opening the carton, thus forming a six-cell basket carrier. It is advantageous to be able to use the hook-shaped portion in riser panels 46a and 46b (at least when the carton is empty) and to place on the complementary hook-shaped edges of bottom panel 86a / 86b.

이제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또는 대안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예시된 제2 실시예에서,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3개의 블랭크가 제공되어 있다. 예시된 제2 실시예에서, 비록 이러한 형태부들이 제2 실시예에 속한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접두어 "100" 또는 "200"을 첨부하였을지라도, 유사한 부호들은 가능하면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많은 공통의 특징들을 공유하며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Referring now to FIGS. 9-16, a second or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illustrated here, three blanks are provided to form a basket-shaped carrier. In the illustrated second embodiment, although the prefixes "100" or "200" have been added to indicate that these forms belong to the second embodiment, like numerals have been used to refer to like parts where possible. . The second embodiment shares many common features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only the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개의 블랭크들(110,112,113)이 이러한 배열에 제공되어 있다. 블랭크 구조물을 3개의 구별된 부분들로 분리하는 것은 블랭크들을 절단하는 대형 시트재에서 다중 블랭크들의 레이아웃 또는 테셀레이션에서 추가의 융통성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의 재료 절약을 제시할 수 있다. 블랭크들(110,112,113) 각각은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컷라인을 가지며, 다시 말하면 재료의 특이한-모양의 무용한 자투리(off-cuts)를 남기는 아주 넓은 또는 특이한 형상의 돌출부들 또는 첨부물들을 갖지 않음으로써 재료의 폐기물을 최소한으로 하는 주변 형상을 갖는다. 3 피스 버전의 외부쉘 블랭크(110)는 그 구성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외부쉘 블랭크(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블랭크(11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바닥 패널들(186a,186b)이 독립된 패널(113)(도 11 참조)에 제공되며, 상기 독립된 패널(113)은 추가로 바닥 패널 접착 플랩들(187a,187b)을 구비할 지라도, 간막이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2) 및 바닥 인서트 블랭크(113)는 함께 제1 실시예의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112)와 동일한 구성요소 패널들을 포함한다. 간막이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2)는 다른 형상의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190a,190b,192a,192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194a,194b), 및 측방향 간막이 접는선들(196a,196b,198a,198b,200a,200b)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질 및 성능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은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Three blanks 110, 112 and 113 are provided in this arrangement. Separating the blank structure into three distinct portions may provide additional material savings by providing additional flexibility in the layout or tessellation of multiple blanks in the large sheet material that cuts the blanks. Each of the blanks 110, 112, 113 has a roughly or substantially rectangular cutline, that is to say that the material is free from very wide or unusually shaped protrusions or attachments leaving an unusually-shaped useless off-cut of the material. It has a peripheral shape that minimizes waste. The three-piece version of the outer shell blank 110 is not described further because its constru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shell blank 10 of the first embodiment. Blank 110 is shown in FIG. 9. Floor panels 186a and 186b are provided in an independent panel 113 (see FIG. 11),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bottom panel adhesive flaps 187a and 187b, but with a partition insert structure. The blank 112 and the bottom insert blank 113 together comprise the same component panels as the diaphragm insert blank 112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iaphragm insert structure blank 112 includes lateral diaphragm structures 190a, 190b, 192a, 192b, lateral diaphragm adhesive flaps 194a, 194b, and lateral diaphragm fold lines 196a, 196b,. 198a, 198b, 200a, 200b,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in nature and performance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제 도 9의 외부쉘 블랭크(110); 도 10의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블랭크(112) 및 도 11의 바닥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3)로부터 바스켓형 캐리어(210)(도 16 참조)의 제작으로 돌아가서, 바스켓 캐리어는 바스켓 캐리어의 제작을 완료하기 위해 블랭크 및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회전 또는 역전될 필요가 없도록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연속적 접힘 동작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접힘 순서 및 사용된 접착제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작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의 블랭크들(10,12)의 제작을 위해 사용된 것과 아주 유사하므로 단지 차이점만이 설명될 것이고, 추가로 이해해야 할 것은 제작 프로세스가 이하에 설명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특별한 제작 요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다. Now the outer shell blank 110 of FIG. 9; Returning to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210 (see FIG. 16) from the insert partition structure blank 112 of FIG. 10 and the bottom insert structure blank 113 of FIG. 11, the basket carrier is blank to complete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And it is envisioned that the partially-formed blank can be formed by a series of successive folding operations in a straight machine so that it does not have to be rotated or reversed. The fabr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folding order and the locations of the adhesive used, is very similar to that used for fabrication of the blanks 10, 12 of the first embodiment, so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explained, and it is to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fabrication proces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be altered according to particular fabrication requirements.

바닥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3)는 함께 바닥 패널들(186a,186b)을 가져오기 위해 접는선(204)에 대하여 접힌다. 접힌 구조물은 외부쉘 블랭크(110)에서 컷라인(148)에 의해 한정된 갭을 통해 끼워지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라인(148)의 어느 측면에서 접착 영역(G8)에 도시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바닥 패널 접착 플랩들(187a,187b)이 바닥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3)를 외부쉘 블랭크(11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외부쉘 블랭크(110)와 바닥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113)로부터 만들어진 결합체가 도 12b에 도시되어있다. 그후, 접착제가 간막이 인서트 구조물(112)을 외부쉘 블랭크(110)에 고정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된다. 그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접착제 영역(G5)이 또한 라이저 패널들(144a,144b)을 측면 보강패널/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88a,188b)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The bottom insert structure blank 113 is folded about the fold line 204 to bring the floor panels 186a and 186b together. The folded structure fits through the gap defined by the cutline 148 in the outer shell blank 110, and on either side of the cutline 148 as shown in FIG. 12A the adhesive shown in the adhesive region G8 is shown. Bottom panel adhesive flaps 187a and 187b are used to secure the bottom insert structure blank 113 to the outer shell blank 110. A combination made from the outer shell blank 110 and the bottom insert structure blank 113 is shown in FIG. 12B. Thereafter, an adhesiv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o secure the capsular insert structure 112 to the outer shell blank 110. The resulting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FIG. 13, where the adhesive region G5 is also shown to secure the riser panels 144a, 144b to the side reinforcement panel / insert handle panels 188a, 188b. It is.

도 14는 영역(G4)에 도포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이저 패널들(144a,144b)의 접힘과 보강 손잡이 패널들(136,138)을 측면 보강 패널들/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88a,188b)에 부착하는 것을 도시한다. 그 결과로 부분-형성된 구조물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접착제(G6)를 배치하기 위한 공칭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G6) 또는 다른 고정 또는 정착 수단이 각각의 라이저 패널(146a,146b)의 상부를 각각 측면 보강 패널들/인서트 손잡이 패널들(188a,188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닉 부분들(160,158)을 각각 단부 패널들(126a,126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제1 실시예의 블랭크의 접힘 및 고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로 접착 및 접혀진다.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14 illustrates the folding of the riser panels 144a and 144b and attaching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136 and 138 to the side reinforcement panels / insert handle panels 188a and 188b using an adhesive applied to the area G4. Shows that. As a result, the partially-formed structure is shown in FIG. 15. Also shown in FIG. 15 is a nominal position for placing adhesive G6. Adhesive G6 or other fastening or fixing means is used to attach the top of each riser panel 146a, 146b to the side reinforcement panels / insert handle panels 188a, 188b and attach the nick portions 160,158, respectively. Used to attach to end panels 126a and 126b,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artially-formed blank is further glued and fold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folding and fixing of the blank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mpleted basket carrier is shown in FIG. 16.

도 17 및 도 1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서, 접힘가능한 시트재, 이 실례에서 판지로 형성된 외부쉘 블랭크(310)는 좌측면에서, 제1 측면 패널(320); 제1 손잡이 패널(328); 보강 손잡이 패널(336); 및 단부 패널들(324a, 326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부 패널(324a)은 접는선(370)을 따라 제1 측면 패널(320)에 힌지되고, 단부 패널(326a)은 접는선(374)을 따라 제1 측면 패널(320)의 대향 단부를 따라 힌지된다. 거울상에서, 블랭크(310)의 우측면은 제2 측면 패널(322); 제2 손잡이 패널(330); 보강 손잡이 패널(338); 및 단부 패널들(324b, 326b)을 포함한다. 단부 패널(324b)은 접는선(372)을 따라 제2 측면 패널(322)에 힌지되고, 단부 패널(326b)은 접는선(376)을 따라 제2 측면 패널(322)의 대향 단부를 따라 힌지된다. Referring to Figures 17 and 18A,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7, the outer shell blank 310 formed of a collapsible sheet material, in this example cardboard, has, on the left side, a first side panel 320; First handle panel 328; Reinforcing handle panel 336; And end panels 324a, 326a. The end panel 324a is hinged to the first side panel 320 along the fold line 370, and the end panel 326a is hinged along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side panel 320 along the fold line 374. do. In a mirror image, the right side of the blank 310 comprises a second side panel 322; Second handle panel 330; Reinforcing handle panel 338; And end panels 324b and 326b. The end panel 324b is hinged to the second side panel 322 along the fold line 372, and the end panel 326b is hinged along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side panel 322 along the fold line 376. do.

외부쉘 블랭크(310)는 또한 라이저 패널들(344a, 344b, 346a, 346b)을 포함한다. 외부쉘 블랭크(310)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320,322)이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 및 인접한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열된다. 중간 접는선(347)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을 서로 힌지하여 있다.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 각각은 접는선(349)에 의하여 함께 힌지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요홈(recess)(351)의 제공으로 인하여 서로 직접적 연결이 되지 않는다. 요홈(351)은 선택적으로 직사각형이고, 블랭크의 중앙 영역에 집중된 재료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중앙 영역은 블랭크가 캐리어로 제작될 때 일부 영역들에서 8겹의 재질 두께가 된다. 그와 같이, 이러한 배열에서, 측면 패널들(320,322)은 공통 에지를 공유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랭크(310)는 이 블랭크(310)들을 절단하는 대형 치수의 시트에서 블랭크(310)들의 테셀레이션을 최적화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The outer shell blank 310 also includes riser panels 344a, 344b, 346a, 346b. The outer shell blank 31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320, 322 are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nd adjacent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36, 338. The middle fold line 347 hinges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to each other. Each of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and 338 are hinged together by a fold line 349, but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the provision of a recess 351 in another way. The recess 351 is optionally rectangular and provided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lank, which is eight layers of material thickness in some areas when the blank is made of a carrier. As such, in this arrangement, the side panels 320, 322 do not share a common edge. Nevertheless, the blank 310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order to optimize the tessellation of the blanks 310 in the large dimension sheet that cuts the blanks 310.

단부 패널들(324a,324b 및 326a,326b)은 각각 라이저 패널들(344a, 344b; 346a, 346b)에 연결되어서 블랭크(10)의 바스켓 캐리어로의 제작시에, 단부 패널들(324a,324b, 및 362a,326b)의 쌍들이 제각기 바스켓형 카톤의 복합 단부벽들(324a/324b 및 326a/326b)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 및 연결되며, 동시에 관련된 라이저 패널들(344a, 344b, 346a, 346b)이 바스켓 캐리어의 중앙 구조물의 부분이 된다. 블랭크를 이러한 방법으로 배열하여 최소한의 폐기물로 시트재로 절단될 수 있는 컴팩트 블랭크(310) 구성을 제공한다. The end panels 324a, 324b and 326a, 326b are connected to the riser panels 344a, 344b; 346a, 346b, respectively, to produce the end panels 324a, 324b, when fabricating the blank 10 into a basket carrier. And pairs of 362a, 326b are joined and connected together to form the composite end walls 324a / 324b and 326a / 326b of the basketed carton, respectively, while the associated riser panels 344a, 344b, 346a, 346b Become part of the central structure of the basket carrier. The blanks are arranged in this manner to provide a compact blank 310 configuration that can be cut into sheet material with minimal waste.

예를 들어 약 19%의 주변 폐기물을 갖는 US6131729호의 도 7에 도시된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현재 설명된 실시예의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310)는 약 2%의 폐기물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주변 폐기물이 3%보다 작다. 주변 폐기물은 블랭크의 극단들에 대해 그려진 개념상의 주변 사각형을 사용하고 그리고 상기 개념상의 사각형의 면적에서 블랭크의 주변이 절단되었다면 폐기되는 재료의 양을 감산하여 측정된 것이다. 이 측정은 주변 내에 있는 웰(well)로부터 절단된 손잡이 플랩들로부터 어떠한 폐기물을 배제하고 있다. 이러한 측정은 다만 US6131729호에서 바닥 패널들(9,12) 및 라이저 패널들(64) 둘레를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유발된 폐기물과 본 발명에서 라이저 패널들(346a, 346b) 둘레를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서만 유발된 폐기물과 비교한 것만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이러한 측정은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를 만드는데 필요한 전체 재료의 양을 잰 것이 아니며, 또한 US6131729호의 블랭크들이 직사각형 이외의 어떤 것으로 테셀레이트된다면 만들어질 수 있었던 폐기물의 양을 잰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측정은 본 발명의 컴팩트한 직사각형 또는 네모진 블랭크가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형상 및 구성을 갖고 그리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중대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Compared with the blank for forming the basket carrier shown in FIG. 7 of US6131729 having, for example, about 19% of the waste, the blank 310 for forming the basket carrier of the presently 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2%. Has a percent waste. In other words, the surrounding waste is less than 3%. Peripheral waste is measured by using the conceptual perimeter rectangle drawn for the extremes of the blank and subtracting the amount of material discarded if the perimeter of the blank is cut from the area of the conceptual rectangle. This measurement excludes any waste from handle flaps cut from a well within the perimeter. This measurement is only made by cutting around the riser panels 346a and 346b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aste caused by cutting around the bottom panels 9 and 12 and riser panels 64 in US6131729. Include only those compared with the waste generated. As such, these measurements do not measure the total amount of material needed to make the finished basket carrier, nor does it measure the amount of waste that could have been produced if the blanks of US6131729 were tessellated to something other than rectangular. Nevertheless, these measurements show that the compact rectangular or square blank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hape and configuration that minimizes waste and provid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to achieve that object.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은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310) 내에서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와 같이 블랭크 형태에서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320,322) 및 단부 패널들(324a,324b,326a,326b)과의 연결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패널(324a)의 상부 에지(357a)는 양호하게도 상기 단부 패널(324a)을 인접한 제1 손잡이 패널(328)로부터 명확하게 분리하는 컷라인 또는 절취선이다. 비록 블랭크(310)가 단부 패널(324a)의 상부 에지와 제1 손잡이 패널(328) 사이의 취약한 연결부(357a)와 함께 형성될 수 있지만, 일단 파손되면, 단부 패널의 상부 에지(357a)는 거칠어지거나 지저분하게 될 수있다. 따라서 명확하며 예리하고 정확한 컷에 의하여 상부 에지(357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단부 패널들(234b,326a,326b)의 상부 에지들(357a,357b)과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320,322)의 상부 에지들(356,354)은 완성된 바스켓 캐리어의 이러한 상부 에지들이 잘 형성되고 구분되며 거칠지 않고 따라서 미적인 만족감을 주도록 명확한 컷라인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re dispos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within the finished basket carrier 310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320, 322 and the end panels 324a in the form of a blank. 324b, 326a, and 326b are preferably freely connected. The upper edge 357a of the end panel 324a is preferably a cut or tear line that clearly separates the end panel 324a from the adjacent first handle panel 328. Although the blank 310 can be formed with a brittle connection 357a between the top edge of the end panel 324a and the first handle panel 328, once broken, the top edge 357a of the end panel is rough. Can be messy or messy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form the upper edge 357a by a clear, sharp and precise cut. Similarly, the upper edges 357a, 357b of the end panels 234b, 326a, 326b and the upper edges 356, 354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320, 322 are such upper edges of the finished basket carrier. They are preferably formed by clear cut lines so that they are well formed, distinct and rough and thus give aesthetic satisfaction.

라이저 패널들(344a, 344b)은 접는선들(362,364)(이들도 역시 상기 라이저 패널들(344a, 344b)을 단부 패널들(324a,324b)에 힌지 또는 접힐 수 있게 연결한다)을 따라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에 힌지 또는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그와 같이 라이저 패널들(344a, 344b)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과 블랭크(310)의 나머지 메인 패널들 사이의 접속을 제공한다. 라이저 패널들(346a, 346b)은 접는선들(366,368)을 따라 단부 패널들(326a,326b)에 힌지된다. 라이저 패널들(344a, 344b)은 갭(350)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대조적으로 라이저 패널들(346a, 346b)은 접는선(352)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다. 블랭크들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개념상의 중앙 라인은 갭(350)으로부터 중간 접는선(347)을 따라 요홈(351)을 지나서 접는선(349)을 따라 연장하고, 접는선(352)에서 끝난다. 선택적으로, 라이저 패널들(346a, 346b)은 바닥 패널 결합 요소들(391a,39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라이저 패널들(346a, 346b)의 훅형 단부들은 제품들이 없을 때에도 캐리어가 수축상태(collapsing)에서 본래의 평면형태로 돌아가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었으면 캐리어의 바닥 벽의 에지와 캐치(catch)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하는 작동을 할 수 있다. Riser panels 344a and 344b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old lines 362 and 364, which also hinge or fold connect the riser panels 344a and 344b to end panels 324a and 324b. The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are hinged or foldable. As such the riser panels 344a, 344b provide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nd the remaining main panels of the blank 310. Riser panels 346a and 346b are hinged to end panels 326a and 326b along fold lines 366 and 368. Riser panels 344a, 344b are separated by a gap 350; In contrast, riser panels 346a and 346b are connected via fold line 352. The conceptual central lin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s extends along the fold line 349 from the gap 350, along the intermediate fold line 347, past the groove 351, and ends at the fold line 352. Optionally, riser panels 346a and 346b may have bottom panel coupling elements 391a and 391b. In this arrangement, the hooked ends of the riser panels 346a and 346b are configured to restrict the carrier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planar shape from collapsing even when no products are present, and catch the edges of the bottom wall of the carrier. Alternatively, the joining can be done in other ways.

또한, 블랭크(310)는 각각 접는선들(380,378)을 따라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에 힌지된 선택적인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을 포함한다.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은 다른 방법으로 블랭크(310)의 나머지와의 연결이 자유롭고 인접한 라이저 패널들(346a, 346b)에 연결되지 않는다. 보강 패널들(336,338)은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블랭크 형태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과 보강 손잡이 패널들(328,330,336,338)을 라이저 패널들(344a, 344b)에 대향한 단부들에서 블랭크(310)의 나머지에 연결하기 위한 몇가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카톤을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관리가능한 소재로서 블랭크(310)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손잡이 패널들(328,330,336,338)이 블랭크(310)의 중간에 배치되는 경우 관심이 덜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하나의 연결 수단은 그들의 단부들 중 하나가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에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 그들의 다른 단부가 매우 미세한 테이퍼진 부분에 의해 각각의 단부 패널들(326a,326b)의 상부 모서리 에지에 연결될 수 있는 닉 부분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었다. 미세한 테이퍼진 부분은 제공될 때, 블랭크(310)가 바스켓 캐리어로 제작된 후 또는 제작 동안에 파손되지만, 블랭크(310)를 평평한 단일 부재로서 기계에 의해 조작 및 취급될 수 있도록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과 단부 패널들(326a,326b) 사이의 연결부를 충분히 길게 유지하고 그리고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이 블랭크(310)의 나머지에 (예를 들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에 접착됨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블랭크의 후속 조작이 블랭크의 나머지와 공통면 정렬에서 벗어나게 되는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에 의하여 방해 또는 저해되지 않는다(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블랭크(310)를 조작하기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The blank 310 also includes optional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338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long the fold lines 380, 378,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and 338 are otherwise free to connect to the rest of the blank 310 and not to adjacent riser panels 346a and 346b. Reinforcement panels 336 and 338 are optional. In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blank,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and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28, 330, 336, 338 are placed on the rest of the blank 310 at the ends opposite to the riser panels 344a, 344b. It may be advantageous to provide several means for connecting. This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blank 310 as a manageable material that can be manipulated to easily fabricate the carton. This is of less interest when handle panels 328, 330, 336, 338 are placed in the middle of blank 310. Nevertheless, one such connecting means may have one of their end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338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end panels 326a, 326b by a tapered portion which is very fine. It could be provided in the form of nicks that could be connected to the upper edge edg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338 so that when the fine tapered portion is provided, the blank 310 is broken after or during fabrication with a basket carrier, the blank 310 can be manipulated and handled by a machine as a single flat member. )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d panels 326a and 326b long enough and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and 338 are glued to the rest of the blank 310 (e.g. to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Can be fixedly connected so that subsequent manipulation of the blank is not hindered or hindered by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338, which will deviate from the coplanar alignment with the rest of the blank (which would otherwise make the blank 310 difficult to manipulate). will be).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 및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은 손잡이 구멍들(340)(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된 배열에서, 선택적인 손잡이 플랩들(332,334)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에 제공되며 접는선들(382,384)을 따라 거기에 힌지되어 있다. 다른 배열들에서, 손잡이 완충 플랩들(332,334)은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단 하나의 플랩이 제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플랩이 제공된다. 플랩들은 제공될 때 다양한 형태들을 가질 수 있고 도시된 것과 다른 차원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and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36 and 338 include handle holes 340 (as known in the art). In this illustrated arrangement, optional handle flaps 332 and 334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and are hinged there along the fold lines 382 and 384. In other arrangements, the handle buffer flaps 332 and 334 are not provided or only one flap is provided or two or more flaps are provided. The flaps may have various shapes when provided and may have a different dimension and size than shown.

위치결정 구조물은 외부쉘 블랭크(310)에 고정될 때 인서트 구조물(312a/312b)의 정확한 위치결정 및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보강 패널들(336,338)과 인접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 사이의 힌지식 연결은, 보강 패널들(328,330)이 연결용 접는선들(380,378)에 대하여 접히며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과 중첩되어 배치될 때, 접는선(380/378)과 쇼울더부(383) 및 직선형 컷라인/접는선(381/395)에 의하여 노치가 형성되도록 하는 그러한 형상이 된다. 이것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인서트 구조물(312a/312b)의 일정형상의 노치들(508a,508b)를 참고하여 캐리어의 제작에 대한 설명에서 이하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Positioning structures are provided to ensure accurate positioning and alignment of the insert structures 312a / 312b when secured to the outer shell blank 310. In this arrangement, the hinged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ement panels 336 and 338 and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is such that the reinforcement panels 328 and 330 are folded against the fold lines 380 and 378 for connection. And such a shape that, when overlapped with the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 notch is formed by the fold line 380/378 and the shoulder portion 383 and the straight cutline / fold line 381/395. Becomes This is further described below in the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e of the carrier with reference to the shaped notches 508a and 508b of the insert structure 312a / 312b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연결 탭들(393)은 일단 캐리어가 제작되었으면 외부쉘에 대한 인서트의 슬라이딩 또는 이동의 가능성을 제한하기 위해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및 외부쉘을 함께 로크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일 연결 탭(393)은 제2 손잡이 패널(330)에 접는선(395)을 따라 힌지되어 있다. 연결 탭(393)은 다른 방법으로 보강 손잡이 패널(338)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었던 재료로 제작되어 있다. 유사한 연결 탭이 제1 손잡이 패널(328)에 힌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스켓 캐리어의 구성부분들 사이에 추가의 로킹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 기구들이 예상되어 있으며, 예시된 연결 탭의 사이즈, 방향, 형상, 구성, 수 및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One or more optional connecting tabs 393 are provided to lock the insert shell structure and outer shell together to limit the possibility of sliding or moving the insert relative to the outer shell once the carrier has been fabricat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ingle connection tab 393 is hinged along the fold line 395 to the second handle panel 330. The connecting tab 393 is made of the material that was used to form the reinforcing handle panel 338 in another way. Similar connection tabs may be provided to hinge on the first handle panel 328. Various alternative mechanisms are envisioned to provide additional locking connec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basket carrier, and the size, orientation, shape, configuration, number and location of the illustrated connection tabs are not limited.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가 도 18a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된 배열에서,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는 외부 셀 블랭크(310)에 비하여 저 캘리퍼(low calliper)의 다른 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인서트 블랭크는 한 측면에 인쇄하기 위해 블리치 피시닝(bleach finishing) 및 코팅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제곱미터당 저 중량의 판지로 제조된다.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는 다른 접힘가능한 시트재, 카드 보드, 플라스틱, 제지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캘리퍼를 가질 수 있고 외부 블랭크와 동일하거나 다른 품질을 가질 수 있는 복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쉘 블랭크(310)는 코팅된 크래프트 판지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인서트 블랭크(312)는 외부쉘 블랭크(310)보다 낮은 캘리퍼를 갖는 재생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는 외부쉘 블랭크(31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블랭크들은 모두 판지, 카드 보드, 플라스틱 재료 등과 같은 어떠한 접힘가능한 시트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A septum insert blank 312 is shown in FIG. 18A. In this illustrated arrangement,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 is made of a low calliper other material as compared to the outer cell blank 310. Insert blanks are made of low weight cardboard per square meter that may or may not be bleach finished and coated to print on one side.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 may be made of another foldable sheet material, card board, plastic, paper or a composite that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calipers and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quality as the outer blank, for example The outer shell blank 310 may be formed of coated kraft cardboard, while the insert blank 312 may be formed of recycled cardboard having a lower caliper than the outer shell blank 310. In other embodiments,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blank 310. However, the blanks may all be formed of any foldable sheet material, such as cardboard, card board,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는 제1 바닥 패널(386a)에 접는선(506)을 따라 힌지된 접착 플랩(487)을 포함한다. 바닥 패널(386a)은 측면 패널 보강재(388a)에 접는선(406a)을 따라 힌지된다. 측면 패널 보강재(388a)는 간막이 구조물에 의하여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a)에 커플링되어 있다. 유사하게,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b)은 제2 간막이 구조물을 통해 측면 패널 보강재(388b)에 커플링되고, 이 측면 패널 보강재(388b)는 접는선(406b)을 따라 제2 바닥 패널(386b)에 힌지되어 있다.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 includes an adhesive flap 487 hinged along the fold line 506 to the first bottom panel 386a. Bottom panel 386a is hinged along fold line 406a to side panel reinforcement 388a. Side panel reinforcement 388a is coupled to insert handle panel 402a by a partition structure. Similarly, insert handle panel 402b is coupled to side panel reinforcement 388b through a second encapsulation structure, which side panel reinforcement 388b is connected to second bottom panel 386b along fold line 406b. It is hinged.

제1 및 제2 간막이 구조물들 또는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390a,390b,392a,392b)은, 접는선들(396a,398a,400a,396a,398b,400b)을 따라 블랭크(312)에 힌지된 측방향 간막이 접착 플랩들(394a,394b)에 의하여 메인 바스켓 캐리어의 제1 또는 제2 측면벽 패널(320,322)의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바닥 패널들(386a,386b)은 각각 (접는선들(406a,406b)을 따라)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에 힌지되거나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음에 상기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은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392a,392b) 중 하나를 통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에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 패널들(402a,402b)은 손잡이 구멍들(340)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손잡이 완충 플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은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과 유사한 사이즈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을 완전히 보강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structures or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390a, 390b, 392a, 392b are sides hinged to the blank 312 along the fold lines 396a, 398a, 400a, 396a, 398b, 400b. Aroma barriers may be attached to one of the first or second sidewall panels 320, 322 of the main basket carrier by adhesive flaps 394a, 394b. The bottom panels 386a and 386b are hinged or foldably connected to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along the fold lines 406a and 406b), respectively, and then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Is connected to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through one of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 adhesive flaps 392a and 392b. Handle panels 402a and 402b include handle holes 340 and may include handle buffer flaps in other embodiments. Alternatively,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402b may not have a similar size as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 328,330 may not be fully reinforced.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의 대안 실시예가 도 18b에 도시되고, 여기서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은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394a,394b)에 의하여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에 추가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2개의 대안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312a)는 동일하고, 바스켓 캐리어 및 그 제작은 블랭크들 중 제1 블랭크만을 참고하여 충분히 설명 및 예시되며, 하나가 도 18a에 도시되어 있다.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a is shown in FIG. 18B, wherein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are inserted into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by the lateral diaphragm bonding adhesive flaps 394a and 394b. Is further connected to Alternatively, the two alternative diaphragm insert blanks 312 and 312a are identical, and the basket carrier and its fabrication are fully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ference only to the first blank of the blanks,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18A.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390a,390b,392a,392b) 및 측방향 간막이 접착 플랩들(394a,394b)의 형상, 사이즈, 수 및 특정한 구성은 모두 예시할 수 없이 많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성들은 바스켓형 캐리어를 분할하는데 필요한 셀들의 수; 캐리어의 사이즈 및 기타 설계 필요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간막이 구조물들의 제공은 실제로 선택적으로, 바스켓형 캐리어가 병들에 종종 사용되어 간막이 구조물들이 병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병들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간막이 구조물들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과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 사이의 블랭크(312)의 섹션은 접착 플랩, 접힘부 또는 간막이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7의 외부쉘 블랭크(310)와 관련하여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블랭크(312a)는 단지 바닥벽만을 단순하게 포함하고 고정 패널들을 단순하게 포함할 수 있다. The shape, size, number, and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ateral diaphragm structures 390a, 390b, 392a, 392b and the lateral diaphragm adhesive flaps 394a, 394b can all have many and varying shapes. The configurations include the number of cells needed to partition the basketed carrier; It will depend on the size of the carrier and other design requirements. Provision of a capsular structure is actually desirable because, optionally, a basket-shaped carrier is often used in bottles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the bottles where the capsular structures can prevent damage to the bottles. If no partition structures are needed, the section of the blank 312 between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and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may not include an adhesive flap, a fold or a partition element. . In still other embodiments, the second blank 312a for forming the basket carrier with respect to the outer shell blank 310 of FIG. 17 may simply include only the bottom wall and may simply include the securing panels.

이제 도 17의 외부쉘 블랭크(310)와 도 18a의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312a)로부터 바스켓형 캐리어의 제작으로 돌아가서, 카톤 또는 캐리어가 직선 기계에서 일련의 연속적 접힘 동작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어서 블랭크들(310,312) 및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바스켓형 캐리어의 제작을 완성하도록 회전 또는 역전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예상한다. 접힘 순서 및 사용된 접착제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작 프로세스는 아래에 설명된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특별한 제작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Now returning to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from the outer shell blank 310 of FIG. 17 and the insert diaphragm of FIG. 18a, the carton or carrier can be formed by a series of successive folding operations in a straight machine such that the blanks It is anticipated that the 310,312 and partially-formed blanks do not need to be rotated or reversed to complete the fabrication of the basketed carrier. The fabrication process, including the folding order and the locations of the adhesives used,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particular fabrication conditions.

도 18a의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는 외부쉘 블랭크(310)에 부착될 것이다. 이러한 부착의 용이함을 위해서, 접착제가 영역들(G31,G32,G33)에서 외부쉘 블랭크(310)에 도포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adhesive), 글루(glue) 또는 기타 부착 수단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을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에 고정시키기 위해 영역(G31)에 도포된다. 접착제, 글루 또는 기타 부착 수단이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을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0,322)의 내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영역(G32)에 도포되고; 접착제, 글루 또는 기타 부착 수단이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394a,394b)을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0,322)에 고정시키기 위해 영역(G33)에 도포된다. 도 18a의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는 외부쉘 블랭크(310)의 내측면(인쇄되지 않는 면)에 배치된다. 블랭크들을 제조하는 재료가 완성 제품에서 최외측으로 나타나야 하는 "좋은 면"과, 최내측으로 나타나야 하는 "좋지 않은 면"을 가지면, 그때 도 20은 그 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대면하는 "좋지 않은 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는 바닥 패널들(386a,386b)의 "좋지 않은 면들"이 최외측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그와 같이 외부쉘 블랭크(310)와 평평한 면접촉으로 배치되는 것은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의 나머지의 "좋은 면"이다.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가 일단 외부쉘 블랭크(310)와 평평한 면접촉되고 정렬되고 고정되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은 각각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28,330)에 고정되고; 측면 패널 보강재들(388a,388b)이 각각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320,322)의 내측면들에 고정되고;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394a,394b)이 각각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320,322)에 고정된다. 도 20은 결합이 완료된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312a) 및 외부쉘 블랭크(3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a of FIG. 18A will be attached to the outer shell blank 310. For ease of this attachment,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hell blank 310 in regions G31, G32, G33. As shown in FIG. 19, an adhesive, glu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used to secure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402b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330, respectively. G31). Adhesive, glu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applied to the area G32 to secure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0 and 322, respectively; An adhesive, glue or other attachment means is applied to the area G33 to secure the capsular structure adhesive flaps 394a and 394b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0 and 322, respectively.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a of FIG. 18A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non-printing side) of the outer shell blank 310. If the material from which the blanks are made has a "good side" that should appear outermost in the finished product and a "bad side" that should appear innermost, then Figure 20 shows a "bad side" facing the adhesive applied to its sides. Should be regarded as showing.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 is arranged such that the "bad sides" of the bottom panels 386a and 386b face the outermost side. As such, the planar contact with the outer shell blank 310 is the "good side" of the rest of the insert blank 312a. Once the diaphragm insert blank 312a is flat surface contacted, aligned and secured with the outer shell blank 310,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are secured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28 and 330, respectively; Side panel reinforcements 388a and 388b are secured to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320 and 322, respectively; Lateral diaphragm structure adhesive flaps 394a and 394b are secur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320 and 322, respectively. FIG. 20 shows a top view of the combined mesothelial insert blank 312a and the outer shell blank 310.

또한, 도 20에는 접착제(G34)의 도포를 위한 공칭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은 각각의 보강 손잡이 패널(336,338)을 인접한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a,402b)(따라서 제1 및 제2 손잡이 패널들(330,332)에 직접)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보강 손잡이 패널(336,338)은 그 접는선(380,378) 에 대하여 접히고, 그 내측면은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a,402b)의 면("좋지 않은 면")과 평평한 면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Also shown in FIG. 20 is a nominal position for the application of adhesive G34. This adhesive or other fastening means is used to attach each reinforcing handle panel 336, 338 to adjacent insert handle panels 402a, 402b (and thus directly to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anels 330, 332).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336 and 338 are folded about their fold lines 380 and 378 and their inner surfaces are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the faces (“bad side”) of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The resulting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FIG. 21.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형태부(feature) 또는 간막이 구조물 인서트 블랭크(312a)의 제2 노치형 요홈들(508a,508b)은 접는선들(380/378) 및 각진 쇼울더부들(383)에 의하여 형성된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로크와 정합하기 위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치형 요홈들(508a,508b) 및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로크가 마름모꼴인 반면, 다른 정합 또는 메이팅 형상들이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사용될 것이며, 도시된 위치결정 형태부의 특정한 디자인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형태부의 목적은 외부쉘 블랭크(310)의 정확한 위치에 간막이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312a)에 배치하기 위한 것과, 두 부분의 오정렬을 방지하기 위해 두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노치 구조는 인서트 블랭크(312a)가 라이저 패널들(346a,346b)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2개의 거울상의 노치 배열의 존재는 외부쉘(310)의 평면에서 인서트 구조물(312a)의 회전을 방지한다(즉, 바닥 패널(386b)이 라이저 패널(346b)을 향해 또는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이 일정 형상의 노치들(508a,508b)과 쇼울더들(383)과의 접촉 때문에 방지된다). 경사진 쇼울더들(383)(실질적으로 개념상의 중간 라인상에 수렴하도록 경사진)이 거울상으로 제공되어 인서트 블랭크(312a)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평면상 회전을 방지한다. The second notched grooves 508a and 508b of the positioning structure engagement feature or partition structure insert blank 312a are formed by the fold lines 380/378 and the angled shoulder portions 383.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size and shape for mating with a locking lock. While notched recesses 508a and 508b and the positioning structure engagement lock are lozenges, other mating or mating shapes will be used to achieve the same func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esign of the positioning features shown. The purpose of the positioning structure coupling feature is to place the membrane into the insert structure blank 312a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outer shell blank 310 and to limit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wo to prevent misalignment of the two parts. In particular, the notch structure prevents the insert blank 312a from moving towards the riser panels 346a and 346b, and the presence of the two mirrored notch arrangements of the insert structure 312a in the plane of the outer shell 310. Prevent rotation (i.e., rotation of bottom panel 386b towards or away from riser panel 346b is prevented due to contact of shaped notches 508a, 508b and shoulders 383). Inclined shoulders 383 (inclined to substantially converge on a conceptual middle line) are provided mirror-like to prevent in-plane rotation of the insert blank 312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또한, 도 21에는 접착제(G35)의 배치를 위한 공칭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G35) 또는 다른 고정 또는 정착 수단은 라이저 패널들(344a,344b)을 인접한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a,402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라이저 패널들(344a,344b)은 이어서 복합 단부벽을 형성하기 위해 단부 패널들(324a,324b)을 결합하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이 단계에서 접착 영역(G5)이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을 지나서 연장하지 않아야 하며, 라이저 패널들(344a,344b)이 단부 패널들(324a,324b)의 내측면에 직접 부착되지 않아야 한다. 접착 영역(G35)은 이전에 도시된 접착 라인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련의 대략 평행한 라인들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기계에서 블랭크의 터닝이 회피되며, 블랭크들(310,312a)이 기계의 컨베이어들을 따라 이동하며 접착제 건(glue gun)들을 지나갈 때 접착제 건들이 블랭크들(310,312a)에 작용할 수 있다. Also shown in FIG. 21 is a nominal position for the placement of adhesive G35. This adhesive G35 or other fastening or fixing means is used to attach the riser panels 344a and 344b to adjacent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Riser panels 344a and 344b are then used to join the end panels 324a and 324b to form a composite end wall, so that adhesive region G5 at this stage is used to insert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It should not extend past, and riser panels 344a and 344b should not be direct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end panels 324a and 324b. The adhesive area G35 is shown as a series of approximately parallel lin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viously shown adhesive lines, so that turning of the blank in the machine is avoided, and the blanks 310 and 312a are conveyed to the machine's conveyor. The glue guns may act on the blanks 310, 312a as they move along the grass and pass through the glue guns.

또한, 도 21에는 접착제(G36)의 배치를 위한 공칭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제(G36) 또는 다른 고정 또는 정착 수단은 각각의 라이저 패널들(346a,346b)을 인접한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a,402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Also shown in FIG. 21 is a nominal position for the placement of adhesive G36. This adhesive G36 or other fastening or fixing means is used to attach the respective riser panels 346a and 346b to the adjacent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라이저 패널들(344a,344b)은 상기 라이저 패널들(344a,344b)이 단부 패널들(324a,324b)과 평평한 면접촉하게 배치되며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에 고정될 때까지 접는선들(362,364)에 대하여 접힌다. 유사하게, 라이저 패널들(346a,346b)은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402b)과 평평한 면접촉 관계로 접힌다. 이것은 단부 패널들(326a,326b) 및 라이저 패널들(346a,346b)을 접는선들(374,376)에 대하여 접음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Riser panels 344a and 344b are folded lines until the riser panels 344a and 344b are placed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end panels 324a and 324b and secured to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Folded about (362,364). Similarly, riser panels 346a and 346b are folded in flat surface contact with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for attachment to insert handle panels 402a and 402b. This is accomplished by folding the end panels 326a and 326b and the riser panels 346a and 346b about the fold lines 374 and 376. The resulting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FIG. 22.

또한, 도 22에는 연결 탭(393)을 라이저 패널(346b) 및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b)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착제(G37)의 배치를 위한 공칭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탭은, 일단 제위치에 고정되면, 외부 손잡이 패널(330),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b), 보강 손잡이 패널(338) 및 라이저 패널(346b)을 다 함께 로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탭(393)은 선택적이다. 그 결과로 부분-형성된 블랭크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Also shown in FIG. 22 is a nominal position for placement of adhesive G37 used to attach connection tab 393 to riser panel 346b and insert handle panel 402b. The connection tab, once locked in place, serves to lock the outer handle panel 330, the insert handle panel 402b,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 338 and the riser panel 346b together. The connection tab 393 is optional. As a result, the partially-formed blank is shown in FIG. 23.

예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탭(393)은 이것을 손잡이 패널(330)에 연결시키는 힌지선(395)에 대하여 약 90°로 배치된 제2 힌지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힌지선은 선택적이지만, 연결 탭(393)이 후미(trailling) 부재를 갖도록 그러한 형상(예시된 바와 같은 둥근 마름모꼴)이 될 때 필요하게 된다. 바스켓 캐리어의 제작 중에, 컷라인에 의하여 인접한 보강 패널(338)로부터 분리되는 후미 부재는 단부 패널(326b) 아래에 배치되게 된다(도 22 참조). 다음에, 연결 탭(393)이 힌지선(395)에 대하여 접힐 때, 후미 부재도 마찬가지로 이동되어 라이저 패널(346b)의 상단에 재배치된다(도 23 참조). 제2 힌지선은 특히 후미 부재의 연결 탭(393)을 재배치하는 것을 도와준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tab 393 includes a second hinge line disposed about 90 ° with respect to the hinge line 395 connecting it to the handle panel 330. The second hinge line is optional, but is necessary when the connecting tab 393 is such a shape (round lozenge as illustrated) to have a trailing member. During fabrication of the basket carrier, the trailing member separated from the adjacent reinforcement panel 338 by the cutline will be placed under the end panel 326b (see FIG. 22). Next, when the connecting tab 393 is folded about the hinge line 395, the trailing member is similarly moved and rearranged on the top of the riser panel 346b (see FIG. 23). The second hinge line in particular helps to relocate the connecting tab 393 of the trailing member.

또한, 도 23에는 접착제(G38)의 배치를 위한 공칭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G38)는 접는선(506) 주위에 접힘으로써 바닥 패널(386a)과 중첩 관계로 배치되면 접착 플랩(487) 위에 접힌 채로 배치된다. 접착제(G38)는 바닥 패널(386a,386b)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접착제(G39)는 블랭크의 좌측면을 블랭크의 우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접착 영역들(G39)은 보강 손잡이 패널(336)을 보강 손잡이 패널(338)에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저 패널(344a)의 상단을 라이저 패널(344b)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라이저 패널(346a)의 상단을 라이저 패널(346b)의 상단에 (및 연결 탭(393)에)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고 끝으로,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390a,392a) 사이에 놓여있는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블랭크(312a)의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a)의 부분들을,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390b,392b) 사이에 놓여있는 인서트 간막이 구조물 블랭크(312a)의 인서트 손잡이 패널들(402b)의 부분들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된 부분들은 복합 손잡이 패널들(336/328/402a 및 338/330/402b)과 함께 중간 간막이 구조물의 부분을 형성한다. 중간 간막이 구조물은 바스켓 캐리어를 2개의 길이방향 섹션으로 분할한다. 최종 접는 단계는 블랭크의 우측면을 접는선들(50,52)에 대하여 접음으로써 완료된다. 완료되었지만 평면형(flat-form)의 접착된 블랭크(311)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Also shown in FIG. 23 is a nominal position for placement of adhesive G38. The adhesive G38 is folded around the fold line 506 to be folded over the adhesive flap 487 when placed in an overlapping relationship with the bottom panel 386a. Adhesive G38 is provided to secure the bottom panels 386a and 386b together. Adhesive G39 is provided to secure the left side of the blank to the right side of the blank. In particular, the adhesive regions G39 may be used to secure the reinforcing handle panel 336 to the reinforcing handle panel 338; To secure the top of riser panel 344a to the top of riser panel 344b; To secure the top of riser panel 346a to the top of riser panel 346b (and to connecting tab 393); And finally, between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390b and 392b the portions of the insert handle panels 402a of the insert partition structure blank 312a that lie between the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390a and 392a. An insert diaphragm is disposed to secure to portions of the insert handle panels 402b of the structure blank 312a. These fixed portions, together with the composite handle panels 336/328 / 402a and 338/330 / 402b, form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structure. The middle partition structure divides the basket carrier into two longitudinal sections. The final folding step is completed by folding the right side of the blank against the fold lines 50, 52. A completed but flat-form bonded blank 311 is shown in FIG. 24.

도 24의 블랭크를 카톤으로 열기 위해, 바닥 패널들(386a,386b)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단부 패널들(326a,326b)은 공통평면 관계로 접히고; 내부 구조물이 카톤을 개봉한 결과로서 제위치로 "팝(pop)"되어서 6-셀형 바스켓 캐리어가 형성된다. (적어도 카톤이 비어 있을 때) 라이저 패널들(346a,346b)의 바닥에 있는 훅형 부분(391a,391b)을 이용하고 그리고 이것을 바닥 패널(386a/386b)의 상보적인 훅형 에지에 배치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개봉되어 조립된 바스켓 캐리어(410)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To open the blank of FIG. 24 into a carton, the bottom panels 386a and 386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nd panels 326a and 326b are folded in a common plane relationship; The inner structure "pops" into place as a result of opening the carton to form a six-cell basket carrier. It would be useful to use the hooked portions 391a and 391b at the bottom of the riser panels 346a and 346b (at least when the carton is empty) and place them on the complementary hooked edges of the bottom panels 386a and 386b. Can be. The basket carrier 410 thus formed and opened and assembled is shown in FIG. 25.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패널들 및 손잡이 구멍들의 사이즈 및 형상이 다른 사이즈 또는 형상의 제품들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측면벽들의 위치결정은 필요한 블랭크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며 외부쉘 블랭크의 길이 및 폭의 비율을 소형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블랭크들의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네스팅 및 테셀레이션을 촉진하는 주변 형상들을 갖는 컴팩트 블랭크들의 사용은, 현재 이용가능한 블랭크들에서 폐기되는 재료에 기여하는 블랭크의 이상한 형상의 돌출부를 만들지 않는, 바스켓 캐리어의 바닥벽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 패널들 및/또는 간막이 구조물에 의해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달성된다. 이상한 형상의 돌출부를 만들지 않는 바닥 패널들에서의 이러한 이점은 개별 블랭크에 의해 제공되는 바닥 구조물에 의해 달성되지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여전히 측벽들의 위치 때문에 더욱 컴팩트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 단일 블랭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appreciated, for example,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panels and handle holes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products of different sizes or shapes. The positioning of the side walls reduces the overall length of the blank required and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ratio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uter shell blank small. The use of compact blanks with peripheral shapes that promote practical and effective nesting and tessellation of the blanks does not create an oddly shaped protrusion of the blank that contributes to the material that is discarded in the currently available blanks. Floor panels and / or partitions for forming are achieved to at least to some extent by the structure. This advantage in floor panels that do not create an unusually shaped protrusion is achieved by the floor structure provided by the individual blanks, but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blank has the advantage of still being more compact due to the location of the side walls. It can be expected that can be used.

다양하게 설명된 형태부들이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블랭크형으로 일정한 구성을 갖는 바스켓형 캐리어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는 반면, 연결 탭(393) 및/또는 위치결정 구조물(508a/508b; 383)이 패키징 분야에 있는 다른 영역들에서 유리하게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부들의 보호 범위는 여기에 예시된 특정한 바스켓 캐리어의 문맥으로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While the various described forms are described in terms of a basket-shaped carrier which is formed in two parts and has a constant configuration in a blank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tabs 393 and / or the positioning structures 508a / 508b; 383 are packaged. It may be advantageously employed in other areas of the art,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se for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xt of the particular basket carrier illustrated here.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단," "바닥," "전방," "후방," "단부," "측면," "내부," "외부,"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들은 각각의 패널들에 대해 그러한 배향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단순히 이러한 패널들을 서로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 연결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반드시 단일 접는선만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실제로 힌지 연결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짧은 슬릿(short slit), 파단가능선(frangible line), 접힘선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예상해야 한다. As used herein, directionality such as "top," "bottom," "front," "rear," "end," "side," "inside," "outer," "top," and "bottom", and the like. The terms are not limited to such orientation for each panel, but merely serve to distinguish these panels from each other. Any reference to hinged connections should not necessarily be construed as referring to a single fold line; Indeed, it should be envisioned that the hinge connection may be formed by one or more of short slit, frangible lines, and fold lin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부쉘 블랭크
12, 12a: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 및 대안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
20, 120: 제1 측면 패널
22, 122: 제2 측면 패널
24a, 124a: 단부 패널
24b, 124b: 단부 패널
26a, 126a: 단부 패널
26b, 126b: 단부 패널
28, 128: 제1 손잡이 패널
30, 130: 제2 손잡이 패널
32, 132: 손잡이 플랩
34, 134: 손잡이 플랩
36, 136: 보강 손잡이 패널
38, 138: 보강 손잡이 패널
40, 140: 손잡이 구멍
44a, 44b, 46a, 46b, 144a, 144b, 146a, 146b: 라이저 패널
48, 148: 분리 라인/바닥 컷라인
50, 52, 150, 152: 라이저 힌지선
54, 56, 154, 156: 상부 컷라인
57a, 57b, 157a, 157b: 단부 패널의 상부에지
58, 60, 158, 160, 162, 164, 166, 168: 닉 부분
62, 64, 66, 68: 라이저 접는선
70, 72, 74, 76, 170, 172, 174, 176: 측면/단부 패널 접는선
78, 80, 178, 180: 손잡이 접는선
82, 84, 182, 184: 손잡이 플랩 접는선
86a, 86b, 186a, 186b: 바닥 패널들
88a, 88b: 측면 패널 보강재
90a, 90b, 92a, 92b, 190a, 190b, 192a, 192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
94a,94b, 194a, 194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
96a, 96b, 98a, 98b, 100a, 100b, 196a, 196b, 198a, 198b, 200a, 200b: 측방향 간막이 접는선들
102a, 102b: 인서트 손잡이 패널
104a, 106a, 106b, 204, 206a, 206b: 바닥 패널 접는선
110: 3-피스의 외부쉘 블랭크
112: 3-피스의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
113: 3-피스의 바닥 패널 인서트
187a, 187b: 바닥 패널 접착 플랩들
188a, 188b: 측면 패널 보강재들을 갖는 손잡이 인서트 패널
206: 접는선
210: 바스켓 캐리어
310: 외부쉘 블랭크
312, 312a: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도 18a) 및 대안 간막이 인서트 블랭크(도 18b)
320: 제1 측면 패널
322: 제2 측면 패널
326b, 326a, 324a, 324b: 단부 패널
328: 제1 손잡이 패널
330: 제2 손잡이 패널
336, 338: 보강 손잡이 패널
332, 334: 손잡이 플랩
340: 손잡이 구멍
344a, 344b, 346a, 346b: 라이저 패널
347: 외부쉘 블랭크의 중간 힌지선
350: 라이저 갭
354, 356: 상부 컷라인
357a, 357b: 단부 패널의 상부 에지
362, 364, 366, 368: 라이저 접는선
370, 372, 374, 376: 측면/단부 패널 접는선
378, 380: 손잡이 접는선
381: 위치결정 구조물 컷라인
382, 384: 손잡이 플랩 접는선
383: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형태부(제1 노치)
386a, 386b: 바닥 패널들
388a, 388b: 측면 패널 보강재들
390a, 390b, 392a, 392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들
391a, 391b: 베이스 패널용 결합부
393: 연결 탭
394a, 394b: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
395: 연결탭용 접는선
396a, 396b, 398a, 398b, 400a, 400b: 측방향 간막이 접는선들
402a, 402b: 인서트 손잡이 패널
406a, 406b: 베이스 패널과 측면 패널 보강재 사이의 접는선
410: 바스켓 캐리어
487: 바닥 패널 접착 플랩
506: 바닥 패널 접는선
508a, 508b: 위치결정 구조물 결합 형태부(제2 노치)
510: 인서트 구조물의 중간 힌지선
511: 길다란 구멍
G1: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2: 측면 패널 보강재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 측방향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4: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손잡이 패널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5: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측면 패널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6: 라이저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손잡이 패널 및 단부 패널들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7: 우측면의 유사한 형태부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좌측면 보강 손잡이 패널, 라이저 패널 손잡이 인서트 패널 및 측면 패널 보강재에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8: 바닥 패널 블랭크(113)를 외부쉘 블랭크(110)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1: 인서트 손잡이 패널을 외부쉘 블랭크의 손잡이 패널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2: 인서트 구조물 블랭크의 측면 보강 패널들을 외부쉘 블랭크의 측면 패널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3: 간막이 구조물 접착 플랩들을 외부쉘 블랭크의 측면 패널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4: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인서트 손잡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손잡이 패널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5: 라이저 패널들(346a,346b)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 에 고정하기 위해 보강 손잡이 패널들(336,338)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6: 보강 손잡이 패널들을 인서트 손잡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손잡이 패널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7: 연결 탭(393)을 라이저 패널(346b) 및 인서트 손잡이 패널(402b)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G38: 바닥 패널들을 다 함께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영역
10: outer shell blank
12, 12a: partition insert blanks and alternative partition insert blanks
20, 120: first side panel
22, 122: second side panel
24a, 124a: end panel
24b, 124b: end panel
26a, 126a: end panel
26b, 126b: end panel
28, 128: first handle panel
30, 130: second handle panel
32, 132: handle flap
34, 134: handle flap
36, 136: reinforcement handle panel
38, 138: reinforcement handle panel
40, 140: handle hole
44a, 44b, 46a, 46b, 144a, 144b, 146a, 146b: riser panel
48, 148: separation line / bottom cutline
50, 52, 150, 152: riser hinge line
54, 56, 154, 156: upper cutline
57a, 57b, 157a, 157b: upper edge of end panel
58, 60, 158, 160, 162, 164, 166, 168: nick part
62, 64, 66, 68: riser fold line
70, 72, 74, 76, 170, 172, 174, 176: side / end panel crease
78, 80, 178, 180: handle crease
82, 84, 182, 184: handle flap fold line
86a, 86b, 186a, 186b: floor panels
88a, 88b: side panel reinforcement
90a, 90b, 92a, 92b, 190a, 190b, 192a, 192b: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94a, 94b, 194a, 194b: lateral partition structure adhesive flaps
96a, 96b, 98a, 98b, 100a, 100b, 196a, 196b, 198a, 198b, 200a, 200b: lateral diaphragm fold lines
102a, 102b: insert handle panel
104a, 106a, 106b, 204, 206a, 206b: bottom panel fold line
110: 3-piece outer shell blank
112: 3-piece diaphragm insert blank
113: 3-piece bottom panel insert
187a, 187b: bottom panel adhesive flaps
188a, 188b: handle insert panel with side panel reinforcements
206: crease
210: basket carrier
310: outer shell blank
312, 312a: Diaphragm insert blank (FIG. 18A) and alternative diaphragm insert blank (FIG. 18B)
320: first side panel
322: second side panel
326b, 326a, 324a, 324b: end panel
328: first handle panel
330: second handle panel
336, 338: reinforcement handle panel
332, 334: handle flap
340 handle hole
344a, 344b, 346a, 346b: riser panel
347: middle hinge line of outer shell blank
350: riser gap
354, 356: top cutline
357a, 357b: top edge of end panel
362, 364, 366, 368: riser fold line
370, 372, 374, 376: side / end panel crease
378, 380: handle fold line
381: Positioning structure cutline
382, 384: handle flap fold line
383: Positioning structure coupling form (first notch)
386a, 386b: floor panels
388a, 388b: side panel reinforcements
390a, 390b, 392a, 392b: lateral partition structures
391a, 391b: coupling for base panel
393: Connection tab
394a, 394b: lateral partition structure adhesive flaps
395: Crease for connecting tab
396a, 396b, 398a, 398b, 400a, 400b: lateral diaphragm fold lines
402a, 402b: insert handle panel
406a, 406b: crease between base panel and side panel stiffener
410: basket carrier
487: bottom panel adhesive flap
506: bottom panel crease
508a, 508b: positioning structure engagement form (second notch)
510: middle hinge line of insert structure
511: long hole
G1: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to secure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G2: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to secure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G3: Area in which the lateral diaphragm can be applied adhesive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to secure the structure adhesive flaps
G4: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insert handle panels to secure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G5: area in which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to secure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G6: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insert handle panel and end panels to secure the riser panel
G7: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left side reinforcement handle panel, riser panel handle insert panel and side panel reinforcement to secure to similar features on the right side
G8: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secure bottom panel blank 113 to outer shell blank 110
G31: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secure the insert handle panel to the handle panels of the outer shell blank.
G32: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secure the side reinforcement panels of the insert structure blank to the side panels of the outer shell blank
G33: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secure the interlayer structure adhesive flaps to the side panels of the outer shell blank.
G34: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insert handle panel to secure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to the insert handle panel.
G35: area in which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338 to secure to the riser panels 346a, 346b reinforcing handle panels 336, 338.
G36: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insert handle panels to secure the reinforcement handle panels to the insert handle panels.
G37: Area where adhesive may be applied to secure the connection tab 393 to the riser panel 346b and the insert handle panel 402b.
G38: Area where adhesive can be applied to fix the floor panels together

Claims (12)

바스켓형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별개의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를 포함하는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상기 바스켓형 캐리어의 측면들, 단부들 및 중간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바스켓형 캐리어의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는, 결합체.
A combination comprising a separate first blank and a second blank for forming a basket-shaped carrier,
Wherein the first blank includes panels for forming sides, ends and intermediate handles of the basket-shaped carrier, and the second blank includes panels for forming a base of the basket-shaped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의 패널들은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제1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제1 라이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의 패널들은 바닥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간막이 패널을 포함하는, 결합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anels of the first blank comprise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first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and a pair of first riser panels, wherein the panels of the second blank comprise at least a bottom panel and at least An assembly comprising one membrane pan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의 손잡이 패널들은 제1 블랭크의 개념상의 중심축으로서 작용하기 위한 중간 힌지선에 의하여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힌지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패널들은 각각 상기 제1 단부 패널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단부 패널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단부 패널들은 각각 제1 라이저 패널들에 힌지되고, 상기 손잡이 패널들이 각각 제1 단부 패널에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제1 라이저 패널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블랭크는 각각 상기 측면 패널들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2 단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패널들은 각각 한 쌍의 제2 라이저 패널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패널들의 최외측 에지들은 상기 블랭크의 어떤 다른 패널에 대해 어떠한 직접적 힌지식 연결이 자유로우며 이에 따라 상기 블랭크의 에지를 한정하는 컷 에지들인, 결합체.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dle panels of the first blank are hinged together along a common edge by an intermediate hinge line for acting as a conceptual central axis of the first blank, wherein the handle panels are each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d panels. Separate from the first end panels, the first end panels each being hinged to first riser panels and connected to the first riser panels such that the handle panels are each coupled indirectly to the first end panel; And the first blank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econd end panels hingedly connected to the side panels, respectively, wherein the second end panels are hingedly connected to a pair of second riser panels, respectively. The outermost edges of the side panels are free of any direct hinged connection to any other panel of the blank and thus the block Which are cut edge that defines the edge of the large, conjugates.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의 패널들은 사각형 시트재로부터 상기 제1 블랭크의 절단이 상기 제1 블랭크의 주변에 대하여 3% 미만의 폐기물을 유발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결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panels of the first blank are arranged such that the cutting of the first blank from rectangular sheet material causes less than 3% waste relative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blank.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바닥 패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보강 패널, 간막이 패널 및 라이저 패널을 포함하는 일련의 메인 패널들을 포함하는 바스켓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메인 패널들은, 상기 바스켓 캐리어가 수축된 형태(collapsed form)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연결 및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보강 패널, 상기 간막이 패널 및 상기 라이저 패널이 상기 손잡이 패널들 사이에 끼워져 있고, 연결 탭이 상기 한 쌍의 손잡이 패널 중 하나에 힌지되며 그리고 상기 라이저 패널을 상기 간막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라이저 패널 둘레에 그리고 상기 간막이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캐리어.
A basket carrier comprising a series of main panels comprising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a bottom panel, at least one handle reinforcement panel, a partition panel and a riser panel,
The main panels are hinged and arranged so that the basket carrier can be folded in a collapsed form, and the at least one handle reinforcement panel, the partition panel and the riser panel are sandwiched between the handle panels. And a connecting tab is hinged to one of the pair of handle panels and secured at least around the riser panel and to the panel to secure the riser panel to the panel.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블랭크로서, 상기 쌍은 상기 바스켓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블랭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블랭크는 상기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블랭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상대 회전 및/또는 상대적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위치결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기구는 상기 제1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2개의 탭 및 상기 제2 블랭크에 한정된 2개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기 제1 블랭크의 각진 쇼울더부들에서 각각 종료하는 각각의 힌지선들을 따라 상기 제1 블랭크에 힌지되고, 각각의 노치는 각각의 탭의 에지와 정합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탭은 상기 제1 블랭크의 평면 밖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랭크와 동일한 평면상에 정렬되고, 그 결과 각 탭의 일정 형상의(shaped) 접혀진 에지가 각 노치의 일정 형상의 에지에 접하고, 상기 노치들의 쇼울더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정렬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블랭크. A pair of blanks for forming a basket carrier, the pair including first and second blanks configured to overlap one another to form the basket carrier, the pair of blanks of the first and second blanks A positioning mechanism to facilitate alignment and to limit relative rotation and / or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lanks in the plan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anks, the position The determining mechanism includes two tabs formed from the first blank and two notches defined in the second blank, the tabs along each of the hinge lines ending at respective angled shoulder portions of the first blank. Hinged to a blank, each notch has a shape that matches the edge of each tab, and the second blank can be disposed above the first blank And the two tabs can be folded out of the plane of the first blank and alig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blank, so that shaped shaped edges of each tab are defined by the shape of each notch. A pair of blanks abutting an edge, wherein shoulder portions of the notches are aligned opposite each other to limit the relative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ank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한 쌍의 손잡이 패널, 한 쌍의 단부 패널,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손잡이 보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바닥 패널 및 한 쌍의 내부 손잡이 패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손잡이 패널은 상기 노치들 중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보강 손잡이 패널은 상기 탭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패널들 중 각자의 패널에 힌지되는, 한 쌍의 블랭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blank includes a pair of handle panels, a pair of end panels, a pair of side panels, and a pair of handle reinforcement panels, and the second blank includes a bottom panel and a pair of inner handle panels. And each inner handle panel includes one of the notches, each reinforcing handle panel hinged to a respective one of the handle panels to produce the tab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패널들은 상기 제1 블랭크의 개념상의 중심축으로서 작용하는 중간 힌지선에 의하여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힌지되고, 상기 제1 블랭크의 쇼울더부들은 상기 개념상의 중심축의 영역에서 개념상으로 수렴하도록 각이 지는, 한 쌍의 블랭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andle panels are hinged together along a common edge by an intermediate hinge line acting as a conceptual central axis of the first blank, wherein shoulder portions of the first blank are conceptually converged in the region of the conceptual central axis. This paper is a pair of blanks.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2개의 제1 단부 패널, 2개의 측면 패널, 2개의 제1 라이저 패널 및 상기 제1 블랭크의 개념상의 중심축으로서 작용하는 중간 힌지선에 의하여 공통 에지를 따라 함께 힌지된 2개의 손잡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패널들은 상기 제1 단부 패널들 및 측면 패널들에 인접하여 배치되지만 분리되고, 상기 제1 단부 패널들은 각각 제1 라이저 패널들에 힌지되고, 상기 손잡이 패널들은 각각 제1 라이저 패널들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 패널들이 상기 제1 단부 패널들 각각에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블랭크는 상기 측면 패널들에 각각 힌지된 2개의 제2 단부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패널들은 각각 2개의 제2 라이저 패널에 힌지되고, 상기 측면 패널들의 최외측 에지들은 상기 제1 블랭크의 어떤 다른 패널에 대해 어떠한 직접적 힌지 연결이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블랭크의 자유 에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서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가 평평한 배열로부터 바스켓 캐리어로 열려질 수 있는,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의 결합체.
I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lank and the second blank,
The first blank comprises two first end panels, two side panels, two first riser panels and two hinged together along a common edge by an intermediate hinge line acting as a conceptual central axis of the first blank. A handle panel, wherein the handle panel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d panels and the side panels, but are separated; the first end panels are respectively hinged to the first riser panels, and the handle panels are each Connected to one riser panels such that the handle panels are indirectly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end panels, the first blank further comprising two second end panels hinged to the side panels, The second end panels are each hinged to two second riser panels, and the outermost edges of the side panels are relative to any other panel of the first blank. There is no direct hinge connection thus forming the free edges of the first blank, wherein the second blank is optionally attached to the first blank such that the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lanks opens into the basket carrier from a flat arrangement. A combination of a first blank and a second blank, which may be lost.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바스켓 캐리어의 외부 측면 및 단부 벽들을 형성하기 위한 일련의 메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패널들은 제1 및 제2 측면벽 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제1 블랭크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서 제1 및 제2 블랭크들의 결합체가 평평한 배열로부터 바스켓 캐리어로 열려질 수 있는, 제1 블랭크 및 제2 블랭크의 결합체.
I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lank and the second blank,
The first blank comprises a series of main panels for forming the outer side and end walls of the basket carrier, the main panel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ide wall panels and the second blank comprising a bottom panel. And the second blank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blank such that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anks can be opened into the basket carrier from a flat arrangement.
제1 및 제2 측면벽들, 단부벽들 및 바닥벽을 갖는 바스켓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2개의 측면 패널 보강재에 의하여 상기 바스켓 캐리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 패널 보강재들은 각각 바닥벽에 힌지되고 그리고 상기 바스켓 캐리어의 제1 또는 제2 측면벽들 중 하나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바스켓 캐리어.
A basket carrier having first and second side walls, end walls and a bottom wall,
The bottom wall is attached to the basket carrier by two side panel reinforcements, the side panel reinforcements are respectively hinged to the bottom wall and secured to an inner side of one of the first or second side walls of the basket carrier, respectively. Become a basket carri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접착 스트립에 의하여 함께 부착된 2개의 바닥 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바닥 패널은 상기 바스켓 캐리어가 형성되는 제2 블랭크 재료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상기 바스켓 캐리어를 적어도 4개의 개별 셀로 분리하는 간막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간막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바스켓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1,
The bottom wall is formed of two bottom panels attached together by an adhesive strip, the two bottom panels forming a portion of the second blank material from which the basket carrier is formed, the second blank forming the basket carrier. The basket carrier further comprising two partition panels to form a partition structure that separates at least four individual cells.
KR1020127022157A 2010-01-29 2011-01-28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201201286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01499.1 2010-01-29
GBGB1001499.1A GB201001499D0 (en) 2010-01-29 2010-01-29 Carrier and blank therefor
GBGB1019435.5A GB201019435D0 (en) 2010-11-17 2010-11-17 Carrier and blank therefor
GB1019435.5 2010-11-17
PCT/US2011/022843 WO2011094481A2 (en) 2010-01-29 2011-01-28 Carrier and blank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639A true KR20120128639A (en) 2012-11-27

Family

ID=4432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157A KR20120128639A (en) 2010-01-29 2011-01-28 Carrier and blank theref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20128639A (en)
CN (1) CN102947194A (en)
AU (1) AU2011210787A1 (en)
WO (1) WO201109448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0454A (en) * 2013-08-02 2015-02-11 米德韦斯特瓦科包装系统有限责任公司 Cardboard box and cardboard box blan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10883U1 (en) * 1997-11-17 1999-03-25 Fcp Europa Carton Faltschachte Container carrier
PL350791A1 (en) 1999-03-05 2003-02-10 Mead Corp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WO2007092348A2 (en) * 2006-02-02 2007-08-16 E-Z Media, Inc. Carri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4481A2 (en) 2011-08-04
AU2011210787A1 (en) 2012-08-16
CN102947194A (en) 2013-02-27
WO2011094481A3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609B2 (en) Carton with handle
US7134547B2 (en) Basket carrier for bottles and blank therefor
US7981017B2 (en) Materials 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il container and resulting retail container
JP6041980B2 (en) Carton with insert
AU2003220408B2 (en) Basket carrier for bottles and blank therefor
US20050263574A1 (en) Handle and top handle reinforcement for a paperboard carton
US6520898B1 (en) Process of making a compartmented container
US20100083618A1 (en) Materials 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with stacking shoulders and resulting container
JP2009502660A (en) Wrap-around carrier and blank
JP2001524427A (en) Handle configuration for carton
MX2007001569A (en) Two piece carton.
GB2105686A (en) Basket type bottle carrier
MX2013004040A (en) Carton with reinforced top panel.
US20100087304A1 (en) Materials 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with end supports and resulting container
US20100120594A1 (en) Materials 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with end supports and resulting container
US20110011922A1 (en) Materials for a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vided container and resulting divided container
US10583956B2 (en) Wraparound display with overlapping sections
CN102666313A (en) A package assembly for supporting a pair of consumable product packets
US8991685B2 (en) Partition
SK2772001A3 (en) Beverage carton with strap type carrying handle
KR20120128639A (en) Carrier and blank therefor
AU2002242309B2 (en) Basket carrier for bottles and blank therefor
CN110088012A (en) Basket type carrier member, packaging carton and packaging system
TW201609499A (en) Convertible basket-sty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TW202108468A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