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873A -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873A
KR20120125873A KR1020110043591A KR20110043591A KR20120125873A KR 20120125873 A KR20120125873 A KR 20120125873A KR 1020110043591 A KR1020110043591 A KR 1020110043591A KR 20110043591 A KR20110043591 A KR 20110043591A KR 20120125873 A KR20120125873 A KR 2012012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elastic bar
unit
elastic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8278B1 (en
Inventor
김진웅
Original Assignee
김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웅 filed Critical 김진웅
Priority to KR102011004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278B1/en
Publication of KR2012012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PURPOSE: A location guide device and a distributing board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oject a plurality of elastic bars installed in a location according to a driving mode, thereby accurately moving a moving location. CONSTITUTION: A guide rail plate(40) guide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a distributing board unit. The guide rail plate is composed to form a locking hole(45) according to a driving mode of the distributing board unit. A first elastic bar is installed to be corresponded to a location of the distributing board unit according to an operating mode during the driving mode. An elastic bar driving module(50)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ng board unit.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bars protruded to a lower unit of the distributing board unit.

Description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Positioning device and switchboard having him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프레임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를 정확히 안내하여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를 안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boar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tably convert the drive mode of the switchgear unit by guiding the mov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mode of the switchgear unit precisely when moving the switchgear unit installed in the switchgear frame back and forth. A position guide device and a switchboard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 스위치, 계기, 릴레이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서,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목적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기기이다.In general, the switchboard is a device that manages a circuit breaker, a switch, a meter, a relay, etc. for the operation or control of a power plant, a substation, or an electric motor, and plays a pivotal role for the monitoring, control, and protection of an electric system. It is an electrical apparatus that performs.

이러한 배전반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단독형과 열반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독형 배전반은 기본 배전반 유닛이 하나의 도어를 구비한다. 열반형 배전반은 복수의 배전반 유닛이 일직선상으로 배전반 프레임에 열반된 형태로 설치되며, 복수의 배전반 유닛은 각각 도어를 구비한다.Such switchboards can be divided into single type and nirvana type according to their installation form. In the stand-alone switchboard, the basic switchboard unit is provided with one door. In the heat distribution type switchboard, a plurality of switchboard units are installed in a line with the switchboard frame in a straight line, and each of the switchboard units includes a door.

배전반 유닛 내에 설치된 차단기는 동작위치인 인입위치와 비동작위치(시험위치)인 인출위치 사이에서 인,입출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전반 유닛에서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고압의 전류에 의해 사용자 등에게 위험이 초래되므로 배전반 유닛에는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인 인터록장치를 구비되어 있다.The breaker installed in the switchgear unit operates the pull-in and pull-out operation between the pull-in position, which is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pull-out position, which is the non-operating position (test position). Since a danger is caused to a user or the like, the switchboard unit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device which is a safety devic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opening when the breaker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배전반 유닛은 배전반 프레임에 대한 위치에 따라 구동 모드가 결정되는데, 구동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인입위치에 있을 때 수행하는 운전 모드와, 비동작위치에 있을 때 수행하는 시험 모드, 전원이 오프되는 오프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전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배전반 프레임에 인입되어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시험 모드는 배전반 유닛이 배전반 프레임에서 일정 길이로 입출된 상태에서 수행되며, 배전반 유닛의 시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된다. 운전 모드와 시험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파워 커넥터 모듈에 접속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다.The switchgear unit determines the drive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gear frame. The drive mode includes an operation mode performed when the switchgear unit is in the in position, a test mode performed when the switchgear unit is in an inactive position, and an off mode in which the power is turned off. It includes.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is performed while the switchboard unit is inserted into the switchboard frame and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module. The test mode is performed while the switchboard unit is input and output from the switchboard frame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module so as to receive power for testing the switchboard uni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modu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test mode.

이와 같이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의 전환이 배전반 프레임에 대한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의해 수행하게 되는데, 각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각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의 이동 위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할 때, 배전반 유닛이 정확히 시험 모드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시험 모드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고압의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witching of the drive mode of the switchgear unit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switchgear unit with respect to the switchgear frame. Since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witchgear unit according to each drive mode is performed by the manual labor of the operator, An error may occur i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In particular, when switching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test mode, if the switchboard unit does not move to the position exactly corresponding to the test mode, the test mode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a high voltage curr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프레임에 수납식으로 설치된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on guide device and a switchboard having the same for guiding to accurately move to a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when the switchboard unit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is moved back and for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판, 및 탄성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판은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comprising a guide rail plate, and an elastic bar drive module. The guide rail plate is installed under the switchboard unit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nd a lock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may b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unit and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bars protruding downward of the switchboard uni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When the switchboard unit moves, the elastic bar corresponding to the mode is protruded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guide rail plate to prevent the switchboard unit from moving.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복수의 탄성바는 제1 및 제2 탄성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제1 탄성바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of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includes a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The first elastic bar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elastic bar, and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test mode of the driving mode.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elastic bar and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board unit, the first elastic bar and the second elastic bar are to be install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first elastic ba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the second elastic bar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have. In the test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second elastic bar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the first elastic bar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판에 형성된 로킹홀은 상기 제1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1 로킹홀과, 상기 제2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2 로킹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킹홀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guide rail plate includes a first lock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elastic bar is inserted, and a second locking hole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erte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탄성바,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 및 탄성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은 상기 복수의 탄성바에 각각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바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바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바를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로 이동시킨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and the elastic bar driving unit.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are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uni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respectively. The elastic bar driving unit connects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respectively, and moves the elastic ba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pl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부는, 케이스, 복수의 기어, 복수의 연결대 및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탄성바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상기 배전반 유닛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탄성바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탄성바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어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연결대와 상기 케이스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킨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elastic bar drive unit may include a case, a plurality of gear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a plurality of springs. The case is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to cover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gea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positioned inside the case to mov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up and down by rotatio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re installed in the case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respectively, and rotate the plurality of gea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The plurality of springs connec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the case, respectively, and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mov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 모듈의 키가 삽입되는 키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may be formed with a key hole into which the key of the locking module is insert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버튼 케이스 및 온/오프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케이스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키는 상기 버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한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case and an on / off key. The button case i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switchboard unit and protects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The on / off key is installed in the button case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는 경사대 및 구동 모드 표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는 일단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설치된 표시창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전반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mp and a driving mode display bar. The ramp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board unit. In addition,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may display a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through one end of which is moved along the ramp as the movement of the switchgear unit is connected to the one end and exposed to a display window installed in the door.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안쪽에 설치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rive mode display bar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to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unit.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위치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상기 배전반은 배전반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 및 위치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은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안내 장치는 상기 배전반 프레임 및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witchboard having the above-mentioned position guide device. The switchboard includes a switchboard frame, at least one switchboard unit and a position guide device. The at least one switchboard un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witchboard frame. The position guide device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and the switchboard unit and guides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가 돌출되어 있고,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에 복수의 탄성바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배전반 유닛의 탄성바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을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lastic bar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board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nd a locking hole i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bars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plat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is formed. Since the switchboard unit is moved back and forth, it can be guided so that it can move to the mov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correctly. That is, when the switchboard unit moves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mode, the elastic bar of the switchboard unit corresponding to the mode is protruded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guide rail plate to prevent the switchboard unit from moving. Can be guided accurately.

그리고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복수의 탄성바를 조작할 수 있는 탄성바 조작 버튼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어에 마련된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탄성바를 조작할 수 있다. 탄성바 조작 버튼에는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할 수 있는 온/오프 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모드 또는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임의로 탄성바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nd sinc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which can operate a plurality of elastic bars is provided in the door of a switchboard unit, an operator can operate an elastic bar easily through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door.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with an on / off key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또한 탄성바 조작 버튼은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잠금 부재와 연결되게 도어에 설치되기 때문에, 레버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구동 모드에 따라 온/오프 키의 구동과 무관하게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허용하거나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in the door to be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including a lever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is independent of the driving of the on / off key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Allow or prevent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전반 유닛에 설치된 위치 안내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바가 설치된 배전반 유닛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탄성바 구동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배전반 유닛의 도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운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시험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모드 전환 장치를 갖는 배전반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드 전환 장치의 잠금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모드 전환 장치의 잠금 모듈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모드 전환 장치의 잠금 모듈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board unit having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rail plate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guide devic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unit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a switchboard unit in which the elastic bar of FIG. 4 is installed.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of FIG.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ear of FIG. 6.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oor of the switchboard unit of FIG. 2.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9-9 of FIG. 8.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est mode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board unit having the mode switching device of FIG. 1.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ing module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of FIG. 12.
14 and 1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the locking module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odule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is inclined at an angle.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so,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board unit having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배전반 프레임(10)과, 배전반 유닛(20) 및 위치 안내 장치(30)를 포함하며, 모드 전환 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switch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board frame 10, a switchboard unit 20, and a position guide device 30, and a mode switching device 90. It may further include.

배전반 프레임(10)은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20)을 수납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공간(11)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각각의 설치 공간(11)의 바닥면에는 배전반 유닛(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40)이 설치된다. 통상 배전반 프레임(10)은 캐비닛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배전반 프레임(10)에 형성된 설치 공간(11)의 일측은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 제공되고, 설치 공간(11)의 타측은 배전반 유닛(20)이 접속되는 파워 커넥터 모듈이 마련되어 있다. The switchboard frame 10 is a structure that provides at least one installation space 11 for installing the at least one switchboard unit 20 in a storage manner.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installation space 11, a guide rail plate 40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stalled. In general, the switchboard frame 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binet.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formed in the switchboard frame 10 is provid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witchboard unit 20 can mov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11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module to which the switchboard unit 20 is connected. have.

배전반 유닛(20)은 배전반 프레임(10)의 설치 공간(11)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배전반 유닛(20)은 유닛 케이스(21), 유닛 구동 모듈(23) 및 도어(25)를 포함한다. 유닛 케이스(21)는 배전반 유닛(20)의 외형을 형성한다. 유닛 케이스(21)의 하부의 양쪽에 가이드 레일판(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29)가 설치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21)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탄성바(51)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21)의 바닥면에는 구동 모드 표시부(7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유닛 구동 모듈(23)은 모드 전환 장치(90)에 연결되며, 모드 전환 장치(90)를 통한 구동 모드의 선택에 따라 배전반 유닛(20)을 해당 구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도어(25)는 힌지를 매개로 유닛 케이스(2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도어(25)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설치된다.The switchboard unit 2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11 of the switchboard frame 10 so as to be movable. The switchboard unit 20 includes a unit case 21, a unit driving module 23, and a door 25. The unit case 21 forms an outer shape of the switchboard unit 20.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unit case 21, the some roller 29 which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board 40 is provided.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2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21a into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can be inserted. An insertion hole 21b into which the driving mode display unit 72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21. The unit driving module 23 is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and switches the switchboard unit 20 to the corresponding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riving mode through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The door 25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nit case 21 via a hinge, and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driving the switchboard unit 20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door 25.

위치 안내 장치(30)는 배전반 프레임(10) 및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를 안내한다. 위치 안내 장치(30)는 가이드 레일판(40)과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판(40)은 배전반 유닛(20) 하부의 배전반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전반 유닛(20)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51)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탄성바(51)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40)의 로킹홀(45)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는다.The position guide device 30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10 and the switchboard unit 20, and guides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includes a guide rail plate 40 and an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The guide rail plate 40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10 under the switchboard unit 20,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20, and lock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e hole 45 is formed. And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50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unit 20, a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Equipped. In addition,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protrudes to the locking hole 45 of the guide rail plate 40 by protruding the elastic bar 5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 It is inserte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20.

그리고 모드 전환 장치(90)는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되며, 배전반 유닛(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 전환 장치(90)는 위치 안내 장치(30)와 연결되어 위치 안내 장치(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모드 전환 장치(90)는 도어(25)의 외측에 설치된 레버(91)와, 레버(91)와 연결되어 도어(25)의 내측에 설치된 잠금 모듈(80)을 포함한다. 잠금 모듈(80)은 잠금축(93)을 매개로 유닛 구동 모듈(23)에 연결되고, 잠금축(93)의 회전에 따라 위치 안내 장치(4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unit 20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to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s connected to the location guide device 3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ocation guide device 30.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ncludes a lever 91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door 25 and a locking module 80 connected to the lever 91 and installed at the inside of the door 25. The locking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unit driving module 23 via the locking shaft 93, and locks and unlocks the position guide device 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ing shaft 9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0)은 위치 안내 장치(30)를 구비하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구동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즉 배전반 유닛(20)의 하부에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51)가 돌출되어 있고,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판(40)에 복수의 탄성바(51)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전후로 이동시킬 때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이동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탄성바(51)가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판(40)의 로킹홀(45)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을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witchboa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the switchboard unit 20 can be accurately guide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That is, a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protrude,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re provided on the guide rail plate 4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20. Since the locking hole 45 into which the bar 51 can be inserted is formed,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moved back and forth, it can be guided to move accurately to the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have. That is,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the elastic bar 51 corresponding to the mode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45 of the guide rail plate 40 to allow the switchboard unit 20 to move. Since the movement is prevented, the switchboard unit 20 can be accurately guided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판(4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전반 유닛(20)에 설치된 위치 안내 장치(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바(51)가 설치된 배전반 유닛(20)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어(73)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다.The position guide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rail plate 40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guide device 30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unit 20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20 in which the elastic bar 51 of FIG. 4 is installed.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of FIG.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ear 73 of FIG. 6.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of FIG. 2.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9-9 of FIG. 8.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 안내 장치(30)는 가이드 레일판(40)과 탄성바 구동 모듈(50)을 포함하며, 그 외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may include a guide rail plate 40 and an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de display bar 72.

가이드 레일판(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홀(45)이 형성된 베이스판(41),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 및 경사대(49)를 포함한다. 베이스판(41)은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부면의 양쪽에 배전반 유닛(20) 하부의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29)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43)의 안쪽의 베이스판(41) 부분을 관통하여 복수의 탄성바(51)가 삽입될 수 있는 로킹홀(45)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홀(45)은 배전반 유닛(20)이 삽입이 시작되는 쪽에 가까운 베이스판(41) 부분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가이드 레일(43)에 가까운 베이스판(41) 부분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guide rail plate 40 includes a base plate 41 on which a locking hole 45 is formed, a pair of guide rails 43, and a ramp 49. The base plate 41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pair of guide rails 43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to insert and move a plurality of rollers 29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have. A locking hole 45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can be inserted is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base plate 41 inside the pair of guide rails 43. The locking hole 45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ase plate 41 close to the side where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serted.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hole 45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base plate 41 close to the one guide rail 43. Started.

탄성바 구동 모듈(50)은 복수의 탄성바(51),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 및 탄성바 구동부(70)를 포함하며, 버튼 케이스(63) 및 온/오프 키(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복수의 탄성바(51)에 각각 대응되게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에 설치된다. 탄성바 구동부(70)는 탄성바(51)와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연결하며,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탄성바(51)를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a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and an elastic bar driving unit 70, and controls the button case 63 and the on / off key 67. It may further includ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are installed in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respectively. The elastic bar driving unit 70 connects the elastic bar 51 and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and moves the elastic bar 5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plate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Move it.

여기서 복수의 탄성바(51)는 제1 탄성바(53)와 제2 탄성바(55)를 포함한다. 제1 탄성바(53)는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제2 탄성바(55)는 제1 탄성바(53)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탄성바(53) 및 제2 탄성바(55)는 배전반 유닛(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 탄성바(53) 및 제2 탄성바(55)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제1 탄성바(53)가 로킹홀(45)에 삽입되고,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제2 탄성바(55)가 로킹홀(45)에 삽입되고,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에 형성된 로킹홀(45)은 제1 탄성바(53)가 삽입되는 제1 로킹홀(46)과, 제2 탄성바(55)가 삽입되는 제2 로킹홀(47)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로킹홀(45,47)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may include a first elastic bar 53 and a second elastic bar 55. The first elastic bar 53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installed behind the first elastic bar 53, and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test mode in the driving mode. In this case, the first elastic bar 53 and the second elastic bar 55 are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and the first elastic bar 53 and the second elastic bar 55 are install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do. Therefore, in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first elastic bar 5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45,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In the test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45, and the first elastic bar 5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In addition, the locking hole 45 formed in the guide rail plate 40 includes a first locking hole 46 into which the first elastic bar 53 is inserted, and a second locking hole 47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inserted.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45 and 4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제1 탄성바(53)를 조작하는 제1 탄성바 조작 버튼(61a)과, 제2 탄성바(55)를 조작하는 제2 탄성바 조작 버튼(61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인 누름에 따라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전후로 이동하며, 탄성바 구동부(70)에 구비된 스프링(7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ncludes a first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a for operating the first elastic bar 53 and a second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b for operating the second elastic bar 55. do.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 is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original position is cau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7 provided in the elastic bar driving unit 70. Is restored.

이와 같이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에 복수의 탄성바(51)를 조작할 수 있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어(25)에 마련된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탄성바(51)를 조작할 수 있다. Thus, sinc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which can operate the some elastic bar 51 is provided in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an operator has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door 25. The elastic bar 51 can be easily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61.

버튼 케이스(63)는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둘러싸도록 외곽에 설치되어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보호한다. 버튼 케이스(63)는 구동 모드 표시바(72)가 표시하는 배전바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창(65)을 구비한다.The button case 63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and is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button case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to protect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do. The button case 63 includes a display window 65 for exposing the driving mode of the power distribution bar unit 20 displayed by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to the outside.

온/오프 키(67)는 버튼 케이스(63)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온/오프 한다. 온/오프 키(67)는 버튼 케이스(63)의 상부에서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수직으로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직바(67a)와, 수직바(67a)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이 서로 겹치는 부분으로 돌출되어 지지하는 지지편(67b)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안쪽에 내부 공간(62)을 갖는 캡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바(67a)가 설치된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홀(64)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 케이스(63)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더라도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에 걸려 눌러지지 않는다. 그리고 온/오프 키(67)의 지지편(67b)을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내부 공간(62)으로 이동시키면,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게 되면,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온/오프 키(67)의 수직바(67a)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이동홀(64)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The on / off key 67 is provided in the button case 63 and turns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The on / off key 67 includes a vertical bar 67a and a vertical bar 67a which are installed to move verticall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on the upper part of the button case 63. It is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s a support piece 67b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protruding to the overlapping portion.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p having an inner space 62 therein, the movement hole 64 is formed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bar (67a) is installed. When the support piece 67b of the on / off key 67 is located in the overlapping part of the som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provided in the button case 63, the som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essed. Even if it is caught by the support piece 67b of the on / off key 67, it is not pressed. When the supporting piece 67b of the on / off key 67 is moved to the inner space 62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the restraints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are released. Therefore, when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essed,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moved in the press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bar 67a of the on / off key 67 is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t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hole 64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이와 같이 탄성바 조작 버튼(61)에는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온/오프할 수 있는 온/오프 키(6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 모드 또는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작업자가 임의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조작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ovided with an on / off key 67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operation mode or the test m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operating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arbitrarily.

탄성바 구동부(70)는 케이스(71), 복수의 기어(73), 복수의 연결대(75) 및 복수의 스프링(77)을 포함한다. 케이스(71)는 복수의 탄성바(51)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배전반 유닛(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복수의 기어(73)는 케이스(7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바(51)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복수의 탄성바(5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복수의 연결대(75)는 복수의 기어(73)와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51)을 각각 연결하게 케이스(71)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기어(7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스프링(77)은 복수의 연결대(75)와 케이스(71)를 연결하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복수의 연결대(75)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킨다.The elastic bar driving unit 70 includes a case 71, a plurality of gears 73, a plurality of connecting tables 75, and a plurality of springs 77. The case 71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20 so as to cover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gears 7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positioned inside the case 71 to mov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up and down by rotatio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are installed in the case 71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gears 73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51,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75 ar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Rotate the gear 73. The plurality of springs 77 connec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and the case 71, and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Let's do it.

이때 케이스(71)는 설치 공간을 갖는 제1 케이스(71a)와, 제1 케이스(71a)를 덮는 제2 케이스(71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케이스(71a,71b)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에 탄성바 구동부(7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case 71 includes a first case 71a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and a second case 71b covering the first case 71a, an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cases 71a and 71b.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lastic bar drive unit 70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복수의 기어(73)는 기어축(101)을 매개로 케이스(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축(101)에 설치된 복수의 기어(73)는 각각 연결된 탄성바(51) 또는 연결대(75)의 이동에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기어축(101)에 복수의 기어(73)가 삽입된 후 기어축(101)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링(102)에 의해 기어축(101)에 구속된다. 복수의 기어(73)는 제1 탄성바(53)가 연결되는 제1 기어(73a)와, 제2 탄성바(55)가 연결되는 제2 기어(73b)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73)는 각각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107)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즉 기어(73)는 기어판(103)과, 기어판(103)에 고정핀(109)을 매개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107)를 포함한다. 제1 단위 기어(105)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대(75)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제2 단위 기어(107)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바(51)가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 즉,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누르면, 연결대(7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단위 기어(105)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 단위 기어(105)의 회전에 따라 제2 단위 기어(107)가 회전하여 탄성바(51)를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1 및 제2 단위 기어(105,107)에 형성된 기어날은 각각 탄성바(51) 및 연결대(75)의 이동 피치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위 기어(105)가 제2 단위 기어(107)보다는 기어날이 많게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gears 73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se 71 via the gear shaft 101, and the plurality of gears 73 installed on the gear shaft 10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astic bar 51 or the connecting table ( 75, rotate independently. After the plurality of gears 73 are inserted into the gear shaft 101, the gear shaft 101 is constrained to the gear shaft 101 by fixing rings 10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ear shaft 101. The plurality of gears 73 includes a first gear 73a to which the first elastic bar 53 is connected, and a second gear 73b to which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connected. The plurality of gears 73 has a for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nit gears 105 and 107 are coupled, respectively. That is, the gear 73 includes a gear plate 103 and first and second unit gears 105 and 107 fixedly installed to the gear plate 103 via a fixing pin 109. The connecting unit 75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eshed with the first unit gear 105. An elastic bar 51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engaged with the second unit gear 107. Accordingly, when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essed, that is, when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s pressed, the connecting unit 75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the first unit gear 105 and the first unit gear 105. The second unit gear 107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o move the elastic bar 5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Meanwhile, the gear blade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unit gears 105 and 107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pitches of the elastic bar 51 and the connecting table 75,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unit gear 105 has more gear blades than the second unit gear 107.

탄성바(51)는 기어(73)와 맞물려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73)와 맞물리는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기어날(5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바(51)는 기어날(52)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 수직 방향으로 슬롯(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54)에 삽입된 가이드핀(56)을 매개로 케이스(71)에 설치된다.The elastic bar 51 has a gear blade 5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73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73 and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bar 51 has a slot 54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gear blade 52 is formed, and is installed in the case 71 through the guide pin 56 inserted into the slot 54. do.

복수의 연결대(75)는 각각 탄성바 조작 버튼(61)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 모듈(80)의 키(89)가 삽입되는 키홀(7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대(75)는 제1 기어(73a)를 매개로 제1 탄성바(53)와 연동되는 제1 연결대(75a)와, 제2 기어(73b)를 매개로 제2 탄성바(55)와 연결되는 제2 연결대(75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결대(75)는 이동바(111)와 누름바(113)를 포함한다. 이동바(111)는 기어(73)와 맞물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바(111)는 기어(73)와 맞물리는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기어날(115)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77)의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 끼움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바(113)는 이동바(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71) 밖에 설치되며, 탄성바 조작 버튼(61)과 연결된다. 누름바(113)는 이동바(111)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형성되며, 잠금 모듈(80)의 키(89)가 삽입되는 키홀(79)이 형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are formed with key holes 79 into which the key 89 of the locking module 80 is insert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rod 75a interlocked with the first elastic bar 53 through the first gear 73a and a second elastic bar 55 through the second gear 73b. And a second connecting rod 75b connected with the second connecting rod 75b. The connecting table 75 includes a moving bar 111 and a push bar 113. The moving bar 111 is engaged with the gear 73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ving bar 111 has a gear blade 115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ortion engaged with the gear 73, and a spring fitting hole 117 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77 is connected is formed. The push bar 1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bar 111 and installed outside the case 71, and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The push bar 113 is form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moving bar 111, and a key hole 79 into which the key 89 of the locking module 80 is inserted is formed.

복수의 기어(73)에 맞물리는 복수의 탄성바(51) 및 복수의 연결대(75) 간의 간섭을 억제하고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 제1 기어(73a) 및 제2 기어(73b)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기어(73a) 및 제2 기어(73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대(75a,75b)는 상하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물론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누름에 의해 탄성바(51)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복수의 기어(73)에 복수의 탄성바(51) 및 복수의 연결대(75)가 연결된다.In order to suppres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5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75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gears 73 and to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the first gear 73a and the second gear 73b face each other. It is installed at the viewing positio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75a and 75b connected to the first gear 73a and the second gear 73b are install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up and down. Of course, the elastic bar 51 can m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by pressing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Connecting table 75 is connected.

복수의 스프링(77)은 각각 복수의 연결대(75)와 케이스(71)를 연결한다. 이때 스프링(77)은 일단이 연결대(75)의 이동바(111)에 형성된 스프링 끼움홀(117)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대(75)의 누름바(113)에 가까운 케이스(71) 부분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눌러 연결대(75)를 이동시키면 스프링(77)이 늘어나게 되고,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77)이 수축하면서 연결대(75) 및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스프링(77)은 제1 연결대(75a)에 연결되는 제1 스프링(77a)과, 제2 연결대(75b)에 연결되는 제2 스프링(77b)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springs 77 connect the plurality of connecting tables 75 and the case 71, respectively.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pring 77 is fitted into the spring fitting hole 117 formed in the movement bar 111 of the connecting rod 75, and the other end of the case 71 is close to the push bar 113 of the connecting rod 75. It is fitted in and fixed.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bar 75 is moved by pressing the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 the spring 77 is extended,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 is removed, the spring 77 contracts and the connecting table 75 is removed. And restoring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lurality of springs 77 may include a first spring 77a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75a and a second spring 77b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75b.

경사대(49)는 배전반 유닛(2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경사대(49)의 경사면(49a)은 배전반 유닛(20)의 삽입이 시작되는 쪽에서 안쪽 방향으로 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49a)의 뒤쪽은 일정 높이를 갖는 수평면(49b)으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대(49)에 대응되는 배전반 유닛(20)의 바닥면에는 경사대(49)가 노출될 수 있는 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 삽입홀(21b)을 통하여 구동 모드 표시바(72)가 상기 경사대(49)에 접촉되어 이동한다.The ramp 49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e inclined surface 49a of the inclined table 49 is inclined upwardly inward from the side at which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serte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49a is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49b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20 corresponding to the ramp 49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21b through which the ramp 49 is exposed.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table 49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b.

그리고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모드 전환 장치(80)에 표시되는 구동 모드와 함께 보조적으로 도어(25)에 설치된 표시창(65), 즉 도어 케이스(63)의 표시창(65)을 통하여 현재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이러한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일단부가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경사대(49)를 따라 이동하여 일단부에 연결되어 도어(25)에 설치된 표시창(65)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타단부에는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 즉, 운전 모드, 시험 모드, 오프 모드를 라인이나 띠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판(78a)이 설치된다.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배전반 유닛(20)의 안쪽에 설치된 탄성바 구동 모듈(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케이스(71)의 외측면에 제1 및 제2 연결핀(121,123)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s connected with the driving mode displayed on the mode switching device 80 to display the current through the display window 65 installed in the door 25, that is, the display window 65 of the door case 63. Displays the drive mode.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has one end portion moved along the ramp 49 as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and exposed to the display window 65 installed on the door 25. The drive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is displaye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78a for displaying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that is, the driving mode, the test mode, and the off mode in the form of a line or a strip.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s movably installed in the elastic bar driving module 50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unit 20.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71 so as to be movabl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ins 121 and 123.

이와 같은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이동부(74), 연결부(76) 및 표시부(78)를 포함한다. 이동부(74)는 일단부가 제1 연결핀(121)을 매개로 케이스(71)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가 경사대(49)에 접촉되어 이동한다. 연결부(76)는 이동부(74)의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어(25)의 내측면을 향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78)는 연결부(76)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동부(74)의 회전 이동을 상하 이동으로 변환시켜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표시부(78)는 연결부(76)와 연결되는 쪽에 수직 방향으로 슬롯(7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78b)에 삽입된 제2 연결핀(123)을 매개로 케이스(7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표시부(78)의 단부에는 구동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판(78a)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판(78a)은 표시창(65)을 향하여 현재의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74)가 경사대(49)를 타고 이동하면, 이동부(74) 및 연결부(76)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결부(76)에 연결된 표시부(78)가 슬롯(78b)에 연결된 제1 연결핀(12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에 전환된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예컨대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수평면(49b)에 있는 경우,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 있는 경우,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부(74)가 경사대(49)를 완전히 내려오게 되면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ncludes a moving unit 74, a connecting unit 76, and a display unit 78. One end of the moving part 7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71 via the first connecting pin 121, and the other end thereof move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table 49. The connecting portion 76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moving portion 74 and extend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78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unit 76, and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ing unit 74 to the vertical movement to display the driving mode. The display portion 78 has a slot 78b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76,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71 via a second connecting pin 123 inserted into the slot 78b. Is installed. At an end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78, a display panel 78a displaying a drive mode is provided.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current driving mode toward the display window 65. Therefore, when the moving unit 74 moves on the slope 49 as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the moving unit 74 and the connecting unit 76 rotate, and thus th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nit 76 ( 78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connecting pin 123 connected to the slot 78b to display the changed driving mode on the display panel 78a. For example, when the moving part 74 is in the horizontal surface 49b of the inclination table 49,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a driving mode. When the moving part 74 is in the inclined surface 49a,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test mode. Then, when the moving unit 74 completely descends the ramp 49, the off mode is displayed.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가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운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유닛(20)의 시험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The method of guiding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by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as follows.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est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배전반 유닛(20)이 운전 모드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바(53)가 제1 로킹홀(46)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운전 모드에 따른 위치를 정확히 안내한다. 그리고 배전반 유닛(20)이 시험 모드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바(55)가 제2 로킹홀(47)에 삽입되어 배전반 유닛(20)의 시험 모드에 따른 위치를 정확히 안내한다.In this case,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the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elastic bar 53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46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Guide exactly.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the test mode,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47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Guide exactly.

먼저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case in which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gear unit 20 is changed from the driving mode to the test mode is as follow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모드인 경우 제1 탄성바(53)는 제1 로킹홀(46)에 삽입되고,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이때 제2 탄성바(55)는 늘어난 제2 스프링(도 4의 77b)에 의해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0, in the operation mode, the first elastic bar 53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46, and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do.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in a state in which elastic force is accumulated by the increased second spring (77b in FIG. 4).

다음으로 작업자가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레버(도 8의 91)를 시험 모드로 전환시키면, 잠금 모듈의 키(도 4의 89)가 연결대(도 4의 75)의 키홀(도 4의 79)에서 빠져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의 잠금을 해제한다.Next, when the operator switches the lever (91 in Fig. 8) to the test mode in order to switch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test mode, the key of the locking module (89 in Fig. 4) is the keyhole (Fig. 4) in the connecting rod (75 in Fig. 4). 4, 79) to unlock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in FIG. 8).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1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a)을 누르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a)을 누르면, 제1 탄성바(53)는 제1 로킹홀(46)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Next,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first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a in FIG. 8),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forward by riding on the guide rail plate 40. At this time, when the first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a of FIG. 8) is pressed, the first elastic bar 53 is moved out of the first locking hole 46 and mov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plate 40 can move.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앞쪽으로 당기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2 로킹홀(47)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스프링(도 6의 77b)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2 로킹홀(47)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pulled forward,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elastic bar 55 moves on the guide rail plate 40 and then is locat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47. If so,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47 b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by the second spring (77b of FIG. 6).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is no longer moved forward by riding the guide rail plate 4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안내 장치(30)는 배전반 유닛(20)이 시험 모드를 진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면, 제2 로킹홀(47)에 제2 탄성바(55)를 삽입시켜 배전반 유닛(20)의 이동을 막는다. 이때 제1 탄성바 조작 버튼(61a)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That is, in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test mode can proceed, the switchboard un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47 by inserting the second elastic bar 55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47. Prevent the movement of (20). At this time, when the force which pressed the 1st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a is removed, the 1st elastic bar 53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board 40. FIG.

또한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즉 운전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는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수평면(49b)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수평면(49b)에서 경사면(49a)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4, 6, and 8,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ndicates that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driving mode to the test mode. That is, in the driving mode, since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s on the horizontal surface 49b of the inclined table 49, the display panel 78a of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displays the driving mode. do.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from the driving mode to the test mode, the moving unit 74 moves from the horizontal plane 49b to the inclined plane 49a so that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test mode.

한편 시험 모드를 수행할 때,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은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온/오프 키(도 9의 67)를 이용하여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조작을 막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test mode, sinc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61 are exposed to the operation state, the operator can use the on / off key (67 in FIG. 9) to control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 61) operation can be prevented.

반대로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contrary, the case where the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is changed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가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르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르면, 제2 탄성바(55)는 제2 로킹홀(47)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1 탄성바(53)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있다.First,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second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b of FIG. 8),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backward by riding the guide rail plate 40.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b of FIG. 8) is pressed,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moved out of the second locking hole 47 and mov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plate 40 can move.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bar 53 is 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제1 탄성바(53)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1 로킹홀(46)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스프링(도 7의 77a)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1 로킹홀(46)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pushed to the rear, the first elastic bar 53 moves on the guide rail plate 40, and then the first elastic bar 53 is positioned in the first locking hole 46.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46 b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by 77a) of 7.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no longer moves to the rear by the guide rail plate 40.

그리고 레버(도 8의 91)를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시키면, 잠금 모듈의 키(도 4의 89)가 연결대(도 4의 75)의 키홀(도 4의 79)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을 잠근다.Then, when the lever (91 in Fig. 8) is switched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the key of the locking module (89 in Fig. 4)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79 in Fig. 4) of the connecting rod (75 in Fig. 4) to operate the elastic bar. Lock the button (61 in FIG. 8).

또한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시험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경사면(49a)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서 수평면(49b)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운전 모드를 표시한다.4, 6, and 8,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ndicates that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test mode to the driving mode. In the test mode, since the moving part 74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is on the inclined surface 49a of the inclination table 49, the display panel 78a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displays the test mode. .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from the test mode to the driving mode, the moving unit 74 moves from the inclined surface 49a to the horizontal surface 49b so that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driving mode.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se of switching the drive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from the test mode to the off mode is as follows.

먼저 레버(도 8의 91)를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전환시켜, 배전반 유닛(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First, the lever (91 in FIG. 8) is switched from the test mode to the off mode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witchboard unit 20.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른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탄성바 조작 버튼(도 8의 61b)을 누르면 제2 탄성바(55)는 제2 로킹홀(47)에서 빠져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이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탄성바(53) 또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있다.Next, when the operator pulls the switchboard unit 20 forward while pressing the second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b of FIG. 8),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forward by riding the guide rail plate 40. .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b of FIG. 8) is pressed,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moved out of the second locking hole 47 and mov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plate 40 can move. The first elastic bar 53 is 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판(40)에서 배전반 유닛(20)을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As such,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53 and 55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 switchboard unit 2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plate 40.

또한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시험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경사대(49)의 경사면(49a)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시험 모드에서 오프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경사면(49a)에서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
4, 6, and 8,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ndicates that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test mode to the off mode. In the test mode, since the moving part 74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is on the inclined surface 49a of the inclination table 49, the display panel 78a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displays the test mode. .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from the test mode to the off mode, the moving unit 74 moves from the inclined surface 49a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so that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off mode.

마지막으로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상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nally, the case of switching the drive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from the off mode to the test mode is as follows. At this time,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53 and 55 a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가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바(53,55)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 상에 있기 때문에, 배전반 유닛(20)은 가이드 레일판(4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switchboard unit 20 to the rear, the switchboard unit 20 is moved to the rear by the guide rail plate (40).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ars 53 and 55 a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 switchboard unit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plate 40 can move.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반 유닛(20)을 뒤쪽으로 밀면, 제2 탄성바(55)는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이동한 후, 제2 로킹홀(47)에 위치하게 되면, 제2 스프링(77b)에 의해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2 로킹홀(47)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전반 유닛(20)은 더 이상 가이드 레일판(40)을 타고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In this state,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is pushed to the rear, the second elastic bar 55 moves on the guide rail plate 40, and when the second elastic bar 55 is position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47, the second spring 77b.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47 by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by). Therefore, the switchboard unit 20 no longer moves to the rear by the guide rail plate 40.

그리고 모드 전환 장치(90)의 레버(91)를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전환시킨다.Then, the lever 91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s switched from the off mode to the test mode.

또한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표시바(72)를 통하여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구동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표시한다. 오프 모드인 경우,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이동부(74)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 위에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드 표시바(72)의 표시판(78a)은 오프 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오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배전반 유닛(20)이 이동하면, 이동부(74)가 가이드 레일판(40)의 상부면에서 경사면(49a)으로 이동하여 표시판(78a)은 시험 모드를 표시한다.4, 6, and 8,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72 indicates that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off mode to the test mode. In the off mode, since the moving part 74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he display panel 78a of the drive mode display bar 72 displays the off mode. . When the switchboard unit 20 moves from the off mode to the test mode, the moving unit 74 mov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40 to the inclined surface 49a so that the display panel 78a displays the test mod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90)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8,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2는 도 1의 모드 전환 장치(90)를 갖는 배전반 유닛(2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드 전환 장치(90)의 잠금 모듈(80)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모드 전환 장치(90)의 잠금 모듈(8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모드 전환 장치(90)의 잠금 모듈(80)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2, 8, 12 to 16 with respect to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follows.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board unit 20 having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of FIG. 1.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ing module 80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of FIG. 12. 14 and 1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the locking module 80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1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odule 80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s inclined at an angle.

모드 전환 장치(90)는 잠금축(93), 잠금 모듈(80) 및 레버(91)를 포함한다. 잠금축(93)은 배전반 유닛(20)의 유닛 구동 모듈(23)에서 배전반 유닛(20)의 도어(25)쪽으로 돌출되며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잠금 모듈(80)은 도어(25) 안쪽의 배전반 유닛(20)에 고정 설치되며, 잠금축(93)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레버(91)는 도어(25)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잠금축(93)이 결합되어 잠금축(93)을 회전시켜 배전반 유닛(20)의 구동 모드를 전환시킨다.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ncludes a lock shaft 93, a lock module 80, and a lever 91. The lock shaft 93 protrudes toward the door 25 of the switchboard unit 20 from the unit driving module 23 of the switchboard unit 20 and has a rotatable structure. The lock module 80 is fixed to the switchboard unit 20 inside the door 25, and the lock shaft 93 penetrates and is coupled thereto. And the lever 91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25, the lock shaft 93 is coupled to rotate the lock shaft 93 to switch the drive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20.

레버(91)는 작업자가 현재의 구동 모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레버(91)의 위치에 따른 구동 모드를 표시한다. 레버(91)의 회전 방향으로 운전 모드, 시험 모드 및 오프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The lever 91 displays the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91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current driving mode. The driving mode, the test mode, and the off mode can be display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ever 91.

잠금 모듈(80)은 잠금 케이스(81), 축기어(84)를 갖는 축기어부(83), 연결 렉기어(85), 키 렉기어(87) 및 키(89)를 포함한다. 잠금 케이스(81)에는 축기어부(83), 연결 렉기어(85) 및 키 렉기어(87)가 내설된다. 축기어부(83)는 잠금축(93)이 결합되며, 외곽 둘레에 기어날(84a)이 형성된 축기어(84)를 갖는다. 연결 렉기어(85)는 축기어(84)의 기어날(84a)에 맞물리는 제1 기어날(85a)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기어날(85a)의 반대쪽에 제1 기어날(85a)에 평행하게 제2 기어날(85b)이 형성되어 있다. 키 렉기어(87)는 연결 렉기어(85)의 제2 기어날(85b)에 맞물리는 기어날(87a)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89)는 잠금 케이스(81)의 외측으로 돌출된 키 렉기어(87)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lock module 80 includes a lock case 81, a shaft gear portion 83 having a shaft gear 84, a connecting rack gear 85, a key rack gear 87 and a key 89. In the lock case 81, the shaft gear portion 83, the connecting rack 85 and the key rack 87 are housed. The shaft gear portion 83 has a lock shaft 93 is coupled, and has a shaft gear 84 formed with a gear blade (84a) around the outer periphery. The connecting rack 85 has a first gear blade 85a which is engaged with the gear blade 84a of the shaft gear 84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first gear blade opposite to the first gear blade 85a. The second gear blade 85b is formed parallel to the 85a. In the key rack gear 87, a gear blade 87a meshing with the second gear blade 85b of the connecting rack gear 85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key 89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key rack gear 87 protruding outward of the lock case 81.

여기서 잠금 케이스(81)는 제1 잠금 케이스(81a), 제2 잠금 케이스(81b) 및 설치판(81c)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잠금 케이스(81a,8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축기어부(83), 연결 렉기어(85) 및 키 렉기어(87)가 설치되고, 결합된 제1 및 제2 잠금 케이스(81a,81b)는 설치판(81c)을 매개로 도어(25)에 근접한 배전반 유닛(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잠금 케이스(81a)에는 연결 렉기어(8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82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된 제1 및 제2 잠금 케이스(81a,81b)의 양쪽에는 키 렉기어(87)가 입출하는 입출구(8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잠금 케이스(81a) 및 제2 잠금 케이스(81b)는 결합되어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잠금 케이스(81a,81b) 사이에는 가이드핀(135)과 간격 유지핀(131)이 개재되어 서로 결합된다.Here, the lock case 81 includes a first lock case 81a, a second lock case 81b, and a mounting plate 81c.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cases 81a and 81b, the shaft gear unit 83, the connecting rack 85 and the key rack 87 are installed, and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2, the lock cases 81a and 81b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20 proximate to the door 25 via the mounting plate 81c. A guide hole 82a is formed in the first locking case 81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leg gear 85. On both sides of the combined first and second locking cases 81a and 81b, entrance and exit ports 82b through which the key rack gears 87 enter and exit are formed. The first locking case 81a and the second locking case 81b may be combined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and the guide pin 135 and the space maintaining p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cases 81a and 81b). 131 is interposed and bonded to each other.

축기어부(83)는 축기어(84), 복수의 회전판(86) 및 결합링(88)을 포함한다. 복수의 회전판(86)은 잠금축(93)이 삽입되는 축기어(83)의 일측면에 고정핀(131)을 매개로 결합되며, 잠금축(93)이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링(88)은 잠금축(93)이 통과하는 축기어(84)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잠금축(93)에 결합된다. 이때 축기어부(83)의 축 결합 구멍(84b)은 잠금축(93)의 외주면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축(93)이 단면이 사각인 형태를 갖기 때문에, 축 결합 구멍(84b)은 사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링(88)은 제2 잠금 케이스(81b)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잠금 케이스(81b)의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2 잠금 케이스(81b) 밖으로 돌출된 결합링(88)은 잠금축(93)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된다.The shaft gear portion 83 includes a shaft gear 84, a plurality of rotating plate 86 and the coupling ring 88. The plurality of rotating plates 86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gear 83 into which the locking shaft 93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pin 131, and the locking shaft 93 is inserted therein. The coupling ring 88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gear 84 through which the lock shaft 93 passes, and is coupled to the lock shaft 93. At this time, the shaft coupling hole 84b of the shaft gear portion 83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shaft 93.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ock shaft 93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shaft engagement hole 84b is formed of a rectangular through hole. The coupling ring 88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lock case 81b to protrude out of the second lock case 81b. The coupling ring 88 protruding out of the second locking case 81b is fixed to the locking shaft 93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또한 축기어부(83)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잠금축(93)과 키(89)가 위치한 위치에 대응되게 잠금 모듈(8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모듈(80)이 잠금축(93)과 키(89)가 서로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연결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89)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잠금축(93)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잠금 모듈(80)은 잠금축(93)과 연결되어 키(89)가 위치하는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ft gear 83 has a rotatable structure, the locking module 8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locking shaft 93 and the key 89 are loc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module 80 is an example in which the locking shaft 93 and the key 89 are horizontal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locking shaft 93 is not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plane where the key 89 is located, the locking module 8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haft 93 so that the key 89 is positioned. It may be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연결 렉기어(85)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8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85c)에 삽입된 가이드핀(135)을 매개로 잠금 케이스(81)에 설치되며, 일단부는 슬롯(85c)에 수평하게 잠금 케이스(81)에 형성된 가이드홀(82a)에 삽입되어 가이드홀(82a)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연결 렉기어(85)의 제1 기어날(85a)이 축기어(84)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어날(84a)에 맞물리게 설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ack 85 is formed with a slot 85c for guid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lock case 81 via a guide pin 135 inserted into the slot 85c.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82a formed in the lock case 81 horizontally in the slot 85c and moves along the guide hole 82a. In this case, the first gear blade 85a of the connecting leg gear 85 may be installed to mesh with the gear blade 84a positioned below the shaft gear 84.

키 렉기어(87)는 상부에 기어날(87a)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날(87a)은 연결 렉기어(85)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기어날(85b)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따라서 키 렉기어(87)의 상부에 잠금축(93)이 설치된다.The key rack gear 87 has a gear blade 87a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gear blade 87a is installed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blade 85b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ack gear 85. Therefore, the lock shaft 93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key rack gear (87).

그리고 키(89)는 키 렉기어(87)의 일단부에 고정부재(137)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키 렉기어(87)의 이동에 따라 키(8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 이탈하거나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The key 89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key rack gear 87 via the fixing member 137. As the key rack gear 87 moves, the key 89 is separated or inserted into the key hole 79 of the connecting table 75 to lock and unlock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1.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장치(90)로 모드를 전환할 때 잠금 모듈(80)과 위치 안내 장치(30) 간의 작동 관계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module 80 and the position guide device 30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먼저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n example of converting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모드인 경우 잠금 모듈(80)의 키(8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서 빠진 상태이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in the test mode, the key 89 of the locking module 80 is removed from the keyhole 79 of the connecting table 7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모드 전환 장치(90)의 레버(도 8의 91)를 운전 모드로 전환시키면,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모듈(80)의 키(89)가 연결대(75)의 키홀(79)에 삽입되어 탄성바 조작 버튼(61)을 잠근다. 즉 레버(도 8의 91)를 회전시켜 레버(91)에 연결된 잠금축(9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잠금축(93)에 결합된 축기어(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축기어(84)에 연결된 연결 렉기어(85)가 연결대(75)가 설치된 쪽으로 이동하면, 연결 렉기어(85)에 맞물린 키 렉기어(87)는 연결 렉기어(85)가 이동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키 렉기어(87)에 연결된 키(79)가 연결대(75)의 키홀(79)에 삽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switches the lever (91 of FIG. 8)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to the operation mode in order to switch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S. 13 and 15, the locking module The key 89 of 80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79 of the connecting table 75 to lock the elastic bar operating button 61. That is, when the lock shaft 93 connected to the lever 91 rotates counterclockwise by rotating the lever 91 of FIG. 8, the shaft gear 84 coupled to the lock shaft 93 rotates counterclockwise. . Due to this, when the connecting rack 85 connected to the shaft gear 84 is moved toward the side where the connecting table 75 is installed, the key rack 87 engaged with the connecting rack 85 is moved by the connecting rack 85. Move in the direction of Therefore, the key 79 connected to the key rack gear 87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79 of the connecting table 75.

다음으로 시험 모드에서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은 레버(91)를 운전 모드에서 시험 모드로 변환시킴으로써 가능하며, 이때 키(79)는 연결대(75)의 키홀(79)에서 빠지게 된다. 모드 전환 장치(90)의 잠금 모듈(80)의 구동은 전술된 운전 모드로의 전환과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method of switching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is possible by converting the lever 91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test mode, in which the key 79 is removed from the keyhole 79 of the connecting table 75. The driving of the locking module 80 of the mode switching device 90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witching to the driving mode described abov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10 : 배전반 프레임 11 : 설치 공간
20 : 배전반 유닛 21 : 유닛 케이스
21a, 21b : 삽입홀 23 : 유닛 구동 모듈
25 : 도어 29 : 롤러
30 : 위치 안내 장치 40 : 가이드 레일판
41 : 베이스판 43 : 가이드 레일
45 : 로킹홀 46 : 제1 로킹홀
47 : 제2 로킹홀 49 : 경사대
50 : 탄성바 구동 모듈 51 : 탄성바
53 : 제1 탄성바 55 : 제2 탄성바
61 : 탄성바 조작 버튼 63 : 버튼 케이스
65 : 표시창 67 : 온/오프 키
70 : 탄성바 구동부 71 : 케이스
73 : 기어 75 : 연결대
77 : 스프링 79 : 키홀
75a : 이동바 75b : 누름바
72 : 구동 모드 표시바 74 : 이동부
76 : 연결부 78 : 표시부
78a : 표시판 80 : 잠금 모듈
81 : 잠금 케이스 81a : 제1 잠금 케이스
81b : 제2 잠금 케이스 81c : 설치판
82a : 가이드홀 82b : 출입구
83 : 축기어부 84 : 축기어
84a : 기어날 84b : 축 결합 구멍
85 : 연결 렉기어 85a : 제1 기어날
85b : 제2 기어날 85c : 슬롯
86 : 회전판 87 : 키 렉기어
88 : 결합링 87a : 기어날
89 : 키 89a : 고정부재
90 : 모드 전환 장치 91 : 레버
93 : 잠금축 100 : 배전반
10: switchboard frame 11: installation space
20: switchboard unit 21: unit case
21a, 21b: insertion hole 23: unit drive module
25 door 29 roller
30: position guide device 40: guide rail plate
41: base plate 43: guide rail
45: locking hole 46: first locking hole
47: second locking hole 49: ramp
50: elastic bar drive module 51: elastic bar
53: first elastic bar 55: second elastic bar
61: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63: button case
65: display window 67: on / off key
70: elastic bar drive portion 71: case
73: gear 75: connecting rod
77: spring 79: keyhole
75a: moving bar 75b: push bar
72: drive mode display bar 74: moving part
76: connection portion 78: display portion
78a: display panel 80: locking module
81: lock case 81a: first lock case
81b: second locking case 81c: mounting plate
82a: guide hole 82b: doorway
83: shaft gear 84: shaft gear
84a: gear blade 84b: shaft coupling hole
85: connecting gear gear 85a: first gear blade
85b: second gear blade 85c: slot
86: rotating plate 87: key rack gear
88: coupling ring 87a: gear blade
89: key 89a: fixing member
90: mode switching device 91: lever
93: lock shaft 100: switchboard

Claims (12)

배전반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판;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 탄성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A guide rail plate installed under the switchboard unit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nd having a locking hol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ccording to a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Is installed in the switchgear unit,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bars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gear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gear unit according to the drive mode, when the switchgear unit moves to a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mode, An elastic bar driving module protruding from the elastic bar corresponding to a mode and inserted into a locking hole of the guide rail plate to prevent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gea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의 복수의 탄성바는,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탄성바;
상기 제1 탄성바 보다는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탄성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of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A first elastic ba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among the driving modes;
A second elastic ba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elastic bar an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ccording to a test mode of the driving mod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gea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탄성바 및 제2 탄성바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lastic bar and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the first elastic bar and the second elastic bar,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중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모드 중 시험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탄성바가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first elastic ba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the second elastic bar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In the test mode of the driving mode,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the first elastic bar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the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판에 형성된 로킹홀은,
상기 제1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1 로킹홀과, 상기 제2 탄성바가 삽입되는 제2 로킹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킹홀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guide rail plate,
And a first lock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elastic bar is inserted and a second locking hole into which the second elastic bar is insert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상기 복수의 탄성바에 각각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된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
상기 복수의 탄성바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바를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탄성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installed on the doors of the switchboard unit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respectively;
An elastic bar driving uni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respectively, to move the elastic bar to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pl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gea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바가 설치된 영역을 덮도록 상기 배전반 유닛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탄성바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탄성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기어;
상기 복수의 기어와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각각 연결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연결대;
상기 복수의 연결대와 상기 케이스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한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원래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수의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lastic bar driving unit,
A case fix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unit to cover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gea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positioned inside the case to move the plurality of elastic bars up and down by rota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installed in the case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respectively, and rotating the plurality of gear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A plurality of spring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the case and restoring origin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move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gea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대는,
상기 탄성바 조작 버튼과 연결되는 일단부에 잠금 모듈의 키가 삽입되는 키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And a key hole into which a key of the locking module is insert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bar operation butt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은,
상기 배전반 유닛의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을 보호하는 버튼 케이스;
상기 버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바 조작 버튼의 조작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A button case installed at a door of the switchboard unit and protecting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An on / off key installed in the button case to turn on / off a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r operation buttons;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경사대;
일단부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에 설치된 표시창으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배전반의 구동 모드를 표시하는 구동 모드 표시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amp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plate paralle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switchboard unit;
A driving mode display bar configured to display a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through one end of the switchboard, which is moved along the ramp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switchboard and is exposed to a display window installed in the door;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 표시바는 상기 배전반 유닛의 안쪽에 설치된 상기 탄성바 구동 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위치 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mode display bar is a position guide device of the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bar installed in the elastic bar drive module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unit.
배전반 프레임;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전반 유닛;
상기 배전반 프레임 및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 안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안내 장치는,
상기 배전반 유닛 하부의 상기 배전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유닛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배전반 유닛의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에 대응되게 로킹홀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판;
상기 배전반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상기 배전반 유닛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배전반 유닛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바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드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전반 유닛이 이동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탄성바가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판의 로킹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전반 유닛의 이동을 막는 탄성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안내 장치를 갖는 배전반.
Switchboard frame;
At least one switchboard unit movably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And a position guide devic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and the switchboard unit and guiding a position according to a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The location guide device,
A guide rail plat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frame below the switchboard unit,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nd having a locking hol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ccording to a driving mode of the switchboard unit;
Is installed in the switchgear unit,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bars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gear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gear unit according to the drive mode, when the switchgear unit moves to a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mode, An elastic bar driving module protruding from the elastic bar corresponding to a mode and inserted into a locking hole of the guide rail plate to prevent movement of the switchboard unit;
Switchgear having a position guide device comprising a.
KR1020110043591A 2011-05-09 2011-05-09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KR101218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91A KR101218278B1 (en) 2011-05-09 2011-05-09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91A KR101218278B1 (en) 2011-05-09 2011-05-09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73A true KR20120125873A (en) 2012-11-19
KR101218278B1 KR101218278B1 (en) 2013-01-03

Family

ID=4751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591A KR101218278B1 (en) 2011-05-09 2011-05-09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2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0322A (en) * 2013-10-10 2014-01-01 益和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Novel valve device
KR101528602B1 (en) * 2014-09-15 2015-06-12 윤여관 Receiving Unit Assembly Easying Arrangement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13B1 (en) 2013-03-13 2014-06-27 김진웅 Door lock device, mode switching device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507A (en) * 1992-12-02 1994-06-14 Toshiba Corp Unit drawing-out device for switchboard
JPH07274319A (en) * 1994-03-30 199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Unit draw-out structure for electric control board
JP2000041309A (en) * 1998-07-22 2000-02-08 Toshiba Fa Syst Eng Corp Unit drawing device for switch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0322A (en) * 2013-10-10 2014-01-01 益和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Novel valve device
CN103490322B (en) * 2013-10-10 2016-04-13 益和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valve arrangement
KR101528602B1 (en) * 2014-09-15 2015-06-12 윤여관 Receiving Unit Assembly Easying Arrangement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278B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0734B1 (en) Electric switchgear
KR101184922B1 (en) Door lock device, mode switching device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US8283585B2 (en) Electric switchgear
US20130088812A1 (e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515462B2 (en) Shutter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panel, and related switchgear panel
CA2743769A1 (e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visible contact disconn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218278B1 (en)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KR101357285B1 (en) Drawer unit for branch breaker with multi load in switchgear
KR101099420B1 (en) Cubicle with interlock unit for door
KR101352593B1 (en)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WO2012004149A1 (en) Shutter device and switchgear apparatus using such shutter device
DK2843781T3 (en) Door locking means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KR101492556B1 (en)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KR101403513B1 (en) Door lock device, mode switching device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KR101073681B1 (en) Inter lock device for bypass automatic transfer switch
WO2014095905A1 (en) Draw out switching device
CN203850697U (en) Split structure type drawer device force amplification push and misoperation prevention type interlocking mechanism
US8299377B2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breakers
KR20180069580A (en) Door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KR101403514B1 (en) Door lock device, mode switching device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CN108631203B (en) Draw-out type power distribution cabinet and auxiliary switch triggering mechanism on draw-out type power distribution cabinet
KR100605555B1 (en) Motor control center's control unit
KR101387367B1 (en)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KR101412592B1 (en) Draw-out safety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KR102602462B1 (en) The drawing in and out apparatus of motor control cent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