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767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6767A KR20120126767A KR1020110044810A KR20110044810A KR20120126767A KR 20120126767 A KR20120126767 A KR 20120126767A KR 1020110044810 A KR1020110044810 A KR 1020110044810A KR 20110044810 A KR20110044810 A KR 20110044810A KR 20120126767 A KR20120126767 A KR 20120126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module
- mobile terminal
- layer
- disposed
- sea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module.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Mobile terminals a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portable and have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and data storage.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and reception of a game and a broadcast.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하드웨어의 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단말기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결합 구조로서, 베젤(bezel)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단순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구조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various coupling structures for coupling the display module to the terminal body in terms of hardware have been proposed. As the coupling structure, consideration may be given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simpler display module tha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beze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베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단순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upling structure of a simpler display module tha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bezel.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결합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isplay module detachable to the terminal bod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탄성 결합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body, a display module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and formed to display visual information, and the display module is to be accommodated A seating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seating portion disposed to cover the sea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seating portion upon external impact and the display It includes an elastic bonding layer coupled to the modul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결합층은 열융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nding layer is bonded to the display module by thermal fus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결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층, 스프레이층 또는 코팅층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nding layer may be any one of a film layer, a spray layer or a co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돌출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층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is disposed to cover the protrusion and is cured by ultraviolet (UV) irradiation. It further comprises an ultraviolet cured layer formed of.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자외선 경화층은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and the ultraviolet curing layer form the same plan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탄성 결합층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안착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elastic coupling layer and the seating portion and engaging or releasing the display module to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탄성 결합층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art is formed in the recess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is fixed to the elastic coupling layer so that the display module can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seating portion. It includes a hook hook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이 형성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상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투광성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결합층은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window disposed to cover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having a light transmissive window so that the image can be transmitted, and the elastic coupling layer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window.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걸림후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충격량을 경감시키도록 형성되는 댐퍼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damp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hook hook and configured to reduce an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by the hook hook to the display modul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결합층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안착부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기능을 모두 갖는바, 보다 단순한 결합 구조를 통해 베젤의 폭이 감소될 수 있으며, 결합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oupling layer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has both functions to be combined with the display module, the width of the bezel is reduced through a simpler coupling structure The join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안착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재작업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or releasing the display modul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working the display module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Ⅶ-Ⅶ를 따라 취한 단면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shown in FIG. 6;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a component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and a tablet PC (tablet PC). Etc.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the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40),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터치 센서(243, 도 4 참조)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The contents inputted by the first or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n acoustic output 15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talking and the like, a broadcast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A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5)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센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센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센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터치센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센서(135)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센서(135)는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23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30)은 리어 케이스(102)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3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rinted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출력소자(162) 및 카메라(121) 등은 인쇄회로기판(230)에 장착될 수 있다. 음향출력소자(16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리시버 등이 될 수 있다.As shown, the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이루어지는 안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0)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210)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카메라(121)에 각각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안착부(210)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0)는 디스플레이(242)가 안착부(210)를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23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가지며, 윈도우(241)의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안착부(210)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윈도우(241) 및 디스플레이(242)를 포함한다.The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 면에는 윈도우(241)가 결합 된다. 윈도우(241)의 배면 중 디스플레이(242)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안착부(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윈도우(241)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윈도우(241)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윈도우(241)는 디스플레이(242)를 덮도록 배치되고, 윈도우(241)의 빛이 투과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242)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42)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윈도우(241)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242)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2)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며, 윈도우(241)에 의하여 덮이도록 배치된다.The
디스플레이(242)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터치 입력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는 터치 센서(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게 된다.The
터치 센서(243)는 윈도우(241)의 일면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242)의 상면에 배치된다. 터치 센서(243)는 윈도우(2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전하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243)에서 윈도우(241)에 빛이 투과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은 입력 영역을 형성한다. 터치 센서(243)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진다.The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안착부(21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단말기 바디에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 결합층(250)이 배치된다. 탄성 결합층(250)을 통해 보다 단순한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결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An
이하에서는 탄성 결합층(250)을 통한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 5를 앞선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230)의 일면에는 인쇄회로기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242)가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241)는 디스플레이(242)를 덮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안착부(210)에 의해 지지된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4, a
탄성 결합층(250)은 안착부(210)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결합층(250)은 안착부(210)의 바닥면, 즉,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탄성 결합층(250)은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안착부(210)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들 사이를 특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또한, 탄성 결합층(25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시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안착부(210)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탄성 결합층(250)은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단말기 바디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탄성 결합층(250)은 열융착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결합될 수 있다. 탄성 결합층(250)의 열융착 부분에는 탄성 결합층(250)이 용융 후 응고되어 형성되는 열융착층이 형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착부(210)에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배치하고, 특정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단말기 바디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기존의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결합 공정인 본딩, 테이핑과 같은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결합 공정이 보다 단순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탄성 결합층(250)은 안착부(210)를 덮는 필름층, 스프레이층 또는 코팅층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탄성 결합층(250)은, 예를 들어,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프론트 및/또는 리어 케이스(101, 102)는 내구성 향상 및 외관의 고급화를 위하여 금속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의 일부인 상기 안착부(210)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수용하는 부분이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 재료의 특성상 외부 충격시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The front and / or
그러나 상기 구조에 의하면, 탄성 결합층(250)은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안착부(210)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결합되는 기능을 모두 갖는바, 금속 재료 중 디스플레이 모듈(240)과 접촉되는 부분을 덮는 사출물 및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부재가 불필요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따라서, 보다 단순한 결합 구조를 통해 베젤의 폭이 감소될 수 있으며, 단말기 바디의 주 면적 대비 디스플레이(242)의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dth of the bezel may be reduced through a simpler coupling structure, and the area of the
안착부(210)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20)의 상면에는 외관의 고급화를 위한 표면 처리층(260)이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260)은, 예를 들어,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층이 될 수 있다.The mounting
자외선 경화층은 돌출부(220)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스크래치, 변색, 산화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단말기 바디를 보호한다. 또한, 유광 처리를 통해 보다 고급화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ultraviolet curable layer is disposed to cover the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일면, 즉, 윈도우(241)의 상면과 표면 처리층(260)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260)이 윈도우(241)의 상면으로부터 단차없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일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Ⅶ-Ⅶ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모듈(340)의 결합 구조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340)의 결합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6 and 7, 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340)을 안착부(310)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록킹부(370)가 형성된다. 록킹부(370)는 걸림홈(371) 및 걸림후크(372)를 포함한다.The
걸림홈(371)은 안착부(310)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며, 걸림후크(372)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71)은 디스플레이(342)의 측면과 마주보는 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tching
탄성 결합층(350)은 윈도우(341)의 배면, 구체적으로, 안착부(31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에 결합된다. 걸림후크(372)는 탄성 결합층(350)에 고정되며, 걸림홈(3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즉, 디스플레이 모듈(340), 탄성 결합층(350) 및 걸림후크(372)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340)은 록킹부(370)를 통해 안착부(310)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340)의 재작업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가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디스플레이 모듈(340)과 걸림후크(372) 사이에는 댐퍼(38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댐퍼(380)는 걸림후크(372)가 디스플레이 모듈(340)에 전달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댐퍼(38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380)가 탄성 결합층(350)와 함께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340)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보다 경감될 수 있다.A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9)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탄성 결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erminal body;
A display module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display visual information;
A seating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 accommodate the display module; And
It is disposed to cover the seating por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seating portion when an external impac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comprising an elastic bonding layer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terminal.
상기 탄성 결합층은 열융착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coupling lay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by thermal fusion.
상기 탄성 결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층, 스프레이층 또는 코팅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coupling lay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film layer, a spray layer or a co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seating portion.
상기 안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eating portion ha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module,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to cover the protruding portion, and further formed of a material cured by ultraviolet (UV) irradiatio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자외선 경화층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module and the ultraviolet curable lay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the same plane.
상기 탄성 결합층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안착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And a locking part formed between the elastic coupling layer and the seating part, the locking part engaging or releasing the display module to the seating part.
상기 록킹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면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탄성 결합층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안착부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unit,
A lock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nd a locking hook fixed to the elastic coupling lay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display module can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seat.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이 형성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상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투광성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결합층은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It is disposed to cover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includes a window having a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 image is transmitted,
The elastic coupling lay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ack of the window.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걸림후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충격량을 경감시키도록 형성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damp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hook hook, the damper being configured to reduce an amount of impact transmitted by the hook hook to the display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810A KR20120126767A (en) | 2011-05-12 | 2011-05-12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810A KR20120126767A (en) | 2011-05-12 | 2011-05-12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767A true KR20120126767A (en) | 2012-11-21 |
Family
ID=4751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4810A KR20120126767A (en) | 2011-05-12 | 2011-05-12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2676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7216A1 (en) * | 2015-07-06 | 2017-0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cover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
US10609827B2 (en) | 2016-05-10 | 2020-03-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
-
2011
- 2011-05-12 KR KR1020110044810A patent/KR2012012676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07216A1 (en) * | 2015-07-06 | 2017-0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cover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
US9907193B2 (en) | 2015-07-06 | 2018-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lass cover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
US10609827B2 (en) | 2016-05-10 | 2020-03-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5594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104764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5141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60304B1 (en) |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 |
KR10182983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7207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4973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88982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104765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40616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201912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19781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91588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88980A (en) | Mobile terminal | |
KR10196212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51415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126767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4920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terminal | |
KR101978203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91185A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62751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2187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88981A (en) | Mobile terminal | |
KR102117576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20134934A (en) |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