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496A - Agricultural work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work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496A
KR20120127496A KR1020127023814A KR20127023814A KR20120127496A KR 20120127496 A KR20120127496 A KR 20120127496A KR 1020127023814 A KR1020127023814 A KR 1020127023814A KR 20127023814 A KR20127023814 A KR 20127023814A KR 20120127496 A KR20120127496 A KR 2012012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lanting
turning
side clutch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4578B1 (en
Inventor
야스타카 히키다
타카요시 호시노
미츠히로 탄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8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254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81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8073B2/en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 A01B63/1013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and being located inside the tract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3Steering or guiding of machines or implements pushed or pulled by or mounted on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e.g. by lateral shifting of the towing connection
    • A01B69/006Steering or guiding of machines or implements pushed or pulled by or mounted on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e.g. by lateral shifting of the towing connection derived from the steering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선회시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자동 승강 제어를 실현한 농업용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는 스티어링 핸들(7)이 소정의 조작량 이상 조작되었을 경우에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한다. 클러치 센서(49L, 49R)는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하다. 제어부는 식부부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한다. 식부 클러치는 식부부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식부부의 작동 중에 있어서 식부 클러치의 차단,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 및 후진 조작을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개시 트리거로서 검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개시 트리거 중 어느 1개를 검출하면 식부부를 상승시키고, 그 후에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식부부를 하강시킨다.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hich realized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work machine at the time of turning by simple structure is provided.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45 cuts off the side clutch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oper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operation amount.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can detec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ide clutch.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unit. The planting clutch is capable of switch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to the planting portion. Further, the control unit can detect the blocking of the planting clutch, the blocking of the side clutch, and the reverse oper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unit as the start trigger of the automatic lift control when turning. The control unit raises the planting unit when detecting any one of the start triggers, and then lowers the planting unit when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Figure P1020127023814
Figure P1020127023814

Description

농업용 작업 차량{AGRICULTURAL WORK VEHICLE}Agricultural work vehicle {AGRICULTURAL WORK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 작업 차량을 선회시켰을 때에 작업기를 자동 승강시키는 제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for automatically elevating the work machine whe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turned.

농업용 작업 차량은 그 차체 후방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부착된 작업기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승용 이앙기는 그 후방부에 모종 식부 장치를 구비하고, 직선적으로 논의 일단까지 주행하면서 모종의 식부를 행한다. 그리고, 논의 일단까지 도달하면 180도 선회해서 리턴하여 논의 타단을 목표로 해서 직선적으로 모종의 식부를 행한다.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may include a work machin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For example, the rice transplanter is equipped with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in the back part, and performs planting of a seedling, linearly running to one end of rice fields. And when it reaches to the end of discussion, it turns 180 degree | times and returns, and planting of a seedling is performed linearly aiming at the other end of discussion.

상기와 같은 이앙기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를 하강시킨 채 차체를 선회시켜버리면 상기 모종 식부 장치가 지면이나 두렁 등에 충돌해서 손상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차체를 선회시킬 때에 작업기(모종 이식 작업 장치)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키는 승용형 모종 이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회시에 모종 식부 장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모종 식부 장치가 지면에 충돌해서 손상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승용형 이앙기는 포텐셔미터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이 소정량 돌려진 것을 검출하면 이앙 장치(작업기)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rice transplanter as described above, if the vehicle body is turned while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is lowered, the seedling planting apparatus may collide with the ground or the head, resulting in damage. In this respect, 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riding type seedling implanter that automatically lifts and lifts a work machine (seedling work device) when the vehicle body is turned. Thus, by raising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turning, it can prevent that the said seedling planting apparatus collides with the ground, and is damaged. Moreover, the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of patent document 1 is comprised so that the operation angle of a steering wheel may be detected by a potentiometer, and if the steering wheel is detected that a predetermined amount was turned, the raising device (working machine) will be raised.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선회하는 차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후륜의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상기 회전수에 의거하여 이앙 장치의 작동을 재개시키는 타이밍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는 사이드 클러치가 차단되어 있는 선회 방향 내측 후륜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슬립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그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다.Moreover,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are disclosing the structure which interrupts the side clutch of the rear wheel located in the inside of a turning vehicle body, and measure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shaft located downstream of the said side clutch.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are the structures which judge the timing which restarts operation | movement of a rice transplanter based on the said rotation speed. Patent document 2 makes it hard to be influenced by a slip etc. by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ning rear inner wheel in which the side clutch was interrupted, and can make the measurement precision high.

일본 특허 공개 2007-7499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74991 일본 특허 제 4088780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088780 일본 특허 공개 2008-7297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72976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포텐셔미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구성의 경우 포텐셔미터의 검출값과 소정량을 비교하는 처리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승용 이앙기의 구성이 복잡화되어버리고 있었다. 또한, 비교적 고가인 포텐셔미터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비용 삭감이라는 관점에서도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which raises and lowers a working machin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a potentiometer like patent document 1, since the process which compares the detection value of a potentiometer with a predetermined amount is needed, the structure of the passenger rice transplanter has become complicated. In addition, since a relatively expensive potentiometer is neede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cost reduction.

또한, 차체를 선회시킬 때에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과 같이 선회 방향 내측 후륜의 클러치를 차단했을 경우 상기 내측 후륜은 추종 회전 상태가 된다. 이앙기의 선회는 논의 진창에서 회전 반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행해지기 때문에, 선회 내측 후륜은 슬립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선회 방향 내측 후륜의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내측 후륜에 슬립이 발생하면 원하는 타이밍으로 식부를 재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구성의 이앙기에서는 선회 직전에 식부한 열(列)의 모종과, 선회 직후에 식부하기 시작하는 열의 모종을 횡일선으로 맞출 수 없어 생육이나 수확시에 관리의 효율화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when turning a vehicle body, when the clutch of a turning direction inner rear wheel was interrupted like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the said inner rear wheel will be in the following rotation state. Since the turning of the rice transplanter is done to make the radius of rotation as small as possible in the slud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urning inner rear wheel slips. Since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are the structures which meas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shaft of a turning direction inner rear wheel, when a slip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aid inner rear wheel, planting can not be resumed at a desired timing. For this reason, in the rice transplanter of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the seedling of the heat planted immediately before turning and the seedling of the heat started to plant immediately after turning cannot be matched with a horizontal line, and are managed at the time of growth and harvesting.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ould interfere with the efficiency of the.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요한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선회시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자동 승강 제어를 실현한 농업용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hich realized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work machine at the time of turning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Next, the means for solving this problem and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구성된 농업용 작업 차량이 제공된다. 즉, 이 농업용 작업 차량은 사이드 클러치와,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와, 클러치 센서와, 승강 실린더와, 제어부와, 작업 클러치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클러치는 좌우 후륜의 차축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한다. 상기 클러치 센서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하다. 상기 승강 실린더는 작업기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작업 클러치는 상기 작업기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기의 작동 중에 상기 작업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작업 클러치가 차단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기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상기 작업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상기 이동 거리와 소정의 오프셋 거리를 가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접속한다.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is inventio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comprised as follows is provided. That is, this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equipped with a side clutch, a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a clutch sensor, a lifting cylinder, a control part, and a work clutch. The side clutch can swit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to the axle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blocks the side clutch. The clutch sensor can detect the operation of the side clutch. The lifting cylinder is for driving up and down the work machin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ifting cylinder. The work clutch is capable of switch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to the work machine.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automatic elevating control during the following turning. That is, the control unit raises the working machine when it detects the blocking of the working clutch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machine, and stores the moving distance from the closing of the working clutch until the turning start. Further,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at the turning start is detected when the shutoff of the side clutch is detected.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urning is completed based on this, and lowers the work machine.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traveled the distance obtained by adding the moving distance and the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fter the turning is finished. The work clutch is connect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구성된 농업용 작업 차량이 제공된다. 즉, 이 농업용 작업 차량은 이하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기의 작동 중에 차체의 후진 조작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기를 상승시켜 상기 후진을 개시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상기 작업기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소정의 오프셋 거리로부터 상기 이동 거리를 감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접속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this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part which can carry out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he following turning.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vehicle bod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the control unit raises the work machine to measure the moving distance from the start of the reverse to the start of the turn, and determines that the start of the turn is detected when the side clutch is blocked. do. Moreover, when a control part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said side clutch, it determines that turning is complete based on this, and lowers the said work machine.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work clutch when i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traveled a dista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ovement distance from a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fter the turning ends.

이 구성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선회의 개시, 종료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향 조작구의 조작량을 포텐셔미터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과 비교해서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농업용 작업 차량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해 둠으로써 선회 종료 후에 적절한 위치에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he start and end of turning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de clutch connection. Therefore, for example,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an be comprised simply and inexpensively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detects the operation amount of a steering operation tool by a potentiometer. As described above, the work can be resu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fter the end of the turning by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up to the turning start.

상기 농업용 작업 차량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농업용 작업 차량은 조향 조작구가 소정의 조작량 이상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하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한 클러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를 조작하는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와, 우측 사이드 클러치를 조작하는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와, 조향 조작구의 조작에 연동되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조향 연동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조향 연동 레버의 차체 좌측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조향 연동 레버의 차체 우측 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향 조작구가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소정량 조작되면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 또는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를 조향 연동 레버가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 클러치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센서는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좌측 클러치 센서와,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우측 클러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comprised as follows. That is, this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which cuts off the said side clutch, when a steering operation tool is operated more than predetermined | prescribed operation amount, and the clutch sensor which can detec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aid side clutch. The side clutch operating mechanism includes a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for operating the left side clutch, a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for operating the right side clutch, and a steering linkage lever that rotates about an axis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operating tool.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near the vehicle body left end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near the vehicle body right end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Further, when the steering operation tool is oper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teering mechanism interlocking lever presses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or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to block the side clutch on the corresponding side. The clutch sensor is composed of a left clutch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and a right clutch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Thereby, the operation state of a side clutch can be detected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 농업용 작업 차량은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상기 후륜의 차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상류측에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센서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취득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comprised as follows. That is, this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shaft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axle of the said rear wheel, upstream of the said side clutch. And the said control part acquires the said mo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said rotation sensor.

이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의 상류측 회전 센서의 검출값을 사용함으로써 슬립하는 것이 염려되는 내측 차축의 회전수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해서 작업 클러치를 접속하는 타이밍을 제어부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Thus, the control part can determine the timing which connects a work clutch accurate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u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inner axle which concerns about slipping by us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upstream rotation sensor of a side clutch.

상기 농업용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센서는 근접 스위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클러치의 ON 또는 OFF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clutch sensor is a proximity switch, and the control unit preferably recognizes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by detecting ON or OFF of the proximity clutch.

이에 따라,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can be detected accurately.

상기 농업용 작업 차량은 상기 작업기의 승강시 및 상기 작업 클러치의 접속시에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when the work machine is lifted and the work clutch is connected.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선회시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자동적인 승강 제어가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reby, the operator can confirm that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work machine at the time of turning is performed suitably.

상기 농업용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검출에 추가하여 상기 후륜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회전한 횟수를 고려해서 상기 선회 종료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controller preferably determines the end of the tu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drive shaft of the rear wheel rotates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the side clutch connection.

즉,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횟수를 고려함으로써 차체가 적절한 방향까지 선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검출에 추가하여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 횟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선회 종료를 판정할 수 있다.That is,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e shaf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body has turned to the proper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urning end more accurately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e shaft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the side clutch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이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구동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스켈레톤 도면이다.
도 3은 리어 액슬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이앙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식부부 승강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제어부에 있어서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첫번째 패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두번째 패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세번째 패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첫번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두번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세번째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skeleton diagram showing a drive transmission path of a rice transplant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axle cas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5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rice transplanter.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planting lift.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starting automatic lift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n the control unit.
8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pattern of automatic lift control when turning.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pattern of automatic lift control when turnin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pattern of automatic lift control when turnin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1st pattern of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2nd pattern of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3rd pattern of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이어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농업용 작업 차량으로서의 승용 이앙기(1)의 측면도이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ide view of a passenger rice transplanter 1 a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용 이앙기(1)는 차체(2)와, 상기 차체(2)의 후방에 배치된 식부부(작업기)(3)로 구성되어 있다.The passenger rice transplanter 1 is comprised from the vehicle body 2 and the planting part (working machine) 3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said vehicle body 2.

차체(2)는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좌우 한 쌍의 후륜(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체(2)는 그 전후 방향으로 전륜(4)과 후륜(5) 사이에 운전 좌석(6)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좌석(6)의 근방에는 차체(2)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스티어링 핸들(조향 조작구)(7),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 페달(8), 차체(2)의 전후진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9) 등, 각종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The vehicle body 2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4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5. Moreover, the vehicle body 2 is equipped with the driver's seat 6 between the front wheel 4 and the rear wheel 5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6, a steering wheel (steering operation tool) 7 for stee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body 2, a shift pedal 8 for adjust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body 2, and the vehicle body 2 Various operation tools, such as the forward-backward switching lever 9 for switching forward / backward of (), are arrange | positioned.

또한, 차체(2)에 있어서 운전 좌석(6)의 하방에는 엔진(10)이, 상기 엔진(10)의 전방에는 미션 케이스(1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차체(2)의 후방에는 식부부(3)를 부착하기 위한 승강 링크 기구(12), 엔진(10)의 구동력을 식부부(3)에 출력하기 위한 PTO축(13), 식부부(3)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승강 실린더(14) 등이 배치된다.In the vehicle body 2, an engine 10 is disposed below the driving seat 6, and a mission case 1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ngine 10. On the other hand, the rear linkage mechanism 12 for attaching the planting portion 3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2, the PTO shaft 13 for outpu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10 to the planting portion 3, the planting portion ( A lifting cylinder 14 or the like for raising and lowering 3) is disposed.

또한, 도 1 등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차체(2)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이루어지고, 이앙기(1)의 각 부에 구비된 센서 등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앙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etc., the vehicle body 2 is equipped with the control part. The control unit is made of, for example, a microcontroller,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each configura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1 based on a signal such as a sensor provided in each part of the rice transplanter 1.

상기 식부부(3)는 식부 케이스(15)와, 복수의 플로트(16)와, 묘재대(17)를 구비하고 있다.The planting part 3 includes a planting case 15, a plurality of floats 16, and a seedling stand 17.

식부 케이스(15)에는 상기 승강 링크 기구(1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승강 링크 기구(12)는 톱 링크(18), 로어 링크(19)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링크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로어 링크(19)에 연결된 승강 실린더(14)를 구동함으로써 식부 케이스(15)를 상하로 승강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이에 따라, 식부부(3) 전체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lifting link mechanism 12 is connected to the planting case 15. The lifting link mechanism 12 has a parallel link structure composed of a top link 18, a lower link 19, and the like. The planting case 15 is driven by driving the lifting cylinder 14 connected to the lower link 19.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up and down (therefore, the entire planting part 3 can be elevated up and down).

식부 케이스(15)에는 1개 이상의 식부 유닛(20)이 부착되어 있다. 식부 유닛(20)은 회전 케이스(21)에 2개의 식부 클로(22)를 구비하는 로터리식 식부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부 케이스(15)에는 상기 PTO축(13)을 통해서 엔진(10)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있고, 이 구동력에 의해 회전 케이스(21)가 회전 구동된다. 로터리식 식부 장치의 구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회전 케이스(21)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식부 클로(22)의 선단부가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상하로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식부 클로(22)의 선단부는 위에서 아래를 향해서 움직일 때에 후술의 묘재대(17)에 탑재된 모종 매트의 하단으로부터 1포기분의 모종을 긁어내고, 상기 모종의 밑둥을 유지한 채 하방으로 움직여서 지면에 심도록 구성되어 있다.At least one planting unit 20 is attached to the planting case 15. The planting unit 20 is comprised as a rotary pla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two planting claws 22 in the rotating case 2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10 is input to the planting case 15 through the said PTO shaft 13, and the rotation case 21 is rotationally driven by this driving force. Since the structure of a rotary planting apparatus is already known,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bu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planting claw 22 may be driven up and down, drawing a predetermined | prescribed trajectory by rotating the rotation case 21. FIG. When the distal end of the planting claw 22 moves from top to bottom, the seedlings for one aeration are scraped off from the lower end of the seedling mats mounted on the seedling stand 17 described later, and then moved downward while maintaining the bottom of the seedlings. It is configured to plant.

상기 플로트(부표)(16)는 식부부(3)의 하부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다. 이 플로트(16)를 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식부부(3)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식부 자세를 안정시켜서 정확한 식부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float (buoy) 16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lower part of the planting portion (3). The float 1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o hold the planting part 3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stabilize the planting posture, and to perform accurate planting.

또한, 복수의 플로트(16) 중 적어도 1개에는 도시 생략된 플로트 센서(접지 검출부)가 부착되어 상기 플로트(16)가 지면에 적절하게 접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는 상기 제어부에 출력된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loats 16 is provided with a float sensor (ground detection unit), not shown, to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loat 16 is in proper contact with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is float sensor, it can be judged whether the planting part 3 is set to an appropriate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at sensor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묘재대(17)는 모종 매트(식부 전의 모종)를 다수 탑재하기 위한 것이고, 강화 플라스틱제로 후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 묘재대(17)는 상기 식부 케이스(15)의 상방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레일(62)과 하부 가이드 레일(63)에서 차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식부부(3)는 모종 매트의 좌우 폭의 범위 내에서 묘재대(17)를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도시 생략된 횡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묘재대(17)에 탑재한 모종 매트를 식부 유닛(20)에 대하여 좌우로 상대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묘재대(17)는 모종 매트를 하방을 향해서[즉, 식부 유닛(20)측을 향해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모종 이송 벨트(종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횡이송 기구와 종이송 기구를 적절하게 연동시킴으로써 각 식부 유닛(20)에 대하여 모종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식부를 행할 수 있다.The seedling stand 17 is for mounting a large number of seedling mats (seedlings before planting), and is installed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made of reinforced plastic. This seedling stand 17 is supported by the upper guide rail 62 and the lower guide rail 63 so as to reciprocally slide in the vehicle body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ve the planting case 15. Moreover, the planting part 3 is equipped with the transverse feed mechanism not shown in figure which reciprocally drives the seedling stand 17 from side to side within the range of the left-right width of a seedling mat. Thereby, the seedling mat mounted on the seedling stand 17 can be made to move relative to the planting unit 20 from side to side. Moreover, the seedling stand 17 is equipped with the seedling feed belt (paper feed mechanism) which intermittently feeds a seedling mat downward (that is, toward the planting unit 20 side). In the above structure, seedling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each planting unit 20 by appropriately interlocking a lateral feed mechanism and a paper conveyance mechanism, and planting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3)는 차체(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 링크 기구(12) 및 PTO축(13)과, 식부부(3) 사이의 접속을 분리함으로써 차체(2)와 식부부(3)를 이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부부(3)를 분리한 차체(2)에는 다른 종류의 작업기(예를 들면 제초기, 구절기 등)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소위 다목적 이앙기로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the said planting part 3 is comprised so that separation from the vehicle body 2 is possible. Specifically, the car body 2 and the planting section 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vating link mechanism 12 and the PTO shaft 13 and the planting section 3.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other kinds of work machines (for example, weeders, choppers, etc.) to the vehicle body 2 from which the planting part 3 is separated. Thus,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as what is called a multipurpose rice transplanter.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도시 생략된 통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지부는 구체적으로는 버저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notification part not shown. This notification part is specifically comprised as a buzzer,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의 구동 전달 경로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Next, the drive transmission path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엔진(10)은 차체(2)의 전후 방향으로 전륜(4)과 후륜(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소위 미드십 레이아웃(midship layout)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엔진(10)은 차체(2)의 좌우 방향에서는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 구동 출력축(크랭크 샤프트)(10a)의 길이 방향이 차체의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소위 수평 배치). 이 구동 출력축(10a)은 엔진(10)의 하우징으로부터 차체의 좌측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출력축(10a)의 좌측 단부에는 구동 전달 벨트(34)가 배치되어 있다.The engine 1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wheel 4 and the rear wheel 5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nd is called what is called a midship layout. Moreover, the engine 10 is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in the center 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output shaft (crankshaft) 10a may follow the left-right direction of a vehicle body (so-called horizontal). arrangement). This drive output shaft 10a protrudes toward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from the housing of the engine 10. In addition, a drive transmission belt 34 is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drive output shaft 10a.

엔진(10)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 전달 벨트(34)를 통해서 엔진(10)의 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11) 내에 배치되어 있는 HMT(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기)(25)에 입력된다. HMT(25)는 HST(정유압식 무단 변속기)(26)와 유성 기어 기구(27)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10 is input to the HMT (hydraulic mechanic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25 disposed in the mission case 11 disposed in front of the engine 10 via the drive transmission belt 34. The HMT 25 is composed of an HST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26 and a planetary gear mechanism 27.

HST(26)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와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를 유압 회로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는 입력축(28a)을 구비하고 있고, 이것이 HST(26)의 구동 입력축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는 출력축(29a)을 구비하고 있고, 이것이 HST(26)의 구동 출력축으로 되어 있다.The HST 26 has the structure which connected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and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by the hydraulic circuit.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has an input shaft 28a, which serves as a drive input shaft of the HST 26. Moreover,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is provided with the output shaft 29a, and this becomes a drive output shaft of the HST 26.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의 입력축(28a)은 차체(2)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HST(26)의 하우징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이 입력축(28a)의 좌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 전달 벨트(34)가 배치되어 있고, 엔진(10)의 출력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28a)의 우측 단부에는 유압 펌프(24)가 접속되어 있다. 즉, 입력축(28a)에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 및 유압 펌프(24)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엔진(10)의 구동력에 의해 입력축(28a)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 및 유압 펌프(24)의 양쪽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put shaft 28a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nd protrudes left and right from the housing of the HST 26. As shown in FIG. The said drive transmission belt 34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 edge part of this input shaft 28a, and the output of the engine 10 is input. In addition, a hydraulic pump 24 is connected to the right end of the input shaft 28a. That is, since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and the hydraulic pump 24 are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28a,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and the hydraulic pump are driven by rotating the input shaft 28a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10. It is comprised so that both of the 24 may be driven simultaneously.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가 구동됨으로써 토출되는 오일은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에 공급되고, 상기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의 출력축(29a)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의 오일 토출량은 변속 페달(8)의 조작량에 연동되어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의 출력축(29a)의 회전 속도를 오퍼레이터가 변속 페달(8)을 조작함으로써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펌프(2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oil discharged by driving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is supplied to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and is configured to rotationally drive the output shaft 29a of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In addition, the oil discharge amount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is configured to be chang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amount of the shift pedal 8. Thereby,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put shaft 29a of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can be changed steplessly by an operator operating the shift pedal 8. In addition, the said hydraulic pump 24 is mentioned later.

또한, 유성 기어 기구(27)는 선기어(30)와, 플래니터리 기어(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플래니터리 캐리어(32)와, 아우터 기어(33)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캐리어(32)에는 엔진(10)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28)의 입력축(28a)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선기어(30)는 고정 용량 유압 모터(29)의 출력축(29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 기어(33)는 HMT(25)의 출력축(25a)에 고정되어 있다.The planetary gear mechanism 27 is composed of a sun gear 30, a planetary carrier 32 that rotatably supports the planetary gear 31, and an outer gear 33. The drive force from the input shaft 28a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28 into which the drive force of the engine 10 is input is input to the planet carrier 32. In addition, the sun gear 30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29a of the fixed displacement hydraulic motor 29. The outer gear 33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25a of the HMT 25.

이상의 구성에서 엔진(10)의 출력[입력축(28a)의 회전]과, HST(26)의 출력[출력축(29a)의 회전]이 유성 기어 기구(27)에 있어서 합성되어서 HMT(25)의 출력축(25a)으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에서, HST(26)의 출력은 변속 페달(8)의 조작에 따라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HST(26)의 출력과 엔진(10)의 출력의 합성인 HMT(25)의 출력도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다. 즉, HMT(25)에 의해 엔진(10)의 출력을 변속 페달(8)의 조작에 따라 무단계로 변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put (rotation of the input shaft 28a) of the engine 10 and the output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29a) of the HST 26 are combined in the planetary gear mechanism 27 to output the output shaft of the HMT 25. It is output from 25a. Here, since the output of the HST 26 can be shifted stepless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ift pedal 8, the output of the HMT 25,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output of the HST 26 and the output of the engine 10, is also shown. It is possible to shift steplessly. That is, the HMT 25 makes it possible to shift the output of the engine 10 steplessl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ft pedal 8.

HMT(25)의 출력축(25a)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의 일부는 미션 케이스(11) 내에 배치된 메인 클러치(35)를 통해서 기어식의 주변속부(36)에 입력되어 적당하게 변속된다. 또한, 주변속부(36)는 도시 생략된 리버스 기어를 구비하고 있고, 차체 전후진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속부(36)에 의해 변속된 회전 구동력은 프론트 액슬 케이스(37)에 출력된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37)는 미션 케이스(11)의 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미션 케이스(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변속부(36)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프론트 액슬 케이스(37) 내에 배치된 좌우의 앞차축(38, 38)에 전달되어 좌우의 전륜(4, 4)을 구동한다.A part of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utput from the output shaft 25a of the HMT 25 is inputted to the gear type peripheral speed 36 via the main clutch 35 arranged in the mission case 11 and shifted suitably. Moreover, the peripheral speed part 36 is equipped with the reverse gear not shown, and is comprised so that switching of a vehicle body forward-backward can be performed. The rotational drive force shifted by the peripheral speed portion 36 is output to the front axle case 37. The front axle case 3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ission case 11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ission case 11.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peripheral speed portion 36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axles 38 and 38 disposed in the front axle case 37 to drive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4 and 4.

또한, 주변속부(36)가 출력하는 회전 구동력의 일부는 미션 케이스(11)로부터 인출되어 프로펠러 샤프트(구동륜 구동 전달축)(39)를 통해서 엔진(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액슬 케이스(40)에 전달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utput from the peripheral speed portion 36 is drawn out of the mission case 11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engine 10 via the propeller shaft (drive wheel drive transmission shaft) 39. Is delivered).

리어 액슬 케이스(40)의 상세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뒷차축(42R, 42L)은 모두 리어 액슬 케이스(40)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뒷차축(42R, 42L)의 선단에는 후륜(5)이 부착되어 있다. 리어 액슬 케이스(40) 내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기어 및 후술의 사이드 클러치를 통해서 좌측 뒷차축(42L) 및 우측 뒷차축(42R)에 전달된다. 좌측 뒷차축(42L)은 좌측 후륜(5)을 구동하고, 우측 뒷차축(42R)은 우측 후륜(5)을 구동한다.The detail of the rear axle case 4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both left and right rear axles 42R and 42L protrude from the rear axle case 40, and are provided. The rear wheels 5 are attached to the front ends of the rear axles 42R and 42L.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put into the rear axle case 40 is transmitted to the left rear axle 42L and the right rear axle 42R through the gear and the side clutch described later. The left rear axle 42L drives the left rear wheel 5, and the right rear axle 42R drives the right rear wheel 5.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변속 페달(8)의 조작에 따라 전륜(4) 및 후륜(5)의 회전 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오퍼레이터가 변속 페달(8)을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차속으로 차체(2)를 주행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front wheel 4 and the rear wheel 5 can be changed steplessly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shift pedal 8. That is, it is comprised so that an operator can drive the vehicle body 2 at a desired vehicle speed by operating the shift pedal 8.

프로펠러 샤프트(39)로부터 좌측 뒷차축(42L)까지의 구동 전달 경로 사이에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41L)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펠러 샤프트(39)로부터 우측 뒷차축(42R)까지의 구동 전달 경로 사이에는 우측 사이드 클러치(41R)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41L, 41R)는 각각 독립하여 접속/차단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차체(2)의 급선회를 행할 때에 내측 후륜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무즈한 급선회를 실현할 수 있다.The left side clutch 41L is arranged between the drive transmission paths from the propeller shaft 39 to the left rear axle 42L. Similarly, right side clutch 41R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drive transmission path from the propeller shaft 39 to the right rear axle 42R.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41L and 41R can independently switch connection / disconnection.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the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body 2 is performed,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to the inner rear wheel can be interrupted, so that the smooth turning can be realized.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39)에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44)가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는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다. 제어부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검출함으로써 차체(2)가 주행한 대략의 거리를 취득할 수 있다.2, the propeller shaft 39 is attached with the rotation sensor 44 which detects the rotation of the said propeller shaft 39. As shown in FIG. The detection result of this rotation sensor 44 is input to the said control part. In the control unit, the approximate distance traveled by the vehicle body 2 can be obtained by detec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otation sensor 44.

또한, HMT(25)의 출력의 일부는 미션 케이스(11)의 후방부 우측 근처의 위치에 설치된 식부 구동 인출부(51)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식부 구동 인출부(51)에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서 식부 구동 전달축(5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식부 구동 전달축(52)은 미션 케이스(11)의 후방에 배치된 식부 변속부(43)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output of the HMT 25 is taken out from the planting drive take-out part 51 provided at the position near the right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mission case 11. The planting drive lead-out part 51 is connected to the planting drive transmission shaft 52 via a universal joint. This planting drive transmission shaft 52 is connected to the planting transmission part 43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mission case 11.

식부 변속부(43) 내에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변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입력된 구동력을 적당하게 변속해서 PTO축(13)으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PTO축(13)이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해 식부부(3)가 구동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 케이스(21)를 회전 구동하는 속도를 변속할 수 있으므로 모종을 식부하는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식부 변속부(43) 내에 있어서 PTO축(13)에는 식부 클러치(50)를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식부 클러치(50)를 차단함으로써 식부부(3)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이 식부 클러치(50)는 제어부에 의해 접속/차단을 스위칭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식부 클러치(50)는 도시 생략된 식부 클러치 조작구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함으로써 접속/차단을 스위칭할 수 있게도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식부 클러치(50)의 근방에는 상기 식부 클러치(50)의 접속/차단을 검출하기 위한 식부 클러치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식부 클러치 검출 스위치의 검출 결과는 제어부에 출력된다.The planting transmission part 43 is provided with the transmission which consists of a some gear, and is comprised so that the input driving force may be suitably shifted and it may output from the PTO shaft 13. The planting part 3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which this PTO shaft 13 transmits. By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speed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 rotation case 21 can be changed, the interval which plant | plants a seedling can be changed. Moreover, in the planting transmission part 43, it is comprised so that a driving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PTO shaft 13 via the planting clutch 50. FIG. By interrupting the planting clutch 50, the driving of the planting unit 3 can be stopped. This planting clutch 50 is comprised so that a control part can switch connection / blocking. In addition, the planting clutch 5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witch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by operating an planting clutch operation tool (not shown). Further, a planting clutch detection switch (not shown)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planting clutch 50 is disposed near the planting clutch 50.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lanting clutch detection switch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이어서,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접속/차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의 모식적인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Next, a configuration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45 is shown by FIG.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는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클러치 조작암)(46L, 46R)과, 스티어링 연동 레버(조향 연동 레버)(47)와, 스티어링 조작 전달 링크(48)로 구성되어 있다.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45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clutch operation arms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a steering linkage lever (steering linkage lever) 47, and a steering operation transmission link 48. As shown in FIG.

클러치 조작암(46L, 46R)은 리어 액슬 케이스(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암(46L, 46R)은 타원형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암축(67)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암축(67)은 사이드 클러치(41L, 41R)와 연동되어 있고, 암축(67)이 회동함으로써 사이드 클러치(41L, 41R)가 접속/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조작암(46L, 46R)을 암축(67)의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킴으로써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 클러치(41L, 41R)를 조작할 수 있다.The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are disposed outside the rear axle case 40. The clutch operating arms 46L and 46R are formed of an elliptical plate, and are fixed to one end of the arm shaft 67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emale shaft 67 is interlocked with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and the female shafts 67 are rotated so that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are connected / blocked. Accordingly,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on the corresponding side can be operated by rotating the clutch operating arms 46L and 46R around the axis of the arm shaft 67.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을 「클러치 접속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좌측 사이드 클러치(41L)가 접속 상태가 되고,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을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좌측 사이드 클러치(41L)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을 「클러치 접속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우측 사이드 클러치(41R)가 접속 상태가 되고,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을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우측 사이드 클러치(41R)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46L, 46R)은 도시 생략된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클러치 접속 위치」가 되도록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가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46L, 46R)에 대하여 조작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41L, 41R)는 함께 접속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클러치 조작암(46L, 46R)의 선단끼리가 마주보는 위치로 되어 있다(도 4의 상태).More specifically, when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is rotated to the "clutch connection position", the left side clutch 41L is connected to the left side, and when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is rotated to the "clutch blocking position", the left side The side clutch 41L is configured to be in a blocking state. Similarly, when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is rotated to the "clutch connection position", the right side clutch 41R is connected, and when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is rotated to the "clutch disconnection position", the right side clutch is rotated. It is comprised so that 41R may become a blocking state. In addition, the bia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so that it may become a "clutch connection position" by the biasing memb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side clutches 41L and 41R are connect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no oper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In this state, the ends of the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face each other (state of FIG. 4).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는 리어 액슬 케이스(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는 그 길이 방향 중심부에 지축(47a)이 부착되어 있고, 이 지축(47a)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is disposed outside the rear axle case 40. Moreover, the steering interlocking lever 47 is attached to the support shaft 47a in the longitudinal center part, and is compris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centering on this support shaft 47a.

스티어링 조작 전달 링크(48)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을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지축(47a)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 조작 전달 링크(48)는 로드(48a)와 회동암(48b)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teering operation transmission link 48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7 by the operator to the support shaft 47a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More specifically, the steering operation transmission link 48 is composed of a rod 48a and a pivot arm 48b.

상기 회동암(48b)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이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지축(47a)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측은 로드(48a)에 연결되어 있다. 로드(48a)는 스티어링 핸들(7)의 회동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에 따라 로드(48a)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회동암(48b)을 통해서 지축(47a)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량에 따라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핸들(7)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즉, 우선회시) 로드(48a)가 앞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어링 연동 레버(47)가 지축(47a)을 중심으로 해서 도 4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티어링 핸들(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즉, 좌선회시) 로드(48a)가 뒷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티어링 연동 레버(47)가 지축(47a)을 중심으로 해서 도 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3 (b), the said rotational arm 48b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47a of the steering interlocking lever 47,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d 48a as shown in FIG. It is. The rod 48a is comprised so that it may move to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7. By this structure, when the rod 48a moves to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7, the support shaft 47a can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arm 48b. Thereby,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teering interlocking lever 47 may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mount of the steering wheel 7. In detail,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at is, at the time of priority rotation), the rod 48a moves forward, and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is centered on the support shaft 47a. It is configured to rotate clockwi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in the left turning position), the rod 48a moves backward, and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is centered on the support shaft 47a in FIG. 4. It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는 지축(47a)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46L, 46R)을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은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우측 단부(47c)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7)을 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회동시키면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우측 단부(47c)가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에 접촉하고,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을 눌러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은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좌측 단부(47b)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7)을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회동시키면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좌측 단부(47b)가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에 접촉하고,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을 눌러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the left and right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by rotating around the support shaft 47a.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is disposed near the right end portion 47c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the right end portion 47c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contacts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and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is pressed to rotate it. It is configured to.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is disposed near the left end 47b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And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left end 47b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contacts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and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is pressed to It is configured to rotate.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7)을 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회동시킴으로써(우측으로 급선회를 행할 때)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을 바이어싱 포오스를 거슬러 회동시켜 「클러치 차단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핸들(7)을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회동시킴으로써(좌측으로 급선회를 행할 때)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을 바이어싱 포오스를 거슬러 회동시켜 「클러치 차단 위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7)이 좌우로 일정량 이상 조작되었을 경우(급선회를 행할 경우) 내측 후륜(5)에 대한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내측 후륜(5)에 의해 포장(圃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무즈한 선회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rotating the steering wheel 7 clockwise by a certain amount (when sharply turning to the right side), the right clutch operating arm 46R can be rotated against the biasing force to be the "clutch blocking position". . In addition, by rotating the steering wheel 7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when sharply turning to the left side),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can be rotated against the biasing force to be the "clutch block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oper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from side to side (when sharply turning), transmission of driving force to the inner rear wheel 5 is interrupted, so that the pavement is roughened by the inner rear wheel 5. A smooth turning can be realized while preventing it.

또한,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는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46L, 46R)을 모두 조작하지 않는 중립 위치(도 4의 상태)를 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eering interlocking lever 47 is comprised so that it may take the neutral position (state of FIG. 4) which does not operate both the left and right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클러치 조작암(46L, 46R) 근방에는 각각 클러치 센서(49L, 49R)가 부착되어 있다. 이 클러치 센서(49L, 49R)는 구체적으로는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클러치 조작암(46L, 46R)이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에 대응하는 측의 클러치 센서(49L, 49R)를 눌러서 스위치가 ON이 됨으로써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사이드 클러치(41L, 41R)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센서(49L, 49R)의 검출 결과는 제어부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clutch sensors 49L and 49R are attached in the vicinity of clutch operation arms 46L and 46R on either side. These clutch sensors 49L and 49R are specifically comprised as a switch. That is, when the clutch operating arms 46L and 46R are rotated to the "clutch cutoff position", the switch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on the corresponding side so as to detect the shutoff of the side clutc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are connec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이앙기(1)에 설치된 유압 관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압 관로는 유압 펌프(24)로부터 파워 스티어링용 밸브(55) 및 승강 제어 밸브 유닛(56)을 통해서 승강 실린더(14)까지 압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hydraulic line installed in the rice transplanter 1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5, this hydraulic pipe line is configured to supply pressure oil from the hydraulic pump 24 to the lifting cylinder 14 via the power steering valve 55 and the lifting control valve unit 56.

파워 스티어링용 밸브(55)는 차체(2)가 구비한 파워 스티어링 기구(60)를 작동시키는 오일의 흐름을 스위칭하기 위한 밸브이며,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스풀(55a)을 구비하고 있다.The power steering valve 55 is a valve for switching the flow of oil for operating the power steering mechanism 60 included in the vehicle body 2, and the spool 55a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7 is provided. Equipped.

승강 제어 밸브 유닛(56)은 승강 제어 밸브(57)와 스톱 밸브(58)를 아울러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용 밸브(55)를 통해서 유압 펌프(24)로부터 이송되어 온 압유는 승강 제어 밸브(57), 스톱 밸브(58)의 순으로 경과한 후 승강 실린더(14)에 공급된다.The lifting control valve unit 56 includes the lifting control valve 57 and the stop valve 58 as one unit. The hydraulic oil conveyed from the hydraulic pump 24 via the power steering valve 55 passes in order of the lift control valve 57 and the stop valve 58, and then is supplied to the lift cylinder 14.

승강 제어 밸브(57)는 승강 실린더(14)의 구동 방향을 스위칭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되는 스풀(57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풀(57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승강 실린더(14)에 대하여 오일을 공급, 또는 승강 실린더(14)로부터 오일을 배출하도록 송유 통로를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는 이 승강 제어 밸브(57)를 적당하게 제어함으로써 승강 실린더(14)를 구동하여 식부부(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The lift control valve 57 is a solenoid valve for switch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lift cylinder 14 and includes a spool 57a driven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pool 57a,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oil supply passage so as to supply oil to the lifting cylinder 14 or to discharge oil from the lifting cylinder 14. The controller can drive the lift cylinder 14 to raise or lower the planting section 3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lift control valve 57.

스톱 밸브(58)는 승강 실린더(14)와 승강 제어 밸브(57) 사이의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이며, 오퍼레이터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톱 밸브(58)는 통상의 운전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해 두어서 승강 실린더(14)에 대하여 승강 제어 밸브(57)로부터의 오일이 공급되도록 해 둔다. 한편, 엔진(10)을 정지할 때 등에는 필요에 따라 스톱 밸브(58)를 폐쇄된 상태로 한다. 이 스톱 밸브(58)를 폐쇄시킴으로써 승강 실린더(14)로부터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엔진(1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도 식부부(3)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op valve 58 is a valve which can block the flow of oil between the lifting cylinder 14 and the lifting control valve 57, and is comprised so that an operator can operate directly. The stop valve 58 is left open during normal operation so that oil from the lift control valve 57 is supplied to the lift cylinder 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gine 10 is stopped or the like, the stop valve 58 is closed as necessary. By closing the stop valve 58, oi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lifting cylinder 14,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lanting part 3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engine 10 is stopped.

이어서, 제어부에 의한 플로트 제어(자동 접지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로트 제어란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 지면의 요철 등에 추종시켜서 식부부(3)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식부부(3)를 지면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로 유지하는 제어이다.Next, the float control (automatic grounding control) by a control part is demonstrated. Float control is control which maintains the said planting part 3 to a suitable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following up the unevenness | corrugation of the ground, and lifting up the planting part 3 during planting work.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제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는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가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는 이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승강 제어 밸브(57)의 스풀(57a)을 조작함으로써 식부부(3)를 하강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너무 낮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승강 제어 밸브(57)의 스풀(57a)을 조작함으로써 식부부(3)를 상승시킨다. 또한, 플로트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는 상기 식부부(3)의 높이를 유지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is as follows.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at sensor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lanting unit 3 is at an appropriate height relative to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at sensor. When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at the planting section 3 is too high relative to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at sensor, the control section lowers the planting section 3 by operating the spool 57a of the lift control valve 57. Moreover, the control part raises the planting part 3 by operating the spool 57a of the elevation control valve 57, when it determines with the planting part 3 being too low with respect to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a float sensor. In addition, when the planting part 3 is at an appropriate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at sensor, the control part maintains the height of the planting part 3.

이상의 플로트 제어에 의하여, 식부부(3)를 지면에 대하여 항상 적절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을 적절하게 식부할 수 있다.By the above float control, the planting part 3 can always be maintained at a suitable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seedlings can be planted appropriately.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한창 플로트 제어를 행하면서 식부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에 차체가 포장의 단부(두렁가)까지 도달했을 경우에는 차체를 유턴 선회시켜서 식부 작업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한창 플로트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에는 식부부(3)가 지면에 대하여 접근한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차체를 유턴 선회시키면 식부부(3)가 두렁 등에 충돌해서 파손 등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식부 작업 중에 차체(2)를 유턴 선회시킬 때에는 식부부(3)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하게 떨어진 높이가 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y the way, when planting operation | work is carried out while performing a float control as mentioned above, when a vehicle body reaches to the edge part of a pavement (a ridge), it is necessary to turn a vehicle body by U-turn and continue planting work. Here, the planting section 3 is in a position approaching the ground when the float control is in full swing. Turning the vehicle body in a U-turn in this state may cause the planting section 3 to collide with the head and cause damage or the like. There is this. Therefor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performs the automatic eleva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to raise automatically until the planting part 3 becomes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ground, when turning the vehicle body 2 during a planting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이어서, 상기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s demonstrated concretely.

도 6에는 이 이앙기(1)의 식부부(3)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부(64)는 회전 센서(44)로 검지한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수를 감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64)는 식부 클러치(50)의 접속/차단을 식부 클러치 검출 스위치(50a)에 의해, 또한 사이드 클러치[41(41L, 41R)]의 접속/차단을 클러치 센서[49(49L, 49R)]에 의해 감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64)는 식부부(3)의 하강을 지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65)는 회전 센서(44)로 계측된 회전수를 소정 시간만큼 누적해서 기억하거나, 미리 소정값이나 보정값 등을 기억시켜 두기 위한 것이고, 제어부(64)에 의한 지시에 따라 이들의 동작을 행한다.6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part 3 of the rice transplanter 1. The control unit 64 monitors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39 detected by the rotation sensor 44. Further, the control unit 64 controls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planting clutch 50 by the planting clutch detection switch 50a, and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es 41 (41L, 41R) by the clutch sensor [49 (49L, 49R). Moreover, the control part 64 is comprised so that the lowering of the planting part 3 may be instructed. The storage unit 65 is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rotation speed measured by the rotation sensor 44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storing a predetermined value, a correction value, or the like in advance, a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by the control unit 64, Perform the operation.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는 오퍼레이터의 소정의 조작을 트리거로서 검출함으로써 개시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는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 조작」, 「식부 클러치의 차단 조작」 및 「후진 조작」의 3개의 트리거 중 어느 1개를 제어부가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가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를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3개의 트리거 중 어느 것을 검출했는지에 따라 3가지 제어 패턴 중 1가지를 자동적으로 선택해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s started by detecting predetermined operation of an operator as a trigger.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7, when the control part detects any one of three triggers of "side clutch disconnection operation", "planting clutch disconnection operation", and "reverse operation",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tart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lect and execute one of the three control patterns according to which of the three triggers is detected.

우선, 첫번째 제어 패턴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 패턴은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스티어링 핸들(7)을 크게 조작해서 차체(2)를 급선회(유턴)시키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First, the first control patte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7 and 8. This control pattern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sharply turns (U-turn) the vehicle body 2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7 largely during the planting work.

제어부는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 클러치 센서(49L, 49R)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차단을 트리거로서 검출했을 경우(S101의 조건 분기), S104로 진행되어서 첫번째 제어 패턴(패턴 1의 제어)으로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한다.The control unit proceeds to S104 when the shutoff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is detected as a trigg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during the planting operation (condition branch of S101), and the first control pattern (pattern (1 control) to perform automatic lift control when tur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스티어링 핸들(7)이 일정량 이상 조작되었을 경우에만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어느 한쪽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센서(49L, 49R)라는 간단한 센서(구체적으로는 스위치)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스티어링 핸들(7)을 크게 조작해서 차체(2)의 유턴 선회를 개시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유턴 선회의 개시를 판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가의 회전량 센서 등이 필요 없어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이앙기(1)를 구성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so that one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may be interrupted only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operated more than a fixed amount. Since it is comprised in this way, the simple sensor (specifically, switch) of clutch sensors 49L and 49R can detect that an operator operated the steering wheel 7 largely, and started the U-turn turning of the vehicle body 2.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order to judge the start of a U-turn turning, for example, an expensive rotation amount sensor or the like for detect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steering shaft is not necessary, and the rice transplanter 1 can be configured simply and inexpensivel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량이 소정량 미만인 경우에는 사이드 클러치(41L, 41R)는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체(2)를 직진시키고 있을 때의 미묘한 조작으로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개시되는 일은 없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의 뜻을 따르지 않는 타이밍에서 자동 승강 제어가 개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amount of the steering wheel 7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are not blocked. Therefore, the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is not started by the delicate operation when the vehicle body 2 is going straight. Thereby, automatic lifting control can be prevented from starting at the timing which does not comply with the meaning of an operator.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차단(유턴 선회의 개시)을 검출하면 도 8의 S201로 진행되어서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린 후 식부 클러치(50)를 차단(S202)하여 식부부(3)를 상승(S203)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턴 선회의 개시가 검출되면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므로 차체(2)를 선회시킬 때에 식부부(3)가 두렁 등에 충돌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3)를 상승시킬 때에는 식부 클러치(50)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므로 식부부(3)의 쓸데없는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3)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플로트 제어를 중단한다.When the control unit 64 detects the blocking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the start of the U-turn turning), the control unit 64 proceeds to S201 of FIG. 8 and sounds a notification sound by the notification unit, and then blocks the planting clutch 50 (S202). It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ing part 3 may be raised (S203). In this way, when the start of the U-turn swing is detected, the planting section 3 is automatically raised, and thus, the planting section 3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dung and the like when the vehicle body 2 is turned. In addition, since the planting clutch 50 is automatically shut off when the planting portion 3 is raised, useless operation of the planting portion 3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raising the planting part 3, the said float control is stopped.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킬 때에는 미리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앙기(1)의 주위에 있는 사람 및 오퍼레이터 자신에 대하여 식부부(3)의 상승이 행해지는 것을 통지할 수 있으므로 식부부(3)를 자동 승강시킬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as mentioned abov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so that notification by a notification part may be made beforehand when raising the planting part 3 automatically. Thereby, since the raising of the planting part 3 can be notified to the person and operator themselves which are around the rice transplanter 1, the safety at the time of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part 3 can be improved.

제어부(64)는 식부부(3)를 상승시키면 S101에서 차단이 검출된 쪽의 사이드 클러치가 다시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4).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티어링 핸들(7)이 중립 위치로 되돌려졌다는 것이기 때문에 유턴 선회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4)는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울 울리고(S205) 그 후에 식부부(3)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트리거로 해서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하강시킬 때에도 미리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행하므로 식부부(3)를 자동 승강시킬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planting part 3 is raised, the control part 64 determines whether the side clutch of the side from which the interruption | blocking was detected by S101 was connected again (S204). When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is detected, since the steering wheel 7 has been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turn turning is finish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4 sounds the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unit (S205) and then lowers the planting unit 3. In this manner, when the planting portion 3 is automatically lowered by trigger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the notification portion is notified in advance so that the safety when the planting portion 3 is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can be improved.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턴 선회를 개시한 시점(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한 시점)과, 유턴 선회를 종료한 직후의 시점(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한 시점)에서는 차체(2)의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이앙기(1)의 약 1대분에 상당하는 오프셋 거리가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유턴 선회의 종료)을 검출한 후, 상기 약 1대분에 상당하는 거리를 전진한 후에 식부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U-turn turn is started (the point of detecting the cut off of the side clutch) an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U-turn turn (the point of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When viewed from the front-back direction, there exists an offset distance equivalent to about one of the rice transplanters 1. Therefore,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rt 64 is comprised so that planting may be resumed after advancing the distance equivalent to about 1 unit after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the end of a U-turn turning). have.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S204)하면 상기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횟수가 이앙기(1)의 약 1대분에 대응한 회전 횟수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상기 약 1대분의 거리를 주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7). 그리고, 제어부는 차체(2)가 이앙기(1)의 약 1대분의 거리를 주행 완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식부 클러치(50)를 접속(S208)해서 식부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That is, when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S204), the control part 64 starts coun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aid rotation sensor 44. FIG.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rotatio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rotations corresponding to about one unit of the rice transplanter 1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traveled the distance of about one unit) (S207). When the control unit 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body 2 has traveled about one distance of the rice transplanter 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lanting clutch 50 (S208) to resume planting.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는 타이밍을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횟수에 의거해서 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부를 중단한 시점(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한 시점)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식부를 재개할 수 있으므로 자동 선회 승강 제어의 전후로 모종의 식부 위치를 맞출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timing which connects the planting clutch 50 is determined based on the frequency | count of rotation of a propeller shaft. Thereby, since planting can be restarted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which stopped planting (point of time when the cutoff of a side clutch was detected), the seedling planting position can be set before and after automatic turning lifting control.

또한, 상기에서는 오프셋 거리를 이앙기(1)의 약 1대분의 거리로 했지만, 상기 오프셋 거리는 차체(2)의 선회 성능 등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앙기(1)는 오퍼레이터가 상기 오프셋 거리를 증감시키기 위한 조절 다이얼과 같은 것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offset distance was made into about 1 distance of the rice transplanter 1 in the above, the said offset distance differs according to the tur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body 2, etc. Therefore, the rice transplanter 1 may be equipped with the thing similar to the adjustment dial for the operator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said offset distance.

그리고, 제어부(64)는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해서 식부를 재개하면 플로트 제어를 재개함과 아울러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리도록(S209)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식부가 정상으로 재개된 것을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어떠한 이유에 의해 식부가 재개되지 않았을 경우 등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connected to resume planting, the control unit 64 resumes float control and sounds a notification sound by the notification unit (S209).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that the planting has been resumed normally, and therefore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when planting is not resumed for some reason.

이어서, 두번째 제어 패턴에 대하여 도 8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제어 패턴은 식부 작업 중에 오퍼레이터가 식부 클러치를 차단해서 식부를 중단한 후, 약간 거리를 직진 주행한 후 차체(2)를 급선회(유턴)시키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은 두렁가에 있어서 이앙기(1)가 포장으로부터 탈출할 때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정 구간의 식부를 행하지 않을 경우 등에 행해진다.Next, the second control patte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10. This control pattern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cuts off the planting clutch during planting to stop planting, and then turns the vehicle body 2 sharply (U-turn) after traveling straight a little distance. This operation is performed when planting in a certain section is not performed in order to secure a space when the rice transplanter 1 escapes from the pavement in the duplex.

오퍼레이터가 도시 생략된 식부 클러치 조작암을 조작함으로써 식부 클러치(50)가 차단되면 PTO축(13)으로부터 식부 케이스(15)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식부 클러치(50)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식부 클러치(50)에 인접해서 구비하는 식부 클러치 검출 스위치(50a)가 OFF가 되고, 이것을 제어부(64)가 트리거로서 검출한다(S102의 조건 분기). 이 경우, 제어부(64)는 S105로 진행되어서 두번째 제어 패턴(패턴 2의 제어)으로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한다.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blocked by the operator operating the planting clutch operating arm (not shown),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from the PTO shaft 13 to the planting case 15 is interrupted. Moreover, 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cut off, the planting clutch detection switch 50a provided adjacent to the planting clutch 50 turns OFF, and this control part 64 detects this as a trigger (condition branch of S10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4 proceeds to S105 to perform automatic lift control with the second control pattern (control of the pattern 2).

패턴 2의 제어에 있어서, 제어부(64)는 우선 통지음을 울리고(S301) 그 후에 플로트 제어를 중단하여 식부부(3)를 상승(S203)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는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는 처리를 개시(S303)하고,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차단(유턴 선회의 개시)을 검출(S304의 판단)하면 상기 카운트를 종료한다(S305). 이에 따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를 중단하고나서 유턴 선회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안에 차체(2)가 전진한 거리(전진 거리)를 취득할 수 있다.In the control of the pattern 2, the control part 64 is comprised so that a notification sound may sound first (S301), and after that, float control may be interrupted and the planting part 3 may be raised (S203).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starts a process of coun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otation sensor 44 (S303), and shuts of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starting the U-turn turning). Upon detection (determination of S304), the count ends (S305). Thereby, as shown in FIG. 12, the distance (advancing distance) which the vehicle body 2 advanced before stopping planting and starting U-turn turning can be acquired.

계속해서, 제어부(64)는 S304에서 차단이 검출된 쪽의 사이드 클러치가 다시 접속된 것(유턴 선회의 종료)을 검출하면(S306의 판정)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리고(S307) 그 후에 식부부(3)를 하강시킨다(S308). 여기에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클러치(50)를 차단해서 식부를 중단한 시점과, 유턴 선회를 종료한 직후의 시점에서는 차체(2)의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전진 거리)+[이앙기(1)의 약 1대분에 상당하는 오프셋 거리]만큼의 위치 어긋남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유턴 선회의 종료)을 검출한 후 상기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고, 차체(2)가 상기 어긋남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주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9). 그리고, 차체(2)가 상기 어긋남에 상기하는 거리만큼 주행 완료했다고 판정한 후 식부 클러치(50)를 접속(S310)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64)는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면 플로트 제어를 재개해서 식부를 재개함과 아울러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리도록(S311) 구성되어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4 detects that the side clutch of the side on which the cutoff is detected in S304 is again connected (the end of the U-turn turning) (the determination in S306), and the notification unit sounds a notification sound (S307) thereafter. The planting part 3 is lowered (S308). Her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cut off and planting is stopped, and immediately after the U-turn turn is finished, when view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the (advancing distance) + [rice transplanter] is shown. Offset distance corresponding to about one unit of (1)] exists. Therefore, the control part 64 coun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aid rotation sensor 44, after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end of a U-turn turn), and the vehicle body 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traveled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eviation (S309).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ing clutch 50 may be connected (S310) after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body 2 has completed traveling by the said distance by the said shift | offset | difference. In addition, 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64 resumes float control, resumes planting, and is configured to sound a notification sound by the notification unit (S311).

이어서, 세번째 제어 패턴에 대하여 도 7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제어 패턴은 식부 작업 중에 오퍼레이터가 차체(2)를 후진시킨 후 차체(2)를 급선회(유턴)시키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은 두렁가에 닿을 만큼의 위치까지 식부를 행하고 싶을 경우 등에 행해진다.Next, a third control patte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10. This control pattern assumes a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sharply turns (U-turn) the vehicle body 2 after reversing the vehicle body 2 during the planting operation. Such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planting is to be carried out to a position enough to reach the head.

제어부(64)는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차체(2)의 후진을 개시한 것을 트리거로서 검출했을 경우(S103의 조건 분기), S106으로 진행되어서 세번째 제어 패턴(패턴 3의 제어)으로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한다.The control unit 64 proceeds to S106 when the operator detects that the operator has started to reverse the vehicle body 2 by operating the forward / backward switching lever (condition branch of S103), and proceeds to the third control pattern (control of the pattern 3). Automatic lifting control is performed.

이 경우, 제어부(64)는 통지음을 울리고(S401) 식부 클러치(50)를 차단(S402)한 후, 플로트 제어를 중단하고 식부부(3)를 상승(S403)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64)는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는 처리를 개시(S404)하고,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차단(유턴 선회의 개시)을 검출(S405의 판단)하면 상기 카운트를 종료한다(S406). 이에 따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진을 개시하고나서 유턴 선회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안에 차체(2)가 후진한 거리(후진 거리)를 취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4 is configured to sound a notification sound (S401), cut off the planting clutch 50 (S402), stop the float control, and raise the planting unit 3 (S403).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4 starts the process of coun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otation sensor 44 (S404), and shuts of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U-turn rotation). The count is terminated (S406) when detecting the start). Thereby, as shown in FIG. 13, the distance (reverse distance) which the vehicle body 2 receded after starting backward and starting to turn U-turn can be acquired.

계속해서, 제어부(64)는 S405에서 차단이 검출된 쪽의 사이드 클러치가 다시 접속된 것(유턴 선회의 종료)을 검출하면(S407의 판정),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리고(S408) 그 후에 식부부(3)를 하강시킨다(S409). 이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진을 개시한 시점(식부를 중단한 시점)과, 유턴 선회를 종료한 직후의 시점에서는 차체(2)의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이앙기(1)의 약 1대분에 상당하는 오프셋 거리]-[후진 거리]에 상당하는 어긋남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유턴 선회의 종료)을 검출한 후 상기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고, 차체(2)가 상기 어긋남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주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10). 그리고, 차체(2)가 상기 어긋남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주행 완료했다고 판정한 후 식부 클러치(50)를 접속(S411)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면 플로트 제어를 재개해서 식부를 재개함과 아울러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리도록(S412) 구성되어 있다.Subsequently, when the control unit 64 detects that the side clutch on the side where the interruption is detected in S405 is again connected (the end of the U-turn turning) (determination in S407), the notification unit sounds a notification sound (S408). After that, the planting part 3 is lowered (S409).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reverse start is started (the planting stops) an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U-turn turn, whe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2, about one unit of the rice transplanter 1 is used. Offset distance corresponding to [] and [reverse distance] exist. Therefore, the control part 64 coun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aid rotation sensor 44, after de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end of a U-turn turn), and the vehicle body 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traveled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eviation (S410). Then, after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body 2 has completed traveling by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hift, the planting clutch 50 is connected (S411). When the planting clutch 50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resumes float control to resume planting and sounds a notification sound by the notification unit (S412).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의 3가지 제어 패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나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전에는 반드시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킬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ust notify the notification unit before automatically raising or lowering the planting unit 3 in any of the three control patterns of the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Consists of. Thereby, the safety at the time of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part 3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사이드 클러치(41)가 접속된 것만으로 유턴 선회의 종료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이것에 더하여, 또는 이것 대신에 상기 회전 센서(44)의 검출 결과를 고려해서 유턴 선회의 종료를 판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사이드 클러치(41)가 차단된 후 차체(2)가 충분한 거리를 주행하지 않은 채 사이드 클러치(41)가 접속되었을 경우, 유턴 선회를 완료시키지 않고 선회 조작을 끝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턴 선회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식부 작업을 계속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선회를 행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므로, 가령 사이드 클러치(41)가 접속되었다고 해도 식부부(3)의 자동 하강은 행하지 않는 편이 좋다. 따라서, 제어부(64)는 사이드 클러치(41)의 차단을 검출(S102, S304 또는 S405)한 후 회전 센서(44)에 의해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회전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될 때까지는 유턴 선회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식부부(3)의 자동 하강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turn turn is completed only when the side clutch 41 is connected, but in addition to this, or in place of this, the end of the U-turn tur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result of the rotation sensor 44. You may comprise so that. For example, when the side clutch 41 is connected after the side clutch 41 is cut off and the body 2 does not travel a sufficient dista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urning operation is completed without completing the U-turn turning. . In this way, when the U-turn is not comple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operator did not turn with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he planting work. Therefore, even if the side clutch 41 is connected, the planting part 3 does not automatically descend. I like i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4 coun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by the rotation sensor 44 after detecting the blocking of the side clutch 41 (S102, S304 or S405), and the number of rotations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planting part 3 is not automatically lowered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turn turn is not completed until the above.

이어서, 후진시에 있어서의 식부부(3)의 자동 상승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utomatic raising control of the planting part 3 at the time of reverse movement is demonstrated.

예를 들면, 두렁가에 있어서 차체(2)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위해서 차체(2)를 후진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식부부(3)가 두렁에 충돌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식부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식부부(3)를 자동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vehicle body 2 may be reversed in order to align the vehicle body 2 in the rung area.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planting portion 3 from colliding with the head,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raise the planting portion 3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planting is performed.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차체(2)의 후진을 개시한 것을 트리거로서 제어부(64)가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64)는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린 후 식부부(3)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진시에 있어서의 식부부(3)의 자동 상승 제어시에도 식부부(3)를 자동 상승시키기 전에 통지를 행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rol part 64 detects that the operator started backward of the vehicle body 2 by operating the forward / backward switching lever, the said control part 64 will be notified to a notification par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ing part 3 may be raised after a notification sound. In this manner, even when the planting portion 3 is automatically lifted up at the time of reversing, notification is made before the planting portion 3 is automatically raised, so that the safe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부부(3)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식부부(3)를 분리한 상태의 차체(2)에 대하여 식부부(3) 또는 다른 작업기를 부착하는 작업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한다. 즉, 차체(2)에 부착할 예정인 작업기를 차체(2)의 후방에서 지면 또는 적절한 대(台)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승강 링크 기구(12)를 적절한 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차체(2)를 후진시키고, 승강 링크 기구(12)를 상기 작업기의 접속 개소에 접근시켜서 상기 승강 링크 기구와 작업기의 접속을 행한다.Moreover,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so that the planting part 3 can be isolate | separated as mentioned above. By the way,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attaches a planting part 3 or another work machin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2 in the state which removed the planting part 3 is performed as follows, for example. That is, the work machine which is going to be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2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a suitable stand behind the vehicle body 2. Then, the vehicle body 2 is moved backward while the lifting link mechanism 12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height, and the lifting link mechanism 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cation of the work machine to connect the lifting link mechanism and the work machine.

이상과 같이, 작업기를 부착하는 작업시에는 승강 링크 기구(12)의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체(2)를 후진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후진시의 자동 상승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차체(2)에 작업기가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적절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기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후진시의 자동 승강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ody 2 needs to be reversed while the height of the elevating link mechanism 12 is maintained at the time of attaching the work machin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not to perform the automatic raising control at the time of reverse. . Therefor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appropriate sensor which detects whether a work machine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2, and when it does not have a work machine, it does not perform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reverse movement. Consists of.

이어서,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의 식부부(3)의 메뉴얼 승강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anual lifting operation of the planting part 3 in a planting operation is demonstrated.

즉, 식부 작업을 한창 행하고 있을 때에 어떠한 이유에 의해 식부부(3)의 높이를 일시적으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오퍼레이터가 조작함으로써 식부부(3)의 높이를 메뉴얼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메뉴얼 승강 스위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when planting work is in full swing, the height of the planting part 3 may be temporarily changed for some reason. 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manual lifting switch (not shown) compri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lanting part 3 can be adjusted by a manual operation by an operator.

식부 작업의 도중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식부를 중단하고 식부부(3)의 높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식부 클러치(50)를 차단하는 조작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메뉴얼 승강 스위치를 조작해서 식부부(3)가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조절한다. 제어부(64)는 메뉴얼 승강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하면 승강 실린더(14)를 구동해서 식부부(3)를 승강 구동함과 아울러 대기 모드로 이행하고, 플로트 제어를 중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middle of the planting operation, when the planting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height of the planting section 3 is to be changed,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of blocking the planting clutch 50 and also operates the manual lifting switch to operate the planting section ( Adjust 3) to the desired height. The control unit 64 is configured to drive the lifting cylinder 14 to lift and lower the planting unit 3 when the operation of the manual lifting switch is detected, to enter the standby mode, and to stop the float control.

상기한 바와 같이, 식부 작업의 도중에 일시적으로 식부부(3)의 높이를 변경했을 경우에는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신속하게 식부 작업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대기 모드 중에 오퍼레이터가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는 조작을 행했을 경우, 제어부(64)는 상기 대기 모드를 빠져나와서 통지부에 의해 통지음을 울린 후 플로트 제어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로트 제어가 재개되면 식부부(3)는 오퍼레이터가 높이를 변경하기 전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승강되므로 적절하게 식부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는 조작만으로 식부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changing the height of the planting part 3 temporarily in the middle of a planting work, it is preferable that a planting work can be resumed quickly by performing predetermined operation. Therefore,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when an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which connects the planting clutch 50 during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part 64 exits the said standby mode and sounded a notification sound by the notification part. After the float control is configured to resume. When the float control is resumed, the planting part 3 automatically moves up and down to the position before the operator changes the height, so that the planting work can be resumed appropriately. In this manner, the planting operation can be quickly resumed only by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planting clutch 50.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로트 제어를 자동적으로 재개하기 전에는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식부부(3)의 높이를 변경한 상태에서 플로트 제어를 재개하면 식부부(3)가 원래 높이까지 자동적으로 승강되므로, 상기 자동적인 승강을 주위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플로트 제어를 재개하기 전에 통지를 행함으로써 식부부(3)가 자동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주위에 통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t is comprised so that notification by a notification part may be performed before resuming float control automatically as mentioned above. That is, when the float control is resumed 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planting part 3 is changed, the planting part 3 automatically moves up and down to the original height, so it is preferable to notify the surroundings of the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In this regard, by notifying the planting unit 3 automatically ascending and lowering by notifying before resuming the float control as described above, safet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사이드 클러치(41L, 41R)와,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와, 클러치 센서(49L, 49R)와, 승강 실린더(14)와, 제어부(64)와, 식부 클러치(50)를 구비한다. 사이드 클러치(41L, 41R)는 엔진(10)으로부터 좌우 후륜(5, 5)의 차축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하다.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는 사이드 클러치(41L, 41R)를 차단한다. 클러치 센서(49L, 49R)는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하다. 승강 실린더(14)는 식부부(3)를 승강 구동한다. 제어부(64)는 승강 실린더(14)의 구동을 제어한다. 식부 클러치(50)는 식부부(3)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이하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식부부(3)의 작동 중에 식부 클러치(50)의 차단을 검출하면 식부부(3)를 상승시키고, 식부 클러치(50)가 차단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전진 거리를 기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식부부(3)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상기 전진 거리와 소정의 오프셋 거리를 가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has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the side clutch operating mechanism 45,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the lifting cylinder 14, and a control part. 64 and the planting clutch 50 are provided.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are capable of switch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from the engine 10 to the axles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5 and 5.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45 blocks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can detec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The lifting cylinder 14 lifts and drives the planting part 3. The control unit 64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ifting cylinder 14. The planting clutch 50 can swit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to the planting part 3.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automatic elevating control during the following turning. That is, if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blocking of the planting clutch 5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unit 3, the control unit raises the planting unit 3, and stores the forward distance until the planting clutch 50 is shut off and turning starts. . Further, the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at the turning is started when the shutoff of the side clutch is detected. Moreover, when the said control part detects the connection of a side clutch, it determines that turning is complete based on this, and makes the planting part 3 lower.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planting clutch 50 when i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traveled the distance obtained by adding the advance distance and the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fter the turning ends.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하의 선회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하다. 즉, 제어부는 식부부의 작동 중에 차체(2)의 후진 조작을 검출하면 식부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후진을 개시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후진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식부부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소정의 오프셋 거리로부터 후진 거리를 감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한다.In addition,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rt is capable of the following automatic swing control.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vehicle body 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unit, the control unit raises the planting unit, and measures the reverse distance from the start of the reverse to the start of turni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wing is started when the side clutch is blocked. Moreover, when a control part detects a connection of a side clutch, it determines that turning is complete based on this, and lowers a planting part. The control unit then connects the planting clutch 50 when it detects that the vehicle has traveled a dista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verse distance from the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fter the end of the turning.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접속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선회의 개시, 종료를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조향 조작구의 조작량을 포텐셔미터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에 비해서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이앙기(1)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해 둠으로써 선회 종료 후에 적절한 위치에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tart and end of the swing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nection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Therefore, for example, the rice transplanter 1 can be comprised easily and inexpensively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detects the operation amount of a steering operation tool by a potentiometer. Then, as described above, by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up to the start of the swing, the work can be resu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fter the end of the swing.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45)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41L)를 조작하는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과, 우측 사이드 클러치(41R)를 조작하는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과, 스티어링 핸들(7)의 조작에 연동되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티어링 연동 레버(47)를 구비한다.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은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좌측 단부(47b)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은 스티어링 연동 레버(47)의 우측 단부(47c)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스티어링 핸들(7)이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소정량 조작되면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 또는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을 스티어링 연동 레버(47)가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 클러치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센서는 좌측 클러치 조작암(46L)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좌측 클러치 센서(49L)와,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우측 클러치 센서(49L)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as follows. That is,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45 includes a left clutch operation arm 46L for operating the left side clutch 41L, a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for operating the right side clutch 41R, and a steering wheel ( And a steering linkage lever 47 that rotates about an axis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7).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is disposed near the left end 47b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is disposed near the right end portion 47c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47.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wheel 7 is operated a predetermined amount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teering interlocking lever 47 presses the left clutch operating arm 46L or the right clutch operating arm 46R to shut off the side clutch on the corresponding side. It is configured to be. In addition, the clutch sensor is comprised by the left clutch sensor 49L which detects the movement of the left clutch operation arm 46L, and the right clutch sensor 49L which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ight clutch operation arm 46R.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작동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Thereby, the operation state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can be detected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이앙기(1)는 후륜의 차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44)를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상류측에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 센서(44)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취득한다.In additio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as follows. That is, this rice transplanter 1 is equipped with the rotation sensor 44 which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shaft 39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axle of a rear wheel, upstream of side clutch 41L, 41R. And the said control part acquires the said mo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rotation sensor 44. FIG.

이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상류측 회전 센서(44)의 검출값을 사용함으로써 슬립하는 것이 염려되는 내측 차축의 회전수를 사용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서 식부 클러치(50)를 접속하는 타이밍을 제어부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Thus, the timing of connecting the planting clutch 50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u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inner axle which is concerned about slipping by us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upstream rotation sensor 44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클러치 센서(49L, 49R)는 근접 스위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클러치의 ON 또는 OFF를 검출함으로써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접속/차단을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are proximity switches, and the said control part recognizes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by detecting ON or OFF of the said proximity clutch. It is desirable to.

이에 따라, 사이드 클러치(41L, 41R)의 접속/차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es 41L and 41R can be detected accurately.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식부부(3)의 승강시 및 식부 클러치(50)의 접속시에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notification part which makes a notification at the time of the lifting of the planting part 3, and the connection of the planting clutch 50.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선회시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자동적인 승강 제어가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reby, the operator can confirm that the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work machine at the time of turning is performed suitably.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검출에 추가하여 후륜의 프로펠러 샤프트(39)가 회전한 횟수를 고려해서 상기 선회 종료의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the said control part can also be comprised so that determination of the said turning end may be made considering the frequency | count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shaft 39 of a rear wheel in addition to detection of a side clutch connection.

즉,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고려함으로써 차체가 적절한 방향까지 선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검출에 추가하여 프로펠러 샤프트(39)의 회전 횟수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선회 종료를 판정할 수 있다.That is,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body has turned to the proper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urning end more accurately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 shaft 39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the side clutch connection.

이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said structure can be changed as follows, for exampl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패턴 1부터 패턴 3까지 3패턴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를 실현 가능하고, 상기 3가지 패턴을 상황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는 이앙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농업용 작업 차량은 이들 3가지 제어 패턴을 모두 실현 가능할 필요는 없고, 어느 1가지, 또는 2가지의 제어 패턴만을 실현 가능한 구성이라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the rice transplanter which can realize automatic lifting control at the time of turning of three patterns from the pattern 1 to the pattern 3, and can switch these three patter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was demonstrated. However,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does not need to realize all three of these control patterns, and may be configured to realize only one or two control patterns.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미션 케이스(11) 내에 HST(26) 및 유성 기어 기구(27)로 이루어지는 HMT(25)가 무단 변속 장치로서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 대신에 무단 변속 장치로서 HST(26)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단, HST만인 구성과 비교해서 HST와 유성 기어 기구를 조합시킨 HMT 쪽이 전달 효율의 관점으로부터는 유리하다.In the said embodiment, it was set 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HMT 25 which consists of the HST 26 and the planetary gear mechanism 2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ission case 11 a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provided only HST26 a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stead of this structure. However, compared with the HST-only structure, the HMT combining the HST and the planetary gear mechanism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transmission efficiency.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 센서는 스위치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러치 조작암이 조작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면 다른 형식의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lutch sensor was demonstrated as a switch,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the sensor can detect that the clutch operation arm has been operated, another type of sensor can be employe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부부(3)는 로터리식 식부부로 했지만, 크랭크식이라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planting part 3 used as a rotary planting part, it may be a crank type.

통지부는 버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계 음성 등에 의해 「식부부가 상승합니다」 등의 아나운스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통지부에 의한 통지는 소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경보 램프를 점등시키는 등의 구성이라도 좋다.The notification unit is not limited to the buzzer and may be configured to announce, for example, "the planting unit rises" by a mechanical vo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by the notification part is not limited to a sound,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lighting an alarm lamp may be sufficient.

상기 실시형태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에 있어서, 패턴 1 및 패턴 3의 제어에서는 통지를 행한 후에 식부 클러치를 차단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식부 클러치를 차단한 후에 통지를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요는 식부부(3)를 승강시키기 전에 통지를 행할 수 있으면 좋다.In the turning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planting clutch is performed after the not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control of the pattern 1 and the pattern 3, but the configuration may be performed after the planting clutch is shut off. The urine needs only to be notified before rais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part 3.

상기 실시형태의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에서는 오프셋 거리를 이앙기(1)의 약 1대분의 거리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더하여 논의 토질(점성이 높은 흙인지의 여부 등)에 따라 오프셋 거리를 증감시킬 수 있게 구성해도 좋다.In the turning automatic lifting control of the above embodiment, the offset distance is about one distance of the rice transplanter 1, but in addition to this, the offset distanc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soil quality (whether or not the soil is highly viscous). You may comprise it.

클러치 센서(49L, 49R)는 리어 액슬 케이스의 외측에 부착되어도 좋고, 리어 액슬 케이스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에는 클러치 센서(49L, 49R)가 리어 액슬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axle case or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ear axle case. For example,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lutch sensors 49L and 49R are provided outside the rear axle case.

한편, 도 3(c)에는 우측 클러치 센서(49R)가 리어 액슬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우측 클러치 조작암(46R)의 암축(67) 일단에 타원형 암(68)의 일단을 고정해서 구비하고, 우측 클러치 센서(49R)를 암(68)의 근방에 배치한다. 우측 클러치 센서(49R)는 암(68)이 회동하면 상기 암(68)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암(46R)이 회동하면 암(68)도 일체적으로 회동해서 클러치 센서(49R)가 ON이 되므로 클러치 조작암(46R)의 회동을 클러치 센서(49R)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센서는 클러치 조작암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3 (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ight clutch sensor 49R is disposed inside the rear axle case. In this case, one end of the elliptical arm 68 is fixed to one end of the arm shaft 67 of the right clutch operating arm 46R, and the right clutch sensor 49R is disposed near the arm 68. The right clutch sensor 49R is provided to contact the arm 68 when the arm 68 rotates. When the clutch operating arm 46R rotates, the arm 68 also rotates integrally, and the clutch sensor 49R turns on, so that the rotation of the clutch operating arm 46R can be detected by the clutch sensor 49R. In this manner, the clut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not directly contact the clutch operation arm.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승강하는 작업기를 구비한 다른 농업용 작업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ice transplanter, It is applicable also to the other agricultural work vehicles provided with the work machine which moves up and down.

1 : 이앙기(농업용 작업 차량) 2 : 차체
3 : 식부부(작업기) 7 : 스티어링 핸들(조향 조작구)
14 : 승강 실린더 41L, 41R : 사이드 클러치
49L, 49R : 클러치 센서
1: rice transplanter (working vehicle for agriculture) 2: body
3: planting part (working machine) 7: steering wheel (steering operation tool)
14 lifting cylinder 41L, 41R: side clutch
49L, 49R: Clutch Sensor

Claims (7)

좌우 후륜의 차축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한 사이드 클러치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하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한 클러치 센서와,
작업기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작업기에 대한 구동력 전달의 유무를 스위칭 가능한 작업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기의 작동 중에 상기 작업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작업 클러치가 차단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상기 작업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상기 이동 거리와 소정의 오프셋 거리를 가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접속하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And side clutch which can swit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ing force transmission to right and left rear axle,
A side clutch operating mechanism for blocking the side clutch;
A clutch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ide clutch;
A lifting cylind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work machin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lifting cylinder;
A work clutch that can swit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ive force transmission to the work machine;
The control unit,
If the blocking of the work clutch is det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the work machine is raised,
Measure the moving distance from the operation clutch to the start of turning,
Detecting the shut off of the side clutch determines that the swing starts.
If it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said side clutch, it judges that turning is complete based on this, and lowers the said working machine,
And an automatic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during turning to connect the work clutch when detecting that the moving distance and the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re added after the turning is completed.
작업기의 작동 중에 차체의 후진 조작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후진을 개시하고나서 선회 개시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사이드 클러치의 차단을 검출하면 선회 개시라고 판정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을 검출하면 이것에 의거하여 선회 종료라고 판정해서 상기 작업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선회 종료 후에 소정의 오프셋 거리로부터 상기 이동 거리를 감산한 거리를 주행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접속하는 선회시 자동 승강 제어가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Detecting reverse operation of the vehicle body during operation of the work machine raises the work machine,
Measure the travel distance from the start of the reverse to the start of the turn,
Detecting the shut off of the side clutch determines that the swing starts.
If it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said side clutch, it judges that turning is complete based on this, and lowers the said working machin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automatically elevating control during turning to connect the work clutch when detecting that the driving distance is subtracted from the predetermined offset distance after the turning end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소정의 조작량 이상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클러치를 차단하는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와,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작동 상황을 검출 가능한 클러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 조작 기구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를 조작하는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와,
우측 사이드 클러치를 조작하는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와,
조향 조작구의 조작에 연동되어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조향 연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조향 연동 레버의 차체 좌측 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는 상기 조향 연동 레버의 차체 우측 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향 조작구가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소정량 조작되면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 또는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를 상기 조향 연동 레버가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 클러치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센서는,
상기 좌측 클러치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좌측 클러치 센서와,
상기 우측 클러치 조작 부재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우측 클러치 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ide clutch operating mechanism which cuts off the side clutch when the steering operation tool is operated over a predetermined operation amount;
A clutch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ide clutch,
The side clutch operation mechanism,
A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for operating the left side clutch,
A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for operating the right side clutch,
It is provided with a steering linkage lever which i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operation tool to rotate about the axis,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near the vehicle body left end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is disposed near the vehicle body right end of the steering linkage lever,
When the steering operation tool is operated a predetermined amount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teering clutch interlocking lever is pressed against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or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to block the side clutch of the corresponding side.
The clutch sensor,
A left clutch sens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left clutch operating membe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omprising: a right clutch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right clutch operating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차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상류측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센서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upstream side of the side clutch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shaft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axle of the rear wheel,
And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movement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value of the rotation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센서는 근접 스위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클러치의 ON 또는 OFF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lutch sensor is a proximity switch,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 side clutch by detecting ON or OFF of the proximity clu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의 승강시 및 상기 작업 클러치의 접속시에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And a notifying unit for notifying when the work machine is lifted and the work clutch is connect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 접속의 검출에 추가하여,
상기 후륜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회전한 횟수를 고려해서 상기 선회 종료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of the side clutch connection,
And the end of the turning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drive shaft of the rear wheel has rotated.
KR1020127023814A 2010-03-15 2011-03-10 Agricultural work vehicle KR1015245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8031A JP5702543B2 (en) 2010-03-15 2010-03-15 Passenger rice transplanter
JPJP-P-2010-058031 2010-03-15
JP2010058155A JP5508073B2 (en) 2010-03-15 2010-03-15 Agricultural work vehicle
JPJP-P-2010-058155 2010-03-15
PCT/JP2011/001424 WO2011114671A1 (en) 2010-03-15 2011-03-10 Agricultural work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496A true KR20120127496A (en) 2012-11-21
KR101524578B1 KR101524578B1 (en) 2015-06-01

Family

ID=4464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814A KR101524578B1 (en) 2010-03-15 2011-03-10 Agricultural work vehi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24578B1 (en)
CN (1) CN102802400B (en)
WO (1) WO201111467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24A (en) * 2014-05-19 2015-11-27 대동공업주식회사 Side clutch actuation structure for passenger type rice transpla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4936A (en) * 2015-10-19 2015-12-16 苏州市天幕景观装饰工程有限公司 Transplanter
JP6689126B2 (en) * 2016-04-26 2020-04-28 ヤンマー株式会社 Work vehicle control system
CN106068835A (en) * 2016-06-30 2016-11-09 程虎 A kind of rice transplanter driving means of multi-functional automatic row's mud
JP6881233B2 (en) * 2017-10-27 2021-06-02 井関農機株式会社 Work vehicle
JP6673326B2 (en) * 2017-12-27 2020-03-25 井関農機株式会社 Work vehicle
WO2019138789A1 (en) * 2018-01-11 2019-07-18 ヤンマー株式会社 Work vehicle
JP6957397B2 (en) * 2018-01-11 2021-11-0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Work vehicle
CN110691878B (en) * 2018-03-27 2021-08-3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Working vehicle
JP7027268B2 (en) * 2018-06-25 2022-03-01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KR20210023809A (en) * 2018-06-25 2021-03-0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CN109729792A (en) * 2019-01-04 2019-05-10 丰疆智慧农业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transplanter and its self shifter method
JP7137270B2 (en) * 2019-02-28 2022-09-14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Autonomous driv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8295U (en) * 1986-10-30 1987-09-23 广西南宁插秧机厂 Power-driven rice transplanter
CN1063011A (en) * 1991-01-09 1992-07-29 南京农业大学农业工程、乡镇企业学院 Rice planter
JP2001151130A (en) * 1999-11-29 2001-06-05 Iseki & Co Ltd Steering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JP3594576B2 (en) * 2001-09-27 2004-12-02 株式会社クボタ Rice transplanter
JP4585406B2 (en) * 2005-08-18 2010-11-24 ヤンマー株式会社 Side clutch switching mechanism of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JP4832849B2 (en) * 2005-10-14 2011-12-07 三菱農機株式会社 Transplanter
JP4886561B2 (en) * 2007-03-16 2012-02-29 株式会社クボタ Work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024A (en) * 2014-05-19 2015-11-27 대동공업주식회사 Side clutch actuation structure for passenger type rice trans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2400A (en) 2012-11-28
KR101524578B1 (en) 2015-06-01
WO2011114671A1 (en) 2011-09-22
CN102802400B (en)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496A (en) Agricultural work vehicle
KR20120125965A (en) Rice transplanter
JP4367029B2 (en) Farm work vehicle
JP2009207391A (en) Rice transplanter
JP2014144008A (en) Agricultural vehicle
JP7044827B2 (en) Work platform
JP5508073B2 (en) Agricultural work vehicle
JP4773263B2 (en) Paddy field machine
JP5812773B2 (en) Engine stop operation structure of work vehicle
JP2018057283A (en) Work vehicle
JP2005198594A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lifting and lowering of transplanted seedling in seedling transplanter
KR20130025796A (en) Notification control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JP6380599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5678851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4155462A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14155462A5 (en)
JP2011188824A (en)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JP2013066391A5 (en)
JP5751314B2 (en) Ride type seedling transplanter
JP3883337B2 (en) Paddy field machine
JP5457895B2 (en) Ride type rice transplanter
JP3807880B2 (en) Paddy field machine
JP5831659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6128078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7229406B2 (en)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