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068A -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068A
KR20120127068A KR1020110045301A KR20110045301A KR20120127068A KR 20120127068 A KR20120127068 A KR 20120127068A KR 1020110045301 A KR1020110045301 A KR 1020110045301A KR 20110045301 A KR20110045301 A KR 20110045301A KR 20120127068 A KR20120127068 A KR 2012012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erence point
bone density
bon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862B1 (ko
Inventor
한승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텍월드와이드
Priority to KR102011004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 A61B5/6842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by marking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01K13/223Infrared clinical thermometers, e.g. tympa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골밀도 측정 장치는 검사대 위에 위치하며 환자의 체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의 척추 및 대퇴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결정하는 측정기준점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BONE DENSITY MEASURING APPARATUS WITH FUNCTION OF DETERMINING MEASURING POSITION AND FUNCTION OF ANALYSING BODY COMPOSITION USING INFRARED CAMERA}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며 측정 기준점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골밀도 측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뼈(bone)에 의한 엑스선 흡수도를 분석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엑스선 골밀도 측정 장치는 방사성 원소를 이용하므로 장치의 취급이나 사용에 있어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골밀도 측정시 살아있는 사람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장치에 대하여 요구되는 안전 및 운전 조건은 상당히 까다롭다.
이와 같이, 엑스선 골밀도 측정 장치는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정확하게 그리고 짧은 시간에 엑스선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람의 다양한 체형과 뼈의 위치 등으로 인하여 사람의 척추나 대퇴골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실질적으로 원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정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측정 기준점을 잘못 선정하는 경우, 골밀도 측정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골밀도 측정 시간이 길어지고, 피 측정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증가시켜 피 측정자의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다. 따라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그러한 경우, 골밀도 측정 장치의 운영과 관리에 많이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 측정자마다 골 해부학적 형태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측정 위치를 용이하게 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 측정자의 체열 영상을 이용하여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 측정자의 체열 영상을 이용하여 체성분 분석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동시에 체성분 분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는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검사대 위에 위치하며 환자의 체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의 척추 및 대퇴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결정하는 측정기준점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기준점 결정부는, 체열 영상으로부터 환자 몸에 상응하는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관심 영역에 기초하여 측정 기준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기준점 결정부는, 체열 영상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간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체열 영상의 세로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제1 방향의 횡단면에 대한 제1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환자의 다리에서 몸 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체열 영상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제2 방향의 횡단면에 대한 제2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부; 제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환자의 몸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계 라인들을 추출하는 제1 라인추출부; 제2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준 라인을 추출하는 제2 라인추출부; 및 경계 라인들과 기준 라인에 기초하여 측정 기준점을 산출하는 측정기준점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인추출부는,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팔 두께보다 큰 값을 갖는 관심 영역의 폭 감지시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방향 상의 라인을 경계 라인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2 라인추출부는, 제2 프로파일에서 상대적으로 큰 휘도값을 갖는 2개의 관심 영역들이 하나의 관심 영역으로 합쳐지는 지점(Y지점)을 통과하는 제2 방향 상의 라인을 기준 라인으로 추출할 수 있다.
측정기준점 산출부는, 경계 라인들간 거리 내의 소정 비율만큼을 제2 방향에 평행하게 기준 라인으로부터 환자의 다리 측에서 몸 측으로 이동한 경계 라인들 사이의 중앙점을 척추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기준점 산출부, 경계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기준 라인과의 사이에서 Y지점으로부터 경계 라인들 중 어느 하나로 2/3만큼 이동한 기준 라인 상의 지점(X지점)을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검사대 하부에 위치하며 환자의 척추 또는 대퇴골을 향하여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발생부; 검사대 상부에 설치되며 환자를 통과하는 엑스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촬영부, 측정기준점 결정부, 엑스선발생부, 및 감지부의 동작과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환자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부위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패널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측정 부위 선택 정보의 인식에 따라 감지부 및 엑스선발생부를 기본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측정기준점 결정부로부터 받은 측정 기준점에 기초하여 감지부 및 엑스선발생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감지부 상에 설치되며 측정 부위 선택 정보를 인식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감지부의 기본 설정 위치를 환자 상에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기준위치표시부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고, 체열 영상은 레이저 포인터가 표시하는 표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체열 영상에서 환자의 몸 부분에 중첩되는 경계 라인 또는 기준 라인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는 검사대의 상부면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머리부와, 머리부를 지지하며 검사대 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는 측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환자의 척추 또는 대퇴골과 이에 인접한 부근의 연조직에 대한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부를 더 포함한다.
체성분 분석부는 제1 엑스선과 제1 엑스선보다 높은 에너지 강도를 가지는 제2 엑스선이 환자의 몸을 투과할 때 감쇄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환자의 뼈의 밀도, 뼈 위의 제지방 및 지방의 각각의 밀도, 뼈에 인접한 연조직의 제지방 및 지방의 각각의 밀도를 구하고, 구해진 밀도들을 이용하여 뼈의 골밀도를 측정하면서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부는 연조직에서의 제지방과 지방의 비율을 계산하고, 연조직의 질량감쇠계수를 계산하며, 질량감쇠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밀도들을 구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부는 뼈의 밀도, 뼈 위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 및 연조직에서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를 합한 값으로부터 체지방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 측정자의 골 해부학적 형태의 차이에 상관없이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효과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골밀도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피 측정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피 측정자의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피 측정자의 신체에 대한 윤곽 또는 경계 라인을 획득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특정 신체 부위의 골밀도 측정이나 특정 신체 부위 부근의 체성분 분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골밀도 측정이나 체성분 분석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매우 용이하게 또는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바디(Whole body) 측정 방식뿐만 아니라 부분 바디(Partial body) 측정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뛰어난 측정 재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구성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체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골밀도 측정 장치의 측정기준점 결정부에 채용가능한 구성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측정기준점 결정부에 채용가능한 척추 골밀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의 측정기준점 결정부에 채용가능한 대퇴골 골밀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골밀도 측정 및 체성분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촬영부(20), 및 측정기준점 결정부(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부로서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엑스선발생부(미도시) 등이 탑재되는 본체(2)와 본체(2)의 상부 측에 사람 등이 누울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검사대(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은 엑스선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을 감지하는 감지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부(60)는 검사대(4)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마주 설치되는 머리부(62), 및 검사대(4) 상에 머리부(62)를 지지하며 검사대(4)의 측면에서 검사대(4)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64)를 구비한다. 감지부(60)에는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제어패널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엑스선발생부에서 조사되고 검사대(4) 상에 놓인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를 투과하는 엑스선의 투과량을 감지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뼈에 대한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골밀도를 측정하는 경우, 검사자가 골밀도를 측정할 환자의 신체 부위에 조그(Jog)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의 위치를 선정한 다음 측정을 하게 된다. 이때 위치는 검사자의 육안과 경험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잘못 선정되는 경우가 많고, 측정 위치를 잘못 선정하여 검사를 수행한 경우, 다시 측정해야 하므로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환자에게 과다한 엑스선 피폭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20)와 측정기준점 결정부(30)를 이용하여 환자의 골 해부학적 차이에 상관없이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확하게, 그리고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에 대한 측정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선정하기 위하여 검사대 정면에 촬영부(20)를 배치하고 촬영부(20)에서 획득한 환자의 체열 영상을 측정기준점 결정부(30)로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검사자가 측정기준점 결정부(30) 또는 이를 포함한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 환자의 체열 영상을 보면서 환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손쉽게 파악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여기에서, 촬영부(20)는 동물이나 사람의 피부 표면(Cutaneous surface)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Infrared ray)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촬영부(20)는 감지부(60)의 머리부(62)의 중간 측면 상에 검사대(4)를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소위 적외선 카메라로 불리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20)는 인체의 체열 영상을 촬영하고 체표면의 부위별 상대적인 온도차를 휘도 레벨이나 색상별로 표시한 영상, 체열 분포 양상(Themrographic Pattern)을 좌우 대칭적으로 표시한 영상 등의 형태로 체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촬영부(20)로부터 받은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의 척추 또는 요추부, 대퇴골 또는 대퇴경부, 팔뼈 또는 전완골, 엉덩뼈 또는 장골, 정강이뼈 또는 경골 등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는 수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이러한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제어 컴퓨터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40)에 탑재될 수 있다. 그 경우,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제어부(40)에 탑재된 적어도 일부의 기능부이거나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가 된다. 예컨대,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구동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골밀도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20)는 감지부(60a)의 머리부(62)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대(4)와 마주하는 머리부(62)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20a)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부(60a)는 머리부(62)에 탑재되며 머리부(62) 내에서 일 방향(Y)으로 소정 위치(66a)까지 왕복 운동하는 디텍터(66)를 구비한다. 디텍터(66)는 엑스선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디텍터 유닛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평평한 상부면을 구비하는 검사대(4)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감지부(60a)가 이동할 때, 촬영부(20)는 검사대(4)의 폭 방향(Y)으로 왕복 운동하며 검사대(4) 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20)는 감지부(6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검사대 상의 물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체열 영상을 측정기준점 결정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이용가능한 체열 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골밀도 측정 장치(100a)는 촬영부(20), 측정기준점 결정부(30), 제어부(40), 엑스선발생부(50), 감지부(60), 기준위치표시부(70), 제어패널부(80), 및 입출력부(9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a)는 촬영부(20)에 의해 획득한 체열 영상(도 4의 참조부호 21 참조)에 기초하여 환자의 소정 부위의 뼈(22)에 대한 골밀도를 측정한다. 도 4의 확대 표시된 부분에 있어서, 뼈(22)를 제외한 조직은 연조직(Soft tissue)이며, 연조직은 지방(23)과 제지방(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a)에 있어서, 촬영부(20), 측정기준점 결정부(30), 제어부(40), 및 감지부(60)는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골밀도 측정 장치(100)의 대응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엑스선발생부(50)는 고속 전자가 겉면에 충돌할 때 겉면에서 엑스선을 방출하는 금속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엑스선발생부(50)는 원자량이 큰 금속일수록 엑스선을 많이 방출하므로 원자량이 큰 금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발생부(50)는 이중에너지 엑스선 흡수계측 방식으로 사람의 골밀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에너지 엑스선과 고에너지 엑스선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중에너지 엑스선 흡수계측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은 엑스선의 양성자(Proton)와 물질(Physical matter)의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엑스선 양성자 소스를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에서 일정 세기(I0)를 갖는 엑스선 양성자 빔을 조사할 때, 엑스선 빔의 경로 상에 흡수물질이 놓이면, 양성자는 다른 여러 방법으로 흡수 물질의 최외곽 전자와 상호작용하여 경로를 이탈하거나 적어도 일부의 에너지를 잃는다. 따라서, 엑스선 튜브와 마주하는 디텍터에서 엑스선 빔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흡수물질로 입사된 양성자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거나 감쇄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사되는 양성자 에너지가 40keV이고, 디텍터에 감지된 양성자 에너지가 10keV이면, 양성자의 에너지 감쇄량은 단위면적당 질량을 기준으로 약 0.9039㎠/g이 된다.
전술한 양성자 에너지의 감쇄량은 해당 물질에 대한 질량감쇠계수(Mass attenuation coeffieient, um)에 해당한다. 이러한 질량감쇠계수는 소정의 양성자 에너지 강도에서 일정하다. 물론, 양성자 에너지의 세기가 변하면 질량감쇠계수도 변한다. 예를 들면, 소정 물질에 입사되는 수소(Hydrogen) 양성자 빔의 에너지가 40keV일 때 그 물질의 질량감쇠계수는 약 0.3458이고, 소정 물질에 입사되는 수소 양성자의 에너지가 70keV일 때 그 물질의 질량감쇠계수는 약 0.3175일 수 있다.
기준위치표시부(70)는 엑스선발생부(50)와 감지부(6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수단 또는 이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기준위치표시부(70)는 검사대 상에 누운 환자의 소정 부위를 가리킴으로써 검사자가 엑스선발생부(50)의 현재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여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준위치표시부(70)는 소정 출력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포인터 또는 레이저 위치 표시기로 구현될 수 있고, 소정 모양 예컨대 십자가 형태의 표시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출력단에 해당 모양의 홀을 구비한 출력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위치표시부(70)의 표시점(도 4의 참조부호 26 참조)은 촬영부(20)의 체열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그 경우,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측정기준점을 결정할 때,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기준위치표시부(70)의 표시점을 참조하여 측정기준점을 확정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점 참조 모드가 설정된 경우, 측정기준점 결정부(30)는 측정기준점을 결정하고, 측정기준점과 표시점과의 거리가 소정의 오차 범위에 있을 때, 표시점이 측정기준점에 일치하도록 엑스선발생부(50)과 감지부(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검사자는 체열 영상에 표시되는 표시점을 확인하고, 단순히 제어패널부(80)이나 입출력부(90)의 터치 패널 상에서 표시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엑스선발생부(50)와 감지부(6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패널부(80)는 장치의 온오프 조작이나 장치의 이동을 조작하거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발광다이오드 등의 점등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부(6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패널부(80)는 장치 온오프 조작부; 측정 부위 선택부;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측정부위 미세조정부; 기준위치표시부 온오프 조작부; LED 표시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패널부(80)는 검사자의 취급 용이성을 고려하여 감지부(6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력부(90)는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체열 영상, 표시점, 기타 장치 조작 관련 정보나 상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부(90)는 표시장치에 결합된 터치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부(90)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체열 영상에서 환자의 몸 부분에 중첩되는 경계 라인 또는 기준 라인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측정기준점 결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프로파일 생성부(32), 제1 라인추출부(34), 제2 라인추출부(36), 및 측정기준점 산출부(38)를 구비한다.
프로파일 생성부(32)는 촬영부로부터 받은 체열 영상에서 환자의 체열에 의해 주변 영역과는 다른 밝기를 가지는 관심 영역을 주변 영역의 밝기 레벨을 기준으로 관심 영역에 대한 밝기 레벨의 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생성부(32)는 체열 영상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간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체열 영상의 세로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 중 주변 영역의 밝기 레벨과 구별되는 소정의 밝기 레벨을 가진 관심 영역을 파악함으로써 주변 영역을 기준으로 관심 영역에 대하여 제1 방향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제1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생성부(32)는 환자의 다리에서 몸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체열 영상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 중 주변 영역과 구별되는 관심 영역을 파악함으로써 제2 방향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제2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프로파일을 이용하면 환자의 몸에 상응하는 관심 영역에 대하여 3차원 프로파일 또는 윤곽선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라인추출부(34)는 제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환자의 몸 측면에 접하는 경계 라인 또는 X 라인을 추출하는 수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제1 라인추출부(34)는 환자의 몸 측면의 바깥쪽에서 환자의 몸 측면 안쪽으로 픽셀 단위로 이동하면서 제1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팔 두께보다 큰 값을 갖기 시작하는 관심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감지된 관심 영역이나 그 폭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 영역 부분을 엉덩이 부분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엉덩이 라인에 접하는 제1 방향 또는 X 방향의 라인을 경계 라인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2 라인추출부(36)는 제2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2개의 관심 영역들이 하나의 관심 영역으로 합쳐지는 지점을 파악하고 그 지점을 지나는 라인을 기준 라인 또는 Y 라인으로 추출하는 수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제2 라인추출부(36)는 환자의 두 다리가 몸통과 만나는 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자의 두 다리에 상응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2개의 관심 영역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지점을 지나는 제2 방향 또는 Y 방향 상의 라인을 기준 라인으로 추출할 수 있다.
측정기준점 산출부(38)는 제1 및 제2 라인추출부(34, 36)로부터 받은 경계 라인 및 기준 라인을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등에 대한 골밀도 측정 기준점을 산출하는 수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측정기준점 산출부(38)는 기준 라인을 제1 비율만큼 X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고 기준 라인이 경계 라인들 사이의 중간점과 만나는 지점을 척추의 골밀도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기준점 산출부(38)는 한쪽 다리 구간에 상응하는 기준 라인의 일부 구간에서 몸 안쪽에서 몸 바깥쪽으로 2/3만큼 거리에 위치한 지점을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측정기준점 결정부에 채용가능한 척추 골밀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먼저 참조하면,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촬영부로부터 받은 환자의 체열 영상에서 주변 영역(22)보다 소정 레벨 이상의 휘도를 갖는 관심 영역(23)을 중심으로 프로파일(160)을 생성한다. 3차원 프로파일은 주변 영역(22)의 휘도를 기준으로 관심 영역(23)이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제1 및 제2 화살표(161a, 161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의 몸 양측 바깥쪽에서 환자의 몸 안쪽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Y 방향을 따라 주변 영역(22)에서 관심 영역(23) 측으로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X-Z 평면상의 픽셀들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환자의 엉덩이 곡선에 접하는 특정 평면 또는 라인(이하, X 라인이라 함)을 검출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양측의 엉덩이 곡선에 접하는 두 X 라인들(162a, 163a) 또는 두 Z 라인들(162b, 163b) 사이의 제1 거리(L1)를 산출한다. 또한, 두 X 라인들(162a, 163a)과 평행하게 이들 사이에 연장하는 제1 중앙 라인(164a)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제3 화살표(161c) 방향(즉, X 방향)을 따라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Y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라인(165a, 165b) 상의 픽셀들의 프로파일(160)에 기초하여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라인들 중 프로파일 상의 두 관심 영역(23a, 23b)이 하나의 영역(23c)으로 모이는 지점(170)을 통과하는 라인(166a, 이하, Y 라인이라 함)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두 관심 영역(23a, 23b)은 환자의 두 다리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제1 관심 영역(23a)과 제2 관심 영역(23b)은 소정 거리(L2)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한다.
다음으로,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X 방향을 따라 환자의 다리 쪽에서부터 몸 안쪽을 향하여 Y 라인(166a)를 소정 거리만큼 평행 이동시켜 제2 중앙 라인(167a)을 획득한다. Y 라인(166a)이 제2 중앙 라인(167a)으로 평행 이동한 제3 거리(L3)는 제1 거리(L1)의 일정 비율에 상응하는 길이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일정 비율은 제1 거리(L1)를 기준으로 제3 거리(L3)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체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0.7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1 중앙 라인(164a)과 제2 중앙 라인(167a)이 만나는 지점을 획득한다. 이 지점은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준점(180)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의 체열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척추 골밀도를 측정할 때 척추에 대한 측정기준점을 용이하게 또는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정기준점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의 측정기준점 결정부가 전술한 알고리즘에 따라 체열 영상을 분석하고 측정기준점을 산출하여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의 위치를 자동 조정하는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도 9는 도 5의 측정기준점 결정부에 채용가능한 대퇴골 골밀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측정기준점 결정부(30a)는 도 6 내지 도 8과 그 상세 설명에서와 같이 두 X 라인들(162a, 163a), 제1 중앙 라인(164a), 및 Y 라인(166a)을 획득한 후, 제1 중앙 라인(164a)과 왼쪽 X 라인(162a) 사이에 위치하는 Y 라인의 구간을 소정 비율(W1:W2)로 나눈 지점을 파악한다. 이 지점은 왼쪽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준점(190)이 된다. 유사하게, 제1 중앙 라인(164a)과 오른쪽 X 라인(162a) 사이에 위치하는 Y 라인 구간을 소정 비율로 나눈 지점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소정 비율은 제1 중앙 라인(164a)에서부터 왼쪽 또는 오른쪽 X 라인(162a 또는 163a)까지의 일부 Y 라인 구간을 2:1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왼쪽 대퇴골에 대한 측정기준점(190)은, 제1 중앙 라인(164a)을 왼쪽 X 라인(162a) 쪽으로 이들 사이의 최단 거리의 2/3만큼을 평행 이동시킬 때, 평행 이동한 제1 중앙 라인(168a)이 Y 라인(166a)과 만나는 지점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오른쪽 대퇴골에 대한 측정기준점(190)도 제1 중앙 라인(164a)을 오른쪽 X 라인(163a) 쪽으로 이들 사이의 Y 라인 구간의 2/3만큼을 평행 이동시킨 지점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100b)는 촬영부(20), 측정기준점 결정부(30), 체성분 분석부(110), 제어부(40a), 엑스선발생부(50), 감지부(60), 기준위치표시부(70), 제어패널부(80), 및 입출력부(90)를 구비한다. 측정기준점 결정부(30)과 체성분 분석부(110)는 단일 제어부(40a) 내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하나의 기능부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골밀도 측정 장치(100b)에 있어서, 체성분 분석부(110)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골밀도 측정 장치(1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대응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체성분 분석부(110)는 체열 영상으로부터 얻은 측정기준점을 기준으로 해당 뼈 부분이나 해당 뼈 부근의 연조직, 또는 이 둘 모두의 밀도를 분석하는 수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의 체성분 분석부(110)는 이중에너지 엑스선 흡수계측에 의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체성분의 밀도를 산출할 때, 측정기준점 결정부(30)에 의해 결정된 측정기준점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뼈의 밀도, 뼈 위 연조직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 해당 뼈 부근의 뼈 없는 연조직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채용가능한 골밀도 측정 및 체성분 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밀도 측정 장치(100b)에 채용가능한 골밀도 측정 및 체성분 분석 과정은 실제로 환자에게 엑스선을 조사하기에 앞서 이중에너지엑스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및 체성분 분석에 사용할 감쇠 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구비한다(S110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엑스선발생부는 수소(Hydrogen) 양성자 빔을 엑스선으로 조사하는 구성부로서, 약 40KeV의 에너지 강도를 가진 저에너지의 엑스선과 약 70KeV의 에너지 강도를 가진 고에너지의 엑스선을 동시 또는 순차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감쇠 계수의 결정을 위해, 우선 엑스선발생부와 감지부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상태에서 엑스선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이중 엑스선을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낮은 에너지(Low energy) 값과 높은 에너지 값을 각각 측정한다(S1104).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에너지의 엑스선에 대한 측정값(I0 40)은 40으로 구해지고, 고에너지의 엑스선에 대한 측정값(I0 70)은 70으로 구해진다.
다음으로, 지방(Fat)과 제지방(Lean or Fat-free)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 연조직(Soft tissue)에 있어서, 지방 비율(%Fat) 및 제지방 비율(%Lean)과 함께 고에너지 질량감쇠계수에 대한 저에너지 질량감쇠계수의 비율(Rst)(이하, "R-Value"라고 함)을 계산한다(S1106). 여기에서, 연조직에서의 R-Value는 신체 조직에서의 지방(Fat)의 양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선형 관계를 가진다.
R-Value를 계산하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팬텀(Phantom) 등의 기준 물체에 이중 에너지 엑스선을 통과시켜 얻은 데이터 또는 값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Ist 40 및 Ist 70은 저에너지 엑스선과 고에너지 엑스선으로 연조직을 각각 투과했을 때의 측정값이고, Ib 40 및 Ib 70는 저에너지 엑스선과 고에너지 엑스선으로 연조직과 뼈를 함께 투과했을 때의 측정값이다.
위의 조건하에서, 계산된 연조직의 R-value(Rst)는 약 1.379이다.
그리고, 제지방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지방 비율은 백퍼센트에서 제지방 비율을 뺀 값이 된다.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RF는 지방에 대한 R-Value이고, RL은 제지방에 대한 R-Value로서 특정 물질에 대한 질량감쇠계수가 일정함에 따라 그 값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방에 대한 저에너지 질량감쇠계수(UF 40)와 고에너지 질량감쇠계수(UF 70)가 기재된 순서대로 각각 약 0.23 및 0.19이고, 제지방에 대한 저에너지 질량감쇠계수(UL 40)와 고에너지 질량감쇠계수(UL 70)가 기재된 순서대로 각각 약 0.23 및 0.19이며, 뼈에 대한 저에너지 질량감쇠계수(UB 40)와 고에너지 질량감쇠계수(UB 70)가 기재된 순서대로 각각 1.00 및 0.32이고, 이들 값으로부터 지방에 대한 R-Value(RF)는 약 1.211, 제지방에 대한 R-Value(RL)는 약 1.421, 그리고 뼈에 대한 R-Value(RB)는 약 3.125이다.
위의 조건하에서, 계산된 제지방 비율(%Lean)은 약 80%이고, 지방 비율(%Fat)은 약 20%이다. 예를 들면, 그것은 연조직의 중량이 10그램(grams)일 때, 지방의 중량은 2그램이 됨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연조직의 질량감쇠계수를 계산한다(S1108). 본 단계에서는 저에너지 엑스선에 대한 질량감쇠계수(Ust 40)와 고에너지 엑스선에 대한 질량감쇠계수(Ust 70)를 각각 구한다. 각 질량감쇠계수를 계산하면 다음의 수학식 4 및 5와 같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질량감쇠계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물질로는 수소(H), 탄소(C), 질소(N), 산소(O), 나트륨(Na), 마그네슘(Mg), 인(P), 황(S), 염소(Cl), 칼륨(K), 및 칼슘(C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뼈의 밀도(MB)와 뼈 위 연조직의 밀도(Mst0)를 계산하고, 뼈를 포함하지 않는 연조직의 밀도(Mst)를 계산한다(S1110).
뼈의 밀도, 뼈 위 연조직의 밀도, 및 연조직만의 밀도를 각각 계산하면 다음의 수학식 6 내지 8과 같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위의 결과를 대입하면, 뼈의 밀도(MB)는 약 2.30g/㎠, 뼈 위 연조직의 밀도(Mst0)는 약 14.95g/㎠, 및 뼈를 포함하지 않은 연조직의 밀도(Mst)는 약 18.0g/㎠으로 구해진다.
다음으로,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뼈 위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 뼈를 포함하지 않는 연조직에서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를 계산한다(S1112).
본 실시예에 있어서, 뼈 위 제지방의 밀도(ML)은 뼈 위 연조직의 밀도의 80%이므로 약 11.96g/㎠, 뼈 위 지방의 밀도(MF)는 뼈 위 연조직의 밀도의 20%이므로 약 2.99g/㎠, 뼈를 포함하지 않은 연조직에서의 제지방의 밀도(ML)은 약 14.4g/㎠, 및 뼈를 포함하지 않은 연조직에서의 지방의 밀도(MF)는 약 3.6g/㎠로 구해진다.
다음으로, 위의 과정들(S1202~S1210)의 결과를 합산하여 전체 밀도를 계산한다(S1114).
위의 결과로부터, 뼈의 밀도, 뼈 위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 뼈를 포함하지 않은 연조직에서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를 모두 합하면, 단위면적당 조직의 전체 밀도가 구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조직의 전체 밀도는 약 35.25g/㎠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환자의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환자의 골밀도 측정이나 체성분 분석을 위한 측정기준점을 용이하게 또는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체열 영상을 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면서 측정기준점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검사대 상에서 환자의 움직임이나 위치 선정에 있어서 자유도를 여유롭게 부여하면서 정확한 측정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측정기준점을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운영 효율을 높이고 환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장치의 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검사대 위에 위치하며 환자의 체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체열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척추 및 대퇴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을 결정하는 측정기준점 결정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준점 결정부는,
    상기 체열 영상으로부터 환자 몸에 상응하는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 기준점을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준점 결정부는,
    상기 체열 영상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간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열 영상의 세로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의 횡단면에 대한 제1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환자의 다리에서 몸 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열 영상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는 픽셀들에서 관심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방향의 횡단면에 대한 제2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부;
    상기 제1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몸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계 라인들을 추출하는 제1 라인추출부;
    상기 제2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준 라인을 추출하는 제2 라인추출부; 및
    상기 경계 라인들과 상기 기준 라인을 토대로 상기 측정 기준점을 산출하는 측정기준점 산출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추출부는, 상기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팔 두께보다 큰 값을 갖는 관심 영역의 폭 감지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방향 상의 라인을 상기 경계 라인으로 추출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인추출부는, 상기 제2 프로파일에서 상대적으로 큰 휘도값을 갖는 2개의 관심 영역들이 하나의 관심 영역으로 합쳐지는 지점(Y지점)을 통과하는 상기 제2 방향 상의 라인을 상기 기준 라인으로 추출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준점 산출부는, 상기 경계 라인들간 거리 내의 소정 비율만큼을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기준 라인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다리에서 몸 측으로 이동한 상기 경계 라인들 사이의 중앙점을 상기 척추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준점 산출부, 상기 경계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기준 라인과의 사이에서 상기 Y지점으로부터 상기 경계 라인들 중 어느 하나로 2/3만큼 이동한 상기 기준 라인 상의 지점(X지점)을 상기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기준점으로 산출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환자의 척추 또는 대퇴골을 향하여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발생부;
    상기 검사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환자를 통과하는 엑스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촬영부, 상기 측정기준점 결정부, 상기 엑스선발생부, 및 상기 감지부의 동작과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환자의 골밀도 측정을 위한 측정 부위 선택 정보를 받는 제어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부위 선택 정보의 인식에 따라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엑스선발생부를 기본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측정기준점 결정부로부터 받은 상기 측정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엑스선발생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 부위 선택 정보를 인식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감지부의 기본 설정 위치를 상기 환자 상에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고, 상기 체열 영상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표시하는 표시점을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체열 영상에서 상기 환자의 몸 부분에 중첩되는 경계 라인 또는 기준 라인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사대의 상부면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며 상기 검사대 측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상기 환자의 척추 또는 대퇴골 부근의 연조직에 대한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제1 엑스선과 상기 제1 엑스선보다 높은 에너지 강도를 가지는 제2 엑스선이 환자의 몸을 투과할 때 감쇄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뼈의 밀도, 상기 뼈 위의 제지방 및 지방의 각각의 밀도, 상기 뼈에 인접한 연조직의 제지방 및 지방의 각각의 밀도를 구하고, 구해진 밀도들을 이용하여 상기 뼈의 골밀도를 측정하면서 상기 체성분을 분석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상기 연조직에서의 제지방과 지방의 비율을 계산하고, 연조직의 질량감쇠계수를 계산하며, 상기 질량감쇠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밀도들을 구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상기 뼈의 밀도, 상기 뼈 위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 및 상기 연조직에서의 제지방 및 지방의 밀도를 합한 값으로부터 체성분의 분석 결과를 얻는 골밀도 측정 장치.
KR1020110045301A 2011-05-13 2011-05-13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KR10124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01A KR101249862B1 (ko) 2011-05-13 2011-05-13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01A KR101249862B1 (ko) 2011-05-13 2011-05-13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068A true KR20120127068A (ko) 2012-11-21
KR101249862B1 KR101249862B1 (ko) 2013-04-03

Family

ID=4751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01A KR101249862B1 (ko) 2011-05-13 2011-05-13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8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99A1 (ko) * 2015-04-30 2016-11-03 (주)나눔테크 골밀도 측정 시스템
WO2017082471A1 (ko) * 2015-11-12 2017-05-1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질환의 진단방법 및 장치
KR20180013821A (ko) * 2017-08-08 2018-02-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088B2 (en) 2002-09-18 2005-05-1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uter-assisted bone densitometer
JP3974842B2 (ja) 2002-10-30 2007-09-12 アロカ株式会社 X線骨密度測定装置
JPWO2006115207A1 (ja) 2005-04-22 2008-12-18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骨密度計測装置
KR100873388B1 (ko) 2008-02-15 2008-12-10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자동 포지셔닝 골밀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99A1 (ko) * 2015-04-30 2016-11-03 (주)나눔테크 골밀도 측정 시스템
WO2017082471A1 (ko) * 2015-11-12 2017-05-1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질환의 진단방법 및 장치
US10524749B2 (en) 2015-11-12 2020-01-07 Industrial Education Cooperation Organization, Daegu Health College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s of breast disease
KR20180013821A (ko) * 2017-08-08 2018-02-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862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061B2 (en) Computerized tomography device using X ray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1625824B2 (en) Measuring intramuscular fat
US10646159B2 (en) Visceral fat measurement
US8792689B2 (en) Measuring intramuscular fat
US7801350B2 (en) Method for absorptiometry radiographic imaging using a three-dimensional generic model
US20090092307A1 (en) Slit collimator scatter correction
WO2016190327A1 (ja) 医療用x線測定システム
US9936932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240482B1 (en) Contrast-enhanced x-ray image guided biopsy system and method
EP3461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xa tomo-bas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bones
CN107007294A (zh) X射线图像诊断装置以及骨密度测量方法
KR101249862B1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위치 결정 기능과 체성분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
KR102085812B1 (ko) 촬영 이미지 기반의 건강상태 분석 및 정보 제공 방법, 그의 장치 및 그의 기록 매체
JP5009744B2 (ja) 前腕用x線測定装置
CN106798565B (zh) X射线测定装置
TW201343142A (zh) 檢查裝置及骨密度測定裝置
JP4922432B2 (ja) 放射線診断装置
US5809104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content of bone mineral in the skeleton
KR101890154B1 (ko)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101769856B1 (ko)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101945856B1 (ko) 엑스선을 이용하여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695133B2 (ja) X線測定装置
US20230306594A1 (en) Measuring intramuscular fat
JP5250705B2 (ja) 放射線診断装置
CN113288184A (zh) 用于双能x射线吸收测定中交叉校准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