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219A -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219A
KR20120123219A KR1020120040775A KR20120040775A KR20120123219A KR 20120123219 A KR20120123219 A KR 20120123219A KR 1020120040775 A KR1020120040775 A KR 1020120040775A KR 20120040775 A KR20120040775 A KR 20120040775A KR 20120123219 A KR20120123219 A KR 2012012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switching
sensor
mod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광성
임기홍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219A/en
Publication of KR2012012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supply a function conver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using a public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thereby reducing consumption of a battery. CONSTITUTION: An application confirms whethe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operating as a sleep mode satisfies a conversion condition of a wake up mode and when the conversion condition is satisfied, an operat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wake up mode and the application waits input of a user in the wake up mode(S300~S320). When conversion condition of the sleep mode is satisfied, the application converts the wake up mode into the sleep mode(S330). [Reference numerals] (S300) Sleep mode; (S310) Satisfying a wake up mode converting condition; (S320) Wake up mode; (S330) Satisfying a sleep mode converting condition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예를 들어, CPU 또는 GPU)의 멀티코어화와 같이 하드웨어인 성능의 강화와 함께, 표시부(예를 들어, OLED 또는 LCD)의 크기 및 해상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With the enhancement of hardware-like performance, such as the multicoreization of the control unit (e.g. CPU or GPU), as the size and resolution of the display unit (e.g. OLED or LCD)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trend.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다양한 전력소모의 감소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Reflecting such a situation, the prior art provides various methods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en using a mobile terminal.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에는 여러 가지 센서(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데, 이들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여러 가지 조건(또는 상황)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Sleep 모드)와 실행 모드(Wake Up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for example, proximity sensors), and the operating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a standby mode (sleep mode) to various conditions (or situations) detected through these sensors. A method is provided for switching between run modes.

또 다른 예로서, 종래기술은 휴대용단말기에 포함된 소정의 센서가 동작 중이더라도 대기 모드 진입이 조건이 만족되면 배터리 효율을 위해 단말기를 대기 모드(Sleep 모드)로 진입시키고, 센서를 포함한 휴대단말기의 대부분의 장치(또는 모듈)들이 동작 중지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As another example, the prior art is to enter the standby mode (Sleep mode) for battery efficiency, even if a predetermined senso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ing, if the standby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ensor Most devices (or modules) provide the ability to stop working.

또 다른 예로서, 종래기술은 소정의 센서가 동작 중일 때에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구동만을 중지하고, 소정의 센서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another example, the related art provides a function of stopping driving of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without entering a standby mode when a predetermined sensor is in operation, and allowing a predetermined sensor to continuously operate.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대기 모드로의 진입시에 센서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과, 대기 모드로 진입한 후에 센서의 동작에 따른 상태 전환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기능성에 많은 제약을 가하고 배터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do not consider the operation of the sensor when entering the standby mode, and do not support the state switc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fter entering the standby mode, which imposes many restriction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battery efficiency.

한편, 전술한 대기 모드와 실행 모드의 전환은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동일한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모든 휴대단말기에서 동작이 보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플랫폼의 파편화로 인한 것으로, 안드로이드의 경우 파편화로 인해서, 안드로이드 용 어플리케이션이 모든 안드로이도 탑재 휴대단말기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between the standby mode and the execution mode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even if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same platfor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guaranteed in all mobile terminals operating on the same platform. . This problem of incompatibility of the application is due to the fragmentation of the platform, for example, due to the fragmentation of the Android, the application for Android does not work on all Android-equipped portable terminals.

지금까지 설명한 바를 토대로, 센서의 동작 상태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와 실행 모드에서 전환하는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면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 또한 보장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휴대단말기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sed on what has been described so far,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if the application provides the function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tandby mode and the execution mode according to the sensor operation state or the detection result, and also guarantees the compatibility of the application. You will be able to provide a working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의 동작 상태 또는 감지 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와 실행 모드에서 전환하는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면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 또한 보장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vention that can ensure the compatibility of such applications, while also providing a function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andby mode and the execu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확인 과정 및 전환 과정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mode switching using at least one sensor and check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switching cond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satisfied; Including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identification process and the switching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using the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본 발명은 공개용 API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사키고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using an open API, thereby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and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of the application providing the function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by switch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어플리케이션(100)은 대응되는 플랫폼(110)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100 is an application program operating on the corresponding platform 110 and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online or off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을 위해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플랫폼(110)의 API(111)를 호출하며, 이에 대응하여 플랫폼(110)은 OS(120)로부터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어플리케이션(100)으로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calls the API 111 of the platform 110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o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ly, the platform 110 calls the OS 120.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application 1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100)은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플랫폼의 API(111)를 호출하며, 이에 대응하여 플랫폼(110)은 OS(120)로부터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를 획득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은 획득된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를 표시한 후에 사용자의 설정 변경에 요청되게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설정 정보를 플랫폼(110) 및 API(111)를 통해 OS(12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100 calls the API 111 of the platform to change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and correspondingly, the platform 110 changes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rom the OS 120. Acquire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pass it to the application. After that, the application displays the obtained setting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and then updates the setting information to be requested for the user's setting change, and updates the upda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OS 120 through the platform 110 and the API 111. Can transmit

플랫폼(110)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애플의 iOS 또는 삼성의 바다(Bada)와 같이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아키텍처(Architecture)이다. 플랫폼(110)은 하나 이상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포함하는데, API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되는 함수의 집합이다. 플랫폼(110) 상의 API를 이용하도록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플랫폼(110)을 탑재한 어떠한 휴대단말기에서도 동작이 보장되어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또는 범용성)이 개선되게 된다.The platform 110 is a system architecture of a mobile terminal that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oogle's Android, Apple's iOS, or Samsung's Bada. The platform 110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which are a collection of functions that are called and used by an application. Applications developed to use the API on the platform 110 are guaranteed to operate on any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platform 110,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r versatility) of the appl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1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위해서 센서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API(111)를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호출되면 플랫폼(110)은 API(111)를 실행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111)는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API이다.Meanwhile, the platform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Is 111 that can be used by an application using a sensor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platform 110 is called by the application 110 ) Executes the API 111. The API 1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I capable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111)는 어플리케이션이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API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with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mode switching so that an application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sensor.

여기서,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는 휴대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들(예를 들어, 131 내지 133) 각각에 대해서,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동작 모드 전환이 활성화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 각 센서들 별로 동작 모드 전환이 발생되는 기준 데이터 및 각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is supported and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activated for each of the sensors (eg, 131 to 133)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sensor, reference data for generating an operation mode change for each sensor, and sensing data from each sensor.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및 온도 센서가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었다고 가정하에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동작 모드 전환 기능과 관련된 정보의 획득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이 지원 가능함과 동시에 현재 활성화되어 있고, 휴대단말기의 속도가 200km 이상이 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예를 들어, 에어플레인 모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의 휴대단말기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근접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이 지원 가능함과 동시에 현재 활성화되어 있고, 근접 센서로 5cm 이내로 오브젝트의 접근이 감지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예를 들어, 표시부가 비활성화됨)로 전환되고, 현재의 오브젝트의 접근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온도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이 지원 가능하지만 현재는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온도 센서로 섭씨 80도의 온도가 감지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의 온도가 섭씨 40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can support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for example, by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At the same time, it is currently active, and when the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200km or 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for example, the airplane mode), and the speed of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can be checke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is able to support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using the proximity sensor and is currently active.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proximity of an object within 5 cm,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standby mode (for example, the display is deactivated). ), You can check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current object.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an support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but it is currently disabled, and when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80 degrees Celsi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We can see that it is 40 degrees Celsius.

전술한 바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휴대단말기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일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경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API(111)를 호출하여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속도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Through the foregoing, whe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vides a function to enter the standby mode when the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calls the API 111 to detect a sensor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witched between the run mode and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111)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의 획득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은 각 센서별로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의 지원 여부, 동작 모드 전환이 활성화 여부 및 동작 모드 전환이 발생되는 기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여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 2를 통한 설명에서 비활성화되어 있던 온도 센서의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활성화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API(111)을 통해 획득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별로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의 활성화 여부(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에 해당 센서를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I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setting information of an operation mode switch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application. By acquiring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the application changes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is supported,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activated, and the reference data for which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generated, for each sensor.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application may change the setting so as to activate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which has been deactivated in the description of FIG. have. That is, the user use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application acquires through the API 111, and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sing the sensor is activated for each sensor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Whether or not to use the sensor) can be set.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111)는 일반인 또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공개되는 공개용 API인 것으로 가정하며,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API(111)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대응되는 플랫폼(110)으로 구동되는 모든 휴대단말기에서 폭넓게 구동될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API 11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blic API that is open to the general public or an application developer, and through this, the application developer can freely develop an application using the API 111, and the application thus developed. May be widely driven in all mobile terminals driven by the corresponding platform 110.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10)은 삼성의 바다(Bada)인 것으로 가정한다.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platform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a (Bada) of Samsung.

OS(120)는 휴대단말기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로서 OS는 여러 종류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10)이 바다(bada)라는 가정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120)는 RTOS(Real Time OS)의 일종인 Nucleus OS인 것으로 가정한다.
The OS 120 is an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OS may be various,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platform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da The OS 120 is assumed to be a Nucleus OS, which is a type of Real Time OS (RTOS).

H/W(130, 하드웨어)는 휴대단말기의 하드웨어(Hardware) 구성들을 나타낸다.The hardware H / W 130 represents hardware configu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드웨어(130)는 131 내지 133로 도시된 센서1, 센서2 및 센서3과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의 개수가 3개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ware 13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such as sensor 1, sensor 2, and sensor 3, which are shown as 131 to 133, and the number of sensors is not limited to three. something to do.

센서 1 내지 센서 3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거치 측정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에 이용될 수 있는 센서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OS(120)에 포함된 각 센서에 대응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하여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
Sensors 1 to 3 may be any one of sensors that can be used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 stationary measurement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he controller 120 is controlled by a driver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included in the OS 120 to provide a corresponding function.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드웨어(130)는 휴대단말기에 탑재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휴대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면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표시부 및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hardware 130 may provide various device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a wireless transceiver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multimedi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udio and video data,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 input,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a batter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of a mobile terminal,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including display data and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화상전화기, 피처폰(featur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단말기 또는 태블릿(Tablet 등)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mean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is a video phone, a featur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portable media player (PMP). Examples thereof include a multimedia player,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minal, an e-book terminal or a tablet (tablet, etc.).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by switch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300-S32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대기 모드로 둥작중인 휴대단말기가 실행 모드로의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조건이 만족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하며,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모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In step S300-S320, the application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running in the standby mode satisfies 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and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ecution mode, and the application in the execution mode. Wait for user input.

어플리케이션(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111)를 호출하고, 플랫폼(110)은 API(111)를 실행하여 OS(120)부터 전술한 바 있는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The application 100 calls the API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tform 110 executes the API 111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operation mode switching from the OS 120. .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의 획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10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sleep mode)에서 실행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도록 하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고, 조건이 만족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By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the application 100 checks whether a condi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 up mode is satisfied. The application 10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ecution mod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획득된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의 확인 결과, 센서2(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지원하고 활성화 된 상태에서 5cm 이내의 거리로 오브젝트의 접근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휴대다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and FIG. 2,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tained operation mode switching, a distance within 5 cm from the sensor 2 (eg, proximity sensor) supporting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and being activated When the approach of the object is detected, the application 10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standby mode.

33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은(100)은 대기 모드로의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실행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In operation 330, the application 100 switches from the execution mode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transition condition to the standby mode is satisfied.

어플리케이션(100)은 플랫폼(110), API(111) 및 OS(120)을 통해 각 센서들(131, 132 및 133)과 관련된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대기 모드로의 전환을 판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100 ob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associated with each of the sensors 131, 132, and 133 through the platform 110, the API 111, and the OS 120, thereby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Can be judged.

센서1(131)가 가속도 센서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였다는 가정을 토대로 예를 들면, 휴대단말기의 속도가 시속 200km의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실행 모드인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속도가 시속 400km를 넘어가게 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nsor 1 131 is an acceleration sensor and has acqui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is less than 200 km / h and thus the operating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running mode, when the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exceeds 400 km per hour, the application 10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tandby mode.

또 다른 예로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가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키입력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이 일정 시간 동안 없게 되면, 어플리케이션(10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예를 들어, 표시부를 끔)로 전환하도록 요청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re is no input (key input or touch screen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urned on, the application 100 changes the operating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tandby mode (for example, Request to switch the display off).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therwise than a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Claims (6)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확인 과정 및 전환 과정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여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mode switching using at least on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n operation mode switching cond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satisfied;
If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includ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checking and switching process is performed by an application using a call to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는 플랫폼(Platform) 및 O/S(Operating System)를 통해 획득되며, 상기 API는 상기 플랫폼의 공개용 AP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obtained through a platform and an operating system (O / S), wherein the API is a public API of th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은,
대기 모드로의 전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실행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process,
And when 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is satisfie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run mode to the standby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과정은,
동작 모드로의 전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process,
And when the condition for switching to the operation mode is satisfie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executio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거리측정 센서, 온도센서 및 습도 센서 등의 휴대단말기에 포함 가능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can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cceleration sensor, geomagnetic sensor, gyro sensor, proximity sensor, distance measuring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정보는 휴대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상기 동작 모드 전환이 활성화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각 센서들 별로 동작 모드 전환이 발생되는 기준 데이터 및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each of the sensor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supports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is activated, and the respective sensors. And reference data at which an operation mode change occurs, and sensing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KR1020120040775A 2011-04-19 2012-04-19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KR201201232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75A KR20120123219A (en) 2011-04-19 2012-04-19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77,012 2011-04-19
KR1020120040775A KR20120123219A (en) 2011-04-19 2012-04-19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19A true KR20120123219A (en) 2012-11-08

Family

ID=475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775A KR20120123219A (en) 2011-04-19 2012-04-19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32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9813A (en) * 2015-10-23 2016-01-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and switching method and device of power supply modes of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9813A (en) * 2015-10-23 2016-01-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and switching method and device of power supply modes of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06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113539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KR102152754B1 (en)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for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EP27437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JP585815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2175103B1 (en) Low power driving method and electric device performing thereof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CN110989882B (e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40027875A (en) An ultra low power apparatus and method to wake up a main processor
EP282455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puter terminal
KR102322030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a user’s using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KR20120134765A (en) Method for displyaing home-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N107613095B (e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40176458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203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of the display apparatus
CN110830063B (e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of audio service and terminal
CN107479799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indow
MX2014008884A (en) Mobile terminal resourc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WO2014097653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5002300A1 (en)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2012012321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JP2014215749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218289B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2796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bile rout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8280798B (en) Method and device for rendering and displaying browser ker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