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054A - Garment having cup sections - Google Patents

Garment having cup se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054A
KR20120124054A KR1020127006873A KR20127006873A KR20120124054A KR 20120124054 A KR20120124054 A KR 20120124054A KR 1020127006873 A KR1020127006873 A KR 1020127006873A KR 20127006873 A KR20127006873 A KR 20127006873A KR 20120124054 A KR20120124054 A KR 2012012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ir
strap
garment
fro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쿠코 소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ublication of KR2012012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0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2Brassieres with fron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Abstract

바디부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동작에 추종한 안정되고 양호한 착용감이 있는 컵부를 갖는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한쌍의 컵부(11)와, 토대부(컵 지지부)(12)와, 스트랩(13)과, 프론트 바디(14a) 및 백 바디(14b)로 형성된 바디부(14)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컵부(11)의 상부와 상기 백 바디(14b)가 상기 스트랩(13)에 의해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한쌍의 컵부(11)의 상부끼리가 상기 스트랩(13)에 의해 연결되고 있고, 상기 한쌍의 컵부(11)가 상기 바디부(14)의 좌우의 옆측 부분에 상기 토대부(12)를 개재하여 상기 컵부(11)가 상기 프론트 바디(14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having a stable and good feeling of wearing that conforms to the wearer's operation despite having a body portio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14 formed of a pair of cup portions 11, a base portion (cup support portion) 12, a strap 13, a front body 14a and a back body 14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 portions 11 and the bag body 14b are connected by the strap 13, or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cup portions 11 are connected to the strap 13. The cup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front body 14a by the pair of cup portions 11 via the base portion 12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in a state capable of displac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컵부를 갖는 의류{GARMENT HAVING CUP SECTIONS}Clothing with a cup part {GARMENT HAVING CUP SECTIONS}

본 발명은 컵부를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컵부를 갖는 의류로서는 바디슈트나 컵이 부착된 캐미솔과 같이 컵부를 가짐과 아울러 바디부를 구비한 의류가 있다. 상기 바디부는 조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체형 보정 등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다수 있다. 이들 의류는 컵부가 바디부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손을 들거나 발돋움하거나 하면 바디부에 잡아당겨짐으로써 컵부가 바스트 부분으로부터 벗어나 버릴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컵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디부의 옆으로부터 하흉부 근방의 영역을, 다른 부분보다 용이하게 신축하는 신축 용이성 생지로 구성한다고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Examples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include a garment having a body portion and a body portion, such as a body suit or a camisole with a cup. Many of the body parts have functions such as body shape correction by being tightened. Since these cups are integrated with the body part, these cups may be pulled away from the bust part by being pulled out by the body part when the hand is raised or raised. Thu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configure the region near the lower chest from the side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with stretchable dough that stretches and stretches more easily than other portions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76694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76694

그러나, 신축 용이성의 생지를 설치한 바디부에 있어서는 체형 보정의 효과는 충분하게 얻을 수 없다. 즉, 컵부의 바스트와의 추종성과 바디부의 조임 정도를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다.However, the effect of body shape correction cannot be fully obtained in the body part provided with the stretchable dough. That is, it is difficult to make it compatible with the bust of a cup part, and the fastening degree of a body part.

그래서, 본 발명은 바디부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동작에 따르는 안정되고 양호한 착용감이 있는 컵부를 갖고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having a stable and good feeling of wearing according to a wearer's operation despite having a body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한쌍의 컵부와, 컵 지지부와, 스트랩과, 프론트 바디 및 백 바디로 형성된 바디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와 상기 백 바디는 상기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또는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끼리는 상기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바디부의 좌우의 옆측 부분에 상기 컵 지지부를 통해서 상기 컵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cup portions, a cup support portion, a strap, and a body portion formed of a front body and a back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 portions and the bag body are connected by the strap, or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connected by the strap.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cup portion can be displac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body via the cup suppor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한쌍의 컵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의 피부측 면과 반대측의 면과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Moreover, as a preferable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pair of cup parts are attached so that displacement is possible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slidingly contacted with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said front bod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에 설치된 스트랩의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한쌍의 컵부의 좌우 양옆 부분까지 각각 연장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은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및 상기 컵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을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또는 상기 컵부에 부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Moreover, as a preferable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strap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trap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aid pair of cup parts to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aid pair of cup parts, respectively. An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s connected to the strap and the cup part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may be attached to the strap or the cup part in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착용시에 신체가 신축했을 경우라도 바디부에 잡아당겨지는 일없이 바스트의 변위에 추종해서 컵부를 변위시킬 수 있고, 안정되고 양호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Even i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at the time of wearing, the cup portion can be dis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bust without being pul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stable and good fi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컵부와 신체 사이에 바디부가 배치되어 컵부가 변위할 때에 착용자의 피부를 마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시 등의 움직임이 심할 경우라도 마찰에 의한 피부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n the preferable aspect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a body par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cup part and a body, and it can prevent that a wearer's skin is rubbed when a cup part is displaced.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kin due to friction even when the movement is severe during exerci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새로운 형태에 있어서는, 컵부가 바스트의 동작에 추종해서 변위할 때에 프론트 바디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 preferred new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od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when the cup portion is displaced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bust.

도 1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인 바디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 토대부(컵 지지부)가 록킹된 상태, 도 2(b)는 토대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착용시에 이면측으로부터 본 형태의 컵부 부근의 확대도의 일례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착용시에 이면측으로부터 본 형태의 컵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인 바디슈트를 착용해 팔을 내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인 바디슈트를 착용해 팔을 올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의 바디슈트를 착용해 팔을 내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종래의 바디슈트를 착용해 팔을 올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컵부 부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기타 예의 컵부 부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착용 평가에 있어서의 옆 및 등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 (b)는 종래품의 프론트훅 브래지어 착용시, (c)는 종래품의 와이어가 있는 바디슈트 착용시이다.
도 8은 착용 평가에 있어서의 바스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a)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b)에 종래품의 프론트훅 브래지어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c)에 종래품의 와이어가 있는 바디슈트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다른 일례인 바디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브라슬립(braslip)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브라슬립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브라슬립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컵이 부착된 캐미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컵이 있는 니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미드리프(midriff) 길이의 브래지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바디웨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suit which is an example of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state in which the base (cup support) is locked in the garment having a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is open.
Fig. 3 (a) is an example of the enlarged view of the cup part vicinity of the form seen from the back side at the time of wearing the garment which has the cup part of this invention. Fig.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up portion of the form seen from the back side whe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4 (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arm is lowered while wearing a body suit which is an example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raising the arm wearing a body suit which is an example of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arm is lowered while wearing a conventional body suit. Figure 5 (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raising the arm wearing a conventional body suit.
Fig. 6 (a)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cup portion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cup por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of side and back in a wear evaluation. (a) is when the bodysuit is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 is when the front hook bra is worn in the prior art, and (c) is when the bodysuit is worn with the wire of the prior art.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ust in the wear evaluation, (a) the cross-sectional shape taken from above the chest at the time of wearing the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 at the time of wearing the front hook bra of the conventional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age | photographed the chest of the above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age | photographed from the top of the chest at the time of wearing a bodysuit with a wire of the conventional art in (c).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suit which is another example of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raslip of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rasslip of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ther example of the brasslip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amisole with a cup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knit with a cup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driff length bra of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ody wear of the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 및 제한되지 않는다.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o an example.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에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로서 바디슈트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컵부를 갖는 의류(10)(바디슈트)는 한쌍의 컵부(11), 한쌍의 토대부(컵 지지부)(12), 한쌍의 스트랩(13), 및 프론트 바디(14a) 및 백 바디(14b)로 형성되는 바디부(14)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컵부(11)에는 그 상부에 스트랩(13)의 일단이 부착되고, 옆측 하부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착용시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에 걸쳐서 토대부(12)가 부착되어 있다. 토대부(12)는 앞중심부에 록킹구(15)가 부착되어 있고, 서로 록킹 가능한 좌우 한쌍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랩(13)의 타단은 백 바디(14b)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13)은 상기 한쌍의 컵부(11)의 상부와 상기 백 바디(14b)를 연결시키도록 부착됨으로써 상기 한쌍의 컵부를 끌어올리고 있다. 상기 스트랩(13)의 상기 컵부(11)와의 부착 부분 부근에는 보강 천(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14)의 하부에는 크로치부(16)가 설치되어 있다.A body suit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garment 10 (body sui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example includes a pair of cup portions 11, a pair of base portions (cup support portions) 12, a pair of straps 13, and a front body ( A main component is a body portion 14 formed of 14a) and a bag body 14b. In the present example, one end of the strap 13 is attached to the cup portion 11, and a base portion 12 is attached from the lower side edge portion to the front center portion when worn. The base portion 12 has a locking mechanism 15 attached to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members which can be lock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strap 13 is attached to the bag body 14b. The strap 13 is attached to connect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 portions 11 and the bag body 14b to lift up the pair of cup portions. A reinforcing cloth 18 is provided near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trap 13 with the cup portion 11. In addition, a crotch portion 16 is provided below the body portion 14.

도 2에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에 있어서 록킹구(15)를 벗기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는 토대부(12)가 록킹된 상태, 도 2(b)는 록킹구(15)를 벗겨서 토대부(12)를 개방한 상태이다. 도면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의해 감추어져 있는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은 파선으로, 백 바디(14b)의 상변은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와 같이, 본 예에서는 컵부(11)는 토대부(12)를 통해서 좌우 각각이 바디부(14)의 옆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은 앞중심부에 있어서 토대부(12)와 겹침과 아울러 스트랩(13)이 컵부(11)에 부착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컵부(11) 또는 토대부(12)가 바디부(14)와 옆 부분에서 부착된 형태이며, 종래의 바디슈트와 같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이 구성에 의해, 착용시에는 상기 부착 부분 이외에서 컵부(11)가 프론트 바디(14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진다. 프론트 바디(14a)는 적어도 상기 컵부(11)의 하부 가장자리부(P)의 변위 범위를 덮도록 설치함으로써 컵부(11)가 움직이는 것에 의한 프론트 바디(14a)의 돌출이나, 컵부(11)나 토대부(12)가 프론트 바디의 상변에 올라 앉아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부(11)의 하부 가장자리부(P)는 토대부(12)와의 경계선 중 최하단부 및 그 근방의 영역이다. 도 2(a)에서는 마주보아 좌측의 컵부(11)의 하부 가장자리부만 부호 P를 붙여서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state before and after removing the locking tool 15 in an example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state in which the base 12 is locked, and FIG. 2 (b) is a state in which the base 12 is opened by removing the locking tool 15. In the figure,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which is hidden by other parts,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and the upper side of the back body 14b i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As shown, the cup part 11 is attached to the side part of the body part 14 in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base part 12 in this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exte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strap 13 is attached to the cup portion 11 while overlapping the base portion 12 in the front center portion. Thus, the cup part 11 or the base part 12 is a form attached to the body part 14 and the side part, and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that it is not totally connected like the conventional body suit. By this structure, at the time of wearing, the cup part 11 is displaceable in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body 14a other than the said attachment part. The front body 14a is provide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lower edge portion P of the cup portion 11 to protrude the front body 14a due to the movement of the cup portion 11, or the cup portion 11 or the toe. The godfather 12 can be prevented from sit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n addition, the lower edge portion P of the cup portion 11 is a region at the lowermost end of the boundary line with the base portion 12 and its vicinity. In FIG. 2 (a), only the lower edge part of the cup part 11 on the left side is attached | subjected with the code P. In FIG.

상기 프론트 바디(14a)는 바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바디(14a)는 상기 컵부(11)의 스트랩(13) 부착 위치, 바스트 탑 근방, 앞중심 부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곡선의 하측 영역의 바스트를 피복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이 바스트를 피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바스트를 리프트 업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바디(14a)를 상기 영역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시에 바스트를 컵 내에 스무스하게 수용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바디(14a)는 상기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저신도의 바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은 절단 개소의 풀림 방지 처리가 불필요한 「프리 컷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프론트 바디(14a) 상변부는 컵부(11)와 겹치도록 착용되므로, 되접음 등의 풀림 방지 처리가 불필요하면 피부 감촉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body 14a is preferably formed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bust. Further, the front body 14a is more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bust of the lower region of the curve connecting the strap 13 attachment position of the cup portion 11, near the bust top,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center portion. In this wa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bust so that the bust can be lifted up. In addition, by forming the front body 14a in the above region, the effect of smoothly receiving the bust in the cup at the time of mounting can also be obtain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from the body material of low elongation in all or part of the said area | region.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pre-cut material" for which the said area | region does not require the annealing prevention process of a cutting location. Since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ront body 14a is worn to overlap the cup portion 11, it is possible to make the skin feel good if the anti-loosening treatment such as refolding is unnecessary.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는, 컵부(11)가 프론트 바디(14a)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므로 종래의 바디슈트 등의 의류에 비하여 착용하기 쉽다. 종래의 바디슈트 등의 의류에 있어서는 입거나(스텝인), 머리부터 쓰거나 해서 착용할 때에 바디부의 착탈을 스무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언더 바스트 부분의 둘레길이는 착용자의 몸통 둘레와 비교하여 너무 짧게 할 수는 없고, 또한 언더 바스트 부분을 단독으로 조임 조정하는 것은 곤란했다. 그 때문에, 바디부와는 분리된 브래지어 단체에 비하여 바스트 부분의 조형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본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컵부(11)이 앞중심부에 있어서 서로 록킹 가능하면 컵부(11)는 바디부(14)를 착용 후에 록킹 가능하기 때문에 바디부(14)가 길고 피복 범위가 광범한 형태라도 보다 착용이 용이하다. 또한, 착용의 용이성과는 별도로 언더 바스트 부분의 조임 등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바스트의 조형성에도 뛰어난 컵부를 갖는 의류를 얻을 수 있다.I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p portion 11 is displace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body 14a, it is easier to wear it than clothes such as conventional body suits. In a conventional body suit or the like, the circumference of the under bust portion may be too short compared to the wearer's torso in order to smoothly attach and detach the body portion when worn (step-in) or worn from the head. It was difficult to tighten and adjust the under bust part alone.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molding of a bust part is enough compared with the bra body which isolate |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In addition, as shown in the present example, when the pair of cup portions 11 can be locked to each other at the front center portion, the cup portion 11 can be locked after wearing the body portion 14, so that the body portion 14 is long and the covering range is long. It is easier to wear even a wide range of forms. In addition, since the tightening of the under bust portion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separately from the ease of wearing, it is possible to obtain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excellent in forming the bust.

도 3(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착용시(록킹구로 록킹되어 있는 상태)에 이면측(착용자측)으로부터 본 형태의 컵부 부근의 확대도의 일례이다. 본 예에서는 스트랩(13)은 프론트 바디(14a)의 좌우 양옆 근방의 상변 부분(Q)을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컵부(11)의 좌우 양옆측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변 부분(Q)은 백 바디(14b)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상변 부분(Q)을 수평으로 설치했을 경우보다 스트랩(13)과 상기 상변 부분(Q)이 접속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바디(14a)를 확실히 끌어올려서 프론트 바디(14a)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상기 상변 부분(Q)을 제외한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은 상기 컵부(11)의 좌우 양옆측의 상단에 위치하는 스트랩(13)의 부착 부분을 정점으로 하고, 앞중심 근방 상하방향의 위치가 가장 낮아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바디(14a)는 상기 상변 부분(Q)의 전역에서 상기 컵부(11) 및 상기 스트랩(13)과 꿰매어져 연결되어 있지만, 연결 부분은 이 영역의 전체이어도 좋고 일부이어도 좋으며, 상기 컵부(11) 및 상기 스트랩(13)의 어느 한쪽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꿰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 등의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프론트 바디(14a)가 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컵부(11) 또는 스트랩(13)과 연결되어 있으면 프론트 바디(14a)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팔을 올리는 동작을 행해서 바스트가 상방으로 변위해도 컵부(11)의 상부에서의 스트랩(13)과의 연결을 가짐으로써 컵부(11)도 상방으로 변위하기 쉽고, 운동에의 추종성을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3(a)의 예에 있어서는 스트랩(13)의 부착 부분은 보강 천(18)에 의해 보강되어 있지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천(18)을 설치하지 않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보강 천(18)으로서는 메쉬 형상의 소재, 파워넷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스트랩(13)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해도 좋다.Fig. 3A is an example of the enlarged view of the cup part vicinity of this form seen from the back side (wearer side) at the time of wearing the garment which has the cup part of this invention (it is locked by the locking mechanism). In this example, the strap 13 is attached to the edge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part 11 so that the upper side part Q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ont body 14a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m. Here, the upper side portion Q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g body 14b side. Thereby, the area of the part to which the strap 13 and the said upper side part Q are connected can be made larger than the case where the said upper side part Q is installed horizontally. For this reason, there also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front body 14a can be pulled up reliably and the fall of the front body 14a can be prevente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except for the upper side portion Q has a top portion of the strap 13 position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portion 11 as a vertex, and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near the front center is It is curved to be the lowest. In this example, the front body 14a is sewn and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11 and the strap 13 in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side portion Q, but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all or part of this region, It may be attached to either one of the said cup part 11 and the said strap 13. Moreover, it is not limited to sewing, You may use means, such as adhesion | attachment. If the front body 14a is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11 or the strap 13 in at least a part of this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body 14a from flowing down. In addition, even if the wearer performs an operation of raising the arm and the bust is displaced upward, the cup portion 11 is also easily displaced upward by having a connection with the strap 13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portion 11. It can be made more preferable. In the example of FIG. 3A,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trap 13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cloth 18, but as shown in FIG. 3B, the reinforcing cloth 18 may not be provided. As the reinforcing cloth 18, a mesh-like material, a power net, or the like can be suitably used,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strap 13 may be used.

여기에서, 스트랩(13)은 컵부(11) 및 프론트 바디(14a)를 어깨로부터 매다는 것이면 된다. 끈이나 천 테이프이어도 좋고, 탱크 톱과 같은 폭이 넓은, 소위 라운드 타입의 스트랩이어도 좋다. 라운드 타입의 경우에는 바디부와 같은 소재로 스트랩이 형성되어도 좋다. 테이프 형상의 스트랩의 경우, 스트랩(13)은 백 바디(14b)의 상변에 부착된 원환의 록킹구(17a)를 지나서 반전하고, 8자형 고리로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구(17b)에 도입됨으로써 스트랩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상태로 스트랩(13)의 타단이 백 바디(14b)의 상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스트랩의 형태는 한쌍의 컵부에 대응해서 한쌍의 스트랩을 각각 컵부 상부와 백 바디에 부착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포츠 타입의 브래지어(스포츠브라)의 어깨 스트랩과 같이, 등측에서 2개의 스트랩이 일체가 되어 백 바디에 부착되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컵부에만 스트랩이 부착되어 있는, 소위 「홀터넥(halter-neck)」타입이어도 좋다. 이 경우, 스트랩(13)은 컵부(11)의 상부끼리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13)의 부착 위치는 컵부(11)의 형상이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디자인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strap 13 should just hang the cup part 11 and the front body 14a from a shoulder. A string or cloth tape may be used, or a so-called round type strap, which is wide like a tank top, may be used. In the case of the round type, the strap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portion. In the case of the tape-shaped strap, the strap 13 is inverted past the toric locking port 17a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g body 14b, and introduced into the length adjusting port 17b made up of an eight-shaped ring. The other end of the strap 13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g body 14b in the state which can adjust length. The shape of the strap is not limited to a form in which a pair of straps are attached to the cup upper portion and the bag body,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cup portions. For example, two straps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ack body on the back side, such as a shoulder strap of a sports bra (sports bra). Moreover, what is called a "halter-neck" type in which the strap is attached only to the cup par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strap 13 is attach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up part 11 may connect with each other.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trap 13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p portion 11 or the design of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록킹구(15)로서는 훅(예를 들면 갈고리단추(hook and eye)), 그리퍼(gripper), 버튼, 끈, 면 패스너 등을, 디자인이나 용도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갈고리단추나 그리퍼, 버튼을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의 고정 위치를 미리 설치해 둠으로써 조임 정도를 미조정할 수 있게 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외의 다른 종류의 록킹구를 사용해도 좋다.As the locking tool 15, a hook (for example, a hook and eye), a gripper, a button, a string, a surface fastener, or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depending on the design and the use. In the case of using the hook button, the gripper and the button,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fixing positions in advance so that the tightening degree can be finely adjusted. Moreover, you may use other types of locking tools other than the above.

상기 컵부(11)는 그 스트랩 부착 위치와 바스트 탑점을 연결하는 라인보다 옆측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도 2(b)에 나타내는 영역(20) 참조]에 있어서, 컵부의 다른 부분에 비교해 저신도의 소재가 상기 부착 위치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신도의 소재란, 예를 들면 메쉬 형상의 소재, 파워넷 등이다. 상기 옆측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저신도의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바스트의 사이드 부분을 덮는 컵부에 적당한 강성을 부여하고, 바스트 앞중심측으로 모으는 것이 가능하여 양호한 조형성이나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저신도의 소재는 컵부의 표측 생지와 피부측 생지 사이에 끼워넣어 꿰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저신도의 소재가 직접 피부에 접하는 것보다는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다.The cup portion 11 has a lower elongation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cup portion in all or a part of the region next to the line connecting the strap attachment position and the bust top point (see the region 20 shown in Fig. 2 (b)).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osition. The said low elongation raw material is a mesh-shaped raw material, a power net, etc., for example. By including a material of low elongation in all or part of the side region, it is possible to impart proper rigidity to the cup portion covering the side portion of the bust and to collect the bust in the front center side, whereby good formation and stability can be obtained. The low elongation material is preferably sewn between the surface dough and the skin side dough of the cup por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ow elongation of the material can be made to be more comfortable than directly touching the skin.

도 4에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인 바디슈트를 착용해 팔을 올리고 내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팔을 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팔을 올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프론트 바디(14a)의 같은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선을 도 4(a), 도 4(b)에 각각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상기기준선과 컵부(11)의 하부 가장자리부(P) 사이의 거리를 부호 L1, L2를 붙여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팔의 올리고 내림에 의해 바스트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에 따라서 컵부(11)가 프론트 바디(14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한다. 이 때문에, 바디부(14)를 인장시키는 일없이 바스트의 변위에 추종하도록 컵부(11)를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가 팔을 올렸을 때에 록킹구(15) 및 컵부(11)의 앞중심 근방의 가장자리 부분이 일부를 남기고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위치가 되도록 프론트 바디(14a)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4, the state at the time of raising and lowering an arm by wearing the body suit which is an example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s shown typically. Fig. 4A shows a state where the arm is lowered and Fig. 4B shows a state where the arm is raised. In addition, the reference line which shows the same position of the front body 14a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4 (a) and FIG.4 (b),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aid reference line and the lower edge part P of the cup part 11 is shown. Ar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L1 and L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4 (a), FIG.4 (b), the cup part 11 displaces with respect to the front body 14a as the position of a bust shifts up and down by raising and lowering an arm. For this reason, the cup part 11 can be displaced so as to follow the displacement of the bust without tensioning the body part 14. In addition, in this example, when the wearer raises his arm as shown in FIG.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so as to be a position protruding.

도 5에는 종래의 바디슈트를 착용하고, 마찬가지로 팔을 올리고 내렸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a)는 팔을 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팔을 올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팔을 올렸을 때에, 도 5(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부가 프론트 바디에 잡아당겨져 신장되어 버려 있다. 또한, 바스트는 팔을 올리는 동작에 따라 끌어올려지지만, 바디슈트의 바지스 부분은 바스트에 추종하고 있지 않다. 그것에 대하여, 도 4에 있어서는 컵부(11)는 프론트 바디(14a)에 잡아당겨지는 일없이 바디슈트의 바지스 부분은 바스트에 추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바지스 부분이란 의류에 있어서 유방의 하측의 윤곽선에 상당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는, 컵부(11) 및 토대부(12)가 프론트 바디(14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상기 바디부(14)의 옆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팔을 올리는 동작을 했을 경우 컵부(11) 및 토대부(12)가 프론트 바디(14a)에 대하여 상방으로 변위한다[도 4(a) L1→도 4(b) L2]. 그리고, 팔을 내리면 컵부(11) 및 토대부(1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도 4(b) L2→도 4(a) L1].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크로치부(16)를 갖는 바디슈트인 경우, 컵부(11)가 상방으로 변위해도 크로치부(16)가 잡아당겨지는 것의 억제가 가능하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when a conventional body suit is worn and the arm is raised and lowered. Fig. 5A shows a state where the arm is lowered. 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m is raised. In FIG. 5, when an arm is raised,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5 (b), the cup part is pulled by the front body and extended. In addition, the bust is pulled up according to the arm raising operation, but the barge part of the bodysuit is not following the bust. On the other hand, in FIG. 4, it turns out that the cup part 11 follows the bust without pulling the cup part 11 by the front body 14a. Here, the pants portion mean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ntour of the breast in the garment. I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p part 11 and the base part 12 ar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dy part 14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front body 14a, When the arm is raised, the cup portion 11 and the base portion 12 are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body 14a (Fig. 4 (a) L1 to Fig. 4 (b) L2). Then, when the arm is lowered, the cup portion 11 and the base portion 12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Fig. 4 (b) L2-Fig. 4 (a) L1). In the case where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suit having the crotch portion 16 as shown in FIG. 1, the crotch portion 16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pulled even when the cup portion 11 is displaced upwar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프론트 바디(14a)의 상기 컵부(11) 또는 상기 토대부(12)의 변위 범위, 및 상기 컵부(11) 또는 상기 토대부(12)의 상기 프론트 바디(1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이 슬라이딩성의 소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성의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시의 운동으로의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성의 소재로서는 불소 섬유, 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섬유 등의 슬라이딩성 재료를 포함한 소재를 사용해도 좋고, 상기 변위 범위나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의 생지에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는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nge of the cup portion 11 or the base portion 12 of the front body 14a and the front body 14a of the cup portion 11 or the base portion 12 is in sliding contac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said parts contains the sliding material. By including the sliding material, the followability to the movement at the time of wearing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sliding material, a material containing a sliding material such as fluorine fiber, polyurethane resin, and fiber may be used, and surface treatment such as applying a fluorine resin or a silicone resin to the above-described displacement range or the material of the sliding contact part may be used. You may use what was done.

도 6(a)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일례의 컵부 부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컵부(11)를 연결하는 록킹구(15)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예는 토대부(12)가 좌우 양옆측으로부터 착용시의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까지 설치되고, 앞중심측의 단부에 록킹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6(b)는 컵부(11)를 연결하는 록킹구(15) 주변의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토대부(12)가 착용시의 앞중심에 닿는 부분까지 이어설치되는 대신에 컵부(11)의 좌우의 옆부에서 각각 연결되는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 록킹구(15)는 컵부(11)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록킹구(15)에 의해 앞중심부에서 서로 록킹 가능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록킹구(15)를 갖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6: (a)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vicinity of the cup part of an example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and has shown the structure around the locking port 15 which connects the cup part 11. As shown in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a), the base 12 is provid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o the portion reaching the front center at the time of wearing, and the locking tool 1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ront center side. FIG. 6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locking tool 15 connecting the cup portion 11. As shown in Fig. 6 (b),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portion 11 instead of being installed to the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 12 reaches the front center when worn. It may be in the form. In this case, the locking tool 15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cup portion 11. In addition, although the form which can lock each other by the locking mechanism 15 in the front center part is shown in this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nd may not have the locking mechanism 15. FIG.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론트 바디(14a)는 컵부(11) 하부 가장자리부(P)의 변위범위에는 적어도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컵부(11) 및 토대부(12)는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프론트 바디(14a)를 끼워서 상하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변위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를 직접 마찰시키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프론트 바디(14a)는 컵부(11) 하부 가장자리부(P)의 변위 범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고 있지만, 컵부(11)의 피부 접촉이 적을 경우에는 프론트 바디(14a)가 컵부(11) 하부 가장자리부(P)의 변위 범위를 완전하게 덮도록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ody 14a extends at least in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lower edge portion P of the cup portion 11. Accordingly, the cup portion 11 and the base portion 12 are displaced up and down by sandwiching the front body 14a between the wearer's skin.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displacement portion to rub the wearer's skin direct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to cover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lower edge portion P of the cup portion 11, but when the skin contact of the cup portion 11 is small, the front body 14a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so that) completely covers the displacement range of the lower edge part P of the cup part 11.

상기 바디부(14)는 상기 형태의 바디슈트에 있어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체(胴體)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바디부(14)가 착용자의 동체의 적어도 일부를 조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동체의 적어도 일부를 조이기 위해서는 조이고 싶은 부분의 직물의 신도를 인접하는 부분의 직물의 신도보다 낮아지도록, 신도를 바꾸어서 형성해도 좋다.The body portion 14 is not limited to the one in the above-described body suit, but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bod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4 is formed to tighten at least a part of the wearer's body. In order to tighten at least a part of the wearer's body, the elongation may be changed so that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of the portion to be tightened is lower than that of the fabric of the adjacent portion.

백 바디(14b)는 되접음(고) 처리가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있어서는, 특히 컵부를 앞중심에서 록킹하는 형태의 경우에 착용 후에 확실히 록킹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브래지어나 바디슈트와 같이 등부분에 테이프재를 설치하지 않고 바디부의 상단부를 테이프재보다 폭이 커지도록 되접음 처리를 하는 것이라도 바디의 흘러내림를 막을 수 있고, 충분한 착용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광폭에 의한 되접음 처리이면 백 바디 상변에 있어서의 신체에의 파고들어감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시에 등이나 옆부에 단차가 생기는 일없이 갈끔한 실루엣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ack body 14b is subjected to a refolding (high) process. In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reliably locked after wear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orm in which the cup portion is locked from the front center. Therefore, even i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lded back so that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tape member, such as a conventional bra or body su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rom falling down and provide sufficient wearing stability. You can get it. If it is the refolding process by a wide width | variety,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perforation to the body in the back body upper edge.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set it as an eager silhouette, without a step generate | occur | producing a back part and a side part at the time of wearing.

도 7은 착용 평가에 있어서의 옆 및 등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 (b)는 종래품의 프론트훅 브래지어 착용시, (c)는 종래품의 와이어가 있는 바디슈트 착용시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에는 바디부의 상단부에서의 단차가 생기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품에서는 테이프재가 백 바디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테이프재의 부분에서 옆 및 등에 파고들어감이 생겨 있다. 종래품에서는 컵부가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 바디에서의 록킹에 의해 조여서 장착할 필요가 있다. 종래품에서는 테이프재를 사용하고 있지 않고 되접음(고) 처리를 사용하면 착용시의 바스트 부분의 고정감이 부족하고, 컵부의 안정감도 충분히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파고들어감의 해소는 곤란했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of side and back in a wear evaluation. (a) is when the bodysuit is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 is when the front hook bra is worn in the prior art, and (c) is when the bodysuit is worn with the wire of the prior art. When wearing the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no step occurs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prior art, the tape membe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g body, and the tape member penetrates into the side and the back of the tape memb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cup pa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it is necessary to tighten and attach it by locking in the back body. In the prior art, if the tape material is not used and the refolding (high) treatment is used, the tape material has to be used since the fixation of the bust portion at the time of wearing is insufficient and the stability of the cup portion is not sufficiently obtaine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eliminate the digging.

도 8은 착용 평가에 있어서의 바스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a)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b)에 종래품의 프론트훅 브래지어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c)에 종래품의 와이어가 있는 바디슈트 착용시의 가슴을 위에서 촬영한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종래품의 바디슈트와 종래품의 브래지어를 비교하면, 종래품의 바디슈트에서는 바스트의 모음감, 가슴골감, 돌출감이 충분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종래품의 바디슈트에서는 컵부는 바디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스트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을 브래지어와 같이 크게 취할 수는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 착용시에는 종래품의 브래지어와 같은 정도의 바스트의 모음감, 가슴골감, 돌출감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에서는, 토대부(12)는 좌우의 양옆 부분만에서만 바디부(14)에 연결되어 있고, 토대부(12)는 록킹구(15)(프론트 훅)를 고정하는 것에 따라서 다소 신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바디슈트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바디슈트에서는, 장착시의 바스트의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길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ust in the wear evaluation, (a) is a cross-sectional shape taken from above the chest at the time of wearing the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 at the time of wearing a front hook bra of the prior art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age | photographed the chest of the above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which image | photographed from the top of the chest at the time of wearing a bodysuit with a wire of the conventional art in (c). Comparing the conventional body suit and the conventional bra, it can be seen that the bodily feel of the bust, the chest feel and the sense of protrusion are not sufficient in the conventional body suit. In the conventional body suit, since the cup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bust forward cannot be taken as large as a bra. On the other hand, when wearing the body suit by this embodiment, it turns out that the collection feeling of a bust, a chest bone feeling, and a protrusion feeling of the same grade as the bra of a conventional product are acquired. In the body su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4 on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base portion 12 is used to fix the locking mechanism 15 (front hook). Therefore, it can be stretched somewhat. For this reason, in the body suit by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body suit, the effect that the protruding length to the front of a bust at the time of mounting becomes longer is acquired.

도 9에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인 바디슈트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본 예의 바디슈트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와 비교하여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의 파임이 얕게 되어 있다. 바스트 사이즈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착용시의 바스트의 수용 정도가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형태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형태에서는 프론트 바디(14a)에 의해 바스트 주위가 확실히 덮여지기 때문에 바스트 주위의 보온성이나 땀흡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이 파이도록 만곡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상변이 V자 모양이나 U자 모양을 띠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직선 모양을 띠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9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ody suit which is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n the body suit of this example, the top side of the front body 14a is shallower than the body suit shown in FIG. Since the bust size is relatively small, it is considered to be such a form when the degree of accommodating bust at the time of wearing does not matter. In this embodiment, the circumference of the bust is firmly covered by the front body 14a, so that the heat retention and sweat absorption around the bust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n this example, although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so that it may be bent,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so that an upper side may have a V shape or a U shape, and even if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have a linear shape, for example. good.

도 10에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인 브라슬립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형태는 크로치부(16)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이다. 이 브라슬립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의 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과 동일 개념 하에 설계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프론트 바디(14a)의 복부를 피복하는 부분(21)은 인접하는 부분의 직물의 신도보다 낮아지도록 신도를 바꾸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하면 복부의 전방으로의 팽출을, 바디부를 착용하는 것의 압박력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복부를 피복하는 부분(21)은 브라슬립의 경사 방향 및 종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짐과 아울러 횡방향으로는 비신축 또는 난신축인 것이 바람직하고, 긴체력을 갖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원 웨이 파워넷, 파워넷, 투 웨이 트리콧 등이 있다. 신도를 바꾸는 구성은 본 예의 브라슬립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착용 중의 바디부의 흘러내림를 막을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바디부의 직물의 교체 대신에 또는 병용하여 벨트를 바디부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신도를 바꾸는 구성을 채용하지 않아도 좋다.An example of the brasslip which is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in FIG. This form does not have the crotch part 16. The shape of the bra equivalent part of this brasslip is designed on the same concept as the bra equivalent part of the body suit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part 21 which covers the abdomen of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by changing elongation so that it may become lower than the elongation of the fabric of the adjacent part. With this configuration, bulging in the front of the abdomen can be reduced by the pressing force of wearing the body part. The part 21 covering the abdomen preferably has elasticity in the inclined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brasslip and is non-stretch or insul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ng body force. . Such materials include, for example, one-way power nets, power nets, two-way tricots, and the like. The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elongation is not limited to the brasslip of the present example,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preferable in that the body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while being worn. The belt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instead of or in combination with the replacement of the fabric of the body portion.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employ | adopt the structure which changes elongation.

도 11에 크로치부(16)를 갖지 않고 있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인 브라슬립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이 형태는 프론트 바디(14a)가 착용시에 컵부(11)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팔의 올리고 내림 등의 동작시에는 한쌍의 컵부(11)는 프론트 바디(14a)의 피부측의 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한다. 본 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컵부(11)의 디자인에 관계 없이 착용시의 외관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컵부(11)를 보다 아우터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brasslip which is the clothing which has the cup part of this invention which does not have the crotch part 16 in FIG. 11 is shown. This form is formed so that the front body 14a covers the cup part 11 at the time of wearing. 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wearer's arm, the pair of cup portions 11 are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slidingly contacting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ront body 14a. By setting it as the structure of this example, the variation of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wearing can be varied, regardless of the design of the cup part 11. In addition, the cup portion 11 can be prevented from affecting the outer more.

도 12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론트 바디(14a)가 착용시에 컵부(11)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브라슬립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프론트 바디(14a)의 상변이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 훅(록킹구(15))이 상기 V자 모양으로 형성된 프론트 바디(14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Fig. 1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brasslip in which the front body 14a as shown in Fig. 11 is formed to cover the cup portion 11 when worn. In this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14a is formed in the V shape, and the front hook (locking opening 15) is exposed from the front body 14a formed in the said V shape. 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attachment and detachment can be made easier.

도 13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컵이 있는 캐미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캐미솔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의 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과 동일 개념 하에 설계되어 있다. 본 형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부(14)가 동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디부(14)의 길이를 용도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amisole with the cup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The shape of the bra equivalent portion of this camisole is designed under the same concept as the bra equivalent portion of the bodysuit shown in FIG. As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so that the body portion 14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body, so that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4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도 14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컵이 있는 니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컵이 있는 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의 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과 동일 개념 하에 설계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바디부(14)는 니트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디부(14)에 니트 소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몸통 둘레를 조이기 위한 벨트나 끈을 바디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바디부에 복대부(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보온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knit with a cup of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The shape of the bra portion of the knit with cups is designed under the same concept as the bra portion of the bodysuit show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the body part 14 is formed using the knit material. When using a knit material for the body portion 14, a belt or a strap for tighten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Moreove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bag part 22 in a body part, and it is also possible to give a heat retention func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의 미드리프 길이의 브래지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미드리프 길이의 브래지어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의 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과 동일 개념 하에 설계되어 있다. 보본 형태에서는 브래지어 착용시에 있어서 먼저 바디부(14)에 의해 바스트 하부를 피복하므로 장착시에 바스트를 컵부(11) 내에 스무스하게 수용할 수 있고, 종래의 브래지어에 비해서 록킹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 나타내는 미드리프 길이의 브래지어는 구체적인 적용예로서, 예를 들면 스포츠 타입의 브래지어에 적용할 수도 있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bra of the drifted length of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The shape of the bra equivalent portion of this midriff length bra is designed under the same concept as the bra equivalent portion of the bodysuit shown in FIG. 1. In the bobbin form, when the bra is worn, the lower part of the bust is first covered by the body portion 14, so that the bust can be accommodated smoothly in the cup portion 11 at the time of wearing, and the effect is easier to lock than the conventional bra. It may be. In addition, the mid-drip length bra shown in this example can also be applied to a sports type bra as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

도 16은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인 바디 웨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바디 웨어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의 형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디슈트의 브래지어 상당 부분과 동일 개념 하에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형태에서는 주로 운동시에 착용하는 것을 상정한 소위 스포츠 타입의 브래지어로 보여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컵부(11)를 논 와이어 타입으로 하고, 앞중심부를 개폐하기 위한 록킹구(15)로서 파스너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어깨 스트랩(13)이 배면측의 목의 하방 근방에서 한개로 모아지는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종래의 스포츠 타입의 브래지어와 같이 운동시의 어깨 스트랩(13)의 어긋남이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에 의한 유방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본 형태에서는, 또한 운동시에도 안정감이 있고, 피부에의 마찰도 막을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배면의 스트랩 부분(Y자 모양의 부분)에 메쉬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프론트 바디 부분도 파스너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해도 좋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body wear which is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of this invention. The shape of the bra portion of the body wear is designed under the same concept as the bra portion of the body suit shown in FIG. 1. However, this embodiment differs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structure shown by the so-called sports type bra which assumed mainly to be worn at the time of exercise. Specifically, the cup part 11 is made into the non-wire type, and the fastener is used as the locking mechanism 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center part.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13 are formed in a Y-shape which is gathered as one in the lower vicinity of the neck on the rea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shift and fall of the shoulder strap 13 at the time of exercise can be prevented like the conventional sports bra, and the discomfort of the breast by a wire does not occur.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sense of stability even during exercise and friction against skin can be prevented. In this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mesh material for the back strap portion (Y-shaped portion). The front body portion may also be opened and closed by a fastener.

이상, 실시형태의 구체예로서 바디슈트, 브라슬립, 컵이 있는 캐미솔, 컵이 있는 니트, 바디 부착 브래지어, 바디 웨어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이것들의 구체예에 기재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컵이 있는 캐미솔, 원피스 타입이나 세퍼레이트 타입의 수영복, 레오타드, 기타 각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적용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cribed by taking a body suit, a brass slip, a camisole with a cup, a knit with a cup, a bra with a body, and a body wear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embodiment, the garment having the cup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ific example of these. It is not limited only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nd it can apply to the clothing which has a cup camisole, a swimsuit of a dress type or a separate type, a leotard, and other various cup parts.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컵부를 갖는 의류는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의 실시형태와 같은 파운데이션 의류 이외에도 스포츠 의류, 아우터 등, 각종의 컵부를 갖는 의류에 적용할 수 있다.The garment having the cup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many form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the clothing which has various cup parts, such as sports clothing and outerwear, in addition to the foundation clothing like embodiment mentioned above.

10 : 컵부를 갖는 의류(바디슈트) 11 : 컵부
12 : 토대부(컵 지지부) 13 : 스트랩
14 : 바디부 14a : 프론트 바디
14b : 백 바디 15 : 록킹구
16 : 크로치부 17a : 원환 록킹구
17b : 길이 조절구 18 : 보강 천
20 : 저신도 소재를 포함하는 영역 21 : 복부를 피복하는 부분
22 : 복대부
10: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body suit) 11: cup portion
12: base portion (cup support) 13: strap
14: body portion 14a: front body
14b: back body 15: locking ball
16: crotch part 17a: ring lock ball
17b: length adjuster 18: reinforcing cloth
20: area containing low elongation material 21: portion covering the abdomen
22: belly

Claims (18)

한쌍의 컵부와, 컵 지지부와, 스트랩과, 프론트 바디 및 백 바디로 형성된 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와 상기 백 바디는 상기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바디부의 좌우의 옆측 부분에 상기 컵 지지부를 통해서 상기 컵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A pair of cup portions, a cup support portion, a strap, and a body portion formed of a front body and a back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 portions and the back body are connected by the strap, and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body by the cup support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which is attached in a displaceabl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피부측 면과 반대측의 면과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body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liding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kin side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앞중심부에 있어서 서로 록킹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ir of cups are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is provided to be locked to each oth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부는 앞중심부에 있어서 서로 록킹 가능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up support portion has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left and right members formed to be lock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cent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는 바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front body is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us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한쌍의 컵부의 좌우 양옆 부분까지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은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및 상기 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trap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cups, respectivel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trap and the cup por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한쌍의 컵부의 좌우 양옆 부분까지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은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또는 상기 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trap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cups, respectivel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trap or the cup por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피부측 면과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air of cups are attached to the skin side of the front body in a sliding contact state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쌍의 컵부와, 컵 지지부와, 스트랩과, 프론트 바디 및 백 바디로 형성된 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끼리는 상기 스트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바디부의 좌우의 옆측 부분에 상기 컵 지지부를 통해서 상기 컵부가 상기 프론트 바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A pair of cup portions, a cup support portion, a strap, and a body portion formed of a front body and a back body;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connected by the strap,
The pair of cups are clothes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portion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capable of displacing the cup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body via the cup support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피부측 면과 반대측의 면과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air of cup portions are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body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liding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kin side surfac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앞중심부에 있어서 서로 록킹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pair of cups are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enter portion is provided to be locked to each other.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지지부는 앞중심부에 있어서 서로 록킹 가능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The cup support portion has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left and right members formed to be lock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center.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는 바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And the front body is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bust.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한쌍의 컵부의 좌우 양옆 부분까지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은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및 상기 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The strap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cups, respectivel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trap and the cup por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한쌍의 컵부의 상부에 설치된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한쌍의 컵부의 좌우 양옆 부분까지 각각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변은 상기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좌우 양옆 부분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또는 상기 컵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The straps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cup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cups, respectivel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body is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trap or the cup por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컵부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피부측 면과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air of cups are attached to the skin side of the front body in a sliding contact state so as to be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착용자의 동체 중 적어도 일부를 조일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capable of tight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earer's body.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바디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갖는 의류.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arment is a body suit.
KR1020127006873A 2010-01-13 2011-01-12 Garment having cup sections KR2012012405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05169A JP5413207B2 (en) 2010-01-13 2010-01-13 Clothing with cup
JPJP-P-2010-005169 2010-01-13
PCT/JP2011/050332 WO2011087010A1 (en) 2010-01-13 2011-01-12 Garment having cup se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054A true KR20120124054A (en) 2012-11-12

Family

ID=4430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873A KR20120124054A (en) 2010-01-13 2011-01-12 Garment having cup section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13207B2 (en)
KR (1) KR20120124054A (en)
CN (1) CN102724890A (en)
TW (1) TWI488585B (en)
WO (1) WO20110870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9325A (en) * 2011-11-14 2013-05-15 上海欧迪芬内衣精品股份有限公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nvironmental-friendly fabric bra
KR200471045Y1 (en) 2012-06-19 2014-01-29 홍승섭 underwear correcting for woman
CN104305542B (en) * 2014-10-28 2017-02-15 上海暖尚服饰有限公司 Free-cut br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245716A (en) * 2019-06-18 2022-03-25 阿什利·马尔代西 Clothing product
CN114403516B (en) * 2022-01-06 2023-10-13 北京电子科技职业学院 Light and thin breathable body shaping underwea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8328Y2 (en) * 1979-11-30 1982-08-24
JP2001172806A (en) * 1999-12-20 2001-06-26 Ryooka:Kk Women's one-piece type swimming suit
JP3076694U (en) * 2000-09-29 2001-04-13 株式会社ワコール Women's clothing
JP2009133027A (en) * 2007-11-30 2009-06-18 Rushian:Kk Sport brassiere
TWM366309U (en) * 2009-06-06 2009-10-11 Dance Girl Co Ltd Tight-fitting underclothes having cup
JP5231360B2 (en) * 2009-09-03 2013-07-10 株式会社カドリールニシダ Women's body underwear with a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7010A1 (en) 2011-07-21
CN102724890A (en) 2012-10-10
TWI488585B (en) 2015-06-21
JP2011144469A (en) 2011-07-28
TW201143647A (en) 2011-12-16
JP5413207B2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22780A1 (en) Clothing
US8574026B2 (en) Clothing article including a built-in bra
KR20150115814A (en) Support bustier garment
KR20160124106A (en) Garment provided with cup sections
KR20120124054A (en) Garment having cup sections
JP3115670U (en) Molded knitted inner with bust correction function
US20110191944A1 (en) Undergarment support device
CN209898307U (en) Upper half-body garment with cup parts
KR100770252B1 (en) Clothes for woman with cup
JP4410539B2 (en) bra
CN203279845U (en) Clothes with cup parts
JP3146560U (en) Orthopedic clothing
CN105614959B (en) A kind of Conjoined body shaping underwear
US11219247B2 (en) Support garment
KR200442122Y1 (en) Functional brassiere
KR101562574B1 (en) Functional bra
US7654882B2 (en) Bra and body shaper garment
KR200366768Y1 (en) Structure of brassiere
JP4388003B2 (en) Women's underwear with a cup
CN205512375U (en) Coverall body shaping underwear
KR200464931Y1 (en) Going out outer garment combined use this all-in-one
CN220875970U (en) Integrated multifunctional steel ring sleeve
JP2015078460A (en) Clothing with cup
US20090191789A1 (en) Combination uplift and coverage bra
CN201929014U (en) Breast-augmentation covering seamless healthy b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